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154Y1 -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154Y1
KR200488154Y1 KR2020170002672U KR20170002672U KR200488154Y1 KR 200488154 Y1 KR200488154 Y1 KR 200488154Y1 KR 2020170002672 U KR2020170002672 U KR 2020170002672U KR 20170002672 U KR20170002672 U KR 20170002672U KR 200488154 Y1 KR200488154 Y1 KR 200488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et
detachable coupling
ba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432U (ko
Inventor
이효리
Original Assignee
이효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리 filed Critical 이효리
Priority to KR2020170002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5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4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4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는, 애완동물 배변 봉투가 수납되는 봉투 수납용 백; 및 상기 봉투 수납용 백에 연결되며, 리드줄 또는 리드줄 손잡이를 감싸면서 상기 리드줄 또는 상기 리드줄 손잡이에 핏(fit)되게 장착되는 장착용 핏 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Pouch for a pet waste bag}
본 고안은,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전의 후크를 이용한 단순 걸이 방식에서 벗어나 리드줄 또는 리드줄 손잡이를 감싸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 핏(fit)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는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 예컨대 반려견을 집 안에서 키우는 사람들은 반려견을 위해서 산책을 자주 시켜주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보통 하루에 1회 정도 산책을 시켜주는 것이 이상적일 수 있다.
한편, 반려견에게 산책을 잘 시켜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반려견의 산책 시 다시 말해, 애완동물을 데리고 외부에서 활동할 때는 일정한 예절을 지켜야만 한다.
물론, 최근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절 중 몇 가지가 규칙과 법으로 제안되어 있기 때문에 지키지 않을 경우, 범칙금을 내야 한다.
첫째, 목줄 착용이다. 반려견 산책 시 목줄은 꼭 착용해야 한다. 활동적인 반려견의 경우, 어디로 갈지 모르기 때문에 목줄을 착용하지 않으면 반려견을 잃어버릴 수 있고, 혹은 교통사고의 위험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개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목줄을 착용하지 않은 개는 위협적으로 느껴지기 때문이다.
둘째, 다른 동물을 함부로 만지지 않도록 하고, 가급적 사람이 많은 곳보다는 반려동물 전용 공원 시설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배면, 즉 대변을 주인이 꼭 치워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 반려견은 잦은 산책을 하면서 최대한 바깥에서 용변을 보고, 집에서는 화장실을 적은 비중으로 가는 것이 이상적이다. 바깥에서 용변을 보려고 하는 경향은 건강한 개를 의미하기도 하다.
하지만 용변, 즉 대변을 보았는데도 치우지 않는 것은 법적 처벌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불편을 끼치기 때문에 꼭 치워야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배변 봉투, 예컨대 비닐지를 소지하고 다니는 경우가 잦다.
하지만, 배변 봉투, 예컨대 비닐지를 주머니에 소지하고 다니는 것은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점에서 최근에는 목줄과 연결되는 리드줄에 배변 봉투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소지구, 즉 소형 백을 연결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대한 제품들도 출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기존에 출시되거나 출시 예정인 소지구 제품들의 대부분은 리드줄에 후크를 이용해서 거는 방식이라서 제대로 장착이 되지 않거나 흔들릴 소지가 높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0195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41602호
본 고안의 목적은, 종전의 후크를 이용한 단순 걸이 방식에서 벗어나 리드줄 또는 리드줄 손잡이를 감싸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 핏(fit)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는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애완동물 배변 봉투가 수납되는 봉투 수납용 백; 및 상기 봉투 수납용 백에 연결되며, 리드줄 또는 리드줄 손잡이를 감싸면서 상기 리드줄 또는 상기 리드줄 손잡이에 핏(fit)되게 장착되는 장착용 핏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장착용 핏 밴드는, 제1 착탈식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핏 밴드부; 및 상기 제1 착탈식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착탈식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핏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핏 밴드부와 상기 제2 핏 밴드부는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봉투 수납용 백은, 애완동물 배변 봉투가 수납되는 백 본체; 상기 백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백 본체를 개폐하는 개폐용 지퍼; 및 상기 백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백 본체의 내부가 보이게 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전의 후크를 이용한 단순 걸이 방식에서 벗어나 리드줄 또는 리드줄 손잡이를 감싸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 핏(fit)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사용상태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도로서 리드줄과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사용상태 이미지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사용상태 이미지, 도 2는 도 1의 개략도로서 리드줄과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분해도, 그리고 도 3은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100)는 종전의 후크를 이용한 단순 걸이 방식에서 벗어나 리드줄(10)을 감싸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 핏(fit)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봉투 수납용 백(110)과, 장착용 핏 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봉투 수납용 백(110)은 애완동물 배변 봉투(미도시)가 수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봉투 수납용 백(110)은 애완동물 배변 봉투가 수납되는 백 본체(111)와, 백 본체(111)의 일측에 마련되고 백 본체(111)를 개폐하는 개폐용 지퍼(112)를 포함한다.
