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198B1 -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198B1
KR101282198B1 KR1020120150841A KR20120150841A KR101282198B1 KR 101282198 B1 KR101282198 B1 KR 101282198B1 KR 1020120150841 A KR1020120150841 A KR 1020120150841A KR 20120150841 A KR20120150841 A KR 20120150841A KR 101282198 B1 KR101282198 B1 KR 101282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ensor
supply pipe
toi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주환
Original Assignee
노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주환 filed Critical 노주환
Priority to KR102012015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198B1/ko
Priority to CN201380013716.9A priority patent/CN104168762A/zh
Priority to US14/385,169 priority patent/US20150053140A1/en
Priority to JP2015500363A priority patent/JP2015509735A/ja
Priority to PCT/KR2013/002035 priority patent/WO201313765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는,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되는 네트 및, 상기 네트로부터 유입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 받이와, 입수 모듈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변 받이에 유입하는 입수관 및, 상기 배변 받이의 청소 후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수신 센서에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센서가 장착된 발신 센서부를 포함하는 배변기; 수조 공급관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물을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공급공과 상기 입수관을 연결하되 일 측에 개폐 가능한 체크 밸브가 설치된 공급관 및, 상기 발신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센서가 구비된 입수 모듈; 상기 입수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입수 모듈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배수관을 통해 오수를 유입하여 임시 저장하는, 배수 모듈 및, 상기 발신 센서와 수신 센서의 센싱을 통한 감지 신호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체크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MODULE TYPE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본 발명은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애완동물의 배변(소변) 후 자동으로 배변기를 청소하는 입수 및 배수 시스템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되 배변기에 청소용 물을 공급하는 입수 모듈과 배변기를 청소한 물이 수집되는 배수 모듈이 모듈 결합에 의한 탈착 방식으로 조립됨과 동시에 배수 모듈 없이 입수 모듈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실내, 거실, 베란다와 같이 배수 시설이 없는 시설은 물론 화장실과 같이 배수 시설이 갖추어진 장소에서도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고, 애완동물을 보다 디테일하게 감지하는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애완동물을 키울 때 위생에 신경을 써야 하는데, 물론 털갈이를 하는 애완동물의 털을 청소하는 것이 중요하나 가장 중요한 것은 애완동물의 배변 장소를 지정하고 애완동물이 특정 배변 장소에서 배변을 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화장실 바닥에서 애완동물이 배변을 하도록 훈련받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재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배변기가 출시되어 청소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공지의 배변기는 배변 받이와 네트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이 네트 상에 안착하여 대소변을 보면 주인이 네트 상의 대변을 수거하고 네트의 통공을 통해 배변 받이에 모인 소변을 별도로 수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그런데, 네트 상에 모인 대변은 수거하기 용이한 편에 속하나 소변의 경우 배변받이에 모이기 때문에 내트를 분리핸 다음 네트와 함께 배변받이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청소를 게을리 할 경우 악취가 실내에 잔류하는 위생상 문제가 따랐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배변기 청소장치가 국내외 특허를 통해 게시되고 있는데 특히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이 된 한국 특허 제 1178799호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의 경우 배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입수 모듈과 배변기를 청소한 물이 수집되는 배수 모듈이 조립식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이용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 기술에 의하면,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 간의 탈착 결합 관계의 편의성을 부여할 뿐 아니라 물이 지나는 관로의 연결 및 해제, 방수 처리를 추구할 뿐 아니라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다는 특성을 강조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의 탈착 관계 및 관로의 방수 처리에 대한 특징을 통해 특허를 받은 것인데, 만일 화장실, 베란다와 같이 배수 시설이 갖추어진 장소에서는 굳이 배수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입수 모듈만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배수 모듈 없이 입수 모듈만 사용할 때 입수 모듈이 안정적으로 기립 지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입수 모듈을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데 약간의 불편함이 따르는 것이 사실이다.
더불어, 센서 방식에 의하여 애완동물이 배변기 상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애완동물을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는 일 방향 발신 센서, 즉 발신 센서와 수신 센서가 원격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은 센서 구성에 의하면 검은 털을 가진 애완동물이 적외선을 흡수하거나 베란다와 같이 밝은 빛이 조사되는 장소에서 잦은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따르고, 더불어 초음파 방식 역시 주변의 다른 사람 등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 에러가 발생하는 단점이 지적된다.
