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070B1 - 반려동물 생활시설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생활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070B1
KR101849070B1 KR1020180006622A KR20180006622A KR101849070B1 KR 101849070 B1 KR101849070 B1 KR 101849070B1 KR 1020180006622 A KR1020180006622 A KR 1020180006622A KR 20180006622 A KR20180006622 A KR 20180006622A KR 101849070 B1 KR101849070 B1 KR 101849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nure
water
companion animal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구
Original Assignee
최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구 filed Critical 최동구
Priority to KR102018000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070B1/ko
Priority to PCT/KR2018/006557 priority patent/WO20191429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생활시설에 대한 발명으로서, 수용공간(101)이 형성되는 주거부, 상기 주거부 일측에 형성되며 반려동물이 분뇨를 방출하는 환경부, 상기 환경부 하부측에 위치되며 방출된 분뇨을 포집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자동으로 반려동물의 대소변을 처리하며, 사료를 공급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생활시설 {Residential facility of Pets}
본 발명은 반려동물 생활시설에 대한 발명으로서, 자동으로 분뇨를 처리하며, 사료를 공급하는 것에 대한 기술이다.
특허문헌 001은 애완동물 배설물의 수세식처리를 위한 변기에 대한 것이다.특허문헌 006은 애완동물의 신체적, 지능적 특성에 맞추어 애완동물이 들어가서 배설할 수 있는 변기를 만든것이며, 이를 위해 애완동물이 들어갈 수 있도록 바닥과 테두리를 형성하고, 배수장치 배수구는 선택된 순서에 의한 순차적 급수방법. 물의 급수를 자동화할 수 있는 지연센서를 사용한다. 또한 애완동물용의 변기를 좁은 장소에 설치하기 위해 다른종류의 변기와 일체형으로 하나의 변기로 설치하거나 급수와 배수장치를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특허문헌 002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사람손이 거치지않고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체와 본체에서 나오는 호스를 수세식 변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와 수세식 변기의 물탱크 안에 설치할 수 있는 자동 물내림장치로 구성되며, 본체는 크게 하단의 배설대와 상단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고 배설대와 뚜껑을 각 모서리에 지지하고있는 기둥으로 있으며, 문닫침센서를 이용하여 화장실문이 닫혀있을 경우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센서가 본체에서 비프음을 내게하며 자동화 처리가 지연되게 된다.
특허문헌 003은 애완견이 배변을 완료하면 자동으로 배변플레이트가 상승하여 세정하게 되는 구성의 애완견용 자동세정방식 배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애완견이 위치하여 배변을 하기 위한 배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배변공간이 형성된 배변부, 상기 배변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변플레이트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 분사장치가 형성된 세정장치, 및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아래에 설치되어 배변 및 세정수를 수거하기 위한 서랍방식의 수거통을 포함하는 하부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배변플레이트는 세정장치를 향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변플레이트가 수평으로 놓인 배변상태에서 애완견이 그 위에 배변할 수 있고, 애완견이 배변을 완료하여 나가고나면, 상기 배변플레이트는 자동으로 회전하여 세로로 세워지면서 배변이 상기 수거통으로 낙하하고, 상기 배변플레이트가 세로로 완전히 세워지는 세정상태로 되면 상기 세정장치가 상기 배변플레이트를 자동으로 세정한다.
특허문헌 004는 애완동물용 위생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애완동물이 스스로 올라설 수 있는 용변장소를 제공하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용변판이 본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배수공을 통해 통과된 소변을 모아 별도로 설치된 소변배출관을 통해 외부의 오수 배출라인으로 배출하도록하는 배출유도함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측에 대변 수용부가 구비되어 애완동물이 용변판에서 용변을 마치고 내려온 경우 소변은 상기 배출유도함으로 낙하하여 외부의 오수 배출라인으로 배출되고, 상기 용변판이 상기 대변수용부의 상부 개구를 향하여 세워진 경우 상기 용변판의 상부에 걸러진 대변 이상 기대변수용부로 굴러떨어져 수용된 상태에서 급수관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별도로 설치된 대변 배출관을 통해 외부의 오수 배출라인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소변과 대변을 각각 별도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어 위생적인 애완동물용 위생변기에 관한 것이다.
KR 10-2003-0029332 A (2003년04월14일) KR 10-2008-0057947 A (2008년06월25일) KR 10-1393150 B1 (2014년04월30일) KR 10-2016-0089229 A (2016년07월27일)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생활시설에 대한 발명으로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주거부, 상기 주거부 일측에 형성되며 반려동물이 분뇨를 방출하는 환경부, 상기 환경부 하부측에 위치되며 방출된 분뇨을 포집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자동으로 반려동물의 분뇨를 처리하며, 사료를 공급하는 것이 목적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수용공간(101)이 형성되는 주거부(100);, 상기 주거부 일측에 형성되며 반려동물이 분뇨를 방출하는 환경부(200);, 상기 환경부 하부측에 위치되며 방출된 분뇨를 포집하는 처리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앞에서 제시한 주거부, 환경부, 처리부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부는 판재형상이며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투과망(310);, 상기 투과망 하부에 형성되며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집관(320);, 상기 포집관과 연통되는 포집체(3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집관에 형성되며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배출수가 공급되는 투입구(340);를 포함한다.
또한, 반려동물의 생활시설은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서 일측이 상기 배출수 투입구(340)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수도관과 결합되는 공급관(341a);,을 포함하며, 또는 일측이 상기 배출수 투입구(340)와 연결되며, 타측이 배출수를 저장하는 배출수 저장통과 결합되는 공급관(341b);을 포함한다.
앞에서 제시한 반려동물 생활시설의 환경부는 반려동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감지센서(342);, 상기 공급관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밸브(343);, 상기 유무감지센서의 센서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부(344);를 포함한다.
