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190A -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및 스마트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및 스마트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190A
KR20190142190A KR1020180141700A KR20180141700A KR20190142190A KR 20190142190 A KR20190142190 A KR 20190142190A KR 1020180141700 A KR1020180141700 A KR 1020180141700A KR 20180141700 A KR20180141700 A KR 20180141700A KR 20190142190 A KR20190142190 A KR 20190142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bag
garbage
trash
cov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778B1 (ko
Inventor
젠샹 리
러 리
Original Assignee
상하이 타운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623434.5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438612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711673.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974704A/zh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타운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타운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4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5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with means aiding the insertion of the flexibl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with means aiding the removal of the flexibl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7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9Suction means, e.g. for forcing a bag inside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및 스마트 쓰레기통을 공개한다.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는, 제1 통공, 제1 통공의 외측을 둘러싸서 쓰레기 봉투를 저장하는 환형 오목홈이 설치된 저장 본체; 제1 통공에 대응되는 제2 통공이 설치되고, 환형 오목홈의 개구 부분에 커버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와 상기 환형 오목홈 중 하나의 측벽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쓰레기 봉투 출구를 형성한다.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는 쓰레기 봉투를 쓰레기통 본체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공 형성 어셈블리, 상기 진공 형성 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고, 진공 형성 어셈블리에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설치되며, 공기 유입구와 쓰레기통 본체 내벽의 공기 펌핑구는 연통되고, 공기 유출구와 쓰레기통 본체의 외부는 연통된다.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와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의 조합 작용을 통해, 쓰레기 봉투의 전자동 장착, 묶음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쓰레기통 자동화, 스마트화 수준을 더 높이고 원가가 낮고 교체 효율이 높다.

Description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및 스마트 쓰레기통{GARBAGE BAG ASSEMBLY, LAYING DEVICE OF GARBAGE BAG, AND INTELLIGENT TRASH CAN}
본 발명은 스마트 쓰레기통 부품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및 스마트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과학의 발전 및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스마트 홈은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그중 스마트 쓰레기통은 깨끗하고 위생적이며 사용이 편리한 특징으로 인해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시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쓰레기통은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하기는 하나 새 쓰레기 봉투를 자동으로 장착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다. 쓰레기 봉투가 찰 경우 꽉 찬 쓰레기 봉투를 꺼낸 후 여전히 사람이 직접 새 쓰레기 봉투를 쓰레기통 내부에 씌워야 한다. 일부 쓰레기통의 저부 또는 외부에 일정한 쓰레기 봉투 저장 장치가 구비되어 봉투를 찾는 불편함을 감소할 수는 있으나, 사람이 봉투를 씌워야 하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한다. 또한 일부 쓰레기통은 반자동 기계 방법을 사용하여 연결봉 외측에 점성 물질을 점착하는 것을 통해 새 쓰레기 봉투가 어느 정도 쓰레기통 입구 위치에 펼쳐지도록 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일정한 정도에서 반자동 봉투 펼침 동작을 실현할 수 있으나 여전히 사람이 새 쓰레기 봉투를 일정한 위치까지 꺼내고 일련의 동작을 통해야만 봉투 펼침 동작을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간섭을 피할 수 없고 봉투 펼침 동작이 불안정하며 점성 물질의 점성이 떨어지기 쉽고 쓰레기 봉투 장착 효과도 좋지 못하다.
아울러, 현재 시중에서 흔히 보는 몇가지 쓰레기 봉투로는 입구가 평평한(平口) 쓰레기 봉투, 베스트형(vest)형 휴대용 쓰레기 봉투, 자동 묶음(close up) 쓰레기 봉투가 있고, 그 포장 형식은 대부분 두루마리형 포장이며, 일부 베스트형 쓰레기 봉투는 조판식(
Figure pat00001
) 포장을 사용하고, 극소부분 쓰레기 봉투는 인출식으로 포장되기도 하는데, 이들의 공통점은 포장 체적이 작고 생산 원가가 적은 것이며, 단점은 플라스틱 쓰레기 봉투의 연성이 아주 크기에 간단한 기계를 통해서는 쓰레기 봉투의 인출과 장착이 어려워 인위적인 방식을 통해야만 교체하고자 하는 쓰레기 봉투를 쓰레기통에 씌워 새 쓰레기통 봉투의 장착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쓰레기 봉투 내부의 용량이 모두 일정하고, 쓰레기 봉투를 묶기 위해 내부에 채워지는 쓰레기량은 일반적으로 쓰레기 봉투 용량보다 적으며, 일반적으로 쓰레기 봉투는 2/3 용량만 담을 수 있고 더 담으면 묶지 못하기에 쓰레기 처리에 어려움이 있고 환경미화원이 쓰레기 처리 시 흩어지기 쉬워 환경 보호에 나쁜 영향이 있으며 쓰레기 봉투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예를 들면 자동 묶음 쓰레기 봉투는 비록 쓰레기 봉투의 용량 공간을 충분히 이용할 수는 있으나 그 용량이 제한되기에 사용 시 체적이 큰 쓰레기는 담을 수 없고 또한 인위적으로 봉투 씌우기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자동화 봉투 씌우기를 실현할 수 없다.
따라서, 어떻게 쓰레기 봉투를 배치하여 간단한 기계의 사용으로 쓰레기 봉투의 전자동 장착 및 묶음을 실현할지, 어떻게 기존의 스마트 쓰레기통이 쓰레기 봉투를 자동으로 장착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지, 어떻게 쓰레기통의 자동화, 스마트화 수준을 더 높일지 등 과제는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해결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기술적 과제이다.
관련 제품 중에 존재하는 문제를 적어도 어느 정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스마트 쓰레기통에 적용되어 쓰레기 봉투의 전자동 장착, 묶음 기능을 실현하고 쓰레기통 자동화, 스마트화 수준을 더 향상시키는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는,
쓰레기가 지나가는 제1 통공, 상기 제1 통공의 외측을 둘러싸서 쓰레기 봉투를 저장하는 환형 오목홈이 설치된 저장 본체;
상기 제1 통공에 대응되는 제2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환형 오목홈의 개구 부분에 커버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와 상기 환형 오목홈 중 하나의 측벽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쓰레기 봉투 출구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와 상기 저장 본체는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상기 커버와 상기 저장 본체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실린더형 구조의 쓰레기 봉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형 구조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관통되고, 그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개구가 구비되며, 상기 쓰레기 봉투는 고리형으로 왕복 폴딩되어 상기 환형 오목홈 내에 씌워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형 오목홈에는 상기 쓰레기 봉투의 출구를 형성하는 측벽 테두리에 턴업(turnup)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턴업 구조는 상기 환형 오목홈의 홈 바깥 방향을 향해 턴업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형 오목홈의 개구 방향과 상기 제1 통공의 개구 방향은 일치하고, 상기 환형 오목홈의 내벽은 상기 제1 통공에 가까운 측벽이며, 상기 환형 오목홈의 외벽은 상기 제1 통공에서 멀리 떨어진 측벽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의 내측 가장자리와 상기 내벽 사이는 상기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외벽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 가장자리의 일단과 상기 환형 오목홈의 외벽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환형 오목홈의 외벽과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되거나 버클 구조를 통해 걸림 연결되는 폴딩 구조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클 구조는 걸림홈, 상기 걸림홈에 매칭되어 설치되는 걸림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과 상기 걸림 블록 중의 하나는 상기 폴딩 구조의 내측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환형 오목홈의 외벽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 본체와 상기 커버는 구형 고리형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모서리 부분은 모두 모따기를 통해 이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 본체와 상기 커버의 재질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종이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술한 임의의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 본체와 상기 스마트 쓰레기통의 통 몸체는 일체형 구조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는 스마트 쓰레기통에 적용되어 쓰레기 봉투의 전자동 장착, 묶음 기능을 실현하고 쓰레기통 자동화, 스마트화 수준을 더 향상시킨다. 또한 쓰레기 봉투의 생산, 운송 과정에서 쓰레기 봉투가 찢어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환형 오목홈의 크기는 쓰레기통의 사용 빈도 및 사용 장소에 따라 상이하게 설치할 수 있기에 쓰레기 봉투의 저장량 및 묶음 길이를 조절하기 편리하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쓰레기 봉투 교체 시 조작이 간편하기에 효율이 높고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는 일체형 구조로서 조립이 편리하고 생산 설치 원가가 내려간다.