따라서,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 간의 모듈식 결합 관계를 유지하되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이 분리되었을 때 입수 모듈의 독자적 사용 환경을 강화할 뿐 아니라 주변 물체의 움직임 내지 애완동물의 털 색깔, 주변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애완동물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를 개량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애완동물용 배변기의 자동 세척 기능을 제공하되 배변기에 청소용 물을 공급하는 입수 모듈과 청소 후 물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모듈 간 간편한 탈착 결합 방식을 제공하여 설치의 편의성을 제공하되, 화장실과 같이 배수 시설이 기본적으로 구비된 장소에서 배수 모듈 없이 입수 모듈만으로 안정적으로 배변기를 청소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애완동물의 털 색상, 주변광, 주변 물체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배변기의 일 측에 발신 센서를 구비하고 이 대향 측인 본체, 즉 입수 모듈의 정면에 수신 센서를 구비함으로 발신부 및 수신부를 분리형 구조로서 애완동물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인식 오류를 획기적으로 줄인 상태에서 배변기에 청소용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을 탈착할 때 공급관을 실링 처리하는 탈착부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입수 모듈의 일 측에 공급관의 회전을 방지하는 탈착식 바(bar)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입수 모듈에서 배변기로 배수하는 물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하여 밸콘 밸브 및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제공하여, 물 공급의 자동/수동 제어 방식을 추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네트 상에 애완동물의 위치 변동에 탄력적으로 적응하여 배변 청소용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는,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되는 네트 및, 상기 네트로부터 유입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 받이와, 입수 모듈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변 받이에 유입하는 입수관 및, 상기 배변 받이의 청소 후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수신 센서에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센서가 장착된 발신 센서부를 포함하는 배변기; 수조 공급관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물을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공급공과 상기 입수관을 연결하되 일 측에 개폐 가능한 체크 밸브가 설치된 공급관 및, 상기 발신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센서가 구비된 입수 모듈; 상기 입수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입수 모듈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배수관을 통해 오수를 유입하여 임시 저장하는, 배수 모듈 및, 상기 발신 센서와 수신 센서의 센싱을 통한 감지 신호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체크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신 센서부는, 케이블 및 무선 통신부 중 어느 하나의 통신 수단으로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하되, 하단에 플러그를 구비한 발신 센서; 상기 입수 모듈의 대향 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 홀을 구비한 센서 하우징;으로 구성이 되어, 상기 발신 센서가 상기 센서 하우징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입수 모듈은, 저면에 레그를 구비하되, 상기 레그가 결합부를 매개로 탈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레그 절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입수 모듈은, 상기 수조의 하부에서 상기 수조와 독립적인 공간으로 이루어진 컨트롤 하우징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공급공과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 하우징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체크 밸브는, 밸콘 밸브로 구성되되, 상기 입수 모듈의 측면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수동 개폐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컨트롤 하우징에 수용된 제 1 공급관과, 상기 제 1 공급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입수 모듈 외측으로 노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입수관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공급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공급관과 상기 입수관의 결합 부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양자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산 회전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 의하면,
1) 모듈 결합식으로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을 탈착할 수 있으면서 애완동물 감지의 정확성을 높이면서 청소의 편의성과 간편성을 제공할 수 있고,
2) 배수 모듈 없이 입수 모듈만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되 특히 경사 면에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3) 밸콘 밸브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점을 방지하면서 수동 및 자동 개폐 제어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공급관과 입수관의 결합 및 방수성은 물론 용이한 탈착 관계를 보장하되 회전 방지 바에 의해 공급관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5) 펌프의 고장에 의해 물이 넘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에서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에서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
도 3은 배변기의 저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입수 모듈의 수조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배수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에서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에서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는 애완동물이 착지 또는 안착하여 배변을 보고 이 배변을 수집하는 배변기(100)와, 상기 배변기(100)에 청소용 물을 분사하는 입수 모듈(200) 및, 배변기를 청소한 물이 수집되는 배수 모듈(300)과, 세부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0)로 구성되어 있고, 입수 모듈(200)과 배수 모듈(300)은 탈착식 기능을 제공하는 결합부에 의해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세부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100)는 애완동물의 변을 수용 및 저장하고 입수 모듈(200)의 물을 받아 청소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애완동물이 배변을 하는 곳인 네트(110)와, 애완동물의 배변을 임시 저장하는 배변 받이(120), 입수 모듈로부터 청소용 물을 공급받는 관로인 입수관(130), 청소 후 물을 외부 또는 배수 모듈로 배출하는 배수관(140), 입수 모듈(200)의 수신 센서(201)로 물체 파악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센서부(150)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네트(110)는 공지의 배변기(100)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얇은 패널 형태로 이루어져 배변 받이(120)의 상부에 탈착 방식으로 장착된다.
즉, 네트(110)는 애완동물이 올라와 배변을 할 수 있는 편평(flat)하고 넓은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배변, 특히 소변이 배변 받이(1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배변 받이(120) 내의 배변을 수거하거나 청소하기 위하여 네트(110)는 배변 받이(120)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이 된다.
배변 받이(120)는 상기 네트(110)의 통공을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주로 소변)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네트(110) 하부에 일정한 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술할 입수 모듈(200)에서 공급되는 물을 내부 공간에 분사하여 청소를 한 후 이 세척 후 물(소변 포함)을 배수 모듈(300)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40) 및 입수 모듈(200)로부터 청소용 물을 공급받는 입수관(130)이 형성되어 있다.