앞에서 제시한 반려동물 생활시설의 포집체(330)는 내부에 분뇨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포집관과 연통되는 분뇨투입구(331);를 포하며, 상기 포집체(330)는 건축물 정화조와 연통되는 정화조연결관(332)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앞에서 제시한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일측이 상기 분뇨수용공간과 연통되며, 타측이 공기압축기(334) 흡입구 측에 연통되는 진공흡입관(333);, 상기 진공흡입관(333) 및 포집체(330) 사이에 형성된 진공유지밸브(335);, 상기 분뇨투입구(331)에 형성된 진공흡입밸브(3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앞에서 제시한 주거부, 환경부, 처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경부(200)와 상기 주거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개폐도어(210);, 상기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환경부의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앞에서 제시한 주거부, 환경부, 처리부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주거부는 상기 주거부 내부에 위치하는 사료공급용기(110);, 상기 주거부 내부에 위치하는 식수공급장치(120);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하나의 시설물에 주거, 분뇨방출, 분뇨처리 가능하게 하므로 일체화된 반려동물 관리시설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분뇨를 자동으로 방출하며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분뇨처리에 있어서, 배출수 이용한 자동방출 가능하므로 청결성이 높으며, 사용자의 분뇨처리 수고가 발생되는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분뇨처리에 사용되는 배출수는 상수도를 이용하며, 배출은 정화조와 연결되므로 관리의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분뇨처리는 공기압축기를 이용한 진공흡입방식을 사용하므로 소량의 배출수로 배출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활시설은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므로 사용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주거부, 환경부, 처리부의 외부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거부, 환경부, 처리부의 내부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투과망 및 포집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투과망 및 포집관의 작동관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출수 공급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처리부 실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변기 시스템에 있어서, 사람이 사용하는 주변기와 보조변기가 구비되되, 주변기와 보조변기의 오물이 배수되는 외부 배수관을 포함한다. 주변기는 사람이 사용하는 일반적인 양변기로, 제1수용부와 제1배출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수용부는 물이 임시 저장되며, 오물이 모이는 곳이며, 제1배출부는 임시 저장된 물과 오물을 배출하게 된다. 보조변기는 사람이 사용하는 일반적인 양변기와 유사한 형태로, 주변기에 비해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유사한 형태라 함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2수용부와 제2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조변기는 높이, 수평 각도 및 수직 각도 조절이 가능하거나 고정설치 될 수 있으며, 보조변기는 남성용 소변기 또는 애완용 동물의 변기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집안의 오물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주변기의 제1배출부는 제1오물 파이프를 포함하는데, 이는 사이펀이라고 부르는 'S' 형상이며, 오물에 의한 가스가 역류하여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다. 'S'형 사이펀의 끝은 외부 배수관과 연결되어 있다. 외부 배수관은 주변기와 보조변기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또한 주변기와 보조변기의 뒷부분과 같은 측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주변기와 보조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를 포함한다. 물탱크는 보통 주변기와 보조변기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수도관과 연결되어 항상 일정 수위를 유지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2에 있어서, 물탱크는 한 개의 격벽을 통해 제1물탱크 및 제2물탱크 2개의 물탱크로 구분되며, 제1물탱크은 주변기에 물을 공급하며, 제2물탱크은 보조변기에 물을 공급한다. 또한 제1물탱크와 제2물탱크는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3에 있어서, 제1물탱크와 주변기 사이는 제1물탱크의 물이 주변기에 공급되는 제1파이프가 구비되며, 제2물탱크와 보조변기 사이는 제2물탱크의 물이 보조변기에 공급되는 제2파이프가 구비된다. 이는 주변기와 보조변기의 물을 독립적으로 운용하여 물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1, 1-2, 1-3 및 1-4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변기와 보조변기는 보조변기의 제2배출부가 주변기의 'S' 형상의 사이펀으로 구성되는 제1오물 파이프 하부에 연결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1, 1-2, 1-3 및 1-4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변기가 주변기에 고정설치 될 경우는 브라켓에 의해 연결된다. L 타입의 브라켓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보조변기의 제2배출부는 'S' 형상의 사이펀으로 구성되는 제2오물 파이프를 포함하는데, 이는 주변기의 제1오물 파이프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보조변기는 제2물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경사면의 끝인 중앙에는 오물이 배출하는 제2배출구를 형성한다. 제2배출구를 통한 오물은 주변기의 제1배출부로 연결된다. 주변기의 제1배출부를 통한 오물은 외부 배수관으로 배출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3에 있어서, 제2물탱크는 보조변기의 제2수용부에 일정량의 물이 항상 고여 있도록 제2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며, 또한 분사 유닛으로 물을 공급한다. 이때 분사 유닛은 수도관과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분사 유닛은 제2물탱크 또는 수도관에 연결된 급수밸브, 분산노즐 및 펌프를 포함하며, 펌프는 급수밸브를 통해 분사노즐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보조변기의 제2배출구에는 배출 유닛이 설치되며, 배출유닛은 연결관과 연결관 작동수단을 포함한다. 연결관은 보조변기와 저장 유닛을 연결하며, 제3파이프, 제1주름관, 기밀부재, 제4파이프, 제2주름관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제3파이프는 보조변기의 제2배출구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기밀부재는 제2배출구에 대한 제3파이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2배출구와 제3파이프를 연결한다. 기밀부재는 제3파이프와 제2배출구의 사이를 기밀하여 용변과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주름관의 일단은 제3파이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4파이프에 연결된다. 제1주름관은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어 제3파이프와 제4파이프를 사이를 기밀한다. 즉, 제1주름관은 제3파이프가 제2배출구에 대해 각도 조절되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제3파이프와 제4파이프의 연결을 유지한다. 제4파이프는 제1주름관에 연결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제2주름관의 일단은 제4파이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저장탱크의 유입구에 연결된다. 제2주름관은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어 제4파이프와 유입구사이를 기밀한다. 즉, 제2주름관은 저장탱크가 회전되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제4파이프와 유입구의 연결을 유지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연결관 작동수단은 래크 기어와 피니언 기어 및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래크 기어는 제1파이프에 설치된다. 피니언 기어는 래크 기어와 맞물리도록 주변기에 설치된다. 구동모터는 피니언 기어에 연결되어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킨다.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면 래크 기어는 승강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결관 작동수단은 제4파이프를 제3배출구에 대해 움직인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저장 유닛은 저장탱크와 회전축과 중간배출관과 복귀부재와 무게추와 배기파이프 및 배기펌프를 포함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3-6에 있어서, 저장탱크는 보조변기의 하측에 배치된다. 회전축은 저장탱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저장탱크에는 배출 유닛의 제2주름관과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된다. 저장탱크는 유입구를 통해 배출 유닛의 연결관으로부터 용변과 물을 전달 받는다. 중간배출관은 저장탱크와 제2오물 파이프를 연결하고, 제2오물 파이프는 주변기의 제1배출부로 연결된다. 제1배출부는 외부의 정화조로 연결된다. 중간배출관은 자바라 형태와 같은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저장탱크를 기밀한다. 즉, 저장탱크가 회전하면서 움직이더라도 중간배출관은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저장탱크와 제오물 파이프의 연결을 유지한다. 저장탱크 내에 용변이 모아져 가득 차게 되면 저장탱크와 그 내부에 저장된 용변 및 물의 무게에 의해 저장탱크는 회전하여 한쪽으로 기울어진다.
