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355A -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 Google Patents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355A
KR20230103355A KR1020210194187A KR20210194187A KR20230103355A KR 20230103355 A KR20230103355 A KR 20230103355A KR 1020210194187 A KR1020210194187 A KR 1020210194187A KR 20210194187 A KR20210194187 A KR 20210194187A KR 20230103355 A KR20230103355 A KR 20230103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toilet
space
modular pet
modula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태구
고영균
박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펄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펄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펄송
Priority to KR1020210194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355A/ko
Priority to US17/993,287 priority patent/US20230210083A1/en
Priority to EP22209269.4A priority patent/EP4205539A1/en
Priority to JP2022187817A priority patent/JP7414324B2/ja
Publication of KR20230103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베드부의 수납을 위한 수납 공간을 갖는 베이스부;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고 모래를 수용하는 상기 베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베드부로 통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조립식 입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식 입구부는, 상기 공간의 양 측벽을 구성하는 측면부; 상기 공간의 후벽을 구성하는 후면부; 상기 측면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애완동물이 출입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전면 출입부; 및 상기 측면부, 후면부 및 상기 전면 출입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애완동물이 출입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상단 출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MODULE TYPE PET TOILET}
본 발명은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은 가족의 일 구성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애완동물을 위한 다양한 전문 용품들이 설계되고 있다.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애완동물의 배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사후 관리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고양이를 예로 들면, 일반적으로, 고양이 화장실은 내부에 고양이 배변용 모래를 약 5cm 이상 넉넉하게 깔고, 고양이가 화장실을 이용할 때마다 청소를 해주거나 최소한 하루에 한번은 해주어야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애완동물이 사용하기 편해야 한다. 즉, 개별 애완동물의 성격 및 체격에 맞는 화장실을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느 고양이는 예민한 성격을 가져 용변 보는 모습을 보여주기 싫어하는 경우, 지붕이 있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이 유용하다. 또한, 선호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출입 방향(전면 또는 상부)이 있는 고양이도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59717호 (2019. 3. 13. 등록)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68478호 (2019. 4. 8. 등록)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사용하기 편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후 관리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베드부의 수납을 위한 수납 공간을 갖는 베이스부;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고 모래를 수용하는 상기 베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베드부로 통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조립식 입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식 입구부는, 상기 공간의 양 측벽을 구성하는 측면부; 상기 공간의 후벽을 구성하는 후면부; 상기 측면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애완동물이 출입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전면 출입부; 및 상기 측면부, 후면부 및 상기 전면 출입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애완동물이 출입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상단 출입부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제공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애완동물의 특성 또는 습성에 따라 출입구의 위치, 형태 또는 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부면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등 애완동물이 사용하기 편한 구조로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의 상부면이 탈부착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화장실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하여, 사후 관리가 용이하고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가능한 전면 출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중간에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와,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베이스부(110), 베드부(120) 및 조립식 입구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베이스부(110) 및 조립식 입구부(13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부(110)의 전면 외부에 결합되는 발판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 배변할 수 있는 배변 공간이 마련된 형태일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애완동물의 특성 또는 습성에 따라 출입구의 위치, 형태 또는 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사용자의 간단한 조립으로 형태 또는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모듈형 제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사용자가 조립식 입구부(130)를 다양한 형태를 변경시켜 베드부(120)로 통하는 출입구의 위치, 형태 또는 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크게 내부에 베드부(120)를 수납하는 베이스부(110) 및 조립식 입구부(130)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수납되는 베드부(120)는 애완동물이 용변을 볼 수 있는 배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드부(120)는 배변용 모래를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조립식 입구부(130)는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의 지붕, 출입구 또는 발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 및 조립식 입구부(130)는 결합부(14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조립식 입구부(130)는 사용자의 간단한 조립을 통해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조립식 입구부(130)의 전면 일부를 개방시키거나, 전면 일부에 도어를 결합시키거나, 전면, 측면 및 후면을 모두 폐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애완동물은 조립식 입구부(130)의 전면 또는 조립식 입구부(130)의 상단을 통하여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분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베드부(120)의 수납을 위한 수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베드부(120)는 수납 공간에 수납되고 고형물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드부(120)는 애완동물이 배변할 수 있는 배변 공간일 수 있다. 베드부(120)에는 일정량의 고형물이 수용될 수 있고, 이러한 고형물은, 예를 들어, 모래이고, 애완동물(예를 들어, 고양이)은 고형물 위에서 배변을 실시할 수 있다. 일예로, 고형물은 벤토나이트, 두부모래, 펠렛, 실리카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모래라고 지칭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고형물을 의미한다.