입수관(130)은 입수 모듈(200)에서 공급된 물을 배변 받이(120) 내 공간에 공급 및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단부에 분사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사부는 본체(200)와 접한 배변기(100)의 측부 또는 본체(200)에 배변기(100)가 접해 있는 일 측면, 배변 받이(120)의 측부 둘레 부위 중 복수의 지점, 배변 받이(120)의 바닥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바, 이 분사부는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각각 입수관(130)을 통해 입수 모듈(200)과 연결이 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기반을 가진다.
또한, 분사부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사 노즐은 특정 방향을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 방향이 세팅되어 있고 더 나아가 분사압도 결정할 수 있다. 즉, 분사 노즐은 분사부(로 진입한 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단부 지점에 설치되어 분사 방향 내지 분사압을 조절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수관(140)은 청소 후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관로 역할을 하는데, 곧바로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으나 배수 시설이 없는 장소를 위하여 배수 모듈(300)과 연결되어 배수 모듈(300)로 오수를 배출할 수 있다.
발신 센서부(150)는 적외선을 대표로 하는 물체 감지 신호를 입수 모듈(200)의 수신 센서(201)를 향해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발신 센서(151)를 포함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발신 센서(151), 센서 하우징(152), 케이블(153)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발신 센서(151)는 케이블(153)을 매개로 입수 모듈(200)의 컨트롤러(구체적으로 센서 신호 감지 모듈)와 연결이 되는 것으로, 케이블(153)을 통해 컨트롤러(400)의 유선 제어를 받음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아 물체 감지 신호를 수신 센서(201)로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발신 센서(151)는 수신 센서(201)를 향한 방향으로 센서 하우징(152)에 장착이 된다.
센서 하우징은(152)는 배변기(100)의 일 측, 구체적으로 입수 모듈(200)의 수신 센서(201)의 대향 측에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발신 센서(151)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된 플러그(154)를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 홀(15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즉, 센서 하우징(152)은 발신 센서(151)를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으로, 발신 센서(15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플러그(154)가 플러그 수용 홀(155)에 삽입되면서 발신 센서(151)가 센서 하우징(152)에 견고하게 결합 및 해제될 수 있다.
케이블(153)은 컨트롤러(센서 신호 판단모듈)와 발신 센서(151)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컨트롤러(센서 신호 판단 모듈)의 신호 처리 제어를 받으면서 센서 신호를 전달함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는 역할을 겸비할 수 있다.
입수 모듈(200)로부터 길게 연장이 되는 케이블(153)이 거치적거릴 것을 예상하여 접속 단자 형태 방식, 즉 케이블(153)의 일 측 부위가 탈착식 결합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더 나아가 케이블 없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컨트롤러(400)의 제어를 받고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장착하여 독립적인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물이 자주 묻는 배변기 청소장치의 고유 특성상 접속 단자를 구비한 케이블의 경우 단자 부위가 물이 묻을 경우 오작동 내지 고장이 일어날 우려가 높고 또한 무선 통신 방식의 센서 방식은 센싱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가 높기 때문에, 물이 묻는 경우에도 안전하고 센서 인식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선 방식의 케이블(153)을 이용하여 컨트롤러(400)와 발신 센서(151)를 연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신 센서부(150)는 배변기(100)의 네트 부위를 사이에 두고 수신 센서(201)와 애완동물의 위치 감지 센서 세트를 이루면서 원격으로 물체 인식 신호를 주고받는바, 이러한 센서의 원격 구성에 의하여 발신부와 수신부의 구분 없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물체 감지 센서 방식(초음파 등)에 비하여 오작동 문제를 방지할 뿐 아니라 특히 센서 광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검은색 털의 애완동물을 우수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자연채광이 있는 베란다 등의 시설에서도 오작동 없이 애완동물을 정확하게 인식 및 감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3은 배변기의 저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변기(100)는 지지 레그(160)에 의해 바닥에 안전하게 지지되면서 배변기(100)의 저면과 지지 레그(160)의 사이 공간으로 2개의 관이 연장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관의 직경이 지지 레그(160)의 높이와 같거나 조금 작아 관에 의하여 배변기(100)가 바닥에서 들뜨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관의 역할을 설명하면, 하나의 관은 입수 모듈(200)에서 배변기로 청소용 물을 공급하는 입수관(130)이고, 다른 하나의 관은 배변기(100)에서 청소를 한 물을 배수 모듈(300) 또는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140)이다.