상기 저장 본체와 커버의 구조는 쓰레기 봉투의 이동 자유도를 제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 봉투가 일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하고 쓰레기 봉투의 형태를 고정할 수 있기에 쓰레기 봉투가 항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쓰레기 봉투를 자동으로 장착하는 과정에서 쓰레기 봉투를 펼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쓰레기 봉투를 자동으로 장착하고 묶는 구조를 크게 간소화하고 실시가 용이하게 하여 조작이 간편하다.
여기서,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는 제한을 받지 않고 더 많은 쓰레기를 담을 수 있으며, 쓰레기 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묶음 위치를 자주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쓰레기 봉투의 잔여 길이에 따라 계속하여 사용할 수도 있기에 쓰레기 봉투의 용량을 충분히 이용하여 쓰레기 봉투 자원 낭비를 방지하고 자동 묶음 및 교체에 유리하며 기존의 스마트 쓰레기통 자동화, 스마트화 수준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중지점이 없이 하단 밀봉이 가능한 일체형 쓰레기 봉투와 배합하여 사용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쓰레기 봉투는 본 발명의 제1 목적에서 제공되는 상기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기존의 스마트 쓰레기통이 자동으로 쓰레기 봉투를 씌우지 못하거나 쓰레기 봉투를 씌우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는 쓰레기 봉투를 쓰레기통 본체 내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공 형성 어셈블리, 상기 진공 형성 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 형성 어셈블리에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쓰레기통 본체 내벽의 공기 펌핑구는 연통되고, 상기 공기 유출구와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외부는 연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공 형성 어셈블리는 원심 임펠러형 진공 형성 어셈블리 또는 축류 베인형 진공 형성 어셈블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심 임펠러형 진공 형성 어셈블리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원심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원심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 유입구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원심 임펠러의 반경 방향 또는 접선 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 유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쓰레기통 본체 내벽의 공기 펌핑구는 연통되고, 상기 공기 유출구와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외부는 연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심 임펠러의 각각의 베인의 상기 공기 유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공기 유입구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는 편상 구조이며, 상기 돌기부와 상기 베인은 일체형 구조이고, 상기 베인은 호형 구조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심 임펠러는 각각의 상기 베인과 고정 연결되는 회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회전판과 수직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커버 및 하측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상측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상측 커버 및 상기 하측 커버 사이의 간극은 상기 공기 유출구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측 커버의 하단에는 적어도 2개의 고정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하측 커버에는 적어도 2개의 오목홈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기둥은 상기 오목홈 내에 인입되어 상기 오목홈과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심 임펠러에는 상기 모터의 주축과 연결 배합되는 축홀이 설치되고, 상기 하측 커버에는 상기 모터의 주축이 관통되는 통공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인은 호형 구조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인이 상기 회전판 중심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의 두께는 상기 베인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작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상기 임의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는, 진공 형성 어셈블리, 상기 진공 형성 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고, 진공 형성 어셈블리에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설치되며, 공기 유입구와 쓰레기통 본체 내벽의 공기 펌핑구는 연통되어 진공 형성 어셈블리는 공기 펌핑구를 통해 쓰레기통 내의 공기를 빼고, 공기 유출구와 쓰레기통 본체의 외부는 연통되어 진공 형성 어셈블리는 쓰레기통의 공기 펌핑구로부터 쓰레기통 본체 내부의 공기를 빼냄으로써 대기압이 쓰레기통 본체 내부의 기압보다 높게 된다. 이때 대기압이 중지점이 없는 쓰레기 봉투를 눌러 아래로 이동시키고, 쓰레기 봉투가 통 밑바닥에 도달할 경우 모터가 멈추며 이때 쓰레기 봉투가 쓰레기통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쓰레기 봉투의 장착을 완료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기존의 스마트 쓰레기통이 자동으로 쓰레기 봉투를 씌우지 못하거나 쓰레기 봉투를 씌우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및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을 제공하고, 상기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는 상기 제3 목적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이며, 상기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목적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및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는 서로 배합하여 스마트 쓰레기통에 사용됨으로써 스마트 쓰레기통이 쓰레기 봉투를 자동으로 장착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기존의 스마트 쓰레기통이 자동으로 쓰레기 봉투를 씌우지 못하거나 쓰레기 봉투를 씌우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첫 번째 쓰레기 봉투의 접힙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번째 쓰레기 봉투의 접힙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입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위치결정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위치결정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 튕김 수단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 튕김 수단의 슬라이딩레일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쓰레기통의 입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커버와 저장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저장 본체와 스마트 쓰레기통의 통 몸체가 일체형 구조인 구조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의 원심 임펠러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감지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그 예시는 도면에 도시되었다. 도면에 대한 하기의 설명에서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상이한 도면 중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표시한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 또는 방법의 예를 의미할 뿐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밖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내용에 대해 어떠한 한정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가 가리키는 구성의 모든 내용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에 필수적인 사항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저장 본체(1)와 커버(2)를 포함한다. 저장 본체(1)에는 관통되는 제1 통공이 설치되며 커버(2)에는 제2 통공이 설치되고, 제1 통공과 제2 통공은 대응되게 설치되어 쓰레기가 제1 통공 및 제2 통공을 통과하여 쓰레기통 내에 진입하며, 여기서 제1 통공과 제2 통공의 크기,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 바, 원형일 수 있고 사각형 또는 기타 형상일 수도 있다.
저장 본체(1)에는 제1 통공을 둘러싼 외측에 환형 오목홈(3)이 설치되고, 상기 환형 오목홈(3)은 쓰레기 봉투(4)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환형 오목홈(3)은 개구를 구비하고, 개구 방향은 제1 통공을 향할 수 있으며, 제1 통공을 등질 수도 있고, 제1 통공의 개구 방향과 일치할 수도 있다. 환형 오목홈(3)의 크기는 쓰레기 봉투(4)의 저장량과 관계되고, 사용 장소 및 사용 빈도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환형 오목홈(3)을 설치할 수 있다. 쓰레기 봉투(4)의 사용량이 많을 경우, 상대적으로 큰 환형 오목홈(3)을 설치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환형 오목홈(3)을 설치할 수도 있다.
커버(2)가 환형 오목홈(3)의 개구 부분에 씌워지는데, 커버(2)가 환형 오목홈(3)의 개구 부분에 씌워질 경우 쓰레기 봉투(4)가 환형 오목홈(3) 내에 제한되어 쓰레기 봉투 출구를 통해서만 인출되고, 여기서 쓰레기 봉투 출구는 커버(2)와 환형 오목홈(3) 중 하나의 측벽에 형성된 환형 간극이고, 상기 간극의 크기는 한정하지 않으며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사용 시, 환형의 쓰레기 봉투(4)가 환형 오목홈(3)의 내부에 넣어지며 쓰레기 봉투(4)의 일단 개구를 쓰레기 봉투 출구로부터 인출하여 밀봉한다. 이로써 쓰레기 봉투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쓰레기통 내부의 진공 형성 장치를 작동시키기만 하면 진공 형성 장치의 작용 하에 쓰레기 봉투(4)가 대기압의 압력을 받아 쓰레기통의 내부에 압입되고 나아가 쓰레기 봉투의 자동 장착을 완료한다. 쓰레기 봉투(4)를 묶고자 할 경우, 자동 묶음 수단을 작동시키고 압력 로드의 작용하에 쓰레기 봉투(4)를 핫 멜팅 장치 부분에 모으고 쓰레기 봉투(4)에 대해 핫 멜팅 및 열접착을 진행한다. 상기 저장 본체(1) 및 커버(2)의 구조는 쓰레기 봉투(4)의 이동 자유도를 제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 봉투(4)가 일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하고 쓰레기 봉투(4)의 형태를 고정할 수 있기에 쓰레기 봉투(4)가 항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쓰레기 봉투(4)를 자동으로 장착하는 과정에서 쓰레기 봉투(4)를 펼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쓰레기 봉투(4)를 자동으로 장착하고 묶는 구조를 크게 간소화하고 실시가 용이하게 하여 조작이 간편하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상기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는 스마트 쓰레기통에 적용되어 쓰레기 봉투의 전자동 장착, 묶음 기능을 실현하고 쓰레기통 자동화, 스마트화 수준을 더 향상시킨다. 또한 쓰레기 봉투의 생산, 운송 과정에서 쓰레기 봉투가 찢어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환형 오목홈(3)의 크기는 쓰레기통의 사용 빈도 및 사용 장소의 상이함에 따라 상이하게 설치할 수 있기에 박스 내의 쓰레기 봉투의 저장량 및 묶음 길이를 조절하기 편리하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두루마리 교체 쓰레기 봉투와 비교하여, 쓰레기 봉투 교체가 더 간편하기에 효율이 높다.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는 일체형 구조로서 조립이 편리하고 생산 설치 원가가 내려간다.
