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965B1 - 고양이 화장실 - Google Patents

고양이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965B1
KR102360965B1 KR1020190146403A KR20190146403A KR102360965B1 KR 102360965 B1 KR102360965 B1 KR 102360965B1 KR 1020190146403 A KR1020190146403 A KR 1020190146403A KR 20190146403 A KR20190146403 A KR 20190146403A KR 102360965 B1 KR102360965 B1 KR 102360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clined portion
scratcher
cat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225A (ko
Inventor
최주희
Original Assignee
최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주희 filed Critical 최주희
Priority to KR102019014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9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은, 내부에 모래가 수용되며 상부에 출입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래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양이 화장실{TOILET FOR CAT}
본 발명은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고양이 화장실은 크게 평판형과 좌변기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좌변기형은 반려묘가 모래를 묻는 행위를 하지 못하여 스트레스를 받게되는 문제가 있고, 평판형은 반려묘가 본능에 따라 용변 후 모래를 묻는 행위를 할 수 있으나 모래를 사용할 때에 주변으로 튀는 문제와 이동 시 발에 묻은 모래가 실내 여기저기에 흩어지게 됨에 따라 사막화가 발생하여 반려인의 불편함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삭제
(0001)미국 특허공보 US6431119(2002.08.1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변 후 고양이 발에 묻은 모래에 의해 사막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은, 내부에 모래가 수용되며 상부에 출입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래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부로 개방된 박스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모래가 수용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을 이루며 상기 출입구를 형성하는 경사부를 갖고 상기 제1케이스 상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부로 돌출된 체결돌기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스크래쳐는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체결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출입구에서 상부로 돌출된 가림벽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래쳐는 상기 가림벽과 상기 경사부 둘레에 구비되는 측벽이 구현하는 수용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출입구를 향해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는 상단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케이스는 하단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가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를 상호 밀착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외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수납용기 및 상기 수납용기 내에 수납되는 모래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용변 후 고양이 발에 묻은 모래에 의해 사막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양이 화장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능행동인 발톱갈이를 통해 놀이효과와 스트레스 해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양이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고양이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의 고양이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고양이 화장실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고양이 화장실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양이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고양이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고양이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고양이 화장실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고양이 화장실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1)은 케이스(10), 스크래쳐(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내부에 모래(S)가 수용되며 상부에 출입구(18)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는 상부로 개방된 박스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모래(S)가 수용되는 제1케이스(11) 및 제1케이스(11) 상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케이스(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12)는 케이스(10)의 상면을 이루며 제1케이스(11)의 내부를 덮을 수 있는 경사부(16)를 가지며, 경사부(16)에는 고양이가 케이스(1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구(18)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6)는 출입구(18)를 향해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부(16)는 상부로 돌출된 체결돌기(17)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박스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10)는 원통 형상, 다각 형상의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제1케이스(11)는 제2케이스(12)와 마주하는 상단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플랜지부(13)를 구비하고, 제2케이스(12)는 제1케이스(11)와 마주하는 하단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부(1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플랜지부(13)와 제2플랜지부(14)는 제2케이스(12)가 제1케이스(11) 상에 안정적으로 놓여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케이스(11)와 상기 제2케이스(1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플랜지부(13)와 제2플랜지부(14)가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제1플랜지부(13)와 제2플랜지부(14)를 원터치 방식으로 상호 밀착고정시키는 고정수단(15)을 외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수단(15)을 제1플랜지부(13)와 제2플랜지부(14) 중 어느 하나에 걸림고정시킴으로써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가 일체형을 이루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15)을 케이스(1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 걸림고정을 해제시킴으로써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가 상호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1케이스(11) 내에 수용되는 모래(S)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케이스(10)에 대한 청소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케이스(10)의 외측면에는 수납용기(3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납용기(30)는 제2플랜지부(14)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수납용기(30) 내에는 모래삽(40)이 수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케이스(10)의 외측면에는, 예를 들어, 몬드리안의 작품과 같은 명화(D)를 넣어 가구 배치시에 디자인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스크래쳐(20)는 케이스(10)의 상면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스크래쳐(20)는 체결돌기(17)가 체결되는 체결홈(21)을 구비할 수 있다. 스크래쳐(20)는 체결홈(21)에 체결돌기(17)가 삽입되는 구조로 체결되어 경사부(16)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래쳐(20)를 교체하거나 청소할 필요가 있는 경우, 스크래쳐(20)를 케이스(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고양이 화장실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경사부(16)는 출입구(18)에서 상부로 돌출된 가림벽(19)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경사부(16)가 체결돌기(17)를 구비하는 구조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돌기(17)가 생략되고, 대신에 출입구(18)를 따라서 가림벽(19)이 경사부(16) 상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가림벽(19)은 경사부(16) 둘레에 구비되는 측벽과 함께 스크래쳐(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수용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래쳐(20)는 경사부(16) 상에 안착되어 가림벽(19)과 경사부(16) 둘레의 측벽이 구현하는 수용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래쳐(20)는 체결홈(21)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양이 화장실(1)을 사용할 때에 고양이는 케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출입구(18)를 통해 내부로 들어갈 수 있고, 용변 후에는 본능에 따라 모래(S)를 묻어 처리할 수 있다.
이후, 고양이는 출입구(18)를 통해 외부로 나올 수 있는데, 케이스(10)의 경사부(16)에 구비되는 스크래쳐(20)를 밟고 올라서야 하므로, 고양이 발에 묻은 모래(S)는 스크래쳐(20)에 의해 떨어져 경사부(16)의 경사면을 따라서 출입구(18)로 이동되어 케이스(10)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고양이는 발톱갈이를 위해 본능에 따라 스크래쳐(20)를 긁는 행위를 하기 때문에 발에 묻은 모래(S)는 보다 확실하게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발톱갈이를 통해 놀이효과를 얻을 수 있고,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스크래쳐(20)의 재질 및 구조에 따라서 모래(S)는 스크래쳐(20)에 달라붙어 출입구(18)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스크래쳐(20)를 케이스(10)에서 분리하여 모래(S)가 떨어지도록 털어준 후 다시 케이스(10)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1)은 '동물행동풍부화'를 구현하는데 적합하다. 동물행동풍부화란 해당하는 동물의 야생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그에 맞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며, 이는 해당 동물의 본능을 충족시켜 스트레스가 완화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나타나는 정형행동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행동풍부화는 사람과 동물의 공존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본 발명은 이를 활용해 고양이의 본능인 모래사용과 발톱갈이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고양이 화장실
10... 케이스
11... 제1케이스
13... 제1플랜지부
12... 제2케이스
14... 제2플랜지부
15... 고정수단
16... 경사부
17... 체결돌기
18... 출입구
19... 가림벽
20... 스크래쳐
21... 체결홈
30... 수납용기
40... 모래삽