(실시예 3-8)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3-6에 있어서, 복귀부재는 저장탱크와 지면을 연결한다. 저장탱크가 회전하여 용변을 중간배출관을 통해 모두 배출하면 복귀부재는 저장탱크를 잡아 당겨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킨다. 즉, 복귀부재는 저장탱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복귀부재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3-9)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3-6에 있어서, 무게추는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저장탱크의 용변이 가득 차기 전까지 저장탱크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즉, 무게추는 용변을 배출하기 위해 저장탱크가 회전하는 방향 반대 방향으로 저장탱크를 회전시키도록 저장탱크에 하중을 전달한다.
(실시예 3-10)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배기파이프는 중간배출관에 연결되어 저장탱크의 상부와 통하도록 설치된다. 배기펌프는 배기파이프에 연결되어 저장탱크 및 중간배출관 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실시예 3-11)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악취제거 유닛은 흡입관과 배기팬을 포함한다. 흡입관은 보조변기의 제2수용부와 연통되도록 제2수용부에 설치된다. 배기팬은 흡입관을 통하여 제2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흡입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악취제거 유닛은, 사용자가 조작 버튼을 조작하여 용변 중이거나 또는 용변을 마친 후 제2수용부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배출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에 있어서, 보조변기는 반려동물을 위한 독립적인 활용이 가능한데, 이 경우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수용공간(101)이 형성되는 주거부(100);, 상기 주거부 일측에 형성되며 반려동물이 분뇨를 방출하는 보조변기를 포함하는 환경부(200);, 상기 환경부 하부측에 위치되며 방출된 분뇨을 포집하는 처리부(300);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3-11)의 어느 하나 이상 또는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3-11)에 기재된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효과적인 분뇨처리를 위해 환경부를 형성하며, 환경부에서 분뇨의 효과적 처리를 위해 보조변기를 환경부와 연동시켰다. 또한 반려동물 자신만의 생활공간이 확보되도록 주거부를 형성하였으며, 이들은 하나의 시설물에 형성되었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 타측에 형성되는 주거부 진입로를 포함한다.
주거부 위치는 처리부 상단에 존재한다. 이는 반려동물의 주거부 진입을 어렵게한다. 따라서 진입로를 경사면 또는 계단형으로 형성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 상측에 형성된는 제2주거부; 상기 제2주거부로 형성되는 제2주거부진입로;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제2주거부에는 스텐드에 거치되는 음이온 방출 송풍기(501)가 형성된다.
상기 음이온 방출 송풍기는 반려동물의 목욕 후 털 건조를 위한 것이며,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반려동물의 털건조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의 보조변기는 판재형상이며 복수의 관통구멍(311)이 형성된 투과망(310); 상기 투과망 하부에 형성되며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집관(320);, 상기 포집관과 연통되는 포집체(330);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부의 투과망은 반려동물의 안정적인 위치를 가능하게 한다. 반려동물의 분뇨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관통구멍을 통과한 분뇨는 포집관에 의해 모여지며, 이는 투과망의 하부에 위치하여 중력으로 모여진다. 또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뇨들이 산포되지 않는다. 상기 포집체는 수집된 분뇨들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포집관과 연통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투과망과 탈부착되게 돌출봉(312)을 형성한다.
반려동물 중 숫견은 소변 분출시 직립된 돌출면에 분출하는 습성이 있다. 따라서 돌출봉을 투과망에 형성한다. 돌출봉은 필요에 따라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한다. 돌출봉 및 투과망의 결합은 끼워맞춤 구조를 취하며, 돌출봉은 결합돌기(312a)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투과망과 결합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투과망은 금속으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로 제작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투과망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크롬 또는 몰리브덴으로 도금된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반려동물 분뇨는 산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투과망이 내식성을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해 스테인레스 금속으로 형성하거나, 플라스틱으로 형성한다. 플라스틱은 크롬 또는 몰리브덴으로 코팅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포집관은 포집체와 연통되며, U자형 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포집관을 통해 포집체로 모여진 분뇨는 악취의 원인 및 유해곤충의 유발원인이 되므로 외부와 차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포집관 및 포집체 사이에 U자형관을 형성하여 물의 수용으로 포집관 및 포칩체 사이를 차단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포집관에 형성되며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배출수가 공급되는 투입구(340);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관은 반려동물의 분뇨와 직접 접촉되는 곳이며, 청결을 위해 분뇨를 수시로 배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외부의 배출수를 공급해야 되며, 외부의 배출수는 포집관 상단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진입된다. 배출수 흐름으로 포집관에 놓여진 분뇨가 포집체로 이동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포집관 상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구멍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구멍들의 분출방향은 동일한 각도와 방향을 형성한다.
