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42979A1 - 반려동물 생활시설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생활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42979A1
WO2019142979A1 PCT/KR2018/006557 KR2018006557W WO2019142979A1 WO 2019142979 A1 WO2019142979 A1 WO 2019142979A1 KR 2018006557 W KR2018006557 W KR 2018006557W WO 2019142979 A1 WO2019142979 A1 WO 20191429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collecting
manure
pip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65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동구
Original Assignee
최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구 filed Critical 최동구
Publication of WO20191429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429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living facility, a technique for automatically processing manure, and feeding feed.
  • Patent Document 001 relates to a toilet for flush treatment of pet excrement.
  • Patent Document 001 discloses a toilet which allows pet to enter and excrete according to the physical and intelligent characteristics of a pet. For this purpose, a floor and a rim are formed so that a pet can enter. Water supply method. Use a delay sensor to automate water supply. In order to install a pet toilet in a narrow place, it is proposed to install one toilet as one body with other type of toilet, or to use water supply and drainage jointly.
  • Patent Document 002 discloses a device for automatically disposing pet excrement without human hands, and includes a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hose coming out of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to the flush toilet, and an automatic water descendent which can be installed in the water tank of the flush toilet
  • the main body consists of a lower excretory stand and an upper lid. It is a column supporting the excretory stand and the lid at each corner. If the door is closed by the door close sensor, The sensor detects the beep from the main body and the automatic processing is delayed.
  • Patent Literature 003 relates to a defecation device for a dog automatic cleansing method for a dog, which is configured such that a defecate plate is automatically lifted and cleaned when a dog completes defecation.
  • the defecation device includes a defecation plate for defecating, And a drawer-type receptacle provided under the defecation plate for collecting the defecation and washing water.
  • the sanitary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s shown in Fig.
  • the defecation plat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toward the cleaning device.
  • the dog can defecate on the defecated state in which the defecatory plate is placed horizontally.
  • the defecated plate When the dog completes the defecation, the defecated plate is automatically rotated And the cleansing device automatically cleans the defecation plate when the defecation falls into the receptacle while the defecation plate is brought into a cleansing state in which the defecation plate is completely erected vertically.
  • Patent Document 004 discloses a sanitary toilet for a pet, and is provided with a useabl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place where a pet can stand up, and the urine coll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drainage holes is collected And a discharge guiding box for discharging the waste to the outside sewage discharge line through a separately installed urine discharge pipe and a faucet receiv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so that the urine can be dropped
  • the waste water is discharged to an outside sewage discharge line, and when the used-up plate is erected toward the upper opening of the faeces-receiving portion, the faeces filtered by the upper portion of the used- Through the installed faucet outlet pipe, So that urine and feces can be separately treated separately, thereby to provide a hygienic sanitary toilet for a pet.
  • Patent Document 001 KR 10-2003-0029332 A (April 14, 2003)
  • Patent Document 002 KR 10-2008-0057947 A (June 25, 2008)
  • Patent Document 004 KR 10-2016-0089229 A (Jul. 27, 2016)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ving facility for a companion animal, comprising: a main denomination in which a receiving space is formed; an environmental part formed at a side of the main denudelator where the companion animal discharges manure; , And it is an object to automatically treat the manur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feed the feed.
  • the animal companion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refuge (100) in which a receiving space (101) is formed, A processing unit 300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environment unit and collecting discharged manure.
  • the processing unit includes a transmission net 31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transmission net 310, And a collecting body 330 communicating with the collecting tube. And an inlet 340 formed in the collecting tube and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drainage is supplied.
  • the living animal's living facility includes a supply pipe 341a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water inlet port 34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ater pipe, or one e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water inlet port 34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rain water storage passage 341b for storing the drain water.
  • the environment part of the animal living facility described above includes a presence / absence sensor 342 for detecting presence / absence of companion animals, a solenoid valve 343 formed in the supply pipe, a solenoid valve operated according to a sensor signal of the presence / And a first control unit 344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 the collecting body 330 of the companion living facility described above includes a manure receiving space inside and includes a manure input port 331 communicating with the collecting pipe on one side, And a communicating septic tank connection pipe (332).
  • the above-described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includes a vacuum suction pipe 333 in which one side communicates with the manure receiving space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side of the air compressor 334, a vacuum suction pipe 333 between the vacuum suction pipe 333 and the collecting body 330 And a vacuum suction valve 336 formed in the manure input port 331.
  • the vacuum suction valve 336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331 and the vacuum suction valve 336,
  • the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main refusing unit, the environment unit, and the processing unit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door 210 formed between the environment unit 200 and the main refuse 200, And a body 220 forming a closed space of the environment part.
  • the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main deny, the environment, and the treatment unit as described above.
  • the residential unit includes a feed supply container 110 located inside the main denial; (120). ≪ / RTI >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orm an integrated companion animal care facility because it enables residential, manure release, and manure treatment in one facility.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utomatically releasing and collecting manure of companion animals.
  •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cleansing is possible because it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by using drain water in the treatment of manure, and the labor of disposal of the user is not generated.
  • the effluent used in the sewage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ap water, and the effluent is connected to the septic tank,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 the sewage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vacuum suction method using an air compressor, so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ischarge efficiency with a small amount of discharged water.
  • the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feeds the feed, thereby reducing the user's labor.