특히, 도 3을 통해 이러한 관로의 배치 상태를 참조하면 입수관(130)은 배변 받이(120)의 일 측에 형성된 입수공을 통해 물을 배변 받이(120) 내로 공급하고 배수관(140)은 배수공을 통해 배수 모듈 내지 외부로 오수를 배출하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러한 입수관 및 배수관이 각각 입수공/배수공에서 이격된 거리에서 L 내지 U 자 형태로 자연스럽게 연장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입수공과 입수관(130)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관로의 길이가 짧아져 휨성이 약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다른 관로, 즉 배수관(140)에 거치적거리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입수관(130) 및 배수관(140) 모두 배변기(100)의 저면에 장착될 정도로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면서 자연스럽게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여 양자 상호 간 거치적거리는 문제를 방지할 뿐 아니라 배변기 저면에서의 배치의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변기(100)의 측면에서 저면으로 이어지는 일 부위 또는 측면과 저면의 경계 부위(또한 후술할 배수 모듈의 일 측벽 부위도 포함)에는 상기 발신 센서(151)와 연결된 케이블(153)이 배변기(10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케이블 정리를 도모하는 케이블 브라켓(170)이 형성되어 이에 케이블(153)의 일 부위를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입수 모듈의 수조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입수 모듈(20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조 형태를 가지고 있고 개방 부위는 커버(21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다. 입수 모듈(200)의 내부는 배변기(100)에 공급할 청소용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조(220)를 구비하고, 수조(220)의 바닥면에는 공급관으로 청소용 물을 배수하는 공급공(22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수조(220)의 하부에는 컨트롤 하우징(240)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컨트롤 하우징(240)은 입수 모듈(200) 전체를 보았을 때 수조(2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수조(220)와 독립된 공간을 가지는 것으로, 공급관(250) 및 체크 밸브(260), 컨트롤러(400) 및 파워 서플라이가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컨트롤 하우징(24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다시 도 2를 참조하면서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수조(220)의 상부 측벽에는 외부에서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수조 공급관(230)이 연결되는 수조 공급공(222)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특히 4개의 측벽 부위(일반적으로 수조가 직육면체 형상이므로 4개의 측벽을 구비함)에 각각 수조 공급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청소 장치가 실내 공간에 자유로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바, 다시 말해 다양한 방향에서 연장되는 수조 공급관(222)을 본 발명의 청소 장치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청소 장치의 설치 장소 선택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수 모듈(200)을 벽에 붙여놨을 경우 왼쪽 또는 오른쪽 측벽의 수조 공급공(222)에 수조 공급관(230)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하지 않는 나머지 수조 공급공(222)은 마개로 막도록 한다.
즉 수조 공급관(230)은 수조 공급공(222)을 통해 수조(220)의 내부로 연결되는 것으로, 그 내측 단에는 입수량 제어 부레(223)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입수량 제어 부레(223)는 수조(220)의 수위에 대응하여 부상함으로써 수조 공급관(230)에 경사를 부여함으로써 수조(220)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었을 때 더 이상 수조 공급관(230)을 통해 수조(220)에 물을 공급하지 않도록 하여 물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수조 공급관(230)에 경사를 부여하여 물이 수조(220) 내에 과잉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입수량 제어 부레(223)는 수조 공급관(230)의 내측 단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수조 공급관(230)과 연결될 수 있고, 누수 방지를 위해 패킹/브라켓과 같은 보조 결합 수단이 추가로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입수 모듈(200)의 일 측, 즉 배변기(100)를 향한 면의 일 측(또는 후술할 컨트롤 패널)에는 수신 센서(201)가 설치되어 있다.
수신 센서(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 센서(151)의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수신 센서(201)가 발신 센서(151)의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발신 센서(151)와 수신 센서(201) 사이의 물체, 즉 애완동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신 센서(151)와 수신 센서(201)를 원격으로 분리하여 물체 인식/감지 센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공지의 일 방향 신호 발신 방식의 센서보다 네트에 올라온 애완동물의 감지를 더욱 디테일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입수 모듈(200)의 컨트롤 하우징(260)에 내장된 공급관(250)은 수조(220)의 공급공(221)을 통해 입수된 청소용 물을 배변기(100)의 입수관(130)을 통해 배변기에 공급하는데, 체크 밸브(260)를 통하여 배변기에 공급되는 수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체크 밸브(260)의 구동 상태에 따라 배변기(100)에 입수되는 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장치는 공지의 양변기의 수조에 장착된 플러시 밸브 없이 공급공(221)을 개방 상태로 둔 다음, 체크 밸브(260)를 통하여 공급공(221)에 연결된 공급관(260)의 개폐 제어를 통하여 배변기에 공급되는 수량을 제어하는 구조를 가져, 전자식 제어 방식에 비해 오작동 문제를 방지할 뿐 아니라 보다 단순하고 직관적인 기계적 구조로 인해 수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구비한다.
