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183B1 -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183B1
KR920008183B1 KR1019900006085A KR900006085A KR920008183B1 KR 920008183 B1 KR920008183 B1 KR 920008183B1 KR 1019900006085 A KR1019900006085 A KR 1019900006085A KR 900006085 A KR900006085 A KR 900006085A KR 920008183 B1 KR920008183 B1 KR 920008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toilet
drain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646A (ko
Inventor
심재경
Original Assignee
심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경 filed Critical 심재경
Priority to KR1019900006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183B1/ko
Publication of KR91001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수세식 양변기의 부분 절개사시도.
제2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제2도는 수세식 양변기의 전체 사시도.
제3도는 수세식 양변기와 물탱크를 발췌한 분리 사시도.
제4도는 흡기 및 배수부재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흡기 및 배수부재의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뚜껑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배추구멍의 격벽과 배출관의 설치위치도.
제8도는 조립측단면도.
제9도는 조립종단면도.
제10a,b도는 흡기 및 배수부재의 작동 상태도.
제11도는 제10도의 종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변기 본체 2 : 수세식 양변기
3 : 물탱크 4 : 감지부재
5 : 흡기 및 배수부재 6 : 흡입팬
7 : 뚜껑부재 21 : 집수실
22 : 배출구멍 23 : 배출관
24 : 흡기구멍 25 : 배기공간
26 : 흡입팬삽입홈 31 : 공급관
32 : 부구 33 : 호스
34 : 배수공 35 : 배기공
41 : 감지센서 42 : 감지등
51 : 배수 T관 52 : 밸브설치관
53 : 역류방지관 54 : 배기관
55 : 배수밸브 512 : 만족가이드편
513 : 부구 521 : 환턱
523 : 경사면 533 : 경사면
534 : 보조배수관 535 : 보조배수안내파이프
537 : 지지환 538 : 지지캡
539 : 부구 543 : 전선안내파이프
56, 57 : 고무패킹
본 발명은 수세식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변기의 사용시에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습기등을 실외로 배출시켜 청결하고 위생적인 실내를 형성하여 쾌적한 용변환경을 제공하고자 발명한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세식 양변기의 구조는 제1도와 같이 배설물의 배출시 밸브손잡이(3 00)를 작동시키면 그 밸브손잡이(300)와 연결된 배수밸브(55)가 열려 배수구(200)를 통해 양변기(2)로 물탱크(3)내의 물을 배수토록 하였다.
그후 물탱크(3)내의 물이 완전히 배수되면 배수밸브(55)의 자중에 의하여 배수구(200)를 차단하여 다시 공급되는 물의 배수를 미연에 방지한다.
이때 양변기(2)로의 배수로 인하여 물탱크(3)내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낮아져서 완전배수되면 부구(32)가 물탱크(3)내의 바닥까지 하강하게 되므로 그 부구(32)의 하강시 공급관(31)내의 밸브를 개방시켜 수도관의 물이 공급관(31)을 통해 물탱크(3)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탱크(3)내로 물의 공급시 부구(32)가 점차적으로 상승하고 설정된 수위만큼 충수되면 부구(32)와 연결된 공급관(31)내의 밸브를 차단시켜 물의 공급을 자동으로 중단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양변기(2)로 배수된 전량의 물은 배설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양변기(2)내에는 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일정량 만큼의 물을 다시 공급하여야만 된다.