백 본체(111)는 대략 박스(box)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애완동물 배변 봉투가 수납되기에 좋다. 애완동물 배변 봉투는 비닐지일 수도 있고 종이일 수도 있는데, 여러 장이 백 본체(111)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도면에는 편의상 딱딱하게 백 본체(111)가 도시되어 있으나 활동성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백 본체(111)는 부드러운 가죽이나 천 재질로 제작되는 편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백 본체(111)의 외측에는 별도의 장식재가 부착됨으로써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개폐용 지퍼(112)는 백 본체(111)를 개폐하는 부분이다. 개폐용 지퍼(112)로 인해 백 본체(111)를 열고, 그 내부로 애완동물 배변 봉투를 수납시키거나 애완동물 배변 봉투를 꺼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개폐용 지퍼(112)로 적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사항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개폐용 지퍼(112)는 지퍼 외에도 벨트 방식, 단추 방식, 덮개 방식 등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개폐용 지퍼(112)가 백 본체(111)의 상면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지퍼는 백 본체(111)의 측면을 비롯하여 2줄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장착용 핏 밴드(130)는 봉투 수납용 백(110)에 연결되며, 리드줄(10)을 감싸면서 리드줄(10)에 핏(fit)되게 장착되는 부분이다.
종전의 후크 걸이 방식에서 벗어나 장착용 핏 밴드(130)를 이용해서 리드줄(10)을 감싸면서 걸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 핏(fit)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장착용 핏 밴드(130)는 제1 착탈식 결합부(141)가 형성되는 제1 핏 밴드부(140)와, 제1 착탈식 결합부(14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착탈식 결합부(151)가 형성되는 제2 핏 밴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착탈식 결합부(141)와 제2 착탈식 결합부(151)는 똑딱단추의 암,수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1 핏 밴드부(140)와 제2 핏 밴드부(150)는 두 쌍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리드줄(10)에 봉투 수납용 백(110)을 안정적으로 걸어 장착시키기에 유리하다. 하지만, 제1 핏 밴드부(140)와 제2 핏 밴드부(150)는 한 쌍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의 후크를 이용한 단순 걸이 방식에서 벗어나 리드줄(10)을 감싸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 핏(fit)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200) 역시, 봉투 수납용 백(210)과, 봉투 수납용 백(210)을 리드줄(10, 도 1 참조) 또는 리드줄 손잡이(20, 도 8 참조)에 핏(fit)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용 핏 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봉투 수납용 백(210)은 애완동물 배변 봉투가 수납되는 백 본체(111)와, 백 본체(111)의 일측에 마련되고 백 본체(111)를 개폐하는 개폐용 지퍼(11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백 본체(111)의 일면에는 백 본체(111)의 내부가 보이게 하는 윈도우(213)가 마련된다.