체크 밸브(260)는 공급관(250)의 내부 일 측에 장착되어 공급관(250)을 개폐함으로 유량 흐름 제어를 하는 것으로, 현재 출시되어 있는 다양한 체크 밸브를 활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체크 밸브의 일 례로서 밸콘 밸브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밸콘 밸브(valcon valve)는 입수 모듈(200)의 일 측면(배면)에 스위치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컨트롤 하우징에 장착되어 공급관의 개폐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후술할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나 수동 제어도 가능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공지의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면 구동 시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여 애완동물이 쉽사리 네트(110)에 접근하지 않는 문제가 따르지만, 밸콘 밸브는 소음 없이 안정적으로 구동이 된다는 장점도 겸비한다.
즉, 후술할 컨트롤러(400)의 체크 밸브 제어 모듈에 의하여 자동 개폐 제어가 되는 것은 물론 긴급 상황(배변기 또는 배수 모듈에서 물이 넘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신속하게 공급관(250)을 개폐할 수 있는 스위치(261)를 입수 모듈(200)의 배면 일 측에 형성하고, 이 스위치(261)의 조작을 통해 곧바로 공급관(250)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밸콘 밸브를 이용한 체크 밸브(260)는 폐쇄 기능 이외에 개방 기능을 하는 개방 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는바, 이 경우 딜레이 기능을 겸비하여 개방 스위치를 조작하면 밸브가 개방되고 일정 시간(예를 들어, 20-30초) 후에 밸브가 폐쇄될 수 있도록 밸브의 개폐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밸콘 밸브에 의하여, 컨트롤러(400)에 의한 자동 제어를 받는 것은 물론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수동 제어(밸브의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입수 모듈(200)의 측벽 외부 부위로 노출 연장된 공급관(250)은 배변기(100)의 입수관(13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공급관(250)과 입수관(130)의 결합 단에 나사산과 같은 결합부를 형성하여 이 결합부의 탈착 결합(나사산 결합)을 통하여 양자의 탈착 관계를 형성하고 패킹 내지 브라켓과 같은 보조 결합 수단인 결합 보조부를 통해 실링(sealing)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공급관(250)은 컨트롤 하우징(240)에서 외부로 연장된 부위까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외부로 노출된 공급관 부위의 자유로운 회전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컨트롤 하우징(240) 내에 장착된 제 1 공급관(251)과 외부로 노출된 제 2 공급관(252)이 베어링과 같은 기계적 결합 수단에 의하여 자유 회전 결합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제 2 공급관(252)의 자유 회전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입수관(130)과의 편리한 탈착 관계를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입수 모듈(200)의 저면에는 레그(270)가 형성되어, 배수 모듈(300)이 필요 없는 설치 상황에서 입수 모듈(200)을 단독적으로 바닥에 지지할 수 있다.
즉, 화장실과 같이 배수 시설을 갖춘 장소에 본 발명의 청소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배수 모듈(300)에 오수를 굳이 수용할 필요 없이 배변기의 배수관(140)을 곧바로 화장실의 배수공에 끼워 넣어 청소 후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데, 이 때 입수 모듈(200)의 레그(270)는 입수 모듈의 안정적인 지지 기능을 수행한다.
입수 모듈(200)의 레그(270)는 도 1,2에서 보아 알 수 있듯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따른 레그(270)는 복수 개의 레그 절편(271)의 조립식 구조를 가진다. 레그 절편(271)은 일 단 내지 양 단에 결합편(272)을 구비하여 상호 결합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각각의 레그 절편(271)은 동일 길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각기 다른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레그 절편(271)에 의하여 각각의 레그(270)의 길이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청소 장치는 상술한 입수량 제어 부레(233) 및 기타 구성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입수 모듈(200)이 수평 상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황에 따라 바닥이 경사진 설치 장소에 본 발명의 청소 장치를 배치할 수도 있어 이러한 문제에서 상기 레그 절편(271)의 사용 개수를 조절함과 동시에 각기 다른 길이를 가진 레그 절편(271)의 선택을 통하여 보다 탄력적으로 본 발명의 청소 장치를 수평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다시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외부로 노출이 된 공급관(제 2 공급관(252))은 결합 보조부(280)를 매개로 입수관(130)과 결합이 될 수 있는바, 청소 및 조립/분해의 편의성을 취하여 나사산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특히 외부로 노출된 공급관(제 2 공급관)은 입수관(130)과의 편리한 결합성을 보장하기 위해 자유 회전이 가능하다고 상술한 바 있다.