Claims (7)

  1. 내부에 모래가 수용되며 상부에 출입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래쳐;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부로 개방된 박스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모래가 수용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을 이루며 상기 출입구를 형성하는 경사부를 갖고 상기 제1케이스 상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출입구를 향해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스크래쳐는 상기 경사부를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는 고양이 화장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부로 돌출된 체결돌기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스크래쳐는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체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출입구에서 상부로 돌출된 가림벽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래쳐는 상기 가림벽과 상기 경사부 둘레에 구비되는 측벽이 구현하는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는 상단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케이스는 하단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가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를 상호 밀착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외측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수납용기 및 상기 수납용기 내에 수납되는 모래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
KR1020190146403A 2019-11-15 2019-11-15 고양이 화장실 KR102360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403A KR102360965B1 (ko) 2019-11-15 2019-11-15 고양이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403A KR102360965B1 (ko) 2019-11-15 2019-11-15 고양이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225A KR20210059225A (ko) 2021-05-25
KR102360965B1 true KR102360965B1 (ko) 2022-02-09

Family

ID=7614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403A KR102360965B1 (ko) 2019-11-15 2019-11-15 고양이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9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76756A1 (en) * 2012-09-20 2014-03-20 Robert Sweetman Scoop holder for holding a scoop device adapted to scoop cat litter from a cat litter bo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coop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8509A (en) * 1995-11-08 1997-10-21 Dillon; Charles E. All-in-one litter box, sleeping area, and food and water bowl system useable as a pet carrier
US6431119B1 (en) 2000-11-02 2002-08-13 Cyndi M. Beymer Multi-purpose cat structure
US6615765B1 (en) * 2002-06-10 2003-09-09 Stephen P. Thomas Pet toil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76756A1 (en) * 2012-09-20 2014-03-20 Robert Sweetman Scoop holder for holding a scoop device adapted to scoop cat litter from a cat litter bo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coop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225A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6623B1 (en) Tray for an internally ballasted rodent bait station
US4658536A (en) Bait station
US6945193B1 (en) Cat litter holding assembly
US4517920A (en) Domestic pets' chamberpot
TWI735427B (zh) 動物用便器
US20060249086A1 (en) Multiple function animal furniture system
US5964190A (en) Pet shelter
US20070000448A1 (en) Multiple function animal furniture system
US5988110A (en) Pet enclosure with waste tray
US20140183886A1 (en) Waste scoop containment system
US20210015090A1 (en) Bait station and insert
US10624309B2 (en) Cat litter box
US20060272590A1 (en) Cat litter box cabinet system
US20130133583A1 (en) Cat Litter Box Cabinet System
JP2020022414A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2360965B1 (ko) 고양이 화장실
US20200245588A1 (en) Cat litter box
JPH1056902A (ja) 齧歯類等の小動物の観賞用飼育器
US20130276714A1 (en) Pet Litter Box
US20090260579A1 (en) Low profile cage with refuse catcher
JP2005185189A (ja) げっ歯類飼育用使い捨てケージ
JP2022056665A (ja) ペット用ケージ
JP6560084B2 (ja) 猫用トイレ
JP6583646B2 (ja) 蜜蜂巣箱
JP5846843B2 (ja) ペット用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