  • Fig. 1 is an external layout of a main rejection unit, an environment unit, and a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internal layout view of the main rejection part, the environment part, and the process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rmeation net and a collection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permeation net and the collection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conceptual view of the drainage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tate diagram of the processing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comprises a main refuse 100 in which a receiving space 101 is formed, an environment part 200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refuge and discharging manure from the companion animal, And a treatment unit (300)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environment part and collecting the discharged manure.
  •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environmental section for effective manure handling of companion animals and has a processing section associated with the environment section for effective treatment of manure in the environment section. They also formed a main refusal to ensure that their own living spaces were secured, and these were formed in one facility.
  • the companion animal dwell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Embodiment 1-1, a main deny access road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denial.
  • the main rejection location is at the top of the processing unit. This makes it difficult for the companion animal to enter the main denial. Therefore, the access road is formed in an inclined surface or a stepped shape.
  • the companion animal dwelling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nimal living facility of Example 1-1, wherein the second main rejec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rejection; And a second main rejection entrance formed by the second main rejection.
  • Embodiment 1-4 In the animal companion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1-4, the anion-releasing blower 501, which is mounted on the stand, is formed in the second main rejection.
  • the anion-releasing blower is for drying the hair after bathing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llows the user to use the both hands to dry the hair of the companion animal.
  • a companion animal dwelling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ne according to embodiment 1-1, wherein the processing part is a plate-like material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1; A collecting tube 320 formed in a tapered shape, and a collecting body 330 communicating with the collecting tube.
  • the transmission network of the processing section enables stable positioning of the companion animal.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so that manure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smoothly discharged.
  • the manur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is collected by the collecting pipe, which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ermeation net and collected by gravity. And is formed into a tapered shape so that manures are not scattered.
  • the collecting body communicates with the collecting tube as a space for storing the collected manure, and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 the protruding rod 312 is formed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permeable net.
  • a dog has a habit of spouting on an upright surface when urinating. Therefore, a protruding rod is formed in the transmission net.
  • the protruding rods can be mounted and detached as required.
  • the engagement of the protruding rod and the transmission net takes a fitting structure, and the protruding rod forms a coupling protrusion 312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transmission net.
  • the permeation chamber is made of metal, preferably made of stainless steel.
  • the permeation chamber is made of plastic, preferably plated with chromium or molybdenum.
  • Companion animal manure is acidic. Therefore, the permeation net must have corrosion resistance, and it is formed of stainless metal or plastic. Plastics are coated with chrome or molybdenum to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 the collecting tube communicates with the collecting body and includes a U-shaped tube.
  • a U-shaped tube is formed between the collecting tube and the collecting body to block the space between the collecting tube and the collecting body by the water.
  • the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let port 340 formed in the collecting pipe and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drainage water is supplied, in Embodiment 2-1.
  • the collection tub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manur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must be discharged from time to time for cleaning.
  • the external drain water must be supplied, and the external drain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formed at the top of the collection pipe. The manure placed on the collecting tube by the drainage flow is transferred to the collecting body.
  • Example 3-2 In the animal companion living animal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3-1, the inlet is formed on the collecting pipe,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direction.
  • the inlet of the collecting tube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holes.
  • the discharge port of the collecting pipe is formed as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t a high speed to discharge a large area, and the discharge port area of the discharge ports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scharge water area, thereby generating a high discharge rate.
  • the discharge angle of the discharge water is formed to be inclined, which has the effect of enhancing the cleanliness of the perforated pipe by increasing the time for the discharge water to stay in the collecting pipe.
  • the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pipe 341a in Embodiment 3-1,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water inlet port 34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
  • a tap water is used in the building.
  • a supply line is used to connect the building water supply pipe and the drain water inlet.
  • the supply pipe is formed in a milk-like relationship.
  • stainless steel oil or plastic oil oil is used as material, and a corrugated pipe is used in shape.
  • the supply pipe can be smoothly connected in the presence of fluidity. Therefore, the supply pipe is formed to be oil-linked, and formed of stainless steel or plastic for enhancing corrosion resistance, and a main copper pipe is used for increasing flexibility.
  • a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of the embodiment 3-1, except that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drain water inlet port 34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drain water storage container 350, (341b).
  • a drain water reservoir is formed for smooth supply of drain water.
  • the discharge water contained in the discharge water reservoir is supplied to the inlet to clean the collection tube. That is, a supply pipe is formed between the discharge water inlet and the discharge water reservoir.
  • the supply pipe is formed to be formed in oil relation.
  • the material is formed of a stainless steel oil-related or plastic oil-oil-related material, and a plurality of corrugated pipes are used in shape.
  • the drainage reservoir is manually or automatically supplied with water.
  • a water pipe inlet port 351 is formed for automatic water supply
  • an opening / closing valve 352 is formed at an inlet port of the water pipe,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is operated by a water level sensor 353.
  • the effluent reservoir receives the effluent from the external tap. Or an artificial supply of human beings.
  • a valve is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water pipe, and the valve is opened and closed by a water level sensor of the drain water reservoi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lways maintain a predetermined amount of discharged water.
  • the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iving animal facility of Example 4-1 or Example 5-1, the presence detection sensor 342 mounted on the environment part and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mpanion animal; A solenoid valve 343 formed in the supply pipe, and a first controller 344 for operating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 sensor signal of the presence / absence sensor.
  • the manure discharge of the collection tube is made up of effluent, but the effluent supply is efficient and economical to operate only in the presence of manure. Therefore, in order to detect the discharge time point of the discharged water, the environment unit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presence or absence of a companion animal, a solenoid valve is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solenoid valve by the signal of presence / do.