설명해야 할 것은, 커버(2)를 환형 오목홈(3)의 개구 부분에 씌우고 그 고정 방식은 커버(2)와 저장 본체(1)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즉 커버(2)와 저장 본체(1)가 일체형 구조로 설치된다. 이로써 본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보장한다. 커버(2)와 저장 본체(1)는 또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로써 쓰레기 봉투를 씌울 경우, 쓰레기 봉투 장착이 편리하도록 커버(2)를 완전히 해체시킬 수 있다. 물론, 다른 고정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는 쓰레기 봉투(4)를 더 포함하고, 쓰레기 봉투(4)는 저장 본체(1)와 매칭되고 저장 본체(1)의 환형 오목홈(3) 내에 씌워질 수 있으며, 여기서 쓰레기 봉투(4)는 실린더형 구조이고 여기서 실린더형 구조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관통되고, 그 양단 모두 개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은 개구를 구비하고 타단은 폐쇄된 형식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쓰레기 봉투(4)는 그 축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왕복 폴딩되어 접힐 수 있고, 상기 환형의 크기는 환형 오목홈(3)의 내부에 씌워지기 편리하도록 환형 오목홈(3)의 크기와 일치하다. 상기 쓰레기 봉투(4)는 중지점(breakpoint)이 없는 일체형이기에, 쓰레기 봉투(4)의 길이는 제한하지 않으며 사용 시 상응한 길이를 절취하여 접고 장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쓰레기 봉투(4)의 왕복 폴딩 방식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형식과 같으며, 여기서 폴딩 방향은 환형 오목홈(3)의 측벽에 수직될 수 있고, 환형 오목홈(3)의 측벽에 평행될 수도 있으며, 기타 방향일 수도 있고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쓰레기 봉투(4) 사용 시, 필요에 따라 일정한 길이 및 직경의 쓰레기 봉투(4)를 절취할 수 있고, 인위적 또는 일정한 작업 지그를 통해 중지점이 없는 일체형 실리더형 쓰레기 봉투를 쓰레기 봉투(4)의 축방향을 따라 고리형으로 접고, 잘 접은 고리형 쓰레기 봉투(4)를 저장 본체(1)의 환형 오목홈(3) 내에 안착시켜 쓰레기 봉투(4)의 장착을 완료한다. 또한 장착된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를 쓰레기통의 대응되는 위치의 대응되는 구조에 넣으면, 상기 중지점이 없는 일체형 실린더형 쓰레기 봉투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환형 오목홈(3) 내에 압입된 쓰레기 봉투(4)의 일단을 인출하고 밀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밀봉 방식은 열접착일 수 있으나 열접착 밀봉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밀봉 방식일 수도 있다. 이로써 첫 번째 쓰레기 봉투의 자동화 취용이 편리하고 밀봉하지 않은 상태로 인위적으로 일정 거리 놔두고 자동 묶음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 묶음 밀봉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기존의 쓰레기 봉투와 비교하여 상기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는 제한을 받지 않고 더 많은 쓰레기를 담을 수 있으며, 쓰레기 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묶음 위치를 자주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계속하여 쓰레기 봉투의 잔여 길이를 사용할 수도 있기에 쓰레기 봉투의 용량을 충분히 이용하여 쓰레기 봉투 자원 낭비를 방지하고 자동 묶음 및 교체에 유리하며 기존의 스마트 쓰레기통 자동화, 스마트화 수준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환형 오목홈(3)에는 쓰레기 봉투 출구의 측벽을 둘러싸는 테두리에 턴업 구조(5)가 설치되고, 상기 턴업 구조(5)가 환형 오목홈(3)의 바깥 방향으로 턴업된다. 이로써 쓰레기 봉투(4)가 쓰레기 봉투 출구에서 인출 시 상기 턴업 구조(5)는 쓰레기 봉투(4)의 가이드 작용을 완료할 수 있고 또한 쓰레기 봉투(4)가 긁히는 것을 방지하여 자원의 낭비를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환형 오목홈(3)의 개구 방향과 제1 통공의 개구 방향은 일치하고, 이로써 환형 오목홈(3)을 둘러싸는 2개의 측벽이 바로 내벽 및 외벽이며, 여기서 내벽은 제1 통공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여 제1 통공과 환형 오목홈(3)의 내부 공간을 분리할 수 있고, 외벽은 제1 통공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하여 환형 오목홈(3)과 외부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이로써 환형 오목홈(3)의 개구와 내부 공간의 원주방향 길이는 대체적으로 일치하여 쓰레기 봉투(4)의 장착이 편리하고, 환형 오목홈(3)과 커버(2)의 연결이 더 안정적이며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일체화 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커버(2)가 제2 통공을 구비하는 구조이기에, 커버(2)는 제2 통공에 가까운 내측 가장자리와 제2 통공에서 멀리 떨어진 외측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여기서 커버(2)의 내측 가장자리와 환형 오목홈(3)의 내벽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고, 나아가 쓰레기 봉투 출구를 형성하며, 커버(2)의 외측 가장자리와 환형 오목홈(3)의 외벽은 연결된다. 이로써 쓰레기 봉투(4)의 일단은 쓰레기 봉투 출구의 간극으로부터 인출되어 밀봉된다. 쓰레기 봉투를 설치할 때 외부의 대기가 제2 통공 및 제1 통공을 경유하여 쓰레기 봉투(4)를 쓰레기 통내에 밀어넣으며, 이때 쓰레기 봉투(4)는 쓰레기통 출구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쓰레기 봉투 자원의 낭비를 감소하고, 쓰레기 봉투가 항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쓰레기 봉투를 자동으로 장착하는 과정에서 쓰레기 봉투를 펼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쓰레기 봉투의 전자동 장착, 묶음 기능을 실현하기 유리하고 쓰레기통의 자동화, 스마트화 수준을 더 높일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2)의 내측 가장자리와 환형 오목홈(3)의 내벽이 연결되고, 커버(2)의 외측 가장자리와 환형 오목홈(3)의 외벽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며 쓰레기 봉투 출구를 형성하며, 유익한 효과는 상술한 바와 대체적으로 일치하기에 더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여기서, 커버(2)의 외측 가장자리의 일단과 환형 오목홈(3)의 외벽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여기서 회전 가능한 연결은 회전축을 통한 연결일 수 있고, 폴딩 흔적을 통해 연결 고정될 수도 있다. 물론, 다른 회전 가능한 연결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로써 쓰레기 봉투(4)를 환형 오목홈(3) 내에 넣을 경우, 커버(2)를 회전시키면 환형 오목홈(3)의 개구를 개방할 수 있고, 쓰레기 봉투(4)를 환형 오목홈(3) 내에 속박시켜야 할 경우 커버(2)를 회전시키면 환형 오목홈(3)의 개구 부분을 폐쇄할 수 있다. 이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실시가 용이하며 구조 안정성 향상에 이롭다.
또한, 커버(2)의 외측 가장자리에 환형 오목홈(3)의 외벽을 향한 폴딩 구조(6)가 설치되고, 폴딩 구조(6)는 외벽과 억지 끼워맞춤된다. 이로써 커버(2)는 상기 억지 끼워맞춤의 구조를 통해 환형 오목홈(3)의 개구 부분에 단단히 설치될 수 있기에 구조 안정성 향상에 이롭다. 폴딩 구조(6)와 외벽은 버클 구조를 통해 걸림 연결될 수도 있기에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일체화 수준을 향상시켜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탈착이 편리하다.