상기 포집관의 투입구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포집관의 배출수 투입구는 고속으로 넓은 면적에 분출시키기 위해 복수로 형성하며, 투입구들의 투입구 면적은 배출수 면적보다 작게 형성하여 고속의 배출속도를 발생시킨다. 또한 배출수의 배출각도를 경사지게 형성하며, 이는 배출수가 포집관에 머무는 시간을 늘려 포직관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7-1)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배출수 투입구(340)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수도관과 결합되는 공급관(341a);을 포함한다.
배출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건물에 형성된 상수도를 사용한다. 건물의 상수도관과 상기 배출수 투입구를 연결하기 위해 공급관이 사용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유연관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재질적으로 스테인레스 유연관, 플라스틱 유연관을 사용하며, 형상적으로 주름관을 사용한다.
상기 공급관은 유동성이 존재해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관을 유연관으로 형성하며, 내식성을 높이기 위해 스테인레스 또는 프라스틱으로 형성하며,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주름관을 사용한다.
(실시예 8-1)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배출수 투입구(340)와 연결되며, 타측이 배출수를 저장하는 배출수 저장통(350)과 결합되는 공급관(341b);을 포함한다.
배출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배출수 저장통이 형성된다. 배출수 저장통에 수용된 배출수가 투입구로 공급되어 포집관을 세척한다. 즉 배출수 투입구와 배출수 저장통 사이에는 공급관을 형성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유연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재질적으로 스테인레스 유연관, 플라스틱 유연관으로 형성되며, 형상적으로 복수의 주름관이 사용된다.
(실시예 8-3)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 저장통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물을 공급한다. 특히 자동 물 공급을 위해 수도관 유입구(351)가 형성되며, 수도관 유입구에는 개폐밸브(352)를 형성하며, 개폐밸브는 수위조절센서(353)로 작동된다.
배출수 저장통은 외부 수도관에서 배출수를 공급받는다. 또는 인간의 인위적 공급이 가능하다. 배출수 저장통의 과급방지를 위해 수도관 유입구에는 밸브를 장착하며, 밸브는 배출수 저장통의 수위조절센서로 개폐된다. 따라서 항상 일정량의 배출수 수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9-1)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7-1 또는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환경부에 장착되며, 반려동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감지센서(342);, 상기 공급관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밸브(343);, 상기 유무감지센서의 센서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부(344);를 포함한다.
포집관의 분뇨배출은 배출수로 이루어지나, 배출수 공급은 분뇨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작동되는 것이 효율적이며 경제적이다. 따라서, 배출수의 배출시점을 탐지하기 위해 환경부는 반려동물의 유무 감지용 유무감지센서를 장차하며, 공급관에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장착하며, 유무감지세서의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가 작동되는 제1제어부를 형성한다.
즉, 환경부에 반려동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며, 반려동물의 분뇨활동 이후에만 배출수가 분출될 수 있도록 제1제어부가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한다.
(실시예 9-2)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유무감지센서는 접근센서(342a)를 사용한다.
(실시예 9-3)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유무감지센서는 작동센서(342b)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작동센서는 투과망 일측에 형성된 힌지, 투과망 타측에 형성된 변형 제한돌기, 상기 힌지에 결합된 스프링, 상기 변형제한돌기에 형성된 스위치를 포함한다.
투과망은 힌지 스프링에 의해 제1위치에 회동된다. 그러나 반려동물이 투과망에 진입하면 반려동물의 무게 때문에 투과망은 미소한 회동을 하며, 이는 힌지를 중심으로부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동된다. 투과망 타측의 변형제한돌기에는 스위치가 장착되어 투과망의 이동에 따른 스위치 작동이 연동된다. 상기 스위치의 정보는 제1 제어부로 전송되며, 제1 제어부는 환경부내의 반려동물 존재여부를 인지한다.
(실시예 10-1)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0-1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330)는 내부에 분뇨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포집관과 연통되는 분뇨투입구(331);를 포함한다.
(실시예 10-2)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0-1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 하부 또는 측면에는 1 또는 2의 가이드 홈(371)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홈과 결합되며, 상기 처리부에 돌기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돌기(372)를 포함한다.
(실시예 10-3)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0-1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손잡이(373)를 포함한다.
처리부에 위치되는 포집체는 반려동물의 분뇨가 저장되는 곳이다. 처리부 내부에 일정량의 분뇨가 채워지면 외부로 배출해야 된다. 따라서 처리부는 분뇨의 용이 배출을 위해 손잡이를 형성한다. 또한 포집체의 원활한 분리를 위해 가이드홈 및 가이드 돌기로 포집체 이동의 방향성을 제한한다.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는 상대적으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포집체에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며, 처리부에 가이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포집체와 처리부는 가이드 롤러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치환할 수 있다.
(실시예 10-4)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0-1에 있어서, 상기 분뇨투입구의 내경은 포집관 외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분뇨투입구의 내경과 포집관의 외경은 결합과 동시에 실링(381)된다.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에 의해 포집체는 일방향으로 이동되며, 일방향 끝단에서 포집체의 분뇨투입구 및 포집관이 결합된다. 2개의 관(분뇨투입구 및 포집관)은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관의 중심선이 동일해야 되며, 2개의 관 결합면은 실링처리되어 분뇨의 외부유출을 방지해야 된다.
(실시예 10-5)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0-1에서, 상기 포집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덮개(382)를 포함한다.
