KR101828911B1 -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 Google Patents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911B1
KR101828911B1 KR1020150173320A KR20150173320A KR101828911B1 KR 101828911 B1 KR101828911 B1 KR 101828911B1 KR 1020150173320 A KR1020150173320 A KR 1020150173320A KR 20150173320 A KR20150173320 A KR 20150173320A KR 101828911 B1 KR101828911 B1 KR 101828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paper
bowel
bowel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995A (ko
Inventor
김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릿지오브날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릿지오브날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릿지오브날리지
Priority to KR1020150173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9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견이 오물처리용지 위에 배설을 하면 자동으로 오물처리용지가 제거되어 청결하게 반려견의 화장실을 유지할 수 있는 반려견 배변기 및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반려견이 올라타서 용변을 보는 배변판과, 배변판의 상부면을 덮어 반려견의 배설물이 놓이게 되는 너비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오물처리용지와, 배변판에 반려견이 올라가고 내려간 상태를 검출하는 반려견 검출기와, 배변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반려견 검출기를 통해 반려견이 배변판에서 내려간 것이 검출되면 오물처리용지를 배변판의 상부면 길이만큼 견인하여 배설물이 묻지 않은 면이 배변판을 덮게 하는 용지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APPARATUS FOR DISPOSING PET DROPPING, AND PET TOILE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려견의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견이 오물처리용지 위에 배설을 하면 자동으로 오물처리용지가 제거되어 청결하게 반려견 화장실을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반려견 배변기 및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인간과 반려동물의 관계가 단순한 주종의 관계가 아닌 친구, 벗, 동반자 같은 동물과의 관계가 성립 된지 오래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동물을 취미나 재미로 기르는 것이 아닌 인생의 반려자로 생각하고 함께 삶을 영위하고 있으며, 반려견은 다른 동물보다 높은 지능과 적응력을 가지고 있어, 실내에서 함께 거주하기에 인간의 삶에서 함께하고 있는 부분이 많아지고 있다.
반려견에 대한 관련 법규는 날로 엄격해지고 있으며, 특히 배설물 처리 관계로 다툼이 발생하는 사례가 증가하여, 반려견의 출입을 통제하는 공공장소도 현재는 다수 존재한다.
견주가 매번 배변, 배뇨 시 동행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기에, 많은 견주는 해결 방법으로 집안에 배설 위치를 지정하여 반려견이 해당 위치에서만 배설을 하도록 훈련시키고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의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캐스톨가스, 매르캅틴 등은 악취를 유발 할뿐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방치할 경우 건강한 생활환경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자동으로 반려견의 배설물을 처리하는 다양한 반려견 전용 화장실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앞서 고안된 반려견 전용 화장실은 대부분 반려견이 배설하면 자동으로 물청소를 실시하여 배출되는 오물의 량이 증가하고 사용되는 물의 양도 많아 유지관리에 부담이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5527호 (2011년 12월 19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견이 오물처리용지 위에 배설을 하면 자동으로 오물처리용지가 제거되어 청결하게 반려견 화장실을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반려견 배변기 및 화장실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은, 반려견이 올라타서 용변을 보는 배변판과, 상기 배변판의 상부면을 덮어 반려견의 배설물이 놓이게 되는 너비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오물처리용지와, 상기 배변판에 반려견이 올라가고 내려간 상태를 검출하는 반려견 검출기와, 상기 배변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반려견 검출기를 통해 반려견이 상기 배변판에서 내려간 것이 검출되면 상기 오물처리용지를 상기 배변판의 상부면 길이만큼 견인하여 배설물이 묻지 않은 면이 상기 배변판을 덮게 하는 용지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변판 내부에는 상기 오물처리용지가 수용되는 용지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변판은 가장자리 일측에 마련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부가 하부에서 선회할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용지 수용공간이 노출되게 상기 배변판을 개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물처리용지는 상기 배변판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일측 끝단이 상기 배변판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인출되어 상기 용지 이송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판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변판의 상부와 하부를 탄성으로 이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변판에 반려견이 올라타면 상기 반려견의 무게에 의해 이격되어 있던 상기 배변판의 상부 및 하부가 밀착되어 상기 배변판의 용지 수용공간에서 인출된 상기 오물처리용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오물처리용지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 이송부는 서로 맞닿은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롤러 사이에 상기 오물처리용지가 파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물처리용지에 배설된 대변을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하는 배설물 탱크와, 상기 배설물 탱크에서 상기 배변판의 상기 용지 이송부가 설치된 부위로 상기 오물처리용지와 접촉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용지 이송부에 의해 상기 오물처리용지와 대변이 이송되면, 상기 오물처리용지와 접촉된 부위에서 대변을 분리시켜 상기 배설물 탱크로 대변이 수용되게 하는 배설물 분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설물 탱크의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송된 상기 오물처리용지가 수용되는 용지 처리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판의 상부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반려견이 상기 오물처리용지 위에서만 용변을 볼 수 있게 가이드하는 벽이 형성된 펜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반려견이 출입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부스와, 상기 부스의 바닥에 설치되어, 반려견의 배설물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상기 반려견 배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에 따르면,
첫째, 반려견이 배변판의 상부면을 덮은 오물처리용지 위에 용변을 보기 때문에 해당 위치의 오물처리용지만 폐기하는 것으로 반려견의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되어, 물로 세척하는 방식보다 오염물질의 배출과 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 된다.