양변기(2)내에 일정량 만큼의 물이 없으면 양변기(2)와 연결된 정수조내의 악취및 습기등이 화장실로 역류되거나 또는 용변시 배설물이 그대로 양변기(2) 바닥면에 침적되므로 물속에 침수된 배설물의 악취와는 비교되지 않을만큼 악취가 나서 화장실에 악취냄새가 스며들어 다음 사용자에게 매우 불쾌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양변기(2)내의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양변기(2)내로의 물공급은 상술한 공급관(31)으로 물이 공급될때 호스 (33)를 통하여 배수관(201)으로 유도시켜서 양변기(2)내로 일정량 만큼 공급하는 것이며, 물공급의 중단은 물탱크(3)내로의 공급중단과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수세식 양변기는 단순히 배설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어 용변시 배설물에서 발생된 악취나 습기는 화장실내로 확산되어 용변중 불쾌감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용변후에도 악취가 실내에 남아있게 되어 다음 사용자에게도 많은 불쾌감을 주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등 불결하고 비위생적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악취 및 습기를 제거하고자 선출원(국내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2-907호 및 동 제85-2471호 미합중국 특허 제4,494,255호)된 것이 있었던 것으로, 국내실용신안 양변기의 후방상단에 별도의 흡기관을 고정설치한후 일단은 양변기 내로 하향절곡시키고 타단은 양변기의 후방하부에 설치된 배출기와 연결하여 용변시 악취와 습기를 배출기의 흡입력으로 흡기관을 거쳐 외부로 배출토록 한 것이나 흡기관을 양변기 상부에 설치하므로써 양변기의 외관이 보기 흉할뿐만 아니라 파손의 염려가 있고, 또한 배출기의 작동을 사용자가 일일이, 온, 오프시켜야 되므로 외부인의 경우 양변기에 배출기가 설치되어 있는지 또는 작동스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분간할 수 없이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용무를 보아야 되는 등 배출기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미합중국 특허는 양변기와 물탱크사이에 별도의 하우징을 고정설치하여 물탱크내의 물이 하우징을 거쳐 양변기로 안내토록 한것으로, 즉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를 수직관통하는 배수관을 상기 물탱크와 연결시켜 물을 공급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배수관이 관통된 하우징의 저면에 통기공을 형성시켜 양변기의 후방과 연통되게 하고,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는 외부로 노출된 배출관과 연결되게 하였다.
상기 수세식 양변기의 동작원리는 일종의 사이폰작용과 같은 것으로서 양변기 집수실내의 오물에 물을 공급하여 함께 옥외로 배출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양변기 집수실내의 물이 사이폰에 의한 흡입배출현상이 양호하게 이룰 수 있도록 주어진 시간내에 물탱크로부터 설정된 양의 물이 공급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술한 양변기의 구조는 물탱크내의 주어진 물의 양이 양변기 집수실내로 공급될때 하우징의 배수관을 거쳐 양변기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다량 물은 집수실 방향으로 흐르고 일부 소량의 물은 급수통로의 저항에 의하여 하우징의 통기공을 거쳐 하우징의 공간부와 배기관으로 물이 역류되는 현상이 일정시간 발생하였다가 다시 급수통로로 유입하게 된다.
이때 양변기 집수실로 공급되는 물은 역류되는 물로 인하여 유량과 수압이 감소됨은 물론 지연공급되는 현상을 낳게 되는데, 이는 곧 상술한 양변기의 동작원리인 사이폰 구조에 의한 흡입 배출동작을 양호하게 이룰 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배설물의 순간적인 배출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된 수량을 공급하여 됨에도 불구하고 역류되는 물로 인하여 수량의 감소는 물론 그로인한 수압의 감소로 사이폰 작용을 할 수 없어 양변기내의 배설물을 완전히 배출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고자 한것으로, 양변기의 후방과 하부에 각각 흡기구멍과 배기 공간을 형성하여 상호 연통되게 한후 상기 흡기구멍을 물탱크내에 설치되는 흡기및 배수부재를 통해 양변기의 집수실과 연통되게 하고, 상기 흡기구멍에 흡입팬을 설치하여 양변기 집수실의 악취및 습기를 흡입하여 배기공간으로 안내되게 하며, 상기 배기공간은 바닥면에 매설되어 양변기의 배설물을 배출토록 한 배출관과 직접 연통되게 하여 악취 및 습기를 그 배출관으로 배기되게 하고, 상기 배수부재는 용변중 악취 및 습기를 흡입안내되게 하는 동시에 물탱크내의 물을 양변기의 집수실로 공급할때 역류를 방지하여 배설물을 깨끗히 배출시키도록 하며, 물탱크내에 감지부재를 고정설치한 후 감지센서는 물탱크를 통해 노출되게 하므로써 용변을 보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흡입팬을 자동으로 작동시키도록 한 구조로써, 본 발명의 악취 배출장치는 물탱크와 양변기 자체내에 설치하므로써 외관상 미려하고 배설물의 배출 및 악취, 습기등의 배출로 화장실의 쾌적한 용변환경과 청결하고 위생적인 실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2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부호로 1은 양변기 본체이며, 그 양변기 본체(1)는 수세식 양변기(2), 물탱크(3), 감지부재(4), 흡기및 배수부재( 5), 흡임팬(6), 뚜껑부재(7)로 구성된다.