조립식 입구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의 지붕, 출입구 또는 발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조립식 입구부(130)는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베드부(120)로 통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 및 조립식 입구부(130)는 결합부(14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식 입구부(130)는 공간의 양 측벽을 구성하는 측면부(131), 공간의 후벽을 구성하는 후면부(132) 및 공간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 출입부(1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출입부(133-1)는 측면부(131)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애완동물이 출입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133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출입부(133-1)는 개방부(133a)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부(13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133b)는 개방부(133a)의 개방된 부분을 한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면 출입부(133-1)의 개방부(133a)에 도어부(133b)를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도어부(133b)는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의 출입문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개방부(133a)에 도어부(133b)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133a)는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의 출입문일 수 있다.
한편, 조립식 입구부(130)는 전면 출입부(133-1)와 교체 가능한 전면부(1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면 출입부(133-1)를 전면부(133-2)로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면 출입부(133-1)와 측면부(131)의 결합을 해제하고, 전면부(133-2)를 측면부(13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33-2)는 개방부(133a)를 포함하지 않는 점에서 전면 출입부(133-1)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측면부(131)에 전면부(133-2)가 결합된 경우, 애완동물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상단 출입부(134)를 통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을 이용할 수 있다.
상단 출입부(134)는 측면부(131), 후면부(132) 및 전면 출입부(133-1) 또는 전면부(133-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단 출입부(134)는 조립식 입구부(130)로부터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베드부(120)에 있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 상단 출입부(134)를 조립식 입구부(130)로부터 제거하여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상단 출입부(134)를 조립식 입구부(130)로부터 탈착하거나 부착하여,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단 출입부(134)는 애완동물이 출입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은 일부가 개방된 상단 출입부(134)를 통해 베드부(120)로 출입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10)의 전면 외부에는 발판부(15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판부(150)는 상부에 매트(151) 및 LED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LED부(152)는 어두운 한 밤 중이나, 어두운 공간에서도 애완동물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을 수월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조명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은 발판부(150)를 이용하여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로 출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은 발판부(150)의 매트(151)를 딛고 개방부(133a)로 통하거나, 도어부(133b)를 밀거나, 상단 출입부(134)를 통하여 베드부(120)로 출입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10)의 전면 내부에는 공기 청정부(160)가 결합될 수 있고, 전면 내부에는 팬부(170)가 결합되며, 팬부(170)는 공기 청정부(160)와 연통되어 공기를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발판부(150)는 팬부(170)를 덮도록 형성되어 팬부(170)는 발판부(1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판부(150)의 내부에는 팬부(170)를 위치시킴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부(160)는 공기 유입부(161)를 통해 베드부(12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공기 청정부(160)는 흡입합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탈취할 수 있다. 팬부(170)는 탈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발판부(150)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거나 하부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탈취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가능한 전면 출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의 (a)는 전면 출입부(133-1)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의 예시이고, (b)는 전면 출입부(133-1)의 도어부(133b)가 결합된 형태의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의 예시이고, (c)는 전면부(133-2)로 교체된 형태의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의 예시이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측면부(131)와 개방부(133a)를 포함하는 전면 출입부(133-1)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애완동물은 개방부(133a)를 통해 내부의 배변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고, 또는 상단 출입부(134)를 통해 출입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개방부(133a)에 도어부(133b)가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애완동물은 도어부(133b)를 밀고 내부의 배변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고, 또는 상단 출입부(134)를 통해 출입할 수 있다.
전면 출입부(133-1)에서 일부 개방된 개방부(133a)에 도어부(133b)가 결합되는 경우, 애완동물이 배변 공간을 이용하기 위해 출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면 출입부(133-1)의 개방부(133a)는 도어부(133b)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악취가 바깥으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배변용 모래가 외부로 튀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전면 출입부(133-1) 대신 전면부(133-2)가 측면부(1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애완동물은 상단 출입부(134)를 통해서만 내부의 배변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다.
전면부(133-2)가 측면부(131)에 결합되는 경우, 조립식 입구부(130)는 상단의 일부 면을 제외하고 모두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배변용 모래가 바깥으로 튀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애완동물의 특성 또는 습성에 따라, 사용자의 간단한 조립으로 출입구의 위치, 형태 또는 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사용자의 간단한 조립으로 전면 출입부(133-1)의 개방부(133a)에 도어부(133b)가 부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고, 측면부(131)에 결합된 전면 출입부(133-1)가 전면부(133-2)로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출입부(134)를 이용하는 것이 어려운 애완동물의 경우, 도 3의 (a)와 같이, 개방부(133a)가 개방된 전면 출입부(133-1)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는 악취 및 배변용 모래가 바깥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부(133a)에 도어부(133b)를 부착하거나, 전면 출입부(133-1)를 전면부(133-2)로 교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면 출입부(133-1)의 일부 개방된 개방부(133a)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 애완동물의 경우, 사용자는 폐쇄된 면을 가지는 전면부(133-2)로 교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결합부(140)는 고정홈(141) 및 돌기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고정홈(141)은 결합부(140)의 상부에 소정 길이로 형성된 홈으로, 측면부(131), 후면부(132) 및 전면 출입부 또는 전면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부(131)의 하단은 고정홈(141)에 삽입되어 결합부(140)에 고정될 수 있다.