둘째, 반려견이 배변판 상부에 올라가면 탄성부재의 하강으로 오물처리용지의 양측이 고정되기 때문에 반려견의 활동으로 오물처리용지가 함께 이동되거나 구겨지는 상황이 방지된다.
셋째, 사용된 오물처리용지 및 배설물이 수용되는 탱크의 포화량이 검출기에 의해 자동으로 모니터링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폐기물의 처리시기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본 발명을 공공장소에 설치하는 것으로 보다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반려견이 용변을 본 후 배설물이 즉시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사용자 및 제3자가 배설물을 보고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여섯째, 반려견에게 별도의 화장실이 제공되기 때문에 반려동물의 배변 권리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일곱째, 본 발명을 설치하는 것으로 견주는 반려견의 배변활동에 신경쓰거나 배설물을 직접 제거해야 하는 수고가 크게 경감되어 반려견을 키울 때의 스트레스가 경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기를 반려견이 사용하기 전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기에 반려견이 올라가 사용하는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기를 반려견이 사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기를 반려견이 사용한 후 용지 이송부가 구동되어 오물처리용지에 놓인 배설물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기의 오물처리용지를 배변판의 용지 수용공간에 안착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화장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의 전기적 구성의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반려견 배변기(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기(100)는 반려견이 올라타서 용변을 보는 배변판(110)과, 배변판(110)의 상부면을 덮어 반려견의 배설물이 놓이게 되는 너비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오물처리용지(120)와, 배변판(110)에 반려견이 올라가고 내려간 상태를 검출하는 반려견 검출기(113)와, 배변판(1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반려견 검출기(113)를 통해 반려견이 배변판(110)에서 내려간 것이 검출되면 오물처리용지(120)를 배변판(110)의 상부면 길이만큼 견인하여 배설물이 묻지 않은 면이 배변판(110)을 덮게 하는 용지 이송부(130)를 포함한다.
오물처리용지(120)는 너비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섬유의 일종으로, 반려견의 소변을 흡수하기 위해 목재나 섬유 식물에서 얻은 펄프 또는 그에 대응하는 섬유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오물처리용지(120)는 세척 후 재사용 할 수 있는 재료가 될 수도 있고, 일회용 재료가 될 수도 있다. 오물처리용지(120)가 일회용 재료로 실시될 경우에는 용이하게 절취될 수 있는 재료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절취부위가 일직선으로 절취될 수 있도록 절취경로를 인도하는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오물처리용지(120)는 배변판(110)의 상부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반려견이 배변판(110) 위에서 용변을 보면 소변은 오물처리용지(120)가 흡수하고, 대변은 오물처리용지(120) 위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반려견이 배변판(110) 위에서 배설한 후에는 오물처리용지(120)만 제거하면 배설물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배변판(110) 내부에는 오물처리용지(120)가 수용되는 용지 수용공간(115)이 형성되고, 배변판(110)은 가장자리 일측에 마련된 힌지축(117)을 중심으로 상부(111)가 하부(114)에서 선회할 수 있게 구성되어, 용지 수용공간(115)이 노출되게 배변판(110)을 개방할 수 있게 구성된다.
