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182B1 -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182B1
KR920008182B1 KR1019900001818A KR900001818A KR920008182B1 KR 920008182 B1 KR920008182 B1 KR 920008182B1 KR 1019900001818 A KR1019900001818 A KR 1019900001818A KR 900001818 A KR900001818 A KR 900001818A KR 920008182 B1 KR920008182 B1 KR 920008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ipe
switch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764A (ko
Inventor
심재경
Original Assignee
심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경 filed Critical 심재경
Priority to KR1019900001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182B1/ko
Publication of KR910015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설치된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의 부분 절개를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배출부재를 발췌한 단면도.
제5a,b도는 본 발명의 승강부재와 스위치 부재를 나타낸 작동 전후상태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타측 승강부재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양변기와 배출부재의 고정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변기 본체 2 : 양변기
3 : 물탱크 4 : 승강부재
5 : 스위치 부재 6 : 배출부재
7 : 집수실 8 : 급수통로
9 : 통기공 10 : 유입구
11 : 배기공 12 : 안내돌편
13 : 배수공 14 : 배출부재 설치홈
18 : 안내관 19 : 고정너트
20 : 승강봉 21 : 안내지지관
22 : 탄력스프링 23 : 지지틀
24 : 돌환 28, 31 : 스프링설치구멍
32 : 스위치 작동편 33 : 리미트 스위치
34 : 록크너트 36 : 스위치고정판
41 : 돌기 42 : 카바
43 : 요홈 44 : 배출관
45 : 엘보우 46 : 연결관
47 : T관 48 : 배출기
49 : 고정판 50 : 환턱
51 : 스크린 54,62 : 고무패킹
55 : 부구 57 : 결합너트
58 : 환턱 59 : 돌환
65 : 요홈 66 : 마개
67 : 모타 68 : 팬
71, 72 : 환턱 73 : 결합너트
본 발명은 수세식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변기의 사용시에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및 습기등을 실외로 배출시켜 청결하고 위생적인 실내를 형성하며 쾌적한 용변환경을 제공하고자 발명한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세식 양변기는 사용시 배설물에서 발생된 악취나 습기가 화장실내로 확산되어 용변중 불쾌감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용변후에도 악취가 실내에 남아 있게 되어 다음 사용자에게도 많은 불쾌감을 주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등 불결하고 비위생적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악취 및 습기를 제거하고자 선출원(국내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2-907호 및 동 제85-2471호, 미합중국 특허 제4,494,255호)한 바 있는 것으로, 국내실용신안은 양변기의 후방 상단에 별도의 배기관을 고정설치한후 일단은 양변기내로 하향절곡시키고 타단은 양변기의 후방하부에 설치된 배출기와 연결하여 용변시 악취와 습기를 배출기의 흡입력으로 배기관을 거쳐 외부로 배출토록한 것이나 배기관을 양변기 상부에 설치하므로서 양변기의 외관이 보기 흉할뿐만 아니라 파손의 염려가 있고, 또한 상기 배출기의 작동을 사용자가 일일이 온, 오프시켜야 되므로 외부인의 경우 양변기에 배출기가 설치되어 있는지 또는 배출기의 작동 스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분간할 수 없어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용무를 보아야 되는등 배출기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미합중국 특허는 양변기와 물탱크사이에 별도의 하우징을 고정 설치하여 물탱크내의 물이 하우징을 거쳐 양변기로 안내토록한 것으로, 즉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를 수직관통하는 배수관을 상기 물탱크와 연결시켜 물을 공급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배수관이 관통된 하우징의 저면에 통기공을 형성시켜 양변기의 후방과 연통되게 하고,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는 외부로 노출된 배출관과 연결되게 하였다.
즉, 양변기의 동작원리는 일종의 사이폰작용과 같은 것으로 양변기 집수실내의 오물에 물을 공급하여 그 물로서 오물을 옥외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집수실내의 물이 사이폰에 의한 흡입배출현상이 양호하게 이룰수 있도록 주어진 시간내에 물탱크로 부터 일정량이상의 물이 공급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술한 양변기의 구조는 물탱크내의 주어진 물의 양이 집수실내로 공급될때 하우징의 배수관을 거쳐 양변기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물은 집수실 방향으로 흐르고 일부 소량의 물은 급수통로의 저항에 의하여 하우징의 통기공을 거쳐 하우징의 공간부와 배기관으로 물이 역류되는 현상이 일정시간 발생하였다가 다시 급수통로로 유입하게 된다.