여기서, 버클 구조는 걸림홈, 걸림홈에 배합되는 걸림 블록을 포함하고, 걸림홈과 걸림 블록 중의 하나는 폴딩 구조(6)의 내측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환형 오목홈(3)의 외벽에 설치된다. 폴딩 구조(6)가 환형 오목홈(3)의 외벽에 가까워질 경우, 걸림 블록은 걸림홈 내부에 인입되어 걸림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버클 구조는 실시가 용이하고 조작이 간단하며 커버(2)와 저장 본체(1)의 연결 안정성을 높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장 본체(1)와 커버(2)의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 고리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사각 고리형 구조의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 모따기를 설치한다. 쓰레기통은 대부분 사각형이기에 이러한 설치를 통해 사각형 쓰레기통에 더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고, 쓰레기통과의 연결이 더 긴밀하게 하여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가 쓰레기통 내에서 회전하여 위치 이동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형상은 사각 고리형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고리형 또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저장 본체(1)와 커버(2)의 구조는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될 수 있고, 종이 박스의 폴딩 접합을 통해 성형될 수도 있으며, 금속의 폴딩 벤딩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재료 선택 가공이 편리하고, 나아가 필요에 따라 각각의 상이한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재질일 수 있고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및 그 바람직한 수단의 내용을 결부하여 본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쓰레기봉투 어셈블리는 중간에 통공을 구비하는 박스형 구조를 사용하며, 쓰레기는 중간 통공을 거쳐 쓰레기 봉투(4) 내에 떨어지며; 상기 박스형 구조는 일체형 구조로서 형식 상에서 커버(2) 및 저장 본체(1)로 나눌 수 있으며, 저장 본체(1)에는 쓰레기 봉투(4)를 담는 환형 오목홈(3)이 설치되고 커버(2)는 환형 오목홈(3)의 개구 부분에 씌워지고 저장 본체(1)와 일체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2)와 저장 본체(1)의 형상은 사각형이나 원형일 수 있고,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구조의 쓰레기통 형상은 변할 수 있으며; 상기 박스형 구조는 하나의 부품만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일 수 있고, 커버(2)와 저장 본체가 두 개의 부품으로 분리되어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커버(2)는 테이프, 금속 와이어 또는 다른 배합 방식을 통해 쓰레기 봉투(4)를 상기 저장 본체(1) 내에 보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커버(2)와 저장 본체(1)는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될 수 있고, 종이 박스를 접고 접합하여 성형될 수도 있으며, 금속의 폴딩 벤딩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저장 본체(1)의 환형 오목홈(3)의 내벽에는 고리형 홈(즉 폴딩 구조)이 설치될 수 있으나, 고리형 홈의 위치는 환형 오목홈(3)의 내벽에 한정되지 않고 외벽 또는 다른 위치에 분포될 수도 있다.
또한, 중지점이 없는 일체형 실린더형 쓰레기 봉투인 쓰레기 봉투(4)를 더 포함하고; 쓰레기 봉투(4)는 새 쓰레기 봉투(4)로 교체 후 처음 사용 시 자동화 사용이 편리하도록 일단이 밀봉될 수 있고, 양단이 모두 밀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 장착이 필요할 경우 인위적 또는 기계를 통해 쓰레기 봉투(4)를 쓰레기 봉투(4)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폴딩하여 고리형으로 접은 후 저장 본체(1)에 넣고, 여기서 저장 본체(1)는 일반적으로 통공을 구비하는 박스형 구조이나 박스형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홈형 구조, 고리형 구조 및 상응한 고정 프레임 구조일 수 있다. 정상적으로 사용 시 상기 쓰레기 봉투(4)는 일반적으로 쓰레기통 내부 상부 위치에 보관되고, 쓰레기통 내부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도 있으며, 특히 상기 고리형으로 접힌 쓰레기 봉투(4)는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의 통입구와 평행되게 배치된다.
상기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조립 단계는 하기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인위적 또는 일정한 작업 지그를 통해 중지점이 없는 실리더형 쓰레기 봉투(4)를 축방향을 따라 고리형으로 접고 쓰레기 봉투(4)의 길이 및 직경은 사용 요구에 따라 자체적으로 결정하고;
잘 접은 고리형 쓰레기 봉투(4)를 저장 본체(1)의 환형 오목홈(3) 내부에 형성된 쓰레기 봉투(4) 저장 영역에 압입하며;
환형 오목홈(3) 내에 압입된 쓰레기 봉투(4)의 일단을 인출하고 밀봉하며, 밀봉 방식은 열접착일 수 있으나 열접착 밀봉에 한정되지 않고 첫 번째 쓰레기 봉투의 자동화 취급이 편리한 다른 밀봉 방식일 수도 있으며;
커버(2)를 돌려 저장 본체(1)의 환형 오목홈(3)의 개구 부분에 씌우고, 커버(2)에 폴딩 구조(6)가 설치되기에 커버(2)와 저장 본체(1)가 신속하게 하나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조립 작업을 완료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을 더 제공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쓰레기 봉투의 전자동 장착, 묶음 기능을 실현하고 쓰레기통 자동화, 스마트화 수준을 더 향상시킨다. 또한 쓰레기 봉투(4)의 생산, 운송 과정에서 쓰레기 봉투(4)가 찢어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환형 오목홈(3)의 크기는 쓰레기통의 사용 빈도 및 사용 장소에 따라 상이하게 설치할 수 있기에 쓰레기 봉투(4)의 저장량 및 묶음 길이를 조절하기 편리하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두루마리 교체 쓰레기 봉투와 비교하여, 쓰레기 봉투 교체가 더 간편하기에 효율이 높고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는 일체형 구조로서 조립이 편리하고 생산 설치 원가가 내려간다. 해당 유익한 효과의 도출은 상기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도출 과정과 유사하기에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 본체(1)와 상기 스마트 쓰레기통의 통 몸체는 일체형 구조이고, 즉 상기 저장 본체(1)와 쓰레기통의 통 본체(14)는 일체로 성형되고 눌림 커버(16)는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의 커버로 작용한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스마트 쓰레기통은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위치결정 구조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10)는 쓰레기 봉투 박스 및 쓰레기 봉투 박스 내에 채워지는 쓰레기 봉투를 포함하고, 쓰레기 봉투 박스는 쓰레기통 본체(14) 내에 설치되며, 쓰레기통 내에 쓰레기를 버리는 것에 영향주지 않도록 쓰레기 봉투 박스에는 쓰레기가 지나가는 제3 통공(13)이 설치되고, 쓰레기통 본체(14) 내에는 쓰레기 봉투 박스를 지지하기 위한 보관 프레임(15)이 더 설치되며, 동시에 쓰레기가 쓰레기통 본체(14)에 원활하게 들어가도록 보관 프레임(15)에는 제3 통공(13)에 대응되는 제4 통공이 설치되고, 쓰레기 봉투 박스 교체가 편리하도록 쓰레기통 본체(14)에는 쓰레기 봉투 박스가 출입하는 통로가 더 설치된다.
또한, 통로는 쓰레기통 본체(14)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될 수 있고, 통로가 쓰레기통 본체(14)의 상부에 설치될 경우, 쓰레기통 본체(14)의 높이 방향을 따라 사용 후의 쓰레기 봉투 박스를 꺼낸 다음 새 쓰레기 봉투 박스를 반대 방향으로 보관 프레임(15)에 넣으면 된다. 통로가 쓰레기통 본체(14)의 측부에 설치될 경우, 쓰레기통 일측으로부터 보관 프레임(15)을 인출하고 사용 후의 쓰레기 봉투 박스를 꺼낸 다음 새 쓰레기 봉투 박스를 보관 프레임(15)에 넣고 반대 방향으로 쓰레기통 본체(14) 내에 밀어 넣으면 된다. 이처럼, 쓰레기 봉투 박스 인출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쓰레기통 내의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물론 통로는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실제 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쓰레기 봉투를 다 사용한 후 쓰레기 봉투 박스를 인출하고 새 쓰레기 봉투가 채워진 쓰레기 봉투 박스를 넣기만 하면 되기에 탈착이 필요없고 교체가 간단하며 종래기술에서 쓰레기 봉투를 다 사용한 후 쓰레기통 본체(14) 내에서 쓰레기 봉투 보관 프레임을 해체한 후 새 쓰레기 봉투를 쓰레기 봉투 보관 프레임의 저장 공간 내에 넣은 다음 쓰레기 봉투 보관 프레임을 쓰레기통 내에 설치하여 탈착이 번거롭고 시간, 인력을 낭비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수단에서, 보관 프레임(15)과 쓰레기통 본체(14)는 일체형 구조로 설치될 수 있고, 분리형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실제 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첫 번째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프레임(15)과 쓰레기통 본체(14)는 일체형 구조로 설치되고, 바람직하게 이때의 통로는 쓰레기통 본체(14)의 상부에 설치되며 보관 프레임(15)은 환형 오목홈 구조로 설치되며, 오목홈 구조는 쓰레기통 본체(14)의 내주를 따라 둘러싸게 형성되고, 오목홈 구조는 쓰레기 봉투를 담기 위한 것이고, 바람직하게 보관 프레임(15)은 쓰레기통 본체(14)의 내벽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로써 쓰레기통 내의 공간을 절약하고 봉투 인출이 원활하게 된다.