  • the first control unit operates the solenoid valve so as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environment department, and to discharge the discharged water only after the manure oper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 Embodiment 6-1 the presence detection sensor uses an approach sensor 342a in the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ce detection sensor uses the operation sensor 342b in the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peration sensor includes a hinge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nsmission net, a deformation limit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nsmission net, a spring coupled to the hinge, and a switch formed on the deformation limiting protrusion.
  • the transmission net is pivoted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hinge spring.
  • the permeation net makes a slight rota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which rotates the hing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from the center.
  • a switch is mounted on the deformation restricting proj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transmission net, and the switch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net is interlocked.
  • the information of the switch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first control unit recognizes the existence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environment unit.
  • Embodiment 7-1 In a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6-1, the collecting body 330 forms a manure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manure inlet port 331 ).
  • Example 7-2 In the companion animal car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7-1, one or two guide grooves 371 are formed on the bottom or side of the collecting body, And a guide protrusion 372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on the processing unit.
  • Example 7-3 In Example 7-1, a handle 37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llecting body is included.
  • the collecting body located in the treatment section is where the manure of the companion animal is stored.
  • the treatment section forms a handle for easy discharge of the manure.
  •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projection restrict the directionality of the collecting body moving.
  • the guide grooves and the guide protrusions can be changed relatively. That is, guide projections are formed in the collecting body, and guide grooves can be formed in the processing parts. Further, the collector and the processing section can be slidably replaced by the guide rollers.
  • Example 7-1 In the companion animal car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7-1, the inside diameter of the manure input port is larger than the outside diameter of the collection pipe.
  • the inner diameter of the manure inlet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lecting tube are sealed (381) simultaneously with the coupling.
  • the collecting body is moved in one direction by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projection, and the manure input port and the collecting tube of the collecting body are coupled at one end. Since the two tubes (manure inlet and collecting tube) are slidingly coupled, the centerline of the tube must be the same, and the two tube coupling surfaces must be sealed to prevent the outflow of manure.
  • the companion animal car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Example 7-1, a discharge lid 382 formed on the collecting body.
  • the discharge lid is sealed with the collector.
  • the discharge cover facilitates the external discharge of the manure contained within the collector.
  • the collecting body 330 includes a purified water connecting pipe 332 communicating with the building purifying tank F .
  • the supply pipe is formed in a milk-like relationship.
  • the material is formed of a stainless steel oil-based or plastic oil-based material, and a plurality of corrugated pipes are used in shape.
  • Example 6-1 the collecto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urification tank of the building. Oil connection is used for seamless connection with the septic tank inlet.
  • a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according to Example 7-1, wherein a vacuum suction pipe 333, one side of which communicates with the manure receiving spac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side of the air compressor 334, A vacuum holding valve 335 formed between the vacuum suction pipe 333 and the collecting body 330 and a vacuum suction valve 336 formed in the manure inlet 331.
  • Example 9-2 In the companion animal resid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9-1, a vacuum sensor 337 formed on the collecting body; And a second controller (338)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mpressor and the vacuum maintenance valve and the vacuum suction valve according to the pressure signal of the vacuum sensor.
  • the manure of the collecting tube is conveyed to vacuum pressure.
  • the vacuum suction valve is always closed and instantly opened in response to the actuation signal.
  • Vacuum should be formed on the collector, and the vacuum of the collector uses an air compressor.
  • the input portion of the air compressor communicates with the collector.
  • the vacuum maintenance valve is closed and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collector. That is, the second controller controls the air compressor, the vacuum holding valve, and the vacuum suction valve.
  • the companion animal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living companion living facility of Embodiment 1-1 except that the door is formed between the environment part 200 and the main refuge 200, And a body 220 that forms a closed space of the environment section including the body 210.
  • the body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formed as a reciprocating sliding door.
  • the body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presence of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in the environment part can be recognized.
  • An opening / closing door is installed to enable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s imparted to the door to enable bi-directional opening and closing.
  • Embodiment 10-3 In the animal companion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10-1, the body includes a ventilation hole (601).
  • the vent hole forms the ventilation fan 602, and the ventilation hole includes the air filter 603.
  • the Ministry of Environment generates odor by companion animal manure and installs a ventilator to exhaust the odor.
  • the ventilator is equipped with a ventilation fan to forcibly send the odor inside the body.
  • a filter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releasing odor from the discharge air.
  • the filter is consumable and is modularly interchangeable.
  • a companion animal dwelling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Embodiment 10-3, the living companion animal housing facility includes a position sensor mounted on the body, A controller is mounted.
  • a position sensor is mounted inside the environment section. The position senso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mpanion animal is entering, and the companion animal operates the ventilator fa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entry.
  • the animal companion liv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nimal living facility of Example 1-1, wherein the feed supply container 110 located inside the main refuge;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120 ).
  • Example 11-2 In a companion animal car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11-1, a feeder is attached to the feed container. A feed port of the feed device is located above the feed container, a feed reservoir of the feed device stores a certain amount of feed, and a control valve is mounted on the feed port.
  • the feeding device is combined with a feed reservoir, and the feed reservoir is equipped with a control valve to discharge a certain amount of feed.
  • the control valve feeds the feed at a fixed amount of time.
  • Embodiment 11-3 In the animal companion living room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11-2, the speaker 151 is attached to the feeding container or the feeding device.