상기 수세식 양변기(2)는 제3도 및 제8도와 같이 지면에 고정설치하며, 전방에 집수실(12)을 형성하고, 그 집수실(21)과 연통되게 후방에 배출구멍(22)을 형성하여 지면에 매설된 배출관(23)과 연통되게 한다.
상기 수세식 양변기(2)의 후방과 하부에 각 흡기구멍(24)과 배기공간(25)을 형성하여 상호 연통되게 하고, 상기 흡기구멍(24)은 상방으로 개방되게 하며, 배기공간( 25)은 배출구멍(22)의 격벽(22a)주연에 형성하여 배기공간(25)을 배출관(23)과 연통되게 한다.
상기 흡기구멍(24)이 형성된 격벽(24a)의 하부에 흡입팬삽입홈(26)을 형성하여 상기 흡입팬(6)을 끼워서 흡기구멍(24)내에 위치되게 한다.
또, 상기 집수실(21)의 상부주연에 급수통로(27)를 형성하여 후방측까지 연장되게 하고, 급수통로(27)의 저면에 다수의 통기공(28)을 균등배열형성하여 집수실( 21)이 연통되게 하며, 연장된 급수로통로(27)의 후방 측 상부에 유입구(29)를 형성한다.
상기 물탱크(3)는 제5도와 같이 수세식 양변기(2)의 후방측 상부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이며, 내부 바닥면 일측에 공급관(31)에는 고정설치하여 수도관과 연결되게 하고, 상기 공급관(31)에는 부구(32)의 상하 작동시 개폐되는 밸브(도면에 미도시)를 설치하며, 또한 공급관(31)의 상부에 호스(33)의 일단을 연결하되 공급관(31)의 상단을 밀봉시킨다.
또 상기 물탱크(3)의 중간부에는 제3도와 같이 2개의 배수공(34)과 배기공(3 5)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양변기(2)의 유입구(29)와 배출구멍(22)에 각각 연통되게 한다.
상기 감지부재(4)는 제5도와 같이 물탱크(3)의 내부측전방벽에 고정설치하고, 그 감지부재(4)의 감지센서(41)와 감지등(42)을 전방벽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게 한다.
이때, 물탱크(3)내에 수위가 충만되더라도 상기 감지부재(4)까지는 침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흡기 및 배수부재(5)는 제5도와 같이 상기 물탱크(3)의 배수공(34)와 배기공(35)에 각각 설치하는 것으로, 그 구조는 제4도와 같이 배수 T관(51), 밸브설치관 (52), 역류방지관(53), 배기관(54), 배수밸브(55)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 T관(51)은 하부외주면에 나사부(511)를 형성하고, 교차되는 내부에 만곡가이드편(512)을 상방으로 향하게 일체화시킨다.
상기 밸브설치관(52)은, 전후방에 환턱(521)(522)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환턱(521)을 상향경사지게 경사면(523)으로 형성하고, 외주면 상부에 힌지부(524)를 형성한다.
그후 상기 밸브설치관(52)의 환턱(522)이 상기 배수 T관(51)의 일측에 걸리도록 끼워서 누수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힌지부(524)에 배수밸브(55)의 힌지부(5 51)를 힌지핀(552)으로 연결시켜 개폐되게 상하 작동되게 한다.
상기 배수밸브(55)는 물탱크(3)의 전방벽에 노출되게 설치된 밸브손잡이( 300)와 와이어(310)로 연결시켜 밸브손잡이(300) 작동에 의해 배수밸브(55)를 개폐시키도록 한다.