그런데 외부로 노출이 된 공급관(제 2 공급관)이 외력 또는 실수로 회전이 되면, 입수관(130)과의 긴밀한 결합 관계에 방해가 되어 결합 보조부가 장착되어 있다 해도 이 사이로 물이 새어나갈 우려가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 모듈(200)의 일 측(제 2 공급관의 회전 반경 이내)에 회전 방지 바(29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외부로 노출된 공급관(제 2 공급관)의 회전 반경 이내의 입수 모듈 부위에 바 수용 홈(291)을 형성하고 이에 회전 방지 바(290)를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한다. 이 때 바 수용 홈(291)의 내주 면 및 회전 방지 바(290)의 외주 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산 결합 방식으로 양자를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 방지 바(290)는 외부로 노출된 공급관(제 2 공급관)의 불필요한 회전에 의하여 입수관(130)과 긴밀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으로, 정상 사용 시에는 회전 방지 바(290)를 바 수용 홈(291)에 끼움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된 공급관(제 2 공급관)의 회전을 방지하고, 청소를 위해 외부로 노출된 공급관을 회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바 수용 홈(291)에서 회전 방지 바(290)를 분리하여 공급관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방지 바(290)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된 공급관(제 2 공급관)과 입수관(130)과의 안전하면서 편리한 결합 관계를 보장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배수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배수 모듈(300)은 입수 모듈(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입수 모듈(2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입수 모듈(200)의 하부가 배수 모듈(300)의 상부에 안착이 되거나 입수 모듈(200)의 하부가 배수 모듈(300) 내로 수용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고, 입수 모듈(200)과 배수 모듈(300)의 결합 부위에 형성된 모듈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을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듈 결합부는 공지된 다양한 결합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듈 결합부는 추가적으로 잠금 수단을 구비하여 외력에 의해 입수 모듈(200)과 배수 모듈(300)의 결합 부위에서의 견고한 결합 관계를 보장할 수 있다.
배수 모듈(300)은 배변기(100)를 청소한 오수를 배수관(140)을 통해 임시 저장하여 청소 시에 사용자가 배수 모듈(300)에 저장된 오수를 버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펌프(310)를 구비하여 펌프(310)의 구동력으로 배변기(100)의 오수를 배수 모듈(300) 측으로 유입할 수 있다.
더불어, 외측 벽에는 케이블(153)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블 브라켓(170)을 구비하여 발신 센서(151)로부터 연장된 케이블(153)을 깔끔하게 정리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배수 모듈(300) 내에 임계 수위 라인을 구비하고, 이 임계 수위 라인 주변에 수위 감지 모듈을 설치하여 임계 수위 라인까지 수위가 차올랐을 경우 컨트롤러(400)에서 체크 밸브(260)의 개방을 차단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400)는 입수 모듈 및 배수 모듈 중 어느 하나(바람직하게는 입수 모듈의 컨트롤 하우징)에 장착이 되는 것으로서, 애완동물이 네트에 올라왔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입수 모듈(200)의 공급관(250)에 설치된 체크 밸브(본 발명에서는 밸콘 밸브를 예시)(260)의 개폐 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입수 모듈(200)에서 배변기(100)로의 배수 시간 제어를 수행하고 발신 센서(151)의 발신 신호 송출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400)는 컨트롤 패널(410), 센서 신호 파악 모듈(420), 체크밸브 개폐 제어 모듈(43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오버플로우 관리 모듈(440)을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10)은 입수 모듈(200)의 정면 부위, 즉 수신 센서(201)가 형성된 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램프(LED 램프)(411)와 입력키(412)(스위치 내지 키보드, 버튼 등)는 물론 수신 센서(201) 역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패널(410)은 램프(411)의 색상 내지 깜빡임을 통한 정상 작동 여부를 표시할 뿐 아니라, 입력 키(412)를 통하여 체크 밸브(260)의 구동 상태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아니면 자동 설정 모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센서 신호 판단 모듈(420)은 상기 센서부, 즉 발신 센서(151)와 수신 센서(201)의 센싱을 통해 감지 신호를 전송받아 해당 센서 신호가 애완동물이 본 발명의 청소장치 자체 또는 이 주변에서 배변을 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센서부는 입수 모듈(200)의 정면 부위에 구비된 수신 센서(201)와 배변기(100)의 일 측에 구비된 발신 센서(151)의 센싱에 의하여 애완동물이 배변기(100)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발신 센서(151)에서 발신한 신호를 수신 센서(201)에서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애완동물이 배변기(100) 상, 즉 네트(110)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을 하고, 발신 센서(151)에서 조사된 신호를 수신 센서(201)에서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배변기(100) 상에 애완동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센서 신호 파악모듈(420)은 발신 센서(151)와 수신 센서(201) 간의 센싱에 의하여 애완동물이 배변기(100) 상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체크 밸브 제어 모듈(430)은 상기 센서 신호 판단 모듈(420)에서 애완동물이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였을 때 별도로 구비된 타이머의 체크 기능 또는 체크밸브(밸콘 밸브)의 자체적인 타임 딜레이 기능에 의하여 일정 시간이 흐른 다음 또는 즉시 체크 밸브(260)를 개방하여 공급관(250) 및 입수관(130)을 통하여 배변 받이(120) 내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체크 밸브 제어 모듈(430)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복수 개의 세팅 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이 중 어느 하나의 세팅 모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 패널(420)의 입력 키 조작에 의하여 딜레이 시간과 수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세팅 모드는 센서부에서 애완동물의 존재를 2초 연속 감지한 후에 애완동물이 배변기(100)에서 물러난 5초 뒤에 바로 체크 밸브(260)가 개방되고, 20초 후에 자동으로 닫히는 설정 모드이다.