이때 양변기 집수실로 공급되는 물은 역류상태에 있는 동안 역류되는 물로 인하여 유량과 수압이 감소됨은 물론 지연공급되는 현상을 낳게 되는데, 이는 곧 상술한 양변기의 동작원리인 사이폰 구조에 의한 흡입 배출동작을 양호하게 이룰 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써, 급수통로의 후방측에 배기공을 형성하여 악취와 습기를 배출토록 하고, 연결관 하단에 환형돌편을 돌출형성하여 물탱크의 물을 공급할때 역류되는 물로써 부구를 상승시켜 환형돌편의 입구를 차단하여 역류를 방지토록 하므로써 양변기의 집수실로 물탱크의 물을 전량 신속히 주어진 시간내에 공급시켜 오물을 깨끗이 배출시키게 하며, 모터의 교체가 필요할때 교체하기에 편리하고, 변기시트의 힌지에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승강부재를 설치하고, 변기시트에 착설시 체중에 의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서 악취와 습기를 배출토록 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부호 1은 양변기 본체이며, 그 양변기 본체(1)는 수세식 양변기(2), 물탱크(3), 승강부재(4), 스위치 작동부재(5), 배출부재(6)를 각각 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양변기(2)는 지면에 고정설치하는 것으로, 전방에 집수실(7)를 형성하며, 그 집수실(7)의 상부주연에 급수통로(8)를 형성하되 후방측까지 연장하고, 상기 급수통로(8)의 저면에 다수의 통기공(9)을 균등 배열형성하여 집수실(7)과 연통되게 하며, 급수통로(8)의 연장된 후방측의 상면과 후면에 유입구(10)와 배기공(11)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10)측의 급수통로(8)에 안내돌편(12)이 집수실(7)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한다.
상기 물탱크(3)는 배수공(13)을 형성하여 상기 양변기(2)의 유입구(10)와 연결되게 하고, 후면 중간부에 배출부재 설치홈(14)을 세로방향(수직방향)으로 형성하며, 상부에 뚜껑(15)을 설치한다.
상기 승강부재(4)는 변기시트(16) 및 뚜껑(17)의 힌지겸용으로서, 기존의 힌지부재 설치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안내관(18), 고정너트(19), 승강봉(20), 안내지지관 (21), 탄력스프링(22), 지지틀(23)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관(18)은 상단에 돌환(24)을, 하부외주면에 나사부(25)를 각각 형성하여 양변기(2)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구멍(26)에 각각 삽입설치하여 돌환(24)이 양변기(2)의 상면에 접촉되게 하고, 그후 상기 나사부(25)에 고정너트(19)를 결합시켜 안내관(18)이 양변기(2)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이때 상기 지지틀(23)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구멍(27)을 안내관(18)에 끼운뒤 고정너트(19)로 고정설치한다.
상기 승강봉(20)은 중앙에 스프링 설치구멍(28)을 형성하여 하단이 개방되고 하며, 하부 외주면에 나사부(29)를 형성한후 상기 안내관(18)에 상하 슬라이딩되게 삽입설치하고, 승강봉(20)의 상단에 변기시트(16) 및 뚜껑(17)을 축핀(30)으로 끼워서 회동되게 한다.
상기 안내지지관(21)은 상방이 개방되게 스프링설치구멍(31)을 형성한 후 상기 승강봉(20)의 스프링 설치구멍(28)에서 상하 슬라이딩되게 삽입설치하는 동시에 저면이 지지틀(23)에 맞닿게 하고, 이때 승강봉(20)과 안내지지관(21)의 스프링 설치구멍(28)(31)에 상기 탄력스프링(22)을 설치하여 그 탄발력에 의해 승강봉(20)과 안내지지관(21)이 상호 벌어지도록 하며, 안내관(18)과 승강봉(20)사이에 스며들 수 있는 물(水)로 부터 탄력스프링(22)의 부식을 방지토록한다.
상기 스위치 부재(5)는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재(4)중 어느 위치에 설치하여 무방하나 가능한한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방향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작동부재(5)는 스위치 작동편(32), 리미트 스위치(33)로 구성되며, 스위치 작동편(32)의 고정단은 상기 승강부재(4)의 승강봉(20)에 끼워서 나사부(29)에 한쌍의 록크너트(34)로 고정설치하고, 자유단은 지지틀(23)의 구멍(35)을 통해 돌출되게 한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33)는 양단이 절곡된 스위치 고정판(36)에 고정 설치하며, 상기 스위치 고정판(36)은 승강부재(4)의 안내관(18)과 고정너트(19)로 고정시키는 동시에 양측을 양변기(2)의 저면에 인서트(37)과 고정나사(38)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스위치 작동편(32)의 상승 또는 하강시 리미트 스위치(33)와 단락 또는 접촉되게 하여 전원을 오프 또는 온되게 한다.
상기 스위치 고정판(36)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39)은 리미트 스위치(33)에 접속된 전원선(40)의 통과구멍이며,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돌기(41)를 절곡형성하여 카바(42)의 요홈(43)과 형합시켜 승강부재(4) 및 스위치 부재(5)를 보호토록하여 물의 침입방지및 기타 이물질등이 침입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배출부재(6)는 양변기(2)의 배기공(11)과 연결시켜 물탱크(3)의 배출부재 설치홈(14)을 거쳐 외부로 연결된 배출관(44)과 연통시키도록 한다.
즉, 배출부재(6)는 엘보우(45), 연결관(46), T관(47), 배출기(48)로 구성된다.