배변판의 상부(111)가 힌지축(117)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용지 수용공간(115)이 노출되는 상태는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
오물처리용지(120)는 배변판(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일측 끝단이 배변판의 상부(111)와 하부(114) 사이에서 인출되어 용지 이송부(130)에 연결된다. 도면과 같이, 배변판의 상부(111)와 하부(114) 사이에서 용지 이송부(130)가 인출되는 위치는 배변판(110)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된 용지 이송부(130)의 반대편 가장자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물처리용지(120)는 배변판(110)의 가장자리에서 인출되어 배변판(110)의 상부면을 덮고, 인출된 끝단이 용지 이송부(130)에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도면의 실시예와 같이, 오물처리용지(120)는 갈지(之)자 형태로 적층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중심을 기준으로 말려있는 롤의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배변판(110)의 용지 수용공간(115)에 수용된 오물처리용지(120)가 모두 인출되면, 사용자는 배변판의 상부(111)를 개방하여 새로운 오물처리용지(120)를 배변판(110)에 넣은 후, 새로운 오물처리용지(120)의 일측 끝단을 배변판(110)의 가장자리에서 인출되게 잡아당겨 배변판(110)의 상부면을 덮고, 상기 일측 끝단을 용지 이송부(130)에 연결하는 것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배변판(110)을 개방하지 않아도 오물처리용지(120)의 잔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배변판(110)의 용지 수용공간(115)에는 용지 잔량 검출기(116)가 설치될 수 있다.
용지 잔량 검출기(116)는 용지 수용공간(115)에 수용된 오물처리용지(120)의 양을 무게, 적재된 높이 등을 측정하는 센서나, 오물처리용지(120)가 적재되면 가압된 상태가 되는 스위치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용지 잔량 검출기(116)는 제어기(16)에 연결되어 검출된 오물처리용지(120)의 잔량 상태를 제어기(16)로 송출한다.(도 8 참조)
제어기(16)는 용지 잔량 검출기(116)를 통해 용지 수용공간(115)에 적재된 오물처리용지(120)의 양이 많지 않거나, 모두 사용되었음이 검출될 경우, 추가 구성될 수 있는 모니터(도시되지 않음)에 관련 메시지가 표시되게 하거나, 스피커(도시되지 않음) 또는 램프(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켜 오물처리용지(120)를 채워야 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반려견이 배변판(110)에서 용변을 보도록 유도하기 위해 배변판(110)의 상부면 또는 오물처리용지(120)에는 반려견용 배변유도제가 도포될 수 있다.
배변판의 상부(111) 및 하부(114)가 완전히 밀착되면 배변판(110)의 가장자리, 즉 배변판의 상부(111)와 하부(114)의 사이에서 인출되는 오물처리용지(120)는 배변판의 상부(111)와 하부(114)에 의해 압박되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오물처리용지(120)가 인출되는 배변판(110) 부위에 틈을 형성시키면 반려견이 배변판(110) 상부면에 올라탄 상태로 활동했을 때, 오물처리용지(120)의 일측은 용지 이송부(130)에 고정되지만, 배변판(110)에서 인출되어 나오는 타측은 고정되지 않아 반려견의 활동에 의해 오물처리용지(120)가 배변판(110)에서 과도하게 인출될 수 있다. 과도하게 인출된 오물처리용지(120)는 배변판(110)의 상부면을 덮은 부위가 반려견에 의해 접히거나 뭉치게 될 수도 있고, 인접한 다른 부재에 걸리게 되어 용지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되기가 어려워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배변판의 상부(111)와 하부(114) 사이에 설치되어, 배변판의 상부(111)와 하부(114)를 탄성으로 이격시키는 탄성부재(118)를 더 포함하고, 배변판(110)에 반려견이 올라타면 반려견의 무게에 의해 이격되어 있던 배변판의 상부(111) 및 하부(114)가 밀착되어 배변판(110)의 용지 수용공간(115)에서 인출된 오물처리용지(120)가 고정된다.