배출덮개는 포집체와 실링처리된다. 배출덮개는 포집체 내부에 수용된 분뇨의 외부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 11-1)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9-1 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330)는 건축물 정화조(F)와 연통되는 정화조연결관(332)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1-2)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1-1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유연관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재질적으로 스테인레스 유연관, 플라스틱유연관으로 형성되며, 형상적으로 복수의 주름관을 사용한다.
실시예 9-1과 다르게 포집체가 직접 건물의 정화조로 직결된다. 정화조 투입구와 원활한 연결을 위해 유연관을 사용한다.
(실시예 12-1)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0-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분뇨수용공간과 연통되며, 타측이 공기압축기(334) 흡입구 측에 연통되는 진공흡입관(333);, 상기 진공흡입관(333) 및 포집체(330) 사이에 형성된 진공유지밸브(335);, 상기 분뇨투입구(331)에 형성된 진공흡입밸브(336);를 포함한다.
(실시예 12-2)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2-1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에 형성되는 진공센서(337); 상기 진공센서의 압력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압축기 및 상기 진공유지밸브와 진공흡입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기(338);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관의 분뇨는 진공압으로 이송된다. 순간이동을 위해 진공흡입밸브는 항상 폐쇄되어 있으며, 작동신호에 따라 순간적으로 개방된다. 이는 제2제어기로 작동된다. 진공이 포집체에 형성되어야 하며, 포집체의 진공은 공기압축기를 이용한다. 공기압축기의 입력부분이 포집체와 연통된다. 공기압축기 작동으로 포집체 내부는 진공이 되며, 공기압축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진공유지밸브가 폐쇄되어 포집체 내부는 부압을 형성한다. 즉, 제2제어기는 공기압축기, 진공유지밸브, 진공흡입밸브를 제어한다.
(실시예 13-1)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환경부(200)와 상기 주거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개폐도어(210);, 상기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환경부의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13-2)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3-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도어는 왕복 회동도어로 형성된다.
환경부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도록 바디는 투명재질로 형성된다. 반려동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폐도어를 설치하며, 개폐도어는 회동성이 부여되어 양방향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13-3)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3-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환풍구(601)를 포함한다. 상기 환풍구는 환풍팬(602)을 형성하며, 환풍구에는 공기필터(603)를 포함한다.
반려동물 분뇨에 의해 환경부는 악취를 발생하며, 악취의 외부배출을 위해 환풍기를 설치한다. 환풍기는 환풍팬을 장착하여 바디 내부의 악취를 강제송출한다. 송출공기의 악취재거를 위해 필터가 장착된다. 필터는 소모품이며, 교체 가능하게 모듈화 된다.
(실시예 13-4)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3-3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센서의 입력신호에 따라 환풍팬 작동을 제어하는 제3제어기가 장착된다.
환기팬의 수시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환경부 내부에는 위치센서를 장착한다. 위치센서는 반려동물의 진입여부를 판별하며, 반려동물이 진입이 후 일정시간 환풍팬을 작동시킨다.
(실시예 14-1)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4-1 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 내부에 위치하는 사료공급용기(110);, 상기 주거부 내부에 위치하는 식수공급장치(120);을 포함한다.
(실시예 14-2)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용기에는 사료공급장치를 부착한다. 상기 사료공급장치의 사료투입구가 사료공급용기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사료공급장치의 사료보관통에는 일정량의 사료가 보관되며, 상기 사료투입구에는 제어밸브가 장착된다.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기 위해 사료공급장치를 부착한다. 사료공급장치는 사료보관통이 결합되며, 사료보관통에는 일정량의 사료가 배출되도록 제어밸브가 장착된다. 제어밸브는 정해진 시간에 따라 정해진 량으로 사료를 공급한다.
(실시예 14-3)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4-2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용기 또는 사료공급장치에는 스피커(151)를 부착한다.
반려동물에게 사료공급시점을 알려주기 위해 사료공급용기 또는 사료공급장치에 스피커를 장착한다. 스피커의 작동으로 음악, 전자신호 등을 발생시키며, 스피커 작동으로 반려동물의 사료공급시점을 훈련시킬 수 있다.
(실시예 14-4)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4-1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 하부에는 저울(152)을 부가하며, 저울의 전기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분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반려동물의 몸무게변화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된 결과를 관리자의 휴대폰에 알려주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몸무게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주거부 내부에는 저울을 장착한다. 저울은 반려동물의 몸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몸부게 변화를 분석부에서 판단한다. 분석된 데이터는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사료공급장치의 제어밸브와 연동된다. 반려동물의 몸무게 증가 및 감소량을 측정하여 제어밸브 개폐량을 조절하며, 이는 사료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14-5)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은 실시예 14-1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실시예 1-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수용공간(101)이 형성되는 주거부(100);, 상기 주거부 일측에 형성되며 반려동물이 분뇨를 방출하는 환경부(200);, 상기 환경부 하부측에 위치되며 방출된 분뇨을 포집하는 처리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효과적인 분뇨처리를 위해 환경부를 형성하며, 환경부에서 분뇨의 효과적 처리를 위해 처리부를 환경부와 연동시켰다. 또한 반려동물 자신만의 생활공간이 확보되도록 주거부를 형성하였으며, 이들은 하나의 시설물에 형성되었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 타측에 형성된는 주거부 진입로를 포함한다.
주거부 위치는 처리부 상단에 존재한다. 이는 반려동물의 주거부 진입을 어렵게한다. 따라서 진입로를 경사면 또는 계단형으로 형성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 상측에 형성된는 제2주거부; 상기 제2주거부로 형성되는 제2주거부진입로;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제2주거부에는 스텐드에 거치되는 음이온방출 송풍기(501)가 형성된다.