이때, 배수 T관(51)내에 부구(513)을 삽입 설치하여 만곡 가이드편(512)에 의해 전방과 상방으로만 이동되게 되며, 측방으로 이동시 환턱(522)측의 밸브 설치관(52)의 후단내경에 걸려 배수밸브(55)를 압입하거나 공기의 누수를 방지한다.
상기 역류방지관(53)은 양단에 환턱(531)과 돌환(532)이 형성된 엘보우으로써, 돌환(532)측의 하단 내주면에 경사면(533)을 형성하며, 모서리부에 보조 배수관(534)을 세워서 상호 연통되게 한다.
상기 보조배수관(534)에는 내부에 보조배수 안내파이프(535)를 세워서 내측면에 고정시키며, 그 보조배수안내 파이프(535)의 상부의 보조배수관(534)에 구멍( 536)을 천공하여 상기 물탱크(3)내에 설치된 공급관(31)의 호스(33)의 타단을 그 구멍(536)에 끼워서 상기 보조배수 안내파이프(535)내로 끼우며, 이때 구멍(536)으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호스(33)와 구멍(536) 사이를 접착제 또는 패킹등을 이용하여 밀봉시킨다.
또, 보조 배수관(534)의 상단에는 외부면에 지지환(537)을 돌출시키며, 사방이 개방된 지지캡(538)을 상기 지지환(537)에 끼워서 그 지지캡(538)내에 부구(539)를 설치하여 수위의 지나친 상승시 부구(539)를 상승시켜 보조배수관(534)내로 물이 배수토록 한다.
상기 배기관(54)은 상단에 엘보우(541)를 하단에 돌환(541)과 나사부(542)를 각각 형성하며, 엘보우(541)의 모서리부에 전성 안내파이프(543)를 돌출시켜 상호 연통되게 한다.
그뒤 상기 배기관(54)의 엘보우(541)과 역류방지관(53)의 환턱(531)을 상호 끼워서 일체화되게 하는 동시에 누수를 방지토록 한다.
상기 배수 T관(51)과 역류방지관(53), 내기관(54)의 결합시 "ㄷ"자형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흡기 및 배수부재(5)를 제5도와 같이 물탱크(3)에 고정시 제8도, 제10도, 제11도와 같이 배수 T관(51)과 배기관(54)의 각 하단에 저면에 경사면 (560)(570)이각각 형성된 고무패킹(56)(57)을 각각 끼운 후 나사부(511)와 (542)를 물탱크(3)의 배수공(34)과 배기공(35)에 각각 끼워서 물탱크(3)의 저면에 고정너트(561)(571)로 체결시켜 일체화되게 한다.
이때 상기 고무패킹(56)(57)의 경사면(560)(570)은 물탱크(3)의 배수공( 34)과 배기공(35)에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토록 한다.
이때 양변기(2)와 물탱크(3)는 상호 접촉공정되어 있으므로 고정너트(56 1)(571)는 양변기(2)의 배출구멍(22)와 유입구(29)내에 설치되게 한다.
상기 뚜껑부재(7)는 뚜껑(71)과 시트(72)로 구성되어 힌지핀(73)에 의해 회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71)은 제6도와 같이 2등분하여 상호접촉부위에 힌지부 (711)(712)를 형성한후 힌지핀(713)으로 연결시켜서 뚜껑(71)의 개방(젖힘)시 제8도 가상선과 같이 접혀서 열려지도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양변기 본체(1)의 전기배선은 감지부재(4)의 전선(1 00a)(100b)은 전원선과 흡입팬(6)에 각각 접속시키고, 흡입팬(6)의 다른 전선(10 0c)은 상기 전원선에 연결시키되 물탱크(3)의 후방벽에 구멍(도면에 미도시)을 천공하여 그 구멍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고 흡입팬(6)과 연결되는 전선(100b)(100c)은 수세식 양변기(2)와 흡기구멍(24)을 통해 흡기 및 배수부재(5)의 배기관(54)으로 안내되어 전선안내파이프(543)를 통해 물탱크(3)내로 인출한다.
