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548B1 - 앞치마 - Google Patents

앞치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548B1
KR102448548B1 KR1020190118584A KR20190118584A KR102448548B1 KR 102448548 B1 KR102448548 B1 KR 102448548B1 KR 1020190118584 A KR1020190118584 A KR 1020190118584A KR 20190118584 A KR20190118584 A KR 20190118584A KR 102448548 B1 KR102448548 B1 KR 102448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opening
pocket
user
ap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528A (ko
Inventor
서말희
Original Assignee
서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말희 filed Critical 서말희
Priority to KR102019011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5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1Pocke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Abstract

장애인이나 노약자와 같이 식사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흘리는 경우, 흘려지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수용하였다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에 의해 사용자의 옷 또는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디, 바디의 상단 테두리에 연결된 목끈, 바디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흘리는 음식물을 수용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포켓부 및 바디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되, 포켓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포켓부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마련하여, 위생적인 식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앞치마{Apron}
본 발명은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이나 노약자와 같이 식사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흘리는 경우, 흘려지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수용하였다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앞치마는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음식이 옷에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많은 사람들이 착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장애인이나 노약자와 같이 식사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의 도움을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식사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기존의 앞치마를 착용하여 식사를 하는 경우, 음식을 섭취하면서 흘리는 음식물이 앞치마에 걸리지 않고 바닥이나 바지에 떨어질 뿐만 아니라 흘린 음식물에 의해 앞치마가 오염되므로, 세탁을 자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식물 섭취시 흘려지는 음식물을 수용하여 바닥 또는 바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앞치마가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제안된 앞치마는 수용된 음식물의 용이한 배출 및 세척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랐고, 수용된 음식물을 오랜기간 수용함에 따라 앞치마에 냄새 및 자국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2011-0009584호(2011.10.10. 공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애인이나 노약자와 같이 식사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흘리는 경우, 흘려지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수용하였다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앞치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수용된 음식물을 용이하게 배출하고 세척 가능하도록 하여 냄새 및 자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앞치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앞치마는 음식물에 의해 사용자의 옷 또는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단 테두리에 연결된 목끈; 상기 바디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흘리는 음식물을 수용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포켓부; 및 상기 바디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포켓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포켓부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앞치마에 의하면, 장애인이나 노약자와 같이 식사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흘리는 경우, 흘려지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수용하였다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인 식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수용된 음식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처리시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용이한 세척도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냄새 및 자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앞치마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앞치마의 포켓부 및 개폐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앞치마는 장애인이나 노약자와 같이 식사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착용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린이나 환자 또는 일반인에게도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앞치마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앞치마(1)는 장애인이나 노약자와 같이 식사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는 경우, 흘리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수용하였다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바디(10), 목끈(20), 허리끈(30), 포켓부(40) 및 개폐부(50)를 포함한다.
바디(10)는 장애인이나 노약자와 같이 식사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하 사용자)의 앞부분을 가려 식사시 흘리는 음식물에 의해 사용자의 옷(상의 또는 하의)이나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바디(10)는 합성섬유 및 면직물 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상의 또는 하의를 가릴 수 있는 일정형상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목끈(20)은 바디(10)의 상단 테두리 일측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목끈(20)은 바디(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양단이 매듭지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바디(10)를 목에 걸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목끈(20)은 양단이 매듭지어 짐에 따라 사용자가 바디(10)를 목에 걸 수 있도록 한다고 설명하였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목끈(20)은 사용자가 바디(10)를 착용할 수 있는 구조 또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이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예컨대, 목끈(20)의 양단에는 밸크로 파스너가 구성되어 상호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바디(10)를 목에 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허리끈(30)은 바디(10)의 양측 테두리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허리끈(30)은 목끈(2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바디(10)가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둘러매질 수 있도록 한다. 즉, 허리끈(30)은 양단이 매듭지어 짐에 따라 사용자가 허리 부분에 둘러매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허리끈(30)은 양단이 매듭지어 짐에 따라 사용자가 바디(10)를 허리 부분에 둘러맬 수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허리끈(30)은 사용자가 바디(10)를 허리부분에 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 및 형태이던 문제가 되지 않으며, 예컨대 양단이 상기 목끈(20)과 같이 벨크로 파스너로 구성되어 상호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바디(10)를 허리 부분에 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포켓부(40)는 바디(10)의 전면 일측에 바디(10)와 일체화된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바디(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흘리는 음식물을 수용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포켓부(40)는 바디(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흘리는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고, 용이하게 배출 및 세척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개폐부(50)는 바디(1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되, 포켓부(40)의 아래에 위치하여 포켓부(40)의 하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 개폐부(50)는 바디(10)의 전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양단이 포켓부(40)의 하단 양측과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포켓부(40) 및 개폐부(50)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앞치마의 포켓부 및 개폐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앞치마(10)의 포켓부(40)는 수용개구(41), 배출개구(42), 접힘부(43), 와이어(44) 및 제1 접합부(45)를 포함한다.
수용개구(41)는 포켓부(40)의 상부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흘리는 경우, 흘려진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용개구(41)는 접힘부(43)의 폭에 따라 크기가 변형될 수 있다. 또, 도면에는 수용개구(41)가 대략 장방형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 사용자가 흘리는 음식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배출개구(42)는 포켓부(40)의 하부에 형성되고, 수용개구(41)에 의해 수용된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출개구(42)는 수용개구(41)와 마찬가지로 접힘부(43)의 폭에 따라 크기가 변형될 수 있다. 또, 수용개구(41)와 마찬가지로 대략 장방형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수용개구(41)의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접힘부(43)는 포켓부(40)의 양측에 구성되어, 포켓부(40)가 바디(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펼쳐지거나 포개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접힘부(43)는 바디(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펼쳐지는 경우, 포켓부(40) 내부의 수용공간(미도시)을 더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포켓부(4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접혀짐에 따라 포켓부(40)가 포개지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접힘부(43)는 바디(10) 및 포켓부(4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44)는 포켓부(40)의 상부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수용개구(41)의 개구범위를 조절하거나, 수용개구(4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와이어(44)는 사용자가 임의 형상으로 조절함에 따라 그 형상을 유지 및 변경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제1 접합부(45)는 포켓부(40)의 일면 즉, 도면을 기준으로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접합부(45)는 개폐부(50)에 구비된 제2 접합부(55)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수단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 벨크로와 같이 부착되었다가 떼어지는 형태의 실시 예도 가능하다.
다음, 개폐부(50)는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모양과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펼쳐짐에 따라 배출개구(42)를 개방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부(40)의 전면 일부를 덮음에 따라 배출개구(42)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부(50)는 포켓부(40)의 전면 일부를 덮기 위해 즉, 배출개구(42)를 폐쇄하기 위해, 포켓부(40)에 구비된 제1 접합부(45)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접합부(55)가 일면에 구비된다. 여기서, 제2 접합부(55)는 예컨대 암단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 제1 접합부(45)의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개폐부(50)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함에 있어 음식물을 흘리는 경우, 제2 접합부(55)가 제1 접합부(45)에 결합되어 포켓부(40)의 전면 일부를 덮게 됨에 따라, 배출개구(42)를 폐쇄한다. 이로 인해, 포켓부(40)가 흘려지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포켓부(40)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개폐부(5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시킨다. 즉, 포켓부(40)와 결합되어 있는 개폐부(50)를 떼어내기 위해, 제1 접합부(45)와 결합된 제2 접합부(55)를 분리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배출개구(42)가 개방됨에 따라, 포켓부(4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은 자중에 의해 하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앞치마(1)는 장애인이나 노약자와 같이 식사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흘리는 경우, 흘려지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수용하였다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인 식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앞치마(1)는 수용된 음식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처리시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용이한 세척도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냄새 및 자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앞치마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앞치마
10: 바디 20: 목끈
30: 허리끈 40: 포켓부
41: 수용개구 42: 배출개구
43: 접힘부 44: 와이어
45: 제1 접합부 50: 개폐부
55: 제2 접합부