도 2의 부분확대도를 참조하면, 탄성부재(118)의 일 실시예는 스프링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단이 배변판의 상부(111)를 밀어올리도록 배변판의 하부(114)에 설치된다.
탄성부재(118)에 적용되는 스프링에 대응하는 탄성체는 배변판(110)의 상부(111) 무게까지는 변형되지 않는 응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변판(110)의 상부면에 반려견이 올라가면 배변판 상부(111)에 더해진 반려견의 무게에 의해 탄성부재(118)의 탄성체가 변형되어 탄성부재(118)가 하강하게 되고, 탄성부재(118)의 하강과 함께 배변판 상부(111)도 하강하여 배변판 하부(114)에 밀착되어지게 된다.(도 3 참조)
배변판의 상부(111) 및 하부(114)가 밀착되면 용지 수용공간(115)에서 인출된 오물처리용지(120)를 압박하게 되어 배변판(110)의 상부면을 덮은 오물처리용지(120)의 양측이 모두 고정되기 때문에 반려견의 활동으로 오물처리용지(120)가 접히거나 뭉치는 상황이 예방된다.
반려견이 배변판(110)에서 내려가면 반려견의 무게가 해소되기 때문에 탄성부재(118)의 탄성체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배변판의 상부(111)가 다시 배변판의 하부(114)에서 이격되어지게 된다.(도 4 참조)
반려견 검출기(113)는 배변판(110)의 상부면에 반려견이 올라간 것을 검출한다.
반려견 검출기(113)는 센서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배변판의 상부(111)변에 올라간 반려견을 접촉 또는 비접촉식으로 검출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려견 검출기(113)가 배변판 상부(111)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18)에 설치된 것으로 실시되었으며, 탄성부재(118)가 하강하면 배변판(110)에 반려견이 올라간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실시예에서 반려견 검출기(113)는 탄성부재(118)가 하강하면 접점이 접촉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반려견 검출기(113)가 반려견이 배변판(110)에 올라간 것을 검출하게 되면 해당 검출 신호는 제어기(16)로 전달되어지게 된다.(도 8 참조)
반려견 검출기(113)를 통해 배변판(110)에서 반려견이 내려간 것이 검출되면 제어기(16)는 용지 이송부(130)를 구동시켜 오물처리용지(120)가 이송되게 하는 것으로 배설물이 묻지 않은 면이 배변판(110)을 덮게 한다.
이 때, 제어기(16)는 오작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려견 검출기(113)를 통해 검출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반려견이 배변판(110)에 올라가 있는 시간을 세어, 반려견이 배변판(110)에 올라가 있었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예를 들어 20초 이상일 때에만 용지 이송부(1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오물처리용지(120)는 반려견의 배설물로 젖게 되면 배변판(11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용지 이송부(130)로 이송되기가 어려워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배변판(110)의 상부면에는 오물처리용지(120)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철(112)이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오물처리용지(120)는 젖게 되더라도 배변판(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철(112) 중 주로 돌출된 부위에만 접촉되기 때문에 배변판(110)과 마찰되는 부위가 최소화되어 용지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되기가 보다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변판(110)의 상부면은 배설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상부면의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배변판의 상부(111)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반려견이 오물처리용지(120) 위에서만 용변을 볼 수 있게 가이드하는 벽이 형성된 펜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고)
펜스(160)의 일측면은 반려견이 출입할 수 있게 미닫이, 여닫이 등의 방법으로 개폐되는 출입 도어(162)가 구성된다. 출입 도어(162)는 반려견이 스스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성으로 실시될 수도 있으나, 반려견이 출입 도어(162)를 스스로 개방할 수 있게 훈련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수 있으므로 제어기(16)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펜스(160)의 출입 도어(162)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출입 도어(162)를 구동시키는 전동기(도시되지 않은)가 출입 도어(162)에 포함되고, 전동기는 제어기(16)에 연결되어 제어기(16)의 신호에 따라 구동하게 된다.
제어기(16)가 반려견을 위해 출입 도어(162)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반려견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기(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근 감지기(166)는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와 같이 물체의 인접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로 구성되어, 접근 감지기(166)로 접근하거나 인접한 위치에서 이동하는 물체가 감지되면 관련 신호를 제어기(16)로 송출할 수 있다.