그리고 물탱크(3)에 충수되는 물의 수위는 흡기 및 배수부재(5)의 역류방지관( 53)의 보조배수관(534)의 상부끝단까지 채워지게 된다.
만약 상기 보조배수관(534)의 상부끝단 이상까지 물이 공급되면 그 보조 배수관(534)을 통해 수세식 양변기(2)의 집수실(21)로 배수되도록 하여 물탱크(3)전체에 물이 충수되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제2도 내지 제11도는 수세식 양변기(2)와 물탱크(3)가 분리식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적용되는 구성예이며, 제12도는 수세식 양변기(2)와 물탱크(3)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경우에 적용시킨 다른 실시예로써, 부호와 명칭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대로 적용시키도록 하고, 집수실(21)과 연통된 급수통로(27)와 흡기구멍(24)을 상술한 흡기 및 배수부재(5)를 사용하지 않고 흡기관(10)으로 연결하여 그 연결부위에 누수되지 않도록 접착제 또는 패킹등을 사용한다.
상기 흡기관(10)에 전성 안내파이프(101)를 고정설치하여 물탱크(3)내의 설정된 수위보다 높게 돌출시켜서 물탱크(3)내에 설치된 감지부재(4)의 전선(10 0b)(100c)을 전선안내 파이프(101) 흡기관(10), 흡기구멍(24)을 거쳐 흡입팬(6)에 연결시킨다.
이때, 전선(100b)(100c)이 삽입되는 전선 안내 파이프(101)의 상부끝단을 밀봉시켜 누수를 방지토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설물의 배출과정을 설명하면, 제2도 내지 제11도에서 물탱크(3)에 설치된 밸브손잡이(300)를 작동시키면 와이어(310)에 연결된 배수밸브(55)가 힌지편(552)을 중심으로 개방되어 물탱크(3)내의 물이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방향으로 밸브설치관(52)을 통해 배수 T관(53)으로 급수된다.
이때, 배수 T관(53)의 만곡가이드편(512)에 의해 밸브설치관(52)측에 있던 부구(513)가 제10a도에서 제10b도 상태로 수압에 밀려 만곡가이드편(512)으로 밀림과 동시에 상승하게 되며, 상승된 부구(513)는 역류방지관(53)의 하단 내부면의 경사면 (533)에 접촉하여 역부방지관(53)의 하부를 차단시켜 물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급수되는 물은 결국 배수 T관(53)의 하부로 배수되므로 배수 T관(53)과 연통된 수세식 양변기(2)의 유입구(29)로 급수되고 유입구(29)로 급수된 물은 급수통로(28)를 통해 집수실(21)로 배수된다.
집수실(21)로 배수된 물은 수압과 수량에 의하여 집수실(21)내의 배설물과 함께 신속하게 배출구멍(22)을 통해 배출관(23)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23)과 배기공간(25)이 연통되어 있더라도 배출구멍(22)의 최하단까지는 이미 설계된 수세식 양변기의 배출수두이므로 집수실(21)내의 물과 배설물은 상기 배기공간(25)으로 역류되지 못하고 배출관(23)으로 배출이 된다.
배설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물탱크(3)내에는 물이 완전 배수된 상태이므로 물탱크(43)내에 다시 물을 공급하여야 된다.
급수작동은 상술한 물탱크(3)내의 물이 배수될때 수위에 의하여 상승되어 있던 부구(32)가 하강하게 되며, 물탱크(3)내의 완전배수시 부구(32)가 물탱크(3)의 바닥면까지 하강되면 그 부구(32)에 의하여 공급관(31)내의 밸브가 개방되어 물탱크(3)내에 물을 급수하게 된다.
상기 물의 급수시 공급관(31)의 일부 물이 호스(33)을 통해 역류방지관(53)내의 보조배수안내파이프(535)로 급수되며, 급수되는 물은 그 보조배수안내파이프(535 )의 안내를 받아 역류방지관(53), 배수 T관(51)을 통해 상술한 배출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수세식 양변기(2)의 집수실(21)로 공급이 된다.