Claims (5)

  1. 음식물에 의해 사용자의 옷 또는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단 테두리에 연결된 목끈;
    상기 바디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흘리는 음식물을 수용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포켓부; 및
    상기 바디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포켓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포켓부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부에는 상기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흘리는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개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개구에 의해 수용된 상기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포켓부의 하면이 절개된 형태의 배출개구가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출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포켓부에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접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 접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접합부가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펼쳐지거나 포개지도록, 양측에 접힘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의 상부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개구의 개구범위를 조절하거나, 상기 수용개구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양측 테두리에는 허리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치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18584A 2019-09-26 2019-09-26 앞치마 KR102448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584A KR102448548B1 (ko) 2019-09-26 2019-09-26 앞치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584A KR102448548B1 (ko) 2019-09-26 2019-09-26 앞치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528A KR20210036528A (ko) 2021-04-05
KR102448548B1 true KR102448548B1 (ko) 2022-09-28

Family

ID=7546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584A KR102448548B1 (ko) 2019-09-26 2019-09-26 앞치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5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629B1 (ko) * 2014-07-25 2015-11-09 황선초 농산물 수확용 앞치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584U (ko) 2010-04-02 2011-10-10 주식회사 씨앤씨 일회용 에이프런
KR20190077643A (ko) * 2017-12-26 2019-07-04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청결 앞치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629B1 (ko) * 2014-07-25 2015-11-09 황선초 농산물 수확용 앞치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528A (ko)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6047B1 (en) Infant holding garment
US6110156A (en) Ostomy bag garment
JP2001207301A (ja) 保護構造を有する猿股
EP2114194B1 (en) Amenities case
US2563161A (en) Infant's garment
US20190343192A1 (en) Water proof bib for infant dining table
US20190133204A1 (en) Bib with protective collar
KR102448548B1 (ko) 앞치마
US20150074874A1 (en) Garment with improved fly opening and related system
US2479154A (en) Bib
KR102054895B1 (ko) 휴대용 유아침대 기저귀 가방
KR101530480B1 (ko) 유아용품용 백팩
US9320304B1 (en) Food apron
US2241959A (en) Baby pants and pad
KR20170003721U (ko) 턱받이
KR20190077643A (ko) 청결 앞치마
GB2454257A (en) Baby feeding and handling apron
KR200493861Y1 (ko) 아기띠 고정끈이 구비된 육아용품 휴대 가방
KR101402902B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JP3098121U (ja) 介護用使い捨てエプロン
KR200316958Y1 (ko) 일회용 앞치마
US5701712A (en) Double-top garment
JP4051501B2 (ja) 災害非常時や、野外、車内等で、人に見られずできる折畳み携帯トイレ
JP3061091U (ja) 幼児被服
JP2024003318A (ja) 下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