제어기(16)는 접근 감지기(162)를 통해 접근하는 물체가 존재하는 것이 감지되면 출입 도어(162)의 전동기를 개방 방향으로 구동시켜 출입 도어(162)가 개방되게 한다. 또한, 제어기(16)는 반려견이 입장하여 배변판(110)의 상부면에 있는 동안 출입 도어(162)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반려견이 배변판(110)에서 퇴장한 것이 접근 감지기(166) 또는 반려견 검출기(113)로 검출되면 출입 도어(162)의 전동기를 폐쇄 방향으로 구동시켜 출입 도어(162)가 폐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물처리용지(120)가 견인되는 방향에 위치한 펜스(160)는 배설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만큼 배변판(110)의 상부면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개방된 개구부(164)를 마련할 수 있다.
펜스(160)의 높이는 반려견이 폐쇄된 공간이라 느낄 수 있도록 제1실시예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용지 이송부(130)는 배변판(110)의 가장자리 일측에 배변판(110)에서 오물처리용지(120)가 인출되는 위치의 반대편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오물처리용지(120)를 견인하는 용지 이송부(130)는 서로 맞닿은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롤러를 포함하여, 롤러 사이에 오물처리용지(120)가 파지되게 하는 것으로 오물처리용지(120)를 견인할 수 있게 된다.
복수개의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용지 이송부(130)는 제어기(16)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동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전동기는 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제어기(16)의 신호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 또는 정지하게 된다.
각각의 롤러는 회전축이 배변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되어 도면과 같이 배변판(11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용지 이송부(130)는 롤러의 회전으로 롤러 사이에 파지된 오물처리용지(120)를 배변판(110)의 상부면의 길이만큼 견인한다. 오물처리용지(120)를 배변판(110)의 상부면의 길이만큼 견인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는, 롤러가 회전하면 롤러의 외주면 길이에 대응하여 오물처리용지(120)가 견인되는 것을 이용하여, 제어기(16)가 롤러를 배변판(110)의 상부면의 길이에 대응하는 만큼 회전하게 롤러에 연결된 전동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오물처리용지(120)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고정된 위치에서 오물처리용지(120)의 구멍을 개수하는 별도의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용지 이송부(130)의 구동으로 오물처리용지(120)가 견인될 때, 구멍을 센서가 개수하는 것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오물처리용지(120)에 배설된 대변을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하는 배설물 탱크(140)와, 배설물 탱크(140)에서 배변판(110)의 용지 이송부(130)가 설치된 부위로 오물처리용지(120)와 접촉되게 연장형성되어, 용지 이송부(130)에 의해 오물처리용지(120)와 대변이 이송되면, 오물처리용지(120)와 접촉된 부위에서 대변을 분리시켜 배설물 탱크(140)로 대변이 수용되게 하는 배설물 분리판(142)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설물 탱크(140)는 오물처리용지(120)에서 분리된 배설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배변판(110)의 상부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된 배설물을 폐기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부위에서 별도로 분리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배설물 탱크(140)는 배설물이 수용되는 내부 수용부(도시되지 않음)와, 내부 수용부가 용이하게 안착되어 수용되고 배변판(110)에 고정되는 외부 수용부(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되어, 배설물 폐기 시 내부 수용부를 외부 수용부에서 분리하여 배설물을 폐기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배설물 탱크(140)에는 수용된 배설물의 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알 수 있도록 배설물 탱크(140)에 담긴 배설물의 양을 검출하거나, 배설물이 일정 높이까지 채워지면 신호를 송출하는 배설물량 검출기(143)가 포함될 수 있다.
배설물량 검출기(143) 역시 센서 또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기(16)에 연결된다. 배설물량 검출기(143)를 통해 배설물 탱크(140)가 기 설정된 기준만큼 포화된 것이 검출되면 제어기(16)는 모니터에 관련 메시지가 표시되게 하거나, 스피커 또는 램프를 구동시켜 배설물 탱크(140)를 비워야 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배설물 탱크(140)에서 악취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설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에는 배설물이 투입될 때에만 투입구를 개방하는 탱크 개폐부(146)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탱크 개폐부(146)는 배설물 탱크(140)의 투입구 근처에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되어, 제어기(16)가 개방 신호를 송출할 때에만 개방되어지게 된다.