  • the operation of the loudspeaker generates music, electronic signals, etc., and the loudspeaker operation can be used to train the feeding time of the companion animal.
  • Embodiment 11-4 In a companion animal dwelling i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11-1, a memory unit in which a balance 152 is ad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refusal and electric signals of the balance are stored, A controller for analyzing the data, an analyzer for analyzing the weight change of the companion animal from the controller,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informing the manager's mobile phone of the analyzed result.
  • the balance measures the weight of the companion partner in real time, and determines the changes in the body part by the analysis department.
  • the analyz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s mobile phone.
  • the control unit is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valve of the feeder. Controlling the control valve opening / closing amount by measur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body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which can control the feeding amount.
  • the living compar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heat ray 15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refuse, a temperature sensor for specifying the temperature of the main refection, And a controlle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controlling the heating of the hot wire from the measured temperature signal 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an.
  • the set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companion anim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temperature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set temperature by interlocking with the temperature sensor.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main reject heat line is activated to raise the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main reject fan is operated to lower the temperature.
  • a companion animal dwell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in Example 11-1.
  • the camera senses the moving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in real time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user's cellular phone.
  • opening / closing door 220 body
  • processing unit 310 transmission network
  • vacuum suction pipe 334 air compressor
  • Vacuum maintenance valve 336 Vacuum suction valve
  • Inlet port 342 presence / absence detection sensor
  • Solenoid valve 344 First control s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생활시설에 대한 발명으로서, 수용공간(101)이 형성되는 주거부, 상기 주거부 일측에 형성되며 반려동물이 분뇨를 방출하는 환경부, 상기 환경부 하부측에 위치되며 방출된 분뇨을 포집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자동으로 반려동물의 대소변을 처리하며, 사료를 공급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생활시설
본 발명은 반려동물 생활시설에 대한 발명으로서, 자동으로 분뇨를 처리하며, 사료를 공급하는 것에 대한 기술이다.
특허문헌 001은 애완동물 배설물의 수세식 처리를 위한 변기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애완동물의 신체적, 지능적 특성에 맞추어 애완동물이 들어가서 배설할 수 있는 변기를 만든 것이며, 이를 위해 애완동물이 들어갈 수 있도록 바닥과 테두리를 형성하고, 배수장치 배수구는 선택된 순서에 의한 순차적 급수방법. 물의 급수를 자동화 할 수 있는 지연센서를 사용한다. 또한 애완동물용의 변기를 좁은 장소에 설치하기 위해 다른 종류의 변기와 일체형으로 하나의 변기로 설치하거나 급수와 배수장치를 공동으로 사용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사람손이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체와 본체에서 나오는 호스를 수세식변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와 수세식 변기의 물탱크 안에 설치할 수 있는 자동 물내림 장치로 구성되며, 본체는 크게 하단의 배설대와 상단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고 배설대와 뚜껑을 각 모서리에 지지하고 있는 기둥으로 있으며, 문닫침 센서를 이용하여 화장실 문이 닫혀있을 경우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센서가 본체에서 비프 음을 내게 하며 자동화 처리가 지연되게 된다.
특허문헌 003은 애완견이 배변을 완료하면 자동으로 배변 플레이트가 상승하여 세정하게 되는 구성의 애완견용 자동세정방식 배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애완견이 위치하여 배변을 하기 위한 배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배변공간이 형성된 배변부, 상기 배변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변 플레이트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 분사장치가 형성된 세정 장치, 및 상기 배변 플레이트의 아래에 설치되어 배변 및 세정수를 수거하기 위한 서랍 방식의 수거통을 포함하는 하부 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배변 플레이트는 세정 장치를 향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변 플레이트가 수평으로 놓인 배변 상태에서 애완견이 그 위에 배변할 수 있고, 애완견이 배변을 완료하여 나가고 나면, 상기 배변 플레이트는 자동으로 회전하여 세로로 세워지면서 배변이 상기 수거통으로 낙하하고, 상기 배변 플레이트가 세로로 완전히 세워지는 세정 상태로 되면 상기 세정 장치가 상기 배변 플레이트를 자동으로 세정한다.
특허문헌 004는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애완동물이 스스로 올라설 수 있는 용변 장소를 제공하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용변판이 본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배수공을 통해 통과된 소변을 모아 별도로 설치된 소변배출관을 통해 외부의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유도함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측에 대변수용부가 구비되어 애완동물이 용변판에서 용변을 마치고 내려온 경우 소변은 상기 배출유도함으로 낙하하여 외부의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되고, 상기 용변판이 상기 대변수용부의 상부 개구를 향하여 세워진 경우 상기 용변판의 상부에 걸러진 대변이 상기 대변수용부로 굴러 떨어져 수용된 상태에서 급수관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별도로 설치된 대변배출관을 통해 외부의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소변과 대변을 각각 별도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어 위생적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 KR 10-2003-0029332 A (2003년04월14일)
(특허문헌 002) KR 10-2008-0057947 A (2008년06월25일)
(특허문헌 003) KR 10-1393150 B1 (2014년04월30일)
(특허문헌 004) KR 10-2016-0089229 A (2016년07월27일)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생활시설에 대한 발명으로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주거부, 상기 주거부 일측에 형성되며 반려동물이 분뇨를 방출하는 환경부, 상기 환경부 하부측에 위치되며 방출된 분뇨을 포집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자동으로 반려동물의 분뇨를 처리하며, 사료를 공급하는 것이 목적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수용공간(101)이 형성되는 주거부(100);, 상기 주거부 일측에 형성되며 반려동물이 분뇨를 방출하는 환경부(200);, 상기 환경부 하부측에 위치되며 방출된 분뇨를 포집하는 처리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앞에서 제시한 주거부, 환경부, 처리부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부는 판재형상이며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투과망(310);, 상기 투과망 하부에 형성되며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집관(320);, 상기 포집관과 연통되는 포집체(3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집관에 형성되며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배출수가 공급되는 투입구(340);를 포함한다.