상기 음이온 방출 송풍기는 반려동물의 목욕 후 털 건조를 위한 것이며,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반려동물의 털건조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판재형상이며 복수의 관통구멍(311)이 형성된 투과망(310);, 상기 투과망 하부에 형성되며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집관(320);, 상기 포집관과 연통되는 포집체(330);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부의 투과망은 반려동물의 안정적인 위치를 가능하게 한다. 반려동물의 분뇨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관통구멍을 통과한 분뇨는 포집관에 의해 모여지며, 이는 투과망의 하부에 위치하여 중력으로 모여진다. 또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뇨들이 산포되지 않는다. 상기 포집체는 수집된 분뇨들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포집관과 연통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투과망과 탈부착되게 돌출봉(312)을 형성한다.
반려동물 중 숫견은 소변 분출시 직립된 돌출면에 분출하는 습성이 있다. 따라서 돌출봉을 투과망에 형성한다. 돌출봉은 필요에 따라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한다. 돌출봉 및 투과망의 결합은 끼워맞춤 구조를 취하며, 돌출봉은 결합돌기(312a)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투과망과 결합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투과방은 금속으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로 제작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투과방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크롬 또는 몰리브덴으로 도금된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반려동물 분뇨는 산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투과망이 내식성을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해 스테인레스 금속으로 형성하거나, 플라스틱으로 형성한다. 플라스틱은 크롬 또는 몰리브덴으로 코팅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포집관은 포집체와 연통되며, U자형 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포집관을 통해 포집체로 모여진 분뇨는 악취의 원인 및 유해곤충의 유발원인이 되므로 외부와 차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포집관 및 포집체 사이에 U자형 관을 형성하여 물의 수용으로 포집관 및 포칩체 사이를 차단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포집관에 형성되며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배출수가 공급되는 투입구(340);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관은 반려동물의 분뇨와 직접 접촉되는 곳이며, 청결을 위해 분료를 수시로 배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외부의 배출수를 공급해야 되며, 외부의 배출수는 포집관 상단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진입된다. 배출수 흐름으로 포집관에 놓여진 분뇨가 포집체로 이동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포집관 상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구멍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구멍들의 분출방향은 동일한 각도와 방향을 형성한다.
상기 포집관의 투입구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포집관의 배출수 투입구는 고속으로 넓은 면적에 분출시키기 위해 복수로 형성하며, 투입구들의 투입구면적은 배출수 면적보다 작게 형성하여 고속의 배출속도를 발생시킨다. 또한 배출수의 배출각도를 경사지게 형성하며, 이는 배출수가 포집관에 머무는 시간을 늘려 포직관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배출수 투입구(340)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수도관과 결합되는 공급관(341a);을 포함한다.
배출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건물에 형성된 상수도를 사용한다. 건물의 상수도관과 상기 배출수 투입구를 연결하기 위해 공급관이 사용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유연관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재질적으로 스테인레스 유연관, 플라스틱 유연관을 사용하며, 형상적으로 주름관을 사용한다.
상기 공급관은 유동성이 존재해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관을 유연관으로 형성하며, 내식성을 높이기 위해 스테인레스 또는 프라스틱으로 형성하며,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주금관을 사용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배출수 투입구(340)와 연결되며, 타측이 배출수를 저장하는 배출수저장통(350)과 결합되는 공급관(341b);을 포함한다.
배출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배출수 저장통이 형성된다. 배출수 저장통에 수용된 배출수가 투입구로 공급되어 포집관을 세척한다. 즉 배출수 투입구와 배출수 저장통 사이에는 공급관을 형성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유연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재질적으로 스테인레스 유연관, 플라스틱 유연관으로 형성되며, 형상적으로 복수의 주름관이 사용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 저장통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물을 공급한다. 특히 자동 물 공급을 위해 수도관 유입구(351)가 형성되며, 수도관 유입구에는 개폐밸브(352)를 형성하며, 개폐밸브는 수위조절센서(353)로 작동된다.
배출수 저장통은 외부 수도관에서 배출수를 공급받는다. 또는 인간의 인위적 공급이 가능하다. 배출수 저장통의 과급 방지를 위해 수도관유입구에는 밸브를 장착하며, 밸브는 배출수 저장통의 수위조절센서로 개폐된다. 따라서 항상 일정량의 배출수 수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4-1 또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환경부에 장착되며, 반려동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감지센서(342);, 상기 공급관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밸브(343);, 상기 유무감지센서의 센서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부(344);를 포함한다.
포집관의 분뇨배출은 배출수로 이루어지나, 배출수 공급은 분뇨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작동되는 것이 효율적이며 경제적이다. 따라서, 배출수의 배출시점을 탐지하기 위해 환경부는 반려동물의 유무 감지용 유무감지센서를 장차하며, 공급관에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장착하며, 유무감지세서의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가 작동되는 제1제어부를 형성한다.
즉, 환경부에 반려동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며, 반려동물의 분뇨활동 이후에만 배출수가 분출될 수 있도록 제1제어부가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유무감지센서는 접근센서(342a)를 사용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유무감지센서는 작동센서(342b)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작동센서는 투과망 일측에 형성된 힌지, 투과망 타측에 형성된 변형 제한돌기, 상기 힌지에 결합된 스프링, 상기 변형 제한돌기에 형성된 스위치를 포함한다.
투과망은 힌지 스프링에 의해 제1위치에 회동된다. 그러나 반려동물이 투과망에 진입하면 반려동물의 무게 때문에 투과망은 미소한 회동을 하며, 이는 힌지를 중심으로부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동된다. 투과망 타측의 변형제한돌기에는 스위치가 장착되어 투과망의 이동에 따른 스위치 작동이 연동된다. 상기 스위치의 정보는 제1 제어부로 전송되며, 제1 제어부는 환경부내의 반려동물 존재여부를 인지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330)는 내부에 분뇨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포집관과 연통되는 분뇨투입구(331);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 하부 또는 측면에는 1 또는 2의 가이드 홈(371)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홈과 결합되며, 상기 처리부에 돌기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돌기(372)를 포함한다.