돌기부(142)는 베이스부(110)와 조립식 입구부(130)가 결합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142)는 일정 너비를 가지고 결합부(140)의 내부 둘레를 따라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결합부(140)의 돌기부(142)는 베이스부(110)와 베드부(120) 사이의 공간 상부를 일부 덮을 수 있다. 즉, 돌기부(142)는 베이스부(110)와 베드부(120) 사이의 공간으로 모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이 고양이인 경우, 고양이는 습성상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모래를 파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베드부(120)에 적재된 모래가 베이스부(110)와 베드부(120) 사이의 공간으로 튀게 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140)의 돌기부(142)가 베이스부(110)와 베드부(120) 사이의 공간으로 모래가 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내부 공간이 청결하게 유지하고 관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10)의 전면 내부에는 공기 청정부(160)가 설치될 수 있고, 발판부(150)의 내부에는 팬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부(160)는 내부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고, 팬부(170)는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c)를 참조하면, 공기 청정부(160)는 공기 유입부(161) 및 탈취 필터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청정부(160)는 공기 유입부(161)를 통해 베드부(120) 내부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부(161)는 베이스부(110)의 전면 상부에 위치하여, 베드부(12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공기 청정부(160)로 유입하여 탈취 필터부(162)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공기 유입부(161)를 통해 유입된 오염된 공기는 탈취 필터부(162)를 거쳐 탈취될 수 있다. 탈취된 공기는 팬부(17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애완동물이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발생된 악취 및 오염된 내부 공기를 탈취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의 주변에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10)의 내부에는 전파가 차폐되는 차폐 공간(111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10)는 복수의 차폐면(1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10) 내부의 측면은 전파가 차폐되는 차폐면(111)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의 내부에는 전파 송신부(18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송신부(180)는 차폐 공간(111a)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10)의 하면에 위치한 전파 송신부(180)는 차폐 공간(111a)을 향해 전파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송신부(18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공간(111a)의 하면으로부터 상면의 방향으로 전파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전파 송신부(180)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애완동물용 단말(10a)에게 전파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전파 송신부(180)는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시 애완동물용 단말(10a)에 전파를 송신할 수도 있고, 애완동물용 단말(10a)과 연결된 경우에 애완동물용 단말(10a)로 전파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애완동물(10)이 착용한 애완동물용 단말(10a)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용 단말(10a)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애완동물용 단말(10a)로부터 수신한 전파의 세기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 내에 들어온 특정 애완동물(10)이 착용한 특정 애완동물용 단말(10a)을 식별할 수 있다.
일예로,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애완동물용 단말(10a)을 착용하고 있는 애완동물(10)이 복수인 경우,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복수의 애완동물용 단말(10a)로부터 애완동물용 단말(10a)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전파의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애완동물용 단말(10a) 중 어느 하나의 애완동물용 단말(10a)을 식별할 수 있다.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은 애완동물용 단말(10a) 정보에 기초하여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을 이용하는 애완동물(10)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을 이용하는 애완동물(10)을 식별할 수 있고, 이를 참조하여,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100)을 조립하거나 변경하는 등 상황에 맞도록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110: 베이스부
120: 베드부
130: 조립식 입구부
140: 결합부
150: 발판부

Claims (10)

  1.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베드부의 수납을 위한 수납 공간을 갖는 베이스부;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고 모래를 수용하는 상기 베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베드부로 통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조립식 입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식 입구부는,
    상기 공간의 양 측벽을 구성하는 측면부;
    상기 공간의 후벽을 구성하는 후면부;
    상기 측면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애완동물이 출입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전면 출입부; 및
    상기 측면부, 후면부 및 상기 전면 출입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애완동물이 출입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상단 출입부
    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출입부는, 상기 개방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개방부의 개방된 부분을 개방시키는 도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출입부와 교체되어 상기 측면부와 결합되고 상기 공간의 전방을 차단하는 전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조립식 입구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부에 상기 측면부, 상기 후면부 및 상기 전면 출입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홈