제 2 세팅 모드는 상기 제 1 세팅 모드와 같되, 센서부의 감지 후 다시 1초라도 재 감지를 할 경우(애완동물이 배변기에 다시 올라온 경우) 그때부터 다시 20초 후에 체크 밸브(260)가 개방 작동을 하기 시작하는 모드이다.
이러한 제 1,2 세팅 모드는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410)의 입력키(412)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를 든 세팅 모드 이외에 다양한 세팅 모드를 컨트롤러(400)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 수단(메모리 등의 저장 수단)에 기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딜레이 시간, 채크 밸브 개방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버플로우(overflow) 관리 모듈(440)은 배수 모듈(300)에 장착된 펌프(310)의 고장 등의 이유로 배변기(100)의 오수가 배수 모듈(300)로 배출되지 않고 배변기(100) 또는 입수 모듈(200)에서 물이 넘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작동 감지 센서(441), 체크 밸브 폐쇄부(442), 센서 비활성부(443), 강제 전원 차단부(444)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 감지 센서(441)는 배변기(100)의 배변 받이 및 배수 모듈(200)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일 측, 또는 배수관(140) 내에 형성되거나 펌프(310)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위 감지 센서 및 유량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위 감지 센서로 이루어지는 경우 배변 받이(120) 내지 배수 모듈(300)의 내부의 특정 지점에서 과잉 수위 여부를 측정할 수 있고, 유랑 감지 센서의 경우 배수관(130)에서 유량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진동 감지 센서는 펌프(310)의 진동에 의한 펌프의 정상 구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감지 센서(441)는 상술한 상황 판단에 의하여 궁극적으로 배변기(100) 내지 배수 모듈(300)에서 배수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그렇지 않을 경우를 감지하였을 때 이상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체크 밸브 폐쇄부(442)는 상기 작동 감지 센서(441)에서 생성한 이상 신호를 전달받았을 때 체크 밸브(260)를 닫는 기능을 수행하고, 센서 비활성부(443)는 발신 센서(151) 및 수신 센서(201)의 구동을 off 처리, 즉 비활성 처리하여 센서부가 기능을 하지 않도록 한다. 즉, 강제적으로 센서부의 기능을 차단하여 애완동물이 네트(110)에 올라와도 체크 밸브(260)를 개방할 대기 상태 내지 감지 상태를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강제 전원 차단부(444)는 체크 밸브(260)의 전자식 개방 및 센서부의 작동되지 않도록 이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다시 정상 작동을 하기 위해서는 전원 코드를 뽑았다가 일정 시간 후에 연결해야 하는 전원 분리 딜레이 시간을 요구하도록 한다.
이러한 오버플로우 관리모듈(440)에 인해, 펌프의 고장 시에 안전한 사후 대처 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최소한 원활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물이 넘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배변기 110: 네트
120: 배변 받이 130: 입수관
140: 배수관 150: 발신 센서부
151: 발신 센서 152: 센서 하우징
153: 케이블 154: 플러그
155: 플러그 수용 홀 160: 지지 레그
170: 케이블 브라켓 200: 입수 모듈
201: 수신 센서 210: 커버
220: 수조 221: 공급공
222: 수조 공급공 223: 입수량 제어 부레
230: 수조 공급관 240: 컨트롤 하우징
250: 공급관 251: 제 1 공급관
252: 제 2 공급관 260: 체크 밸브
261: 스위치 270: 레그
272: 레그 절편 273: 결합편
280: 결합 보조부 290: 회전 방지 바
291: 바 수용 홈 300: 배수 모듈
310: 펌프 400: 컨트롤러
410: 컨트롤 패널 420: 센서 신호 판단 모듈
430: 체크 밸브 제어 모듈 440: 오버플로우 관리 모듈
441: 작동 감지 센서 442: 체크 밸브 폐쇄부
443: 센서 비활성부 444: 강제 전원 차단부

Claims (9)

  1.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로서,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되는 네트 및, 상기 네트로부터 유입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 받이와, 입수 모듈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변 받이에 유입하는 입수관 및, 상기 배변 받이의 청소 후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수신 센서에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센서가 장착된 발신 센서부를 포함하는 배변기;
    수조 공급관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물을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공급공과 상기 입수관을 연결하되 일 측에 개폐 가능한 체크 밸브가 설치된 공급관 및, 상기 발신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센서가 구비된 입수 모듈;
    상기 입수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입수 모듈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배수관을 통해 오수를 유입하여 임시 저장하는, 배수 모듈 및,
    상기 발신 센서와 수신 센서의 센싱을 통한 감지 신호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체크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입수 모듈은,
    저면에 레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센서부는,
    케이블 및 무선 통신부 중 어느 하나의 통신 수단으로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하되, 하단에 플러그를 구비한 발신 센서;
    상기 입수 모듈의 대향 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 홀을 구비한 센서 하우징;으로 구성이 되어,
    상기 발신 센서가 상기 센서 하우징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결합부를 매개로 탈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레그 절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 모듈은,
    상기 수조의 하부에서 상기 수조와 독립적인 공간으로 이루어진 컨트롤 하우징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공급공과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 하우징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밸콘 밸브로 구성되되,