쓰레기 봉투 박스를 고정하기 위해, 위치결정 구조는 쓰레기 봉투 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눌림 커버(16)를 더 포함하고, 눌림 커버(16)는 쓰레기 봉투 박스의 상방에 눌려지고 눌림 커버(16)에는 제3 통공(13) 및 제4 통공에 대응되는 제5 통공이 설치되며, 즉 눌림 커버(16)의 단면 윤곽은 쓰레기 봉투 박스의 단면 윤곽과 동일하고 눌림 커버(16)와 쓰레기통 본체(14)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눌림 커버(16)와 쓰레기통 본체(14) 사이에는 흡착장치가 설치되고, 구체적으로, 흡착장치는 강자성 흡착구조일 수 있고, 강자성 흡착구조는 눌림 커버(16)에 설치된 제1 자석 및 쓰레기통 본체 내에 설치된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제1 자석과 제2 자석의 자력은 서로 흡인하여 눌림 커버(16)를 쓰레기통 봉투 박스의 상방에 클램핑한다.
본 실시예에서, 쓰레기 봉투 박스를 교체하는 단계는, 쓰레기통의 열림 커버를 열고; 다음 눌림 커버(16)를 떼내며; 쓰레기통의 높이 방향을 따라 사용한 후의 쓰레기통 봉투 박스를 꺼내고; 새 쓰레기 봉투 박스를 반대 방향으로 보관 프레임(15)에 넣으며; 마지막으로 눌림 커버(16)를 덮어 쓰레기통 봉투 박스의 교체를 완료한 후 쓰레기통을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프레임(15)과 쓰레기통 본체(14)는 분리형 구조로 설치되고, 바람직하게 이때의 통로는 쓰레기통 본체(14)의 측부에 설치되며, 보관 프레임(15)과 쓰레기통 본체(14) 사이에는 걸림 튕김 수단 또는 전동 튕김 수단이 설치되고, 보관 프레임(15)은 걸림 튕김 수단의 작용 하에서 통로에서 튕겨지거나 통로 내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동 튕김 수단은 모터 및 모터에 연결되는 동력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모터는 동력전달 장치를 통해 보관 프레임(15)을 밀어낼 수 있고, 전동 튕김 수단은 종래기술 중의 컴퓨터 CD 튕김 수단과 유사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종래기술 중의 메모리 걸림 튕김 수단을 참조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 중의 걸림 튕김 수단은 슬라이딩레일(201), 튕김장치(202) 및 스프링(203)을 포함하고, 슬라이딩레일(201)은 잠금부재(208), 인입위치(206) 및 인출위치(207)를 구비하며, 튕김장치(202)는 슬라이딩레일(201)에 설치되고 인입위치(206) 및 인출위치(207) 사이에서 슬라이딩하여 보관 프레임(15)을 튕겨낼 수 있고, 스프링(203)은 슬라이딩레일(201) 및 로드(204) 사이를 연결하며 튕겨지는 탄력을 제공하며, 튕김장치(202)를 슬라이딩레일(201)의 인출위치(207)로부터 인입위치(206)로 밀어낼 경우, 튕김장치(202)는 잠금부재(208)에 걸리고 이로써 스프링(203)을 당겨 탄력이 발생되고 이때 보관 프레임(15)은 통로 내부에 밀려 들어가 걸리고; 다시 튕김장치(202)를 밀 경우 튕김장치(202)는 잠금부재(208)에서 걸림이 해제되어 인출위치(207)로 슬라이딩하여 돌아가고 튕김 탄력을 통해 보관 프레임(15)을 튕겨낸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쓰레기통 본체(14)의 측부로부터 수동으로 쓰레기 봉투 박스를 인출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더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으며 실제 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중의 스마트 쓰레기통의 작업 원리는 하기와 같다. 우선 전원 입력선(23)을 통해 배터리를 충분히 충전한 후 스마트 쓰레기통을 적당한 위치에 놓고, 사용자가 다가와 스마트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버리고자 할 경우 스마트 쓰레기통 상의 적외선 감응 모듈이 감응하여 열림 커버(20)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사용자가 멀어지면 열림 커버(20)를 자동으로 폐쇄한다. 스마트 쓰레기통이 다 차서 밀봉하고자 할 경우, 패널(21) 상의 밀봉 봉투 교체 버튼을 누리기만 하면 스마트 쓰레기통 내의 칩이 하기의 동작을 실행한다. 모터 및 기어 세트를 통해 동기화 벨트 및 동기화 휠을 작동시키고, 동기화 벨트 및 동기화 휠이 전열바(bar)를 작동시키며, 우선 중지점이 없는 쓰레기 봉투의 입구를 한데 묶되 거의 묶을 때 마이클로컨트롤러가 전열바가 가열을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쓰레기 봉투를 용융시키며(전열선이 쓰레기 봉투를 절단),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꺼지고 전열 바가 원위치로 돌아온다. 이렇게 쓰레기 봉투를 밀봉하였고, 스마트 쓰레기통 내에 씌우고자 하는 쓰레기 봉투의 하단도 밀봉하였으며 또한 분리, 절단도 진행하였다. 이때 모터는 내부 실린더 모듈(22)이 외부를 향해 45도 경사지도록 작동하고, 내부 실린더 모듈(22)의 입구/출구는 모두 노출된 다음 사용자는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 봉투를 가져갈 수 있다. 다음 배터리와 회로판의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내부 실린더 모듈(22)이 밀폐 공간을 형성하도록 스마트 쓰레기통의 펼침 구조를 끄고, 쓰레기통 밑단과 연통된 진공 형성 장치를 작동시켜 쓰레기통 내의 공기를 빼내어 내부 실린더 모듈(22) 내의 기압이 외부의 대기압보다 훨씬 작도록 하여, 대기압에 의해 쓰레기 봉투 박스 내에 보관된 쓰레기 봉투를 눌러 아래로 이동시키고, 쓰레기 봉투가 통 밑바닥에 도달할 경우 진공 형성 장치를 멈춰 쓰레기 봉투 자동 교체 장착이 원스텝으로 완료될 수 있고 사용자는 쓰레기통 내에 다시 쓰레기를 버릴 수 있게 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문에서 설명된 “제1”, “제2”, “제3”, “제4 ”, “제5”등 용어는 순서에 대한 제한이 아니라 단지 각각의 부재 또는 기능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본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스마트 쓰레기통 및 쓰레기 봉투의 장착 장치를 제공하여 기존의 스마트 쓰레기통이 자동으로 쓰레기 봉투를 씌우지 못하거나 쓰레기 봉투를 씌우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밖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내용에 대해 어떠한 한정 작용도 없다. 또한 하기 실시예가 가리키는 구성의 모든 내용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에 필수적인 사항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는 쓰레기 봉투를 쓰레기통 본체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공 형성 어셈블리, 진공 형성 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8)를 포함하고, 진공 형성 어셈블리에는 공기 유입구(91)와 공기 유출구가 설치되며, 공기 유입구(91)와 쓰레기통 본체 내벽의 공기 펌핑구는 연통되고, 공기 유출구와 쓰레기통 본체의 외부는 연통된다. 그 원리는 모터(8)를 이용하여 상응한 진공 형성 어셈블리를 구동시켜 쓰레기통 본체 내에 일정한 진공도가 생성된 후 대기압을 이용하여 쓰레기 봉투를 쓰레기통 본체 내에 긴밀하게 장착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진공 형성 어셈블리는 원심 임펠러형 진공 형성 어셈블리 또는 축류 베인형 진공 형성 어셈블리 등이거나, 다른 진공을 형성할 수 있는 진공 펌프 어셈블리일 수 있으며 실제 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 임펠러형 진공 형성 어셈블리는 케이스 및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원심 임펠러(7)를 포함하고, 케이스에는 원심 임펠러(7)의 축방향을 따라 공기 유입구(91)가 설치되며, 케이스에는 원심 임펠러(7)의 반경 방향을 따라 공기 유출구가 설치되고, 공기 유입구(91)와 쓰레기통 본체 내벽의 공기 펌핑구는 연통되고, 공기 유출구와 쓰레기통 본체의 외부는 연통되며, 모터(8)를 통해 원심 임펠러(7)를 회전시키고, 쓰레기통 본체의 저부의 공기 펌핑구로부터 쓰레기통 본체 내부의 공기를 빼기에 대기압이 쓰레기통 본체 내부의 기압보다 훨씬 크므로 쓰레기 봉투 밑바닥이 쓰레기통 밑바닥에 접촉할 때까지 대기압이 쓰레기통 봉투를 눌러 아래로 이동시켜 쓰레기 봉투의 장착 동작을 완료한 다음 모터를 끄면 된다.