    을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조립식 입구부가 결합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모래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베드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돌기부
    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외부에 결합되는 발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내부에 결합되는 공기 청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청정부는,
    상기 베드부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 및
    상기 공기를 탈취하는 탈취 필터부
    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청정부와 연통되어 상기 공기를 상기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전파가 차폐되는 복수의 차폐면
    을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차폐면에 의해 형성된 차폐 공간을 향해 전파를 송신하는 전파 송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KR1020210194187A 2021-12-31 2021-12-31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230103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187A KR20230103355A (ko) 2021-12-31 2021-12-31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US17/993,287 US20230210083A1 (en) 2021-12-31 2022-11-23 Module type pet toilet
EP22209269.4A EP4205539A1 (en) 2021-12-31 2022-11-24 Modular type pet toilet
JP2022187817A JP7414324B2 (ja) 2021-12-31 2022-11-24 モジュール型ペット用トイ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187A KR20230103355A (ko) 2021-12-31 2021-12-31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355A true KR20230103355A (ko) 2023-07-07

Family

ID=84361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187A KR20230103355A (ko) 2021-12-31 2021-12-31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10083A1 (ko)
EP (1) EP4205539A1 (ko)
JP (1) JP7414324B2 (ko)
KR (1) KR2023010335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717B1 (ko) 2017-07-10 2019-03-19 정재희 고양이 화장실
KR101968478B1 (ko) 2019-02-08 2019-04-12 박철훈 고양이용 화장실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9214A1 (en) 2005-02-03 2006-08-03 Brian Turkalo Animal waste receptacle
JP2006296288A (ja) 2005-04-20 2006-11-02 Kazuo Imai ペット用トイレ
JP5824315B2 (ja) 2011-10-14 2015-11-25 花王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WO2013160899A1 (en) 2012-04-26 2013-10-31 Shamir Global Ltd. Animal litter box
KR20150124098A (ko) * 2014-04-28 2015-11-05 강경희 고양이 화장실
KR101624467B1 (ko) 2015-09-02 2016-05-31 주식회사 도그토토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US20190327934A1 (en) 2016-11-24 2019-10-31 Sharp Kabushiki Kaisha Animal identific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animal identifica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CN111315207B (zh) 2017-10-18 2022-07-08 谱爱松有限公司 利用宠物排便装置处理宠物粪便的方法
CN207978628U (zh) * 2018-02-27 2018-10-19 派可为(上海)进出口贸易有限公司 易拆卸的密闭式猫厕所
JP6873526B1 (ja) 2019-07-23 2021-05-19 株式会社Rabo 動物の行動情報を取得するサービスを提供するサーバ
CN210641861U (zh) * 2019-08-15 2020-06-02 深圳前海霍曼科技有限公司 猫厕所
JP7275073B2 (ja) 2020-06-04 2023-05-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717B1 (ko) 2017-07-10 2019-03-19 정재희 고양이 화장실
KR101968478B1 (ko) 2019-02-08 2019-04-12 박철훈 고양이용 화장실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10083A1 (en) 2023-07-06
JP7414324B2 (ja) 2024-01-16
EP4205539A1 (en) 2023-07-05
JP2023099475A (ja)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4887B2 (ja) ペット用トイレ
JP6295365B1 (ja) 動物用トイレ
US6945193B1 (en) Cat litter holding assembly
JP6286603B1 (ja) 動物用トイレ
KR101861670B1 (ko) 고양이 화장실
US20100071628A1 (en) Portable Waste box and Absorbent Pad Holder for Housebreaking Dogs
KR101762367B1 (ko) 애완용 동물의 화장실
WO2001060147A3 (en) Sanitary pet path
US20060272590A1 (en) Cat litter box cabinet system
KR200493055Y1 (ko) 반려동물의 배설물 냄새제거용 공기청정기
US20130276715A1 (en) Litter box guard
KR20230103355A (ko)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WO2022064954A1 (ja) 動物用トイレ及び動物用トイレセット
KR20190006402A (ko) 고양이 화장실
KR200488154Y1 (ko)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TWI681712B (zh) 動物用便器
KR200238761Y1 (ko) 조립식 애완견집
CN219288410U (zh) 一种自动清洁猫砂盆
KR200407235Y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연결구조.
KR102542208B1 (ko)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
JP2002000109A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2437490B1 (ko) 고양이 화장실의 필터링 커버장치
KR102360965B1 (ko) 고양이 화장실
JP2002034380A (ja) 猫トイレ用猫の足の砂除去装置
EP2132982A2 (en) Pet toilet equipped with means for the ventilation and filtering of odou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