상기 집수수길(21)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시켜야 되는 이유는 이미 상술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역류방지관(53)과 배수 T관(51)으로 급수시 배수 T관(51)내에 삽입된 부구(513)의 위치는 제10a도와 같이 배수 T관(51)의 일측, 즉 배수설치관(52)의 입구를 차단시키도록 이동된 상태이다.
왜냐하면, 수세식 양변기(2)로 물탱크(3)의 물이 급수될때에는 수압에 의하여 제10b도와 같이 부구(513)가 역류방지관(53)의 하단입구를 차단시키며 역류를 방지하였으나 물탱크(3)의 물이 수세식 양변기(2)로 와전배수되면 부구(513)에 가해졌던 수압이 소멸되므로 부구(513)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되고, 또 하강시 만곡가이드편( 512)의 안내를 받아 밸브설치관(52)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밸브설치관(52)으로 이동시키는 이유는 상술한 보조 배수안내 파이프(535)의 안내를 받아 역류방지관(53), 배수 T관(51)으로 공급되는 물이 밸브 설치관(52)으로 급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수세식 양변기(2)의 집수실(21)내에 설정된 수량을 공급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물탱크(3)내에 설정된 양만큼의 물이 충수되면 부구(32)가 계속 상승하다가 부구(32)에 의해 공급관(31)내의 밸브를 차단시켜 급수를 중단시키도록 하고, 이로인해 호스(33)보조 배수안내파이프(535)로 공급되던 물의 공급도 동시에 자동으로 중단이 되는 것이다.
한편, 부구(32) 또는 공급관(31)내의 밸브가 고장나거나 작동이 되지 않을 경우 역류방지관(53)의 보조배수관(534)보다 수위가 상승하게 되는데, 설정된 수위는 상기 보조배수관(534)의 끝단을 넘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상술한 고정등에 의하여 수위가 상승된 수량만큼 보조배수관(534)을 통해 수세식 양변기(2)내로 배수된다.
이때 보조급수관(534)의 상단에는 부구(539)가 설치되어 보조급수관(534)의 입구를 차단시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가 수위의 상승시 부구(539)를 상승시켜 보조 급수관(534)의 입구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조급수관(534)의 개방으로 넘치는 물은 그 보조 급수관(534)을 통해 역류방지관(53), 배수 T관(51), 수세식 양변기(2)의 유입구(29), 급수통로(27), 집수실(21)순으로 배수되어 물탱크(3)내에 물이 넘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이로인해 물탱크(3)내에 설치된 감지부재(4)가 침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감지부재(4)의 고장방지와 정확한 작동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때, 보조 급수관(534)을 통해 역류방지관(53)내로 배수될때 배기관(54)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자연법칙에 의하여 낙수되며, 만약 배기관(54)측으로 흘러들어갈 염려가 있을 경우 배기관(54)측을 역류방지관(53)측 보다 높게 설치하면 된다.
다음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자 할때 악취및 습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양변기 본체(1)에 접근하게 되면 물탱크(3)에 설치된 근접 스위치인 감지센서(41)가 이를 감지하여 감지부재(4)에 그 신호를 전달시켜 주고, 이와 동시에 흡입팬(6)과 감지등(42)에 전원을 공급하여 흡입팬(6) 및 감지등(42)을 작동시킨다.
상기 흡입팬(6)은 악취 및 습기등을 흡입하는 것이며, 감지등(42)은 흡입팬(6)의 작동중임을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흡입팬(6)이 작동하게 되면 그 흡입력에 의하여 흡기구멍(24), 흡기 및 배수부재(5)의 배기관(54), 역류방지관(53), 배수 T관(51), 유입구(29), 급수통로(2 7), 통기공(28)내의 공기를 빨아들이게 되므로 급수통로(27) 및 통기공(28)과 연통된 집수실(21)내의 악취 및 습기는 그 흡입력에 의하여 상술한 역순과정을 거쳐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흡기구멍(24)으로 흡입되며, 흡입되는 악취 및 습기는 배기공간(25)으로 배기시켜 배출관(23)으로 배기토록 한다.