특히, 원심 임펠러(7)의 각각의 베인(71)의 공기 유입구(9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공기 유입구(91)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711)가 설치되고, 이러한 설치를 통해, 공기가 지나가는 면적을 증가하고 공기가 유입되는 량을 증가하며 흡입력이 크고 공기 배출이 더 신속하기에 공기 배출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쓰레기 봉투의 장착 시간을 절약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돌기부(711)는 편상 구조이고, 돌기부(711)의 두께와 베인(71)의 두께는 동일하며, 가공 공법을 간소화하기 위해 돌기부(711)와 베인(71)은 일체형 구조로 설치하여 공기가 지나가는 면적을 증가하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도 편리해진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기존의 스마트 쓰레기통이 자동으로 쓰레기 봉투를 씌우지 못하거나 쓰레기 봉투를 씌우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수단에서, 원심 임펠러(7)는 각각의 베인(71)과 고정 연결되는 회전판(72)을 더 포함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71)은 상기 회전판(72)과 수직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인(71)은 호형 구조로 설치될 수 있고, 베인(71)이 회전판(72) 중심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의 두께는 베인(71)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작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기류 방향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고 공기를 제때에 배출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커버(9) 및 하측 커버(30)를 포함하고, 공기 유입구(91)가 상측 커버(9)에 설치되며, 상측 커버(9) 및 하측 커버(30) 사이의 간극은 공기 유출구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측 커버(9)와 하측 커버(30)는 직사각형 구조로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상측 커버(9)와 하측 커버(30) 사이는 걸림 연결될 수 있으며, 상측 커버(9)의 하단에는 적어도 2개의 고정기둥(92)이 설치되고, 하측 커버(30)에는 적어도 2개의 오목홈(301)이 설치되며, 고정기둥(92)은 오목홈(301) 내에 인입되어 오목홈(301)과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 커버(9)의 4개의 모서리에 각각 4개의 고정기둥(92)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연결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로써 케이스는 네면 투각(
Figure pat00002
,hollow out) 구조이고, 이 밖에 공기 유입구(91)의 횡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원심 임펠러(7)는 원심 원리를 이용하여 기류를 원형 공기 유입구(91)로부터 흡입하고 네면 투각은 모두 배기가 가능하기에 배기가 신속하다. 물론 공기 유입구(91)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아울러, 원심 임펠러(7)에는 모터(8)의 주축과 연결 배합되는 축홀이 설치되고, 하측 커버(30)에는 모터(8)의 주축이 관통되는 통공(302)이 설치되며, 우선 하측 커버(30)가 나사못(303)을 통해 모터(8)와 고정된 다음 원심 임펠러(7)가 모터(8)의 출력축에 조립되고 마지막으로 상측 커버(9)가 하측 커버(30)에 걸림되어 원심팬을 형성한다.
원심팬을 통해 쓰레기통의 공기 펌핑구로부터 쓰레기통 본체 내부의 공기를 빼내 대기압이 쓰레기통 본체 내부의 기압보다 높게 된다. 이때 대기압이 중지점이 없는 쓰레기 봉투를 눌러 아래로 이동시키고, 쓰레기 봉투가 통 밑바닥에 도달할 경우 원심팬이 멈추며 이때 쓰레기 봉투가 쓰레기통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쓰레기 봉투의 장착을 완료하며, 인위적으로 쓰레기 봉투를 장착할 필요가 없기에 편리하고 실용적이다.
본 실시예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을 더 제공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기존의 스마트 쓰레기통이 사용하는 원심팬의 흡입력이 크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며, 해당 유익한 효과의 도출 과정은 상기 쓰레기 봉투의 묶음 수단이 가져오는 유익한 효과의 도출 과정과 대체적으로 유사하기에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 중의 스마트 쓰레기통은 쓰레기 봉투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단(17), 수신단(18) 및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송신단(17)과 수신단(18)은 모두 제어수단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어수단의 작용하에 송신단(17)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수신단(18)은 송신단(17)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쓰레기 봉투 부분이 송신단(17) 및 수신단(18) 사이에 위치할 경우, 송신단(17)이 송신한 신호가 쓰레기 봉투에 의해 막혀 수신단(18)이 제1 감응신호을 생성하고, 제1 감응신호를 제어수단에 전송하여 쓰레기 봉투 자동 교체 시 각각의 수단의 작업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쓰레기 봉투 자동 교체를 위해, 상기 스마트 쓰레기통에는 공기 펌핑구를 통해 공기를 빼는 배기 장치(R)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 장치(R)는 원심팬이며, 원심팬과 제어수단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어수단이 수신단(18)에서 생성된 제1 감응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어수단은 원심팬이 가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송신단(17)과 수신단(18) 중의 하나는 쓰레기통의 내측벽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쓰레기통의 내부 저면에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송신단(17)이 쓰레기통의 내측벽에 설치되고 수신단(18)이 쓰레기통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거나, 송신단(17)이 쓰레기통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고 수신단(18)이 쓰레기통의 내측벽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위치는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17)과 수신단(18)은 각각 공기 펌핑구의 양측에 위치하여 공기 펌핑구에 의해 빼낸 공기는 항상 송신단(17)과 수신단(18) 사이를 지나가게 되고, 쓰레기 봉투가 원심팬의 흡입력에 의해 장착될 경우 쓰레기 봉투의 장착이 완료되지 않으면 쓰레기 봉투는 송신단(17)과 수신단(18) 사이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수신단(18)은 제1 감응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쓰레기 봉투의 장착이 완료되면 쓰레기 봉투가 송신단(17)과 수신단(18) 사이에 위치하기에 수신단(18)이 제1 감응신호를 생성하고 제어수단이 수신된 제1 감응신호에 따라 원심팬이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송신단(17)이 쓰레기통의 내부 저면에 위치하고 수신단(18)이 쓰레기통의 내측벽에 위치할 경우, 송신단(17)의 송신 중심선과 쓰레기통 내부 저면이 이루는 협각α는 30~50도이고, 수신단(18)의 수신 중심선과 쓰레기통 내측벽의 수직방향이 이루는 협각β는 38~58도이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의 수직 방향이 바로 쓰레기통의 저면과 수직되는 방향이다. 여기서 협각α가 작을 수록 오접촉이 더 쉽게 일어나며 나아가 쓰레기 봉투의 위치 감지에 영향주며, 협각α가 클 수록 수신단(18)의 설치 거리가 점점 멀어지며 감지와 설치에 모두 불리하다. 따라서 이러한 설치를 통해 원가를 절약하고 조립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감지 구조가 더 정확하게 작동한다.
수신단(18)이 쓰레기통의 내부 저면에 위치하고 송신단(17)이 쓰레기통의 내측벽에 위치할 경우, 수신단(18)의 수신 중심선과 쓰레기통 내부 저면이 이루는 협각α는 30~50도이고, 송신단(17)의 송신 중심선과 쓰레기통 내측벽의 수직방향이 이루는 협각β는 38~58도이다. 여기서 협각α가 작을 수록 오접촉이 더 쉽게 일어나며 나아가 쓰레기 봉투의 위치 감지에 영향주며, 협각α가 클 수록 송신단(17)의 설치 거리가 점점 멀어지며 감지와 설치에 모두 불리하다. 따라서 이러한 설치를 통해 원가를 절약하고 조립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감지 구조가 더 정확하게 작동한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수단에서, 협각α는 40도이고 협각β는 48도이며, 이로써 설치 거리가 적당하고 감지 효과도 좋고 원가를 절약하고 조립이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단(17)과 수신단(18)에는 모두 적외선 기기가 설치되고, 즉 송신단(17)이 적외선 송신관으로 설치되고 수신단(18)이 적외선 수신관으로 설치되며, 적외선은 파장이 마이크로웨이브와 가시광 사이의 전자파로서 성능이 안정적이고 투과성이 강한 특징이 있으며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에 원가 절약에 이롭다.