또한, 반려동물의 생활시설은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서 일측이 상기 배출수 투입구(340)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수도관과 결합되는 공급관(341a);,을 포함하며, 또는 일측이 상기 배출수 투입구(340)와 연결되며, 타측이 배출수를 저장하는 배출수 저장통과 결합되는 공급관(341b);을 포함한다.
앞에서 제시한 반려동물 생활시설의 환경부는 반려동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감지센서(342);, 상기 공급관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밸브(343);, 상기 유무감지센서의 센서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부(344);를 포함한다.
앞에서 제시한 반려동물 생활시설의 포집체(330)는 내부에 분뇨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포집관과 연통되는 분뇨투입구(331);를 포하며, 상기 포집체(330)는 건축물 정화조와 연통되는 정화조연결관(332)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앞에서 제시한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일측이 상기 분뇨수용공간과 연통되며, 타측이 공기압축기(334) 흡입구 측에 연통되는 진공흡입관(333);, 상기 진공흡입관(333) 및 포집체(330) 사이에 형성된 진공유지밸브(335);, 상기 분뇨투입구(331)에 형성된 진공흡입밸브(3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앞에서 제시한 주거부, 환경부, 처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경부(200)와 상기 주거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개폐도어(210);, 상기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환경부의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앞에서 제시한 주거부, 환경부, 처리부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주거부는 상기 주거부 내부에 위치하는 사료공급용기(110);, 상기 주거부 내부에 위치하는 식수공급장치(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시설물에 주거, 분뇨방출, 분뇨처리 가능하게 하므로 일체화된 반려동물 관리시설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분뇨를 자동으로 방출하며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분뇨처리에 있어서, 배출수 이용한 자동방출 가능하므로 청결성이 높으며, 사용자의 분뇨처리 수고가 발생되는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분뇨처리에 사용되는 배출수는 상수도를 이용하며, 배출은 정화조와 연결되므로 관리의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분뇨처리는 공기압축기를 이용한 진공흡입방식을 사용하므로 소량의 배출수로 배출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활시설은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므로 사용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거부, 환경부, 처리부의 외부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거부, 환경부, 처리부의 내부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투과망 및 포집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투과망 및 포집관의 작동관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출수 공급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처리부 실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수용공간(101)이 형성되는 주거부(100);, 상기 주거부 일측에 형성되며 반려동물이 분뇨를 방출하는 환경부(200);, 상기 환경부 하부측에 위치되며 방출된 분뇨을 포집하는 처리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효과적인 분뇨처리를 위해 환경부를 형성하며, 환경부에서 분뇨의 효과적 처리를 위해 처리부를 환경부와 연동시켰다. 또한 반려동물 자신만의 생활공간이 확보되도록 주거부를 형성하였으며, 이들은 하나의 시설물에 형성되었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 타측에 형성된는 주거부 진입로를 포함한다.
주거부 위치는 처리부 상단에 존재한다. 이는 반려동물의 주거부 진입을 어렵게한다. 따라서 진입로를 경사면 또는 계단형으로 형성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 상측에 형성된는 제2주거부; 상기 제2주거부로 형성되는 제2주거부진입로;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제2주거부에는 스텐드에 거치되는 음이온방출 송풍기(501)가 형성된다.
상기 음이온 방출 송풍기는 반려동물의 목욕 후 털 건조를 위한 것이며,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반려동물의 털건조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판재형상이며 복수의 관통구멍(311)이 형성된 투과망(310);, 상기 투과망 하부에 형성되며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집관(320);, 상기 포집관과 연통되는 포집체(330);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부의 투과망은 반려동물의 안정적인 위치를 가능하게 한다. 반려동물의 분뇨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관통구멍을 통과한 분뇨는 포집관에 의해 모여지며, 이는 투과망의 하부에 위치하여 중력으로 모여진다. 또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뇨들이 산포되지 않는다. 상기 포집체는 수집된 분뇨들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포집관과 연통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투과망과 탈부착되게 돌출봉(312)을 형성한다.
반려동물 중 숫견은 소변 분출시 직립된 돌출면에 분출하는 습성이 있다. 따라서 돌출봉을 투과망에 형성한다. 돌출봉은 필요에 따라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한다. 돌출봉 및 투과망의 결합은 끼워맞춤 구조를 취하며, 돌출봉은 결합돌기(312a)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투과망과 결합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투과방은 금속으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로 제작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투과방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크롬 또는 몰리브덴으로 도금된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반려동물 분뇨는 산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투과망이 내식성을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해 스테인레스 금속으로 형성하거나, 플라스틱으로 형성한다. 플라스틱은 크롬 또는 몰리브덴으로 코팅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포집관은 포집체와 연통되며, U자형 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포집관을 통해 포집체로 모여진 분뇨는 악취의 원인 및 유해곤충의 유발원인이 되므로 외부와 차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포집관 및 포집체 사이에 U자형 관을 형성하여 물의 수용으로 포집관 및 포칩체 사이를 차단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포집관에 형성되며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배출수가 공급되는 투입구(340);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관은 반려동물의 분뇨와 직접 접촉되는 곳이며, 청결을 위해 분료를 수시로 배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외부의 배출수를 공급해야 되며, 외부의 배출수는 포집관 상단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진입된다. 배출수 흐름으로 포집관에 놓여진 분뇨가 포집체로 이동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포집관 상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구멍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구멍들의 분출방향은 동일한 각도와 방향을 형성한다.