상기 배출관(23)은 배출구멍(22)과도 연통되어 배설물의 배출을 안내토록 하나 악취 및 습기의 배기역활도 동시에 겸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배출관(23)으로 강제 배기되는 악취 및 습기는 집수실(21)내의 일정량의 물때문에 배출구멍(22)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악취및 습기가 역류되지 못하고 결국 배출관(23)으로 강제 배기되는 것이며, 흡입시 역류방지관(53)의 보조배수관(534)으로 물탱크(31)내의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즉, 부구(539)가 보조배수관(534)의 입구를 차단시키고 있으므로 공기의 유입은 방지되고, 다만 상술한 바와같이 수위의 상승시 넘치는 물만을 배수토록 한다.
상기의 배기과정은 사용자가 용변중 계속 작동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양변기(1)에서 벗어날때 상술한 배설물의 배출작동과 더불어 감지센서(41)가 이를 감지하여 흡입팬(6)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작동은 사용자가 임의로 작동시키는 것이며, 감지부재(4)는 자동으로 감지하여 작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뚜껑부재(7)의 뚜껑(71)을 2등분하여 접혀서 열리도록 한 이유는 뚜껑(71) 자체를 열어젖힌후의 상태가 물탱크(3)의 상부까지 높게 올라가게 되므로 외관상 보기 흉할 뿐만 아니라 감지센서(41)의 부정확한 감지로 인하여 흡입팬(6)을 자주작동시키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2도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배설물의 배출과정은 기존의 양변기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행하는 것이며, 다만 악취 및 습기의 배기과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여기에서는 집수실(21)내의 악취 및 습기를 흡입팬(6)의 흡입력으로 인하여 흡기관(10)을 거쳐 흡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흡입팬의 작동을 감지센서로써 자동감지시켜 작동되게 하고, 흡기장치를 수세식 양변기와 물탱크내에 설치하므로써 외관상 보기 좋으며, 악취 및 습기등을 배출관으로 배출시킴으로 별도의 배출라인을 시설할 필요가 없어 시설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전방에 형성된 집수실(21)의 상부 주연과 후방 하부에 급수통로(27)와 배출구멍(22)을 형성하여 급수통로(27)는 수세식 양변기(2)의 후방상부에 고정설치된 물탱크(3)의 저면과 연통시켜 배수밸브(55)에 의하여 개폐되게 하며, 배출구멍(22)은 바닥면에 매설된 배출관(23)과 연통시켜 배설물을 배출되게 하고, 상기 물탱크(3)의 내부바닥면에 부구(32)와 호스(33)가 설치된 공급관(31)은 고정설치하여 물의 공급및 중단시키도록 하고, 양변기(2)에 흡입팬(6)을 설치하여 악취 및 습기를 배기토록 하며, 수세식 양변기(2)의 상부에 뚜껑(71)과 변기시트(72)를 회동되게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세식 양변기(2)의 후방과 저면에 흡기구멍(24)과 배기공간(25)을 상호 연통되게 설치한후 배기공간(25)은 상기 배출관(23)과 연통되게 하고, 상기 흡기구멍(2 4)의 하부에 흡입팬(6)을 설치하며, 상기 물탱크(3)내에 흡기 및 배수부재(5)를 고정설치하여 수세식 양변기(2)의 급수통로(27)와 흡기구멍(24)을 상호 연통시키고, 상기 흡기 및 배수부재(5)에 배수밸브(55)를 설치하여 수세식 양변기(2)로 급수되게 하고, 상기 물탱크(3)의 전방벽 상부에 감지부재(4)를 설치하여 수세식 양변기(2)에 차석시 감지하여 흡입팬(6)을 자동으로 작동되게 하여 악취 및 습기등을 배기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및 배수부재(5)는, 교차되는 내부에 만곡가이드편(5 12)을 상향되게 설치한 배수 T관(51)의 일측에 밸브설치관(52)을 끼우고, 상기 밸브설치관(52)의 전방에 환턱(521)이 경사지게 형성한후 배수밸브(55)를 개폐되게 설치하며, 상기 배수 T관(51)내부에 부구(513)를 삽입설치하여 만곡가이드편(512)에 의해 상방과 전방으로만 이동되게 하여 각각 개폐시키도록 하고, 엘보우형의 모서리부에 보조배수관(534)을 세워서 상호 연통되게 하며 그 내부에 보조배수안내 파이프(535)를 세워서 내측면에 고정시킨후 상기 호스(33)를 보조 배수안내 파이프(535)내로 삽입설치하고 보조 배수관(534)의 상부에 부구(539)를 설치하여 사방이 개방된 지지캡(538)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부구(539)가 승강되게 구성된 역류방지관(53)을 상기 배수 T관(51)의 상단에 끼워서 일체화 하고, 엘보우(541)의 모서리부에 전선 안내 파이프(543)를 돌출시켜 상호 연통되게 형성한 배기관(54)을 상기 역류방지관(5 3)과 조립시켜 일치화한 흡기및 배수부재(5)의 배수 T관(51)과 배기관(54)을 물탱크 (3)에 고정설치하여 수세식 양변기(2)의 급수통로(27)와 흡기구멍(24)에 