여기서, 적외선 송신관이 발사하는 적외선의 최대각γ을 93도로 설정하고, 적외선 수신관이 수신하는 최대각δ를 44도로 설정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로써 송신과 수신의 범위가 넓기에 쓰레기 봉투 위치 감지의 정확성 향상에 이롭다.
구조적 설계에서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의 위치 및 각도를 고정하여 적외선 송신관의 송신각이 적외선 수신관에 맞춰질 수 있고, 구조적으로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의 송신각에 대해 위치제한을 하여 적외선 신호가 쓰레기 봉투와 통 밑바닥의 틈새 부분에서 적외선 수신관 부분으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은 모두 포카요케 구조를 통해 쓰레기통의 내벽에 고정되기에,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의 설치각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의 위치 및 각을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간, 인력을 절약하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포카요케 구조는 오목부와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오목부 내에 삽입되며, 쓰레기통의 내벽에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이 삽입 장착되는 챔버가 더 설치되고, 상기 챔버가 향하는 방향을 통해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의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와 돌출부 중 하나는 적외선 송신관 또는 적외선 수신관의 외벽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챔버의 내벽에 설치된다. 오목부는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예를 들면, 돌기부가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의 외벽에 설치되고 오목부가 챔버의 내벽에 설치될 경우, 상기 “축방향”이 챔버의 연장 방향이며, 이로써 오목부와 돌출부의 포카요케 구조를 통해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의 설치각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의 위치 및 각을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간, 인력을 절약하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은 모두 구조적으로 방수 방진 처리가 되어있다. 즉, 쓰레기통의 내벽에는 투명한 보호 하우징이 밀봉 연결되어 있으며,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은 각각 보호 하우징 내에 위치한다. 보호 하우징이 투명 구조이기에 적외선이 투과될 수 있고 쓰레기 봉투의 위치 감지가 편리하다. 물론, 보호 하우징은 2개가 설치되어 각각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을 수용할 수 있다. 이로써 재료를 절약할수 있고 원가를 절약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하우징의 재질은 플라스틱일 수 있고 유리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제어수단은 MCU(Microcontroller Unit,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 적외선 송수신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적외선 송수신 회로는 증폭회로, 변조 복조 회로 등으로 구성되며, MCU를 통해 38KHz의 변조 반송파를 생성하여 적외선 송신관에 송신하며, 적외선 송신관이 송신한 반송파 신호는 장애물(쓰레기 봉투) 간섭이 없을 경우 적외선 수신관에 원활하게 송신되고, 적외선 송신관이 송신한 반송파 신호는 장애물(쓰레기 봉투) 간섭이 있을 경우 적외선 수신관에 원활하게 송신되지 못하기에, 적외선 수신관이 수신한 변조 반송파가 약하며,, 심지어 0이 되므로, 쓰레기 봉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 수신관이 반송파 신호를 수신한 후 게인(gain), 복조를 거쳐 비교기에 출력 신호를 송신하고, 이 방법은 항간섭 능력이 강하기에 열악한 광원 및 태양광 조건에서도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적외선 송신관의 전력을 제한하였기에, 적외선 송신관이 송신하는 신호가 쓰레기 봉투를 통과하여 적외선 수신단에 전송되지 못하므로, 적외선 수신관이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쓰레기통 내에 쓰레기 봉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원심팬이 가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쓰레기 봉투 감지 장치는 쓰레기 봉투가 쓰레기통 내에서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쓰레기 봉투 정보에 따라 원심팬을 제어할 수 있고, 쓰레기 봉투의 장착이 완료되지 않으면 원심팬을 계속하여 가동시키고, 쓰레기 봉투의 장착이 완료된 후 원심팬이 중지하도록 제어하여 쓰레기 봉투가 원심팬에 의해 흡입되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쓰레기 봉투 감지 장치는 쓰레기 봉투를 보호할 수 있기에 자원을 절약하고 스마트 쓰레기통에 존재하는 안전 문제를 감소할 수 있으며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문에서 언급된 “상”, “하”는 상기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가 도 1과 같이 놓여진 상태에서의 상황이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에 공개된 기술범위 내에서 쉽게 생각해낸 변화 또는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1. 저장 본체,
2. 커버,
3. 환형 오목홈,
4. 쓰레기 봉투,
5. 턴업 구조,
6. 폴딩 구조,
10.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13. 제3 통공,
14. 쓰레기통 본체,
15. 보관 프레임,
16. 눌림 커버,
20. 열림 커버,
21. 패널,
22. 내부 실린더 모듈,
23. 전원 입력선,
201.슬라이딩레일 ,
202. 튕김장치,
203. 스프링,
204. 로드,
206. 인입위치,
207. 인출위치,
208. 잠금부재,
7. 원심 임펠러,
8. 모터,
71. 베인,
711. 돌기부,
72. 회전판,
9. 상측 커버,
91. 공기 유입구,
92. 고정기둥,
30. 하측 커버,
301. 오목홈,
302. 통공,
303. 나사못,
17. 송신단,
18. 수신단,
R. 장착 장치

Claims (18)

  1. 쓰레기가 지나가는 제1 통공, 상기 제1 통공의 외측을 둘러싸서 쓰레기 봉투(4)를 저장하는 환형 오목홈(3)이 설치된 저장 본체(1);
    상기 제1 통공에 대응되는 제2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환형 오목홈(3)의 개구 부분에 커버되는 커버(2)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2)와 상기 환형 오목홈(3) 중 하나의 측벽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쓰레기 봉투 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와 상기 저장 본체(1)는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상기 커버(2)와 상기 저장 본체(1)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린더형 구조의 쓰레기 봉투(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형 구조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관통되고, 그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개구가 구비되며, 상기 쓰레기 봉투(4)는 고리형으로 왕복 폴딩되어 상기 환형 오목홈(3) 내에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오목홈(3)에는 상기 쓰레기 봉투의 출구를 형성하는 측벽 테두리에 턴업(turnup) 구조(5)가 설치되고, 상기 턴업 구조(5)는 상기 환형 오목홈(3)의 홈 바깥 방향을 향해 턴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오목홈(3)의 개구 방향과 상기 제1 통공의 개구 방향은 일치하고, 상기 환형 오목홈(3)의 내벽은 상기 제1 통공에 가까운 측벽이며, 상기 환형 오목홈의 외벽은 상기 제1 통공에서 멀리 떨어진 측벽이고,
    상기 커버(2)의 내측 가장자리와 상기 내벽 사이는 상기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2)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외벽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장자리의 일단과 상기 환형 오목홈(3)의 외벽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버(2)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환형 오목홈(3)의 외벽과 억지 끼워맞춤되거나 버클 구조를 통해 걸림 연결되는 폴딩 구조(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구조는 걸림홈, 상기 걸림홈에 매칭되어 설치되는 걸림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과 상기 걸림 블록 중의 하나는 상기 폴딩 구조(6)의 내측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환형 오목홈(3)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8.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
  9.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로서,
    쓰레기 봉투를 쓰레기통 본체 내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스마트 쓰레기통에는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상기 쓰레기 봉투가 상기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내에 안착되며,
    상기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는 진공 형성 어셈블리, 상기 진공 형성 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8)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 형성 어셈블리에는 공기 유입구(91)와 공기 유출구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91)와 상기 쓰레기통 본체 내벽의 공기 펌핑구는 연통되고, 상기 공기 유출구와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외부는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형성 어셈블리는 원심 임펠러형 진공 형성 어셈블리 또는 축류 베인형 진공 형성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임펠러형 진공 형성 어셈블리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원심 임펠러(7)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원심 임펠러(7)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 유입구(91)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원심 임펠러(7)의 반경 방향 또는 접선 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 유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91)와 상기 쓰레기통 본체 내벽의 공기 펌핑구는 연통되고, 상기 공기 유출구와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외부는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임펠러(7)의 각각의 베인(71)의 상기 공기 유입구(9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공기 유입구(91)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711)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711)는 편상 구조이며, 상기 돌기부(711)와 상기 베인(71)은 일체형 구조이고, 상기 베인(71)은 호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임펠러(7)는 각각의 상기 베인(71)과 고정 연결되는 회전판(7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인(71)은 상기 회전판(72)과 수직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커버(9) 및 하측 커버(3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91)는 상기 상측 커버(9)에 설치되며, 상기 상측 커버(9) 및 상기 하측 커버(30) 사이의 간극은 상기 공기 유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커버(9)의 하단에는 적어도 2개의 고정기둥(92)이 설치되고, 상기 하측 커버(30)에는 적어도 2개의 오목홈(301)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기둥(92)은 상기 오목홈(301) 내에 인입되어 상기 오목홈(301)과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임펠러(7)에는 상기 모터(8)의 주축과 연결 배합되는 축홀이 설치되고, 상기 하측 커버(30)에는 상기 모터(8)의 주축이 관통되는 통공(30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71)이 상기 회전판(72) 중심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의 두께는 상기 베인(71)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18. 제9항에 따른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쓰레기통.