상기 포집관의 투입구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포집관의 배출수 투입구는 고속으로 넓은 면적에 분출시키기 위해 복수로 형성하며, 투입구들의 투입구면적은 배출수 면적보다 작게 형성하여 고속의 배출속도를 발생시킨다. 또한 배출수의 배출각도를 경사지게 형성하며, 이는 배출수가 포집관에 머무는 시간을 늘려 포직관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배출수 투입구(340)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수도관과 결합되는 공급관(341a);을 포함한다.
배출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건물에 형성된 상수도를 사용한다. 건물의 상수도관과 상기 배출수 투입구를 연결하기 위해 공급관이 사용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유연관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재질적으로 스테인레스 유연관, 플라스틱 유연관을 사용하며, 형상적으로 주름관을 사용한다.
상기 공급관은 유동성이 존재해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관을 유연관으로 형성하며, 내식성을 높이기 위해 스테인레스 또는 프라스틱으로 형성하며,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주금관을 사용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배출수 투입구(340)와 연결되며, 타측이 배출수를 저장하는 배출수저장통(350)과 결합되는 공급관(341b);을 포함한다.
배출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배출수 저장통이 형성된다. 배출수 저장통에 수용된 배출수가 투입구로 공급되어 포집관을 세척한다. 즉 배출수 투입구와 배출수 저장통 사이에는 공급관을 형성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유연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재질적으로 스테인레스 유연관, 플라스틱 유연관으로 형성되며, 형상적으로 복수의 주름관이 사용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 저장통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물을 공급한다. 특히 자동 물 공급을 위해 수도관 유입구(351)가 형성되며, 수도관 유입구에는 개폐밸브(352)를 형성하며, 개폐밸브는 수위조절센서(353)로 작동된다.
배출수 저장통은 외부 수도관에서 배출수를 공급받는다. 또는 인간의 인위적 공급이 가능하다. 배출수 저장통의 과급 방지를 위해 수도관유입구에는 밸브를 장착하며, 밸브는 배출수 저장통의 수위조절센서로 개폐된다. 따라서 항상 일정량의 배출수 수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4-1 또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환경부에 장착되며, 반려동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감지센서(342);, 상기 공급관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밸브(343);, 상기 유무감지센서의 센서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부(344);를 포함한다.
포집관의 분뇨배출은 배출수로 이루어지나, 배출수 공급은 분뇨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작동되는 것이 효율적이며 경제적이다. 따라서, 배출수의 배출시점을 탐지하기 위해 환경부는 반려동물의 유무 감지용 유무감지센서를 장차하며, 공급관에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장착하며, 유무감지세서의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가 작동되는 제1제어부를 형성한다.
즉, 환경부에 반려동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며, 반려동물의 분뇨활동 이후에만 배출수가 분출될 수 있도록 제1제어부가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유무감지센서는 접근센서(342a)를 사용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유무감지센서는 작동센서(342b)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작동센서는 투과망 일측에 형성된 힌지, 투과망 타측에 형성된 변형 제한돌기, 상기 힌지에 결합된 스프링, 상기 변형 제한돌기에 형성된 스위치를 포함한다.
투과망은 힌지 스프링에 의해 제1위치에 회동된다. 그러나 반려동물이 투과망에 진입하면 반려동물의 무게 때문에 투과망은 미소한 회동을 하며, 이는 힌지를 중심으로부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동된다. 투과망 타측의 변형제한돌기에는 스위치가 장착되어 투과망의 이동에 따른 스위치 작동이 연동된다. 상기 스위치의 정보는 제1 제어부로 전송되며, 제1 제어부는 환경부내의 반려동물 존재여부를 인지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330)는 내부에 분뇨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포집관과 연통되는 분뇨투입구(331);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 하부 또는 측면에는 1 또는 2의 가이드 홈(371)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홈과 결합되며, 상기 처리부에 돌기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돌기(372)를 포함한다.
(실시예 7-3)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손잡이(373)를 포함한다.
처리부에 위치되는 포집체는 반려동물의 분뇨가 저장되는 곳이다. 처리부 내부에 일정량의 분뇨가 채워지면 외부로 배출해야 된다. 따라서 처리부는 분뇨의 용이 배출을 위해 손잡이를 형성한다. 또한 포집체의 원활한 분리를 위해 가이드홈 및 가이드 돌기로 포집체 이동의 방향성을 제한한다.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는 상대적으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포집체에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며, 처리부에 가이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포집체와 처리부는 가이드 롤러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치환할 수 있다.
(실시예 7-4)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분뇨투입구의 내경은 포집관 외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분뇨투입구의 내경과 포집관의 외경은 결합과 동시에 실링(381)된다.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에 의해 포집체는 일방향으로 이동되며, 일방향 끝단에서 포집체의 분뇨투입구 및 포집관이 결합된다. 2개의 관(분뇨투입구 및 포집관)은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관의 중심선이 동일해야 되며, 2개의 관 결합면은 실링처리되어 분뇨의 외부유출을 방지해야 된다.