    상기 입수 모듈의 측면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수동 개폐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컨트롤 하우징에 수용된 제 1 공급관과, 상기 제 1 공급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입수 모듈 외측으로 노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입수관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공급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공급관과 상기 입수관의 결합 부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양자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산 회전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급관의 회전 반경 내의 상기 입수 모듈의 일 측에는,
    상기 제 2 공급관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바 수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방지 바;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수 모듈 내의 펌프의 정상 구동 여부를 감지하는 작동 감지 센서와,
    상기 작동 감지 센서에서 이상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상기 체크 밸브를 닫는 체크 밸브 폐쇄부 및,
    상기 발신 센서와 수신 센서에 전원 공급을 강제로 차단하는 강제 전원 차단부로 구성된 오버플로우 관리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9. 삭제
KR1020120150841A 2012-03-15 2012-12-21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101282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841A KR101282198B1 (ko) 2012-12-21 2012-12-21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CN201380013716.9A CN104168762A (zh) 2012-03-15 2013-03-14 模块结合式宠物用排便器清扫装置
US14/385,169 US20150053140A1 (en) 2012-03-15 2013-03-14 Modularly connected device for cleaning a pet toilet
JP2015500363A JP2015509735A (ja) 2012-03-15 2013-03-14 モジュール結合式ペット用排便器掃除装置
PCT/KR2013/002035 WO2013137651A1 (ko) 2012-03-15 2013-03-14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841A KR101282198B1 (ko) 2012-12-21 2012-12-21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198B1 true KR101282198B1 (ko) 2013-07-04

Family

ID=4899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841A KR101282198B1 (ko) 2012-03-15 2012-12-21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1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00A1 (ko) * 2014-10-08 2016-04-14 (주)신성테크 사물인터넷과 센서 기반의 벨트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1624467B1 (ko) * 2015-09-02 2016-05-31 주식회사 도그토토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102351325B1 (ko) * 2021-07-26 2022-01-14 이우영 반려동물용 배설물 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799B1 (ko) * 2012-03-15 2012-08-31 노주환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799B1 (ko) * 2012-03-15 2012-08-31 노주환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00A1 (ko) * 2014-10-08 2016-04-14 (주)신성테크 사물인터넷과 센서 기반의 벨트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1624467B1 (ko) * 2015-09-02 2016-05-31 주식회사 도그토토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WO2017039076A1 (ko) * 2015-09-02 2017-03-09 주식회사 도그토토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US10537090B2 (en) 2015-09-02 2020-01-21 Dogtoto Co., Ltd. Modular apparatus for cleaning pet toilet device
KR102351325B1 (ko) * 2021-07-26 2022-01-14 이우영 반려동물용 배설물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467B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JP2015509735A (ja) モジュール結合式ペット用排便器掃除装置
CN102625871B (zh) 空气压力激活的抽水马桶冲刷系统
US20100175625A1 (en) Self-filling and self-draining watering device
KR102145998B1 (ko) 양변기용 살균장치
RU2003126574A (ru) Туалет со слив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1282198B1 (ko)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WO2016108608A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US20190136497A1 (en) Holding tank for portable toilet
KR20160081670A (ko) 입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RU2728865C2 (ru) Устройство туалета
KR101178799B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CN102550426A (zh) 宠物狗粪便全自动处理器
RU120331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туалет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с водным ополаскиванием
CN108236472B (zh) 一种利用小便器进行尿流率检测的装置及方法
CN105821955A (zh) 污水提升系统及其控制方法
WO2023283713A1 (pt) Sanitário para animais domésticos
CN214061863U (zh) 一种负压小便器
CN202482938U (zh) 一种节水装置
CN201228372Y (zh) 浴室用水再使用装置
KR20140071000A (ko) 좌변기의 공기압식 자동물내림장치
KR101849070B1 (ko) 반려동물 생활시설
RU166209U1 (ru) Туалет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KR920008183B1 (ko)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CN220486656U (zh) 一种拔风卸污槽及抽吸排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