윈도우(113)는 백 본체(111)의 일면에 형성되는 일종의 투명 비닐 부분일 수 있다. 이처럼 백 본체(111)에 윈도우(113)가 형성되면 개폐용 지퍼(112)를 열지 않더라도 백 본체(111) 내에 애완동물 배변 봉투가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관찰하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의 후크를 이용한 단순 걸이 방식에서 벗어나 리드줄(10, 도 1 참조) 또는 리드줄 손잡이(20, 도 8 참조)를 감싸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 핏(fit)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300) 역시, 봉투 수납용 백(110)과, 봉투 수납용 백(110)을 리드줄(10, 도 1 참조) 또는 리드줄 손잡이(20, 도 8 참조)에 핏(fit)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용 핏 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장착용 핏 밴드(330)는 다수의 제1 착탈식 결합부(341)가 형성되는 제1 핏 밴드부(340)와, 제1 착탈식 결합부(341)들 중 하나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착탈식 결합부(151)가 형성되는 제2 핏 밴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핏 밴드부(340)에 형성되는 제1 착탈식 결합부(341)를 다수 개로 적용하고, 제2 착탈식 결합부(151)가 이들 중 하나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헐렁이지 않게 장착할 수 있고 장착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의 후크를 이용한 단순 걸이 방식에서 벗어나 리드줄(10, 도 1 참조) 또는 리드줄 손잡이(20, 도 8 참조)를 감싸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 핏(fit)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400) 역시, 봉투 수납용 백(110)과, 봉투 수납용 백(110)을 리드줄(10, 도 1 참조) 또는 리드줄 손잡이(20, 도 8 참조)에 핏(fit)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용 핏 밴드(4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장착용 핏 밴드(430)는 다수의 제1 착탈식 결합부(441)가 형성되는 제1 핏 밴드부(440)와, 제1 착탈식 결합부(441)들 중 하나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착탈식 결합부(451)가 형성되는 제2 핏 밴드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2 핏 밴드부(450)에는 제2 핏 밴드부(450)에 탄성 강도를 제공하는 탄성 강도 제공용 주름부(452)가 더 형성된다. 이처럼 제2 핏 밴드부(450)에 탄성 강도 제공용 주름부(452)가 형성되면 제1 핏 밴드부(440)와 제2 핏 밴드부(450) 간의 결합력이 더욱 세질 수 있고, 리드줄 손잡이(20, 도 8 참조)가 다소 굵더라도 장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의 후크를 이용한 단순 걸이 방식에서 벗어나 리드줄(10, 도 1 참조) 또는 리드줄 손잡이(20, 도 8 참조)를 감싸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 핏(fit)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500) 역시, 봉투 수납용 백(110)과, 봉투 수납용 백(110)을 리드줄(10, 도 1 참조) 또는 리드줄 손잡이(20, 도 8 참조)에 핏(fit)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용 핏 밴드(4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장착용 핏 밴드(530)는 제1 착탈식 결합부(541)가 형성되는 제1 핏 밴드부(540)와, 제1 착탈식 결합부(54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착탈식 결합부(551)가 형성되는 제2 핏 밴드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착탈식 결합부(541)와 제2 착탈식 결합부(551)를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벨크로로 적용하고 있는데, 이처럼 벨크로가 적용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의 후크를 이용한 단순 걸이 방식에서 벗어나 리드줄(10, 도 1 참조) 또는 리드줄 손잡이(20, 도 8 참조)를 감싸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 핏(fit)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의 사용상태 이미지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600)는 봉투 수납용 백(610)과 장착용 핏 밴드(6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착용 핏 밴드(630)에 의해 리드줄 손잡이(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장착용 핏 밴드(63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한 쌍으로 적용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리드줄 20 : 리드줄 손잡이
100 :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110 : 봉투 수납용 백
111 : 백 본체 112 : 개폐용 지퍼
130 : 장착용 핏 밴드 140 : 제1 핏 밴드부
141 : 제1 착탈식 결합부 150 : 제2 핏 밴드부
151 : 제2 착탈식 결합부

Claims (3)

  1. 애완동물 배변 봉투가 수납되는 봉투 수납용 백; 및