(실시예 7-5)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7-1에서, 상기 포집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덮개(382)를 포함한다.
배출덮개는 포집체와 실링처리된다. 배출덮개는 포집체 내부에 수용된 분뇨의 외부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 8-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6-1 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330)는 건축물 정화조(F)와 연통되는 정화조연결관(332)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유연관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재질적으로 스테인레스 유연관, 플라스틱유연관으로 형성되며, 형상적으로 복수의 주름관을 사용한다.
실시예 6-1과 다르게 포집체가 직접 건물의 정화조로 직결된다. 정화조 투입구와 원활한 연결을 위해 유연관을 사용한다.
(실시예 9-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분뇨수용공간과 연통되며, 타측이 공기압축기(334) 흡입구 측에 연통되는 진공흡입관(333);, 상기 진공흡입관(333) 및 포집체(330) 사이에 형성된 진공유지밸브(335);, 상기 분뇨투입구(331)에 형성된 진공흡입밸브(336);를 포함한다.
(실시예 9-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에 형성되는 진공센서(337); 상기 진공센서의 압력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압축기 및 상기 진공유지밸브와 진공흡입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기(338);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관의 분뇨는 진공압으로 이송된다. 순간이동을 위해 진공흡입밸브는 항상 폐쇄되어 있으며, 작동신호에 따라 순간적으로 개방된다. 이는 제2제어기로 작동된다. 진공이 포집체에 형성되어야 하며, 포집체의 진공은 공기압축기를 이용한다. 공기압축기의 입력부분이 포집체와 연통된다. 공기압축기 작동으로 포집체 내부는 진공이 되며, 공기압축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진공유지밸브가 폐쇄되어 포집체 내부는 부압을 형성한다. 즉, 제2제어기는 공기압축기, 진공유지밸브, 진공흡입밸브를 제어한다.
(실시예 10-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 에 있어서, 상기 환경부(200)와 상기 주거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개폐도어(210);, 상기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환경부의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10-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0-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도어는 왕복회동도어로 형성된다.
환경부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도록 바디는 투명재질로 형성된다. 반려동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폐도어를 설치하며, 개폐되어는 회동성이 부여되어 양방향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10-3)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0-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환풍구(601)를 포함한다. 상기 환풍구는 환풍팬(602)을 형성하며, 환풍구에는 공기필터(603)를 포함한다.
반려동물 분뇨에 의해 환경부는 악취를 발생하며, 악취의 외부배출을 위해 환풍기를 설치한다. 환풍기는 환풍팬을 장착하여 바디 내부의 악취를 강제송출한다. 송출공기의 악취재거를 위해 필터가 장착된다. 필터는 소모품이며, 교체 가능하게 모듈화 된다.
(실시예 10-4)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0-3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센서의 입력신호에 따라 환풍팬 작동을 제어하는 제3제어기가 장착된다.
환기팬의 수시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환경부 내부에는 위치센서를 장착한다. 위치센서는 반려동물의 진입여부를 판별하며, 반려동물이 진입이 후 일정시간 환풍팬을 작동시킨다.
(실시예 11-1)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 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 내부에 위치하는 사료공급용기(110);, 상기 주거부 내부에 위치하는 식수공급장치(120);을 포함한다.
(실시예 11-2)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1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용기에는 사료공급장치를 부착한다. 상기 사료공급장치의 사료투입구가 사료공급용기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사료공급장치의 사료보관통에는 일정량의 사료가 보관되며, 상기 사료투입구에는 제어밸브가 장착된다.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기 위해 사료공급장치를 부착한다. 사료공급장치는 사료보관통이 결합되며, 사료보관통에는 일정량의 사료가 배출되도록 제어밸브가 장착된다. 제어밸브는 정해진 시간에 따라 정해진 량으로 사료를 공급한다.
(실시예 11-3)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2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용기 또는 사료공급장치에는 스피커(151)를 부착한다.
반려동물에게 사료공급시점을 알려주기 위해 사료공급용기 또는 사료공급장치에 스피커를 장착한다. 스피커의 작동으로 음악, 전자신호 등을 발생시키며, 스피커 작동으로 반려동물의 사료공급시점을 훈련시킬 수 있다.
(실시예 11-4)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1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 하부에는 저울(152)을 부가하며, 저울의 전기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분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반려동물의 몸무게변화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된 결과를 관리자의 휴대폰에 알려주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몸무게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주거부 내부에는 저울을 장착한다. 저울은 반려동무의 몸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몸부게 변화를 분석부에서 판단한다. 분석된 데이터는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사료공급장치의 제어밸브와 연동된다. 반려동물의 몸무게 증가 및 감소량을 측정하여 제어밸브 개폐량을 조절하며, 이는 사료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11-5)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1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열선(153), 상기 주거부의 온도를 특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주거부의 상부에 형성된 선풍기,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온도신호로부터 열선의 가열을 제어하거나, 선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반려동물의 친환경분위기는 인간과 상이하다. 즉, 반려동물에게 적합한 설정온도를 제어부에 입력하며, 온도센서와 연동시켜, 설정된 온도에 맞게 주거부의 온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설정온도 이하의 경우, 주거부 열선을 가동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며, 설정온도 이상의 경우 주거부 선풍기를 가동하여 온도를 하강시키며, 이는 실시간으로 작동된다.