개폐동작을 위해 탱크 개폐부(146)에는 제어기(16)와 연결되는 전동기(도시되지 않음)가 포함된다.
배설물 분리판(142)은 오물처리용지(120) 위에 놓인 배설물이 용지 이송부(130)까지 다다르기 전에 배설물을 오물처리용지(120)에서 분리시키고, 분리된 배설물을 배설물 탱크(140)로 이송시킨다. 제1실시예에서는 배설물 분리판(142)이 배설물 탱크(140)의 투입구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설물이 배설물 분리판(142)을 따라 이동하여 배설물 탱크(140)로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실시되었다.
배설물 분리판(142)은 배설물이 많이 남지 않도록 길이가 최소화 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배설물 탱크(140)의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송된 오물처리용지(120)가 수용되는 용지 처리 탱크(150)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와 같이, 용지 처리 탱크(150)는 용지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된 오물처리용지(120)가 바로 수용되어 지도록 용지 이송부(130)의 바로 하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지 처리 탱크(150)는 수용된 오물처리용지(120)를 폐기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위치에서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배변판(110)에 수용될 수 있는 오물처리용지(120)의 양과 용지 처리 탱크(150)에 수용될 수 있는 오물처리용지(120)의 양이 상이할 경우에는 용지 처리 탱크(150)를 비우기 전에 오물처리용지(120)를 일정 위치에서 절취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지 처리 탱크(150)도 배설물 탱크(140)와 마찬가지로 수용된 오물처리용지(120)의 수용 정도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알 수 있도록 용지 처리 탱크(150)에 수용된 오물처리용지(120)의 양을 검출하거나, 오물처리용지(120)가 일정 높이까지 채워지면 신호를 송출하는 폐용지량 검출기(153)가 설치된다.
폐용지량 검출기(153)는 제어기(16)에 연결되어, 용지 처리 탱크(150)에 적재된 오물처리용지(120)의 양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이 되면 제어기(16)로 관련 신호를 전송한다. 폐용지량 검출기(153)를 통해 용지 처리 탱크(150)가 기 설정된 기준만큼 포화된 것이 검출되면 제어기(16)는 모니터에 관련 메시지가 표시되게 하거나, 스피커 또는 램프를 구동시켜 용지 처리 탱크(150)를 비워야 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제어기(16)는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을 실행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반려견 검출기(113)와, 용지 잔량 검출기(116), 폐용지량 검출기(153), 배설물량 검출기(143)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로 실시되어 무선으로 제어기(16)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바람직한 대기 상태는 배변판(110)에 용지 수용공간(115)에 오물처리용지(120)가 수용되고, 오물처리용지(120)의 일측 끝단이 용지 이송부(130)에 파지되며, 탄성부재(118)에 의해 배변판의 상부(111)가 하부(114)에서 이격된다.
도 3과 같이, 반려견이 배변판(110)의 상부면에 올라가게 되면 반려견의 무게에 의해 탄성부재(118)와 탄성부재(118)가 지지하고 있던 배변판의 상부(111)가 하강하게 된다. 배변판의 상부(111)가 하강하여 배변판의 하부(114)와 밀착되면 오물처리용지(120)의 양측이 모두 고정되어 반려견의 활동으로도 오물처리용지(120)가 용지 수용공간(115)에서 인출되지 않게 되고, 배변판(110)의 상부면을 덮은 오물처리용지(120)가 구겨지거나 뭉쳐지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반려견 검출기(113)가 반려견이 배변판(110)에 올라가 있음을 검출하여 제어기(16)로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도 4와 같이, 반려견이 배변판(110)에서 용변을 본 후 배변판(110)에서 내려가면, 먼저 반려견의 무게가 해소됨에 따라 탄성부재(118)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고, 배변판의 상부(111)가 하부(114)에서 다시 이격되어지게 된다.
반려견 검출기(113)에서 제어기(16)로 송출하던 반려견이 배변판(110)에 올라가 있음을 알리던 신호는 중단된다.