KR1020180141700A 2018-06-16 2018-11-16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및 스마트 쓰레기통 KR102136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623434.5 2018-06-16
CN201810623434.5A CN108438612A (zh) 2018-06-16 2018-06-16 一种垃圾袋铺设装置及智能垃圾桶
CN201810711673.6 2018-07-03
CN201810711673.6A CN108974704A (zh) 2018-07-03 2018-07-03 垃圾袋组件及智能垃圾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190A true KR20190142190A (ko) 2019-12-26
KR102136778B1 KR102136778B1 (ko) 2020-07-23

Family

ID=6883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700A KR102136778B1 (ko) 2018-06-16 2018-11-16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및 스마트 쓰레기통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89432B2 (ko)
KR (1) KR102136778B1 (ko)
AU (1) AU2018428244B2 (ko)
CA (1) CA3079230A1 (ko)
CH (1) CH716456B1 (ko)
GB (1) GB2580808B (ko)
SG (1) SG11202012411VA (ko)
WO (1) WO20192375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031B1 (ko) * 2020-02-11 2020-07-10 주식회사 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
CN114987969A (zh) * 2022-07-13 2022-09-02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内部挤压输送机构的医疗废料包装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62648A1 (en) * 2017-06-27 2020-08-20 Mike Stanford Garbage can with bag replacement means
USD904067S1 (en) * 2020-01-15 2020-12-08 Weihong Yang Packing box for trash bag
US11518609B1 (en) * 2020-06-30 2022-12-06 Shlomo Faiton Trash container having automated replacement bag dispensing system
CN111824636B (zh) * 2020-07-14 2022-05-06 中国科学院大学宁波华美医院 一种智能利器盒
CN112938222B (zh) * 2021-02-27 2022-09-20 奉节县人民医院 一种医疗垃圾袋套袋装置
CN113619959A (zh) * 2021-09-10 2021-11-09 江苏羽驰区块链科技研究院有限公司 医废处理区块链系统智能收集箱
CN114229274B (zh) * 2021-11-19 2023-03-14 上海拓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装置安装组件及智能垃圾桶
CN114229275A (zh) * 2022-01-21 2022-03-25 南京林业大学 双单向气阀式贴合安装垃圾袋的垃圾桶
CN114906508B (zh) * 2022-06-08 2023-09-26 合肥蜜柚智能科技有限公司 垃圾桶打包方法及垃圾桶
CN115924352B (zh) * 2023-02-13 2023-10-10 广东源憬健康科技有限公司 垃圾自动处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902A (ja) * 1991-09-11 1993-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イルム用パツク装置
KR20100006760U (ko) * 2008-12-24 2010-07-02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이중 덮개를 갖는 휴지통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5706B2 (en) 2003-04-21 2015-02-17 Rock A. Gagnebin Vacuum-operated trash receptacle
CN2756590Y (zh) * 2004-12-09 2006-02-08 王丽春 具有垃圾袋吸附功能的垃圾筒
US7992742B1 (en) * 2007-05-16 2011-08-09 Sinclair Worldwide, Inc. Refuse receptacle with spring bias arrangement
WO2012109756A1 (en) * 2011-02-18 2012-08-23 Angelcare Development Inc. Waste-disposal system for film-dispensing units
WO2013005236A1 (en) * 2011-07-05 2013-01-10 Bellia Nichol Method for storing organic waste and refuse container therefor
CN202670550U (zh) * 2012-02-28 2013-01-16 深圳市凡人再生资源有限公司 一种连续供袋的垃圾箱及配套使用的串联垃圾袋
USD695541S1 (en) * 2012-10-24 2013-12-17 Munchkin, Inc. Cassette
US9745127B1 (en) * 2013-09-23 2017-08-29 David M Stravitz Waste containers with unitary insert
US10152737B2 (en) * 2014-04-25 2018-12-11 Vivint, Inc. Automated waste management
CN206032305U (zh) * 2016-08-19 2017-03-22 仲洪冰 一种可连续打包的全自动垃圾桶
CN206013572U (zh) * 2016-08-24 2017-03-15 上海拓牛实业有限公司 无断点垃圾袋自动更换装置
CN206125974U (zh) * 2016-08-24 2017-04-26 上海拓牛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垃圾袋组件
US10244909B2 (en) * 2016-12-28 2019-04-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7021310A (zh) 2017-06-05 2017-08-08 李菊兰 一种带有密封垃圾袋功能的垃圾桶
CN207001396U (zh) 2017-07-18 2018-02-13 尚青 一种智能垃圾桶
CN207226181U (zh) * 2017-09-25 2018-04-13 上海拓牛实业有限公司 智能垃圾桶
CN107934278A (zh) * 2017-12-05 2018-04-20 陈政 下排式智能垃圾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902A (ja) * 1991-09-11 1993-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イルム用パツク装置
KR20100006760U (ko) * 2008-12-24 2010-07-02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이중 덮개를 갖는 휴지통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031B1 (ko) * 2020-02-11 2020-07-10 주식회사 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
KR20210102821A (ko) * 2020-02-11 2021-08-20 주식회사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KR20210102824A (ko) * 2020-02-11 2021-08-20 주식회사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모듈식 배변처리기
KR20210102823A (ko) * 2020-02-11 2021-08-20 주식회사라이트형제 반려동물 배변자동처리시스템
KR20210102822A (ko) * 2020-02-11 2021-08-20 주식회사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화장실
CN114987969A (zh) * 2022-07-13 2022-09-02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内部挤压输送机构的医疗废料包装机
CN114987969B (zh) * 2022-07-13 2022-10-25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内部挤压输送机构的医疗废料包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2004130D0 (en) 2020-05-06
US10889432B2 (en) 2021-01-12
SG11202012411VA (en) 2021-01-28
US20190382196A1 (en) 2019-12-19
GB2580808B (en) 2022-11-16
AU2018428244B2 (en) 2021-12-09
KR102136778B1 (ko) 2020-07-23
AU2018428244A1 (en) 2020-05-07
GB2580808A (en) 2020-07-29
CH716456B1 (de) 2022-06-15
CA3079230A1 (en) 2019-12-19
WO2019237524A1 (zh)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2190A (ko)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및 스마트 쓰레기통
CN208453690U (zh) 垃圾袋检测装置、智能垃圾桶
CN108438612A (zh) 一种垃圾袋铺设装置及智能垃圾桶
CN108674856A (zh) 垃圾袋检测装置、智能垃圾桶及自动换袋控制方法
CN108974704A (zh) 垃圾袋组件及智能垃圾桶
CN208531321U (zh) 垃圾袋组件及智能垃圾桶
CN108674855A (zh) 垃圾袋检测装置、智能垃圾桶及自动换袋控制方法
CN208790384U (zh) 一种垃圾袋铺设装置及智能垃圾桶
JP7316637B2 (ja) スマートゴミ箱および自動ゴミ袋交換制御方法
KR102370008B1 (ko) 쓰레기봉투 장착장치, 감지장치, 스마트 쓰레기통 및 쓰레기봉투 자동교체 제어방법
RU2774849C1 (ru) Блок для мусорных пакет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мусорных пакетов и мусорное ведро
CN211309679U (zh) 一种垃圾桶
CN217707285U (zh) 垃圾桶
CN219193318U (zh) 抽拉机构及垃圾桶
CN217893939U (zh) 垃圾桶
CN217650092U (zh) 新型垃圾袋收纳盒及垃圾桶
CN216302209U (zh) 一种用于智能垃圾桶的风机结构及智能垃圾桶
CN217101447U (zh) 垃圾桶
CN215708901U (zh) 一种具有信息智能提示的生活垃圾分类回收箱
CN212502124U (zh) 一种基于有机高分子传感器识别的家用智能分类垃圾桶
CN215884910U (zh) 一种垃圾桶
CN216835409U (zh) 一种带有广告功能的垃圾桶
CN210619149U (zh) 一种垃圾袋检测装置及垃圾桶
CN217561324U (zh) 全自动便携水质光谱检测仪
CN219791258U (zh) 智能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