(실시예 11-6) 본 발명의 반려동물 생활시설은 실시예 11-1에 있어서,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는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의 이동상태를 감지하며,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영상을 전송한다.
100 : 주거부 110 : 사료공급용기
120 : 식수공급장치 200 : 환경부
210 : 개폐도어 220 : 바디
300 : 처리부 310 : 투과망
320 : 포집관 330 : 포집체
331 : 분뇨투입구 332 : 정화조연결관
333 : 진공흡입관 334 : 공기압축기
335 : 진공유지밸브 336 : 진공흡입밸브
340 : 투입구 342 : 유무감지센서
343 : 솔레노이드밸브 344 : 제1제어부

Claims (11)

  1. 반려동물 생활시설에 있어서,
    수용공간(101)이 형성되는 주거부(100);,
    상기 주거부 일측에 형성되며 반려동물이 분뇨를 방출하는 환경부(200);,
    상기 환경부 하부측에 위치되며 방출된 분뇨을 포집하는 처리부(300);,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판재형상이며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투과망(310);,
    상기 투과망 하부에 형성되며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집관(320);,
    상기 포집관과 연통되는 포집체(330);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집관에 형성되며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배출수가 공급되는 투입구(340);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배출수 투입구(340)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수도관과 결합되는 공급관(341a);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5. 청구항 3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배출수 투입구(340)와 연결되며,
    타측이 배출수를 저장하는 배출수저장통과 결합되는 공급관(341b);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환경부에 장착되며, 반려동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감지센서(342);,
    상기 공급관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밸브(343);,
    상기 유무감지센서의 센서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부(344);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330)는 내부에 분뇨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포집관과 연통되는 분뇨투입구(331);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330)는 건축물 정화조와 연통되는 정화조연결관(332)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9. 청구항 7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분뇨수용공간과 연통되며, 타측이 공기압축기(334) 흡입구 측에 연통되는 진공흡입관(333);,
    상기 진공흡입관(333) 및 포집체(330) 사이에 형성된 진공유지밸브(335);,
    상기 분뇨투입구(331)에 형성된 진공흡입밸브(336);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경부(200)와 상기 주거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개폐도어(210);,
    상기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환경부의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220);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 내부에 위치하는 사료공급용기(110);,
    상기 주거부 내부에 위치하는 식수공급장치(120);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활시설.
PCT/KR2018/006557 2018-01-18 2018-06-10 반려동물 생활시설 WO201914297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622 2018-01-18
KR1020180006622A KR101849070B1 (ko) 2018-01-18 2018-01-18 반려동물 생활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2979A1 true WO2019142979A1 (ko) 2019-07-25

Family

ID=6208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6557 WO2019142979A1 (ko) 2018-01-18 2018-06-10 반려동물 생활시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9070B1 (ko)
WO (1) WO20191429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176B1 (ko) 2019-06-18 2021-07-06 최동구 반려동물 하우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51U (ja) * 1993-06-10 1995-01-13 八宏 李野 ペットハウス
US7107933B2 (en) * 2004-08-19 2006-09-19 Mohr Catherine C Litter-free pet waste collection system
KR20090074856A (ko) * 2008-01-03 2009-07-08 강민호 조립식 애완용 개집
JP4616162B2 (ja) * 2005-12-09 2011-01-19 株式会社ヤマヒサ ペットのトイレ仕付け用サークル
KR20130106729A (ko) * 2012-03-20 2013-09-30 장진선 애완견 하우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51U (ja) * 1993-06-10 1995-01-13 八宏 李野 ペットハウス
US7107933B2 (en) * 2004-08-19 2006-09-19 Mohr Catherine C Litter-free pet waste collection system
JP4616162B2 (ja) * 2005-12-09 2011-01-19 株式会社ヤマヒサ ペットのトイレ仕付け用サークル
KR20090074856A (ko) * 2008-01-03 2009-07-08 강민호 조립식 애완용 개집
KR20130106729A (ko) * 2012-03-20 2013-09-30 장진선 애완견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070B1 (ko) 201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9076A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WO2016117901A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WO2016108608A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WO2018182099A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WO2019199003A1 (ko) 애완동물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WO2019142979A1 (ko) 반려동물 생활시설
CN106714550A (zh) 宠物马桶
KR20190018859A (ko) 반려견 배변장치
WO2019054525A1 (ko) 세면수를 변기세척수로 재활용이 가능한 절수기 장치
CN209749426U (zh)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宠物笼
WO2014007497A1 (ko) 애완동물 배변기
WO2020009278A1 (ko) 반려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WO2022045482A1 (ko)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WO2020256225A1 (ko) 반려동물 하우스
KR102468558B1 (ko)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CN209473282U (zh) 一种红外线感应自动冲水宠物厕所
WO2016056700A1 (ko) 사물인터넷과 센서 기반의 벨트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0357052B1 (ko)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WO2022080705A1 (ko) 반려동물용 자동 배변판
CN214178559U (zh) 豚鼠便捷清洗多层式地笼
WO2010117171A2 (ko) 야광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배변장치
CN213848148U (zh) 一种能分别收集猪粪、猪尿及冲洗水的猪舍
KR200201907Y1 (ko)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CN216427035U (zh) 一种宠物粪便处理装置
KR100441034B1 (ko) 화장실의 인체 배설물 자동 소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005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005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