(실시예 7-3)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손잡이(373)를 포함한다.
처리부에 위치되는 포집체는 반려동물의 분뇨가 저장되는 곳이다. 처리부 내부에 일정량의 분뇨가 채워지면 외부로 배출해야 된다. 따라서 처리부는 분뇨의 용이 배출을 위해 손잡이를 형성한다. 또한 포집체의 원활한 분리를 위해 가이드홈 및 가이드 돌기로 포집체 이동의 방향성을 제한한다.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는 상대적으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포집체에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며, 처리부에 가이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포집체와 처리부는 가이드 롤러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치환할 수 있다.
(실시예 7-4)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분뇨투입구의 내경은 포집관 외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분뇨투입구의 내경과 포집관의 외경은 결합과 동시에 실링(381)된다.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에 의해 포집체는 일방향으로 이동되며, 일방향 끝단에서 포집체의 분뇨투입구 및 포집관이 결합된다. 2개의 관(분뇨투입구 및 포집관)은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관의 중심선이 동일해야 되며, 2개의 관 결합면은 실링처리되어 분뇨의 외부유출을 방지해야 된다.
(실시예 7-5)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7-1에서, 상기 포집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덮개(382)를 포함한다.
배출덮개는 포집체와 실링처리된다. 배출덮개는 포집체 내부에 수용된 분뇨의 외부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 8-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6-1 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330)는 건축물 정화조(F)와 연통되는 정화조연결관(332)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유연관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재질적으로 스테인레스 유연관, 플라스틱유연관으로 형성되며, 형상적으로 복수의 주름관을 사용한다.
실시예 6-1과 다르게 포집체가 직접 건물의 정화조로 직결된다. 정화조 투입구와 원활한 연결을 위해 유연관을 사용한다.

(실시예 9-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분뇨수용공간과 연통되며, 타측이 공기압축기(334) 흡입구 측에 연통되는 진공흡입관(333);, 상기 진공흡입관(333) 및 포집체(330) 사이에 형성된 진공유지밸브(335);, 상기 분뇨투입구(331)에 형성된 진공흡입밸브(336);를 포함한다.
(실시예 9-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에 형성되는 진공센서(337); 상기 진공센서의 압력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압축기 및 상기 진공유지밸브와 진공흡입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기(338);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관의 분뇨는 진공압으로 이송된다. 순간이동을 위해 진공흡입밸브는 항상 폐쇄되어 있으며, 작동신호에 따라 순간적으로 개방된다. 이는 제2제어기로 작동된다. 진공이 포집체에 형성되어야 하며, 포집체의 진공은 공기압축기를 이용한다. 공기압축기의 입력부분이 포집체와 연통된다. 공기압축기 작동으로 포집체 내부는 진공이 되며, 공기압축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진공유지밸브가 폐쇄되어 포집체 내부는 부압을 형성한다. 즉, 제2제어기는 공기압축기, 진공유지밸브, 진공흡입밸브를 제어한다.

(실시예 10-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 에 있어서, 상기 환경부(200)와 상기 주거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개폐도어(210);, 상기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환경부의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10-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0-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도어는 왕복회동도어로 형성된다.
환경부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도록 바디는 투명재질로 형성된다. 반려동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폐도어를 설치하며, 개폐되어는 회동성이 부여되어 양방향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10-3)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0-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환풍구(601)를 포함한다. 상기 환풍구는 환풍팬(602)을 형성하며, 환풍구에는 공기필터(603)를 포함한다.
반려동물 분뇨에 의해 환경부는 악취를 발생하며, 악취의 외부배출을 위해 환풍기를 설치한다. 환풍기는 환풍팬을 장착하여 바디 내부의 악취를 강제송출한다. 송출공기의 악취재거를 위해 필터가 장착된다. 필터는 소모품이며, 교체 가능하게 모듈화 된다.
(실시예 10-4)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0-3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센서의 입력신호에 따라 환풍팬 작동을 제어하는 제3제어기가 장착된다.
환기팬의 수시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환경부 내부에는 위치센서를 장착한다. 위치센서는 반려동물의 진입여부를 판별하며, 반려동물이 진입이 후 일정시간 환풍팬을 작동시킨다.

(실시예 11-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 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 내부에 위치하는 사료공급용기(110);, 상기 주거부 내부에 위치하는 식수공급장치(120);을 포함한다.
(실시예 11-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1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용기에는 사료공급장치를 부착한다. 상기 사료공급장치의 사료투입구가 사료공급용기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사료공급장치의 사료보관통에는 일정량의 사료가 보관되며, 상기 사료투입구에는 제어밸브가 장착된다.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기 위해 사료공급장치를 부착한다. 사료공급장치는 사료보관통이 결합되며, 사료보관통에는 일정량의 사료가 배출되도록 제어밸브가 장착된다. 제어밸브는 정해진 시간에 따라 정해진 량으로 사료를 공급한다.
(실시예 11-3)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2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용기 또는 사료공급장치에는 스피커(151)를 부착한다.
반려동물에게 사료공급시점을 알려주기 위해 사료공급용기 또는 사료공급장치에 스피커를 장착한다. 스피커의 작동으로 음악, 전자신호 등을 발생시키며, 스피커 작동으로 반려동물의 사료공급시점을 훈련시킬 수 있다.