도 5와 같이, 배변판의 상부(111)가 하부(114)에서 다시 이격되어지게 되고, 반려견 검출기(113)에서 제어기(16)로 송출하던 반려견이 배변판(110)에 올라가 있음을 알리던 신호가 중단되면 제어기(16)는 용지 이송부(130)를 구동시키고, 배설물 탱크(140)의 투입구를 폐쇄하고 있던 탱크 개폐부(146)를 개방시킨다.
용지 이송부(130)의 구동으로 오물처리용지(120) 및 오물처리용지(120) 위에 놓인 배설물이 용지 이송부(130) 방향으로 이송되어지게 되고, 배설물은 용지 이송부(130)에 앞서 배치된 배설물 분리판(142)에서 오물처리용지(120)에서 분리되어 배설물 탱크(140)에 수용된다.
배설물이 분리된 오물처리용지(120)는 용지 이송부(130)를 통과한 후 용지 처리 탱크(150)에 수용되어지게 된다.
배변판(110)의 상부면을 덮은 오물처리용지(120)가 충분히 교체되면, 제어부는 용지 이송부(130)의 구동을 중단시키고, 탱크 개폐부(146)를 폐쇄상태로 구동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배변판(110)에 수용된 오물처리용지(120)가 모두 인출되면 사용자는 배변판의 상부(111)를 상방으로 선회시켜 용지 수용공간(115)이 노출되게 한 후, 새로운 오물처리용지(120)를 수용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화장실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반려견이 출입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부스(10)와, 부스(10)의 바닥에 설치되어, 반려견의 배설물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배변기(100)를 포함한다.
부스(10)는 반려견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방된 출입구가 형성되고, 부스(10) 내부 공간의 바닥면은 반려견 배변기(100)의 배변판(110)과 용지 처리 탱크(150), 배설물 탱크(1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지면에서 일정 높이 이상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스(10)의 내부 공간에는 반려견이 배변판(110)에서 용변을 보도록 유도하기 위해 반려견이 입장하였을 때, 또는 반려견이 용변을 보았을 때 보상으로 사료를 제공하는 사료제공부(12)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사료제공부(12)는 제어기(16)와 연결되어, 기 수용하고 있던 사료를 제어기(16)의 구동 명령에 따라 일정량을 배출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제어기(16)는 반려견 검출기(113)를 통해 반려견이 배변판(110)에 올라간 것이 검출된 즉시 또는 검출된 지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사료제공부(12)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부스(10)는 반려견의 입장 여부, 용지 잔량, 폐용지 포화량, 배설물 포화량, 사료 잔여량 등 제어기(16)와 연결된 각종 센서 및 스위치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를 포함한다.
제어기(16)는 메모리와 같은 저장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거나,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관리 시스템(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기 저장된 반려견과 관련된 방송, 광고 등 시각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14)에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도 7의 제2실시예와 같이, 부스(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제어기(16)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장치로 실시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14)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실시되어 제어기(16)와 네트워크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격으로 반려견 화장실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화장실은 도 7과 같이 단독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반려견이 다수일 경우, 공공장소에 설치될 경우에는 복수개의 반려견 화장실을 연결시키는 것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부스 12 : 사료제공부
14 : 디스플레이 16 : 제어기
100 : 반려견 배변기 110 : 배변판
111 : 배변판 상부 112 : 요철
113 : 반려견 검출기 114 : 배변판 하부
115 : 용지 수용공간 116 : 용지 잔량 검출기
117 : 힌지축 118 : 탄성부재
120 : 오물처리용지 130 : 용지 이송부
140 : 배설물 탱크 142 : 배설물 분리판
143 : 배설물량 검출기 146 : 탱크 개폐부
150 : 용지 처리 탱크 153 : 폐용지량 검출기
160 : 펜스 162 : 출입 도어
164 : 개구부 166 : 접근 감지기

Claims (10)

  1. 반려견이 올라타서 용변을 보는 배변판과;
    상기 배변판의 상부면을 덮어 반려견의 배설물이 놓이게 되는 너비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오물처리용지와;
    상기 배변판에 반려견이 올라가고 내려간 상태를 검출하는 반려견 검출기와;
    상기 배변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반려견 검출기를 통해 반려견이 상기 배변판에서 내려간 것이 검출되면 상기 오물처리용지를 상기 배변판의 상부면 길이만큼 견인하여 배설물이 묻지 않은 면이 상기 배변판을 덮게 하는 용지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변판 내부에는 상기 오물처리용지가 수용되는 용지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변판은 가장자리 일측에 마련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부가 하부에서 선회할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용지 수용공간이 노출되게 상기 배변판을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오물처리용지는 상기 배변판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일측 끝단이 상기 배변판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인출되어 상기 용지 이송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배변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판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변판의 상부와 하부를 탄성으로 이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변판에 반려견이 올라타면 상기 반려견의 무게에 의해 이격되어 있던 상기 배변판의 상부 및 하부가 밀착되어 상기 배변판의 용지 수용공간에서 인출된 상기 오물처리용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배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오물처리용지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배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이송부는 서로 맞닿은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롤러 사이에 상기 오물처리용지가 파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배변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처리용지에 배설된 대변을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하는 배설물 탱크와,