    상기 봉투 수납용 백에 연결되며, 리드줄 또는 리드줄 손잡이를 감싸면서 상기 리드줄 또는 상기 리드줄 손잡이에 핏(fit)되게 장착되는 장착용 핏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용 핏 밴드는,
    제1 착탈식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핏 밴드부; 및
    상기 제1 착탈식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착탈식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핏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핏 밴드부와 상기 제2 핏 밴드부는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1 핏 밴드부와 제2 핏 밴드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착탈식 결합부와 제2 착탈식 결합부는 상호 결합가능하도록 똑딱단추의 암, 수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착탈식 결합부를 다수개로 적용하고, 상기 리드줄 또는 리드줄 손잡이를 감싸면서 핏되게 장착되도록 제2 착탈식 결합부는 다수개로 적용되는 제1 착탈식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핏 밴드부에 탄성 강도를 제공하는 탄성 강도 제공용 주름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수납용 백은,
    애완동물 배변 봉투가 수납되는 백 본체;
    상기 백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백 본체를 개폐하는 개폐용 지퍼; 및
    상기 백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백 본체의 내부가 보이게 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KR2020170002672U 2017-05-31 2017-05-31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KR200488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672U KR200488154Y1 (ko) 2017-05-31 2017-05-31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672U KR200488154Y1 (ko) 2017-05-31 2017-05-31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32U KR20180003432U (ko) 2018-12-10
KR200488154Y1 true KR200488154Y1 (ko) 2018-12-21

Family

ID=6466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672U KR200488154Y1 (ko) 2017-05-31 2017-05-31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5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861A (ko) 2022-06-28 2024-01-04 김건 자동 리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68Y1 (ko) * 2010-06-03 2011-01-14 최광용 애완동물용 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6304A1 (de) 1988-05-13 1989-11-23 Merck Patent Gmbh Fotoinitiator-copolymere
US5447227A (en) * 1993-07-08 1995-09-05 Kosberg; Robert Carrying device for pet supplies
JPH0730655U (ja) * 1993-12-01 1995-06-13 紀昭 永坂 ペット用排泄物処理具付き小バック
KR20020001954A (ko) 2000-06-22 2002-01-09 구은희 인터넷을 이용한 꽃배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68Y1 (ko) * 2010-06-03 2011-01-14 최광용 애완동물용 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32U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3462B1 (en) Organizer for taking dogs for walks
KR200398002Y1 (ko) 애완 동물 운반용 가방
US20150144072A1 (en) Modular leash accessory system
US20190021281A1 (en) Animal Garment
US4095562A (en) Animal refuse container
US4353330A (en) Pocket breeches for use by a domestic animal such as a dog
KR200488154Y1 (ko)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US9556571B1 (en) Foldable portable excrement pick-up device
JP5897103B1 (ja) 携帯型マスクポーチ
KR101984821B1 (ko) 배변봉투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옷
JP7357403B2 (ja) ペットの排泄物のための携帯用バッグ
JP4272163B2 (ja) ペット用バッグ
KR200480794Y1 (ko) 휴대용 백이 구비된 힙시트
KR100827203B1 (ko) 휴대용 애완동물 가방
KR200389996Y1 (ko) 애완견용 대변수거 장치
KR200351921Y1 (ko) 애완동물용 운반가방
KR20060109015A (ko) 애완견용 대변수거 장치
KR102129166B1 (ko) 반려동물용 보관장치
KR200398337Y1 (ko) 애완견용 대변수거 장치
JP3138875U (ja) ペット用キャリーバッグ
KR20200000080U (ko) 애완동물용 가방
KR100616421B1 (ko) 남성용 팬티
KR102583665B1 (ko) 애완견용 하네스 결합형 침대 가방
KR102177943B1 (ko) 애완견용 배변장치에서의 배변 뒤처리 물품 보관장치
KR102448548B1 (ko) 앞치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