(실시예 11-4)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1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 하부에는 저울(152)을 부가하며, 저울의 전기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분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반려동물의 몸무게변화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된 결과를 관리자의 휴대폰에 알려주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몸무게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주거부 내부에는 저울을 장착한다. 저울은 반려동무의 몸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몸부게 변화를 분석부에서 판단한다. 분석된 데이터는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사료공급장치의 제어밸브와 연동된다. 반려동물의 몸무게 증가 및 감소량을 측정하여 제어밸브 개폐량을 조절하며, 이는 사료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11-5)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1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열선(153), 상기 주거부의 온도를 특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주거부의 상부에 형성된 선풍기,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온도신호로부터 열선의 가열을 제어하거나, 선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반려동물의 친환경분위기는 인간과 상이하다. 즉, 반려동물에게 적합한 설정온도를 제어부에 입력하며, 온도센서와 연동시켜, 설정된 온도에 맞게 주거부의 온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설정온도 이하의 경우, 주거부 열선을 가동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며, 설정온도 이상의 경우 주거부 선풍기를 가동하여 온도를 하강시키며, 이는 실시간으로 작동된다.
(실시예 11-6)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1에 있어서,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는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의 이동상태를 감지하며,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영상을 전송한다.
삭제
삭제
100 : 주거부 110 : 사료공급용기
120 : 식수공급장치 200 : 환경부
210 : 개폐도어 220 : 바디
300 : 처리부 310 : 투과망
320 : 포집관 330 : 포집체
331 : 분뇨투입구 332 : 정화조연결관
333 : 진공흡입관 334 : 공기압축기
335 : 진공유지밸브 336 : 진공흡입밸브
340 : 투입구 342 : 유무감지센서
343 : 솔레노이드밸브 344 : 제1제어부

Claims (9)

  1. 반려동물의 생활시설에 있어서,
    내부에 사료공급용기(110) 및 식수공급장치(120)를 형성하며, 반려동물의 거주 및 생활하는 수용공간(101)을 형성하는 주거부(100);,
    상기 주거부 일측에 형성되며 반려동물이 분뇨를 방출하는 환경부(200);,
    상기 환경부 하부측에 위치되며 방출된 분뇨을 포집하는 처리부(300);,
    상기 환경부(200)와 상기 주거부(100) 사이에 형성되는 개폐도어(210);,
    상기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환경부의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220);,
    반려동물의 주거부 진입을 위해 지면부터 주거부 타측에 연결되도록 경사면 또는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주거부 진입로;,
    상기 처리부(300)는 판재형상이며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투과망(310);,
    상기 투과망 하부에 형성되며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집관(320);,
    상기 포집관과 연통되는 포집체(330);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관에 형성되며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배출수가 공급되는 투입구(340);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배출수 투입구(340)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수도관과 결합되는 공급관(341a);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배출수 투입구(340)와 연결되며,
    타측이 배출수를 저장하는 배출수저장통과 결합되는 공급관(341b);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환경부에 장착되며, 반려동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감지센서(342);,
    상기 공급관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밸브(343);,
    상기 유무감지센서의 센서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부(344);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330)는 내부에 분뇨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포집관과 연통되는 분뇨투입구(331);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330)는 건축물 정화조와 연통되는 정화조연결관(332)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8. 청구항 6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분뇨수용공간과 연통되며, 타측이 공기압축기(334) 흡입구 측에 연통되는 진공흡입관(333);,
    상기 진공흡입관(333) 및 포집체(330) 사이에 형성된 진공유지밸브(335);,
    상기 분뇨투입구(331)에 형성된 진공흡입밸브(336);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9. 삭제
KR1020180006622A 2018-01-18 2018-01-18 반려동물 생활시설 KR101849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622A KR101849070B1 (ko) 2018-01-18 2018-01-18 반려동물 생활시설
PCT/KR2018/006557 WO2019142979A1 (ko) 2018-01-18 2018-06-10 반려동물 생활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622A KR101849070B1 (ko) 2018-01-18 2018-01-18 반려동물 생활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070B1 true KR101849070B1 (ko) 2018-04-16

Family

ID=6208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622A KR101849070B1 (ko) 2018-01-18 2018-01-18 반려동물 생활시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9070B1 (ko)
WO (1) WO20191429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270A (ko) 2019-06-18 2020-12-29 최동구 반려동물 하우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9076Y2 (ja) * 1993-06-10 1996-12-04 八宏 李野 ペットハウス
US7107933B2 (en) * 2004-08-19 2006-09-19 Mohr Catherine C Litter-free pet waste collection system
JP4616162B2 (ja) * 2005-12-09 2011-01-19 株式会社ヤマヒサ ペットのトイレ仕付け用サークル
KR20090074856A (ko) * 2008-01-03 2009-07-08 강민호 조립식 애완용 개집
KR101372696B1 (ko) * 2012-03-20 2014-03-11 장진선 애완견 하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270A (ko) 2019-06-18 2020-12-29 최동구 반려동물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2979A1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431B2 (en) Self-filling and self-draining watering device
WO2017039076A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101724597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788704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CN106714550A (zh) 宠物马桶
KR101849043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1723616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US20080178817A1 (en) Animal flush toilet and assembly system
KR20150071867A (ko)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101849070B1 (ko) 반려동물 생활시설
US20080245309A1 (en) Dog toilet
CN209749426U (zh)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宠物笼
CN106337572A (zh) 一种用于公交候车亭的模块化卫生间
CN209473282U (zh) 一种红外线感应自动冲水宠物厕所
KR20140050311A (ko)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변기
KR200463634Y1 (ko) 애완견 소변기
CN219961613U (zh) 一种具有自动冲洗功能的猫砂盆
CN218587900U (zh) 可循环使用宠物排泄物自动清理器
CN116267643B (zh) 一种自动冲洗猫砂装置
JP3916557B2 (ja) ペット汚物の廃棄処理設備
CN201024495Y (zh) 环保型便器
JP7253294B2 (ja) ペット用トイレ
CN215602484U (zh) 家庭宠物排尿自动抽水装置
CN218921248U (zh) 一种智能宠物窝
KR102351325B1 (ko) 반려동물용 배설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