    상기 배설물 탱크에서 상기 배변판의 상기 용지 이송부가 설치된 부위로 상기 오물처리용지와 접촉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용지 이송부에 의해 상기 오물처리용지와 대변이 이송되면, 상기 오물처리용지와 접촉된 부위에서 대변을 분리시켜 상기 배설물 탱크로 대변이 수용되게 하는 배설물 분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배변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탱크의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송된 상기 오물처리용지가 수용되는 용지 처리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배변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판의 상부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반려견이 상기 오물처리용지 위에서만 용변을 볼 수 있게 가이드하는 벽이 형성된 펜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배변기.
  10. 반려견이 출입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부스와;
    상기 부스의 바닥에 설치되어, 반려견의 배설물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제1항,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려견 배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화장실.
KR1020150173320A 2015-12-07 2015-12-07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KR101828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320A KR101828911B1 (ko) 2015-12-07 2015-12-07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320A KR101828911B1 (ko) 2015-12-07 2015-12-07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995A KR20170066995A (ko) 2017-06-15
KR101828911B1 true KR101828911B1 (ko) 2018-03-29

Family

ID=5921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320A KR101828911B1 (ko) 2015-12-07 2015-12-07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9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718B1 (ko) * 2017-08-01 2019-02-11 은익수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102495541B1 (ko) * 2020-10-14 2023-02-06 최윤자 반려동물용 자동 배변판
KR102313756B1 (ko) * 2020-11-10 2021-10-18 주식회사 퍼스트솔루션 애완동물을 위한 스마트 변기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093B1 (ko) 2013-06-19 2014-01-23 박문수 배설물 자동처리기능이 구비된 애완동물용 변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093B1 (ko) 2013-06-19 2014-01-23 박문수 배설물 자동처리기능이 구비된 애완동물용 변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995A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491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101751878B1 (ko) 반려동물 자동 배변 밀폐 처리장치
US5279258A (en) Automated portable pet toilet
US5592900A (en) Automated portable pet toilet
KR101617338B1 (ko)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101674270B1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KR101828911B1 (ko)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KR102311995B1 (ko) 애완동물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102311177B1 (ko) 반려동물용 모듈식 배변처리기
KR20180010459A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US20100258056A1 (en) Gizmo comfort station
KR101849043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1809458B1 (ko) 애완견 용변 자동 처리기
KR102112815B1 (ko) 양변기 탈착형 반려 동물 배변 자동처리장치
KR20200015193A (ko) 반려동물용 배변 처리장치
KR102010190B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101910519B1 (ko) 반려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101796113B1 (ko) 애완동물용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
KR20130140414A (ko) 애완동물 배변기
KR20140137115A (ko) 고양이용 배변처리장치
KR101738630B1 (ko) 애완 동물 수세식 배변기
KR20170060295A (ko) 반려동물 배변 훈련 및 배변 처리장치
KR102078698B1 (ko) 애완견용 배변 구획처리장치
AU2021102743A4 (en) An Automatically Self-Cleaning Pet Potty
KR100576603B1 (ko) 애완동물의 사료공급과 배설물 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