연통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4)는 감지센서(41)의 감지등(42)을 물탱크( 3)의 전방벽으로 노출되게 하여 감지센서(41)의 감지시 흡입팬(6)과 감지등(42)을 각각 작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71)을 2등분하여 상호 접촉부위에 힌지부(71 1)(712)를 형성한후 힌지핀(713)으로 연결시켜서 젖힘시 접혀지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KR1019900006085A 1990-04-30 1990-04-30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920008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6085A KR920008183B1 (ko) 1990-04-30 1990-04-30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6085A KR920008183B1 (ko) 1990-04-30 1990-04-30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646A KR910018646A (ko) 1991-11-30
KR920008183B1 true KR920008183B1 (ko) 1992-09-25

Family

ID=1929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6085A KR920008183B1 (ko) 1990-04-30 1990-04-30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287B1 (ko) * 2006-03-20 2007-10-17 김영배 양변기용 냄새제거장치
KR101019966B1 (ko) * 2008-03-10 2011-03-09 조성구 냄새흡입 장치가 설치된 양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648B1 (ko) * 2002-08-08 2004-07-19 조성현 탈취가 가능한 절수 장치
KR101760683B1 (ko) * 2017-04-03 2017-07-24 주식회사 한성종합상사 악취 제거 기능이 구비된 위생 변기
KR20240000256U (ko) 2022-08-03 2024-02-14 박시우 양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287B1 (ko) * 2006-03-20 2007-10-17 김영배 양변기용 냄새제거장치
KR101019966B1 (ko) * 2008-03-10 2011-03-09 조성구 냄새흡입 장치가 설치된 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646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920008183B1 (ko)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200401803Y1 (ko) 좌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102130169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100491641B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0492905Y1 (ko) 착탈식 냄새흡입부재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EP0651098A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odor from plumbing units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CN210658591U (zh) 一种全自动除臭坐便器
KR100498243B1 (ko)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KR0178581B1 (ko) 환기장치를 구비한 사이폰 변기
KR100386377B1 (ko) 거품발생장치가 구비된 소변기
KR200220437Y1 (ko) 수세식 좌변기의 냄새배출장치
KR200438551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200220526Y1 (ko)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920008182B1 (ko)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960002954Y1 (ko) 대변기용 후랫쉬 밸브
CN210887489U (zh) 一种具有抽风除臭功能的智能马桶
KR19990033240U (ko) 냄새 배출장치가 부착된 양변기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KR200438550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200405776Y1 (ko) 배기팬이 부착된 양변기 악취배출장치
KR200428087Y1 (ko) 좌변기 내 발생되는 냄새 제거 역류 방지 장치
JPS6344036A (ja) 水洗便所における臭気排出装置
KR20020037578A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9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