상기 엘보우(45)는 하단에 고정판(49)을 상단에 환턱(50)을 각각 절곡형성하며, 절곡된 내부에 스크린(51)을 설치하되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51)은 내식성 재질이면 어느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여, 분해 조립시 탄력있게 휘어질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그후 엘보우(45)의 고정판(49)을 양변기(2)의 후면에 인서트(52)와 고정나사 (53)로 고정시키되 양변기(2)와 고정판(49)사이에 고무패킹(54)을 설치하며, 이때 양변기(2)의 배기공(11)과 엘보우(45)가 상호 연통되게 한다.
상기 엘보우(45)의 스크린(51)은 부구(55)가 양변기(2)의 배기공(11)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부구(55)는 물에 의해 상승하되 후술하는 배출기(48)의 흡입력에 의해 상승될 수 없는 재질로 사용한다.
상기 엘보우(45)의 환턱(50)은 내주면에 나사부(56)가 형성되어 엘보우(45)에 끼워진 결합너트(57)의 환턱(58)과 맞닿게 하여 후술하는 연결관(46)과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연결관(46)은 내주면 하단에 구멍(60)이 형성된 돌환(59)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부구(55)의 상승시 구멍(60)을 차단시켜 역류되지 않도록 한다.
그후 연결관(46)의 외주면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61)를 상기 결합너트(57)의 나사부(56)와 결합시켜 일체화되게 하며, 이때 누수 및 기밀을 위해 엘보우(45)가 연결관(46)사이에 고무패킹(62)를 설치한다.
상기 T관(47)은 상단 외주면에 돌환(63)을 돌출시키고, 일측 외주면에는 나사부(64)를 형성한다.
내주면에 요환(65)이 형성된 마개(66)를 상기 T관(47)의 돌환(63)에 형합시켜 고정되게 한다.
상기 배출기(48)는 모타(67)와 팬(68)으로 구성되며, 모타(67)를 마개(66)의 저면에 고정나사(69)로 고정설치하여 교체 또는 수리시 마개(66)를 T관(47)에서 분리시키도록 하며, 이때 배출기(48)는 T관(47)의 내부에 설치되게 한다.
그후, 벽(70)에 매설되어 실내로 돌출된 배출관(44)과 T관(47)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배출관(44)의 끝단에 환턱(71)을 형성하여 환턱(72)이 형성된 결합너트(73)가 환턱(71)과 (72)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하고, 결합너트(73)의 나사부(74)를 T관(47)의 나사부(64)와 결합시켜 일체화되게 한다.
미설명 부호 75는 물탱크내의 물을 배수시킬때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배수밸브이며, 전원은 리미트 스위치(33)에 공급되도록하여 그 리미트 스위치(33)의 온, 오프 작동에 의하여 배출기(48)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변기에 착석하여 배출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제5a도는 탄력스프링( 22)이 탄발력에 의해 승강봉(20)이 상승한 상태이므로 승강봉(20)에 연결된 변기시트(16)가 상승되어 있고 승강봉(20)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스위치 작동편(32)의 자유단이 리미트 스위치(33)의 접속단자를 상승시켜 주므로 전원이 오프되어 배출기(4 8)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변기시트(16)에 착석하게 되면 그 체중에 의해 변기시트(16)가 양변기(2)에 접촉하여 체중을 지탱하고, 이와 동시에 변기시트(16)에 연결된 승강봉(2 0)이 탄력스프링(22)의 탄력에도 불구하고 하강하게 되며, 승강봉(20)의 하강으로 스위치 작동편(32)이 동시에 하강하게 되므로 리미트 스위치(33)의 단자를 눌러주던 외력이 제거되므로써 스위치 작동편(32)과 리미트 스위치(33)가 분리되어 리미트 스위치(33)에 전원이 도통하게 된다.
리미트 스위치(33)에 전원이 도통하면 배출기(48)의 모타(67)를 구동시키고, 모타(67)의 구동시 팬(68)을 회전시켜 주므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팬(68)의 흡입력으로 인해 제3도와 같이 양변기(2)의 급수통로(8)로 흡인하게 되므로 통기공(9)을 거쳐 집수실(7)의 악취 및 습기를 빨아들이게 되며, 악취 및 습기는 통기공(9), 급수통로(8), 배기공(11)을 거쳐 배출부재(6)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흡입시 부구(55)는 상승하지 않고 엘보우(45)내에서 머물게 되므로 연결관(46)의 구멍(60)을 차단하지 않는다.
그리고, 오물의 배출시 물탱크(3)의 물을 배수밸브(75)에 의해 순간적으로 배수공(13)을 거쳐 양변기(2)의 유입구(10)로 공급하게 되며, 이때 유입구(10)에는 안내돌편(12)이 형성되어 공급되는 물은 안내돌편(12)에 의해 집수실(7) 측으로 안내 이동하게 되고, 많은 양의 물을 동시에 공급함에 따라서 급수통로(8)에 물이 채워져서 엘보우(45)측으로 역류하게 되면 제4도 가상선과 같이 부구(55)는 수위의 상승과 동시에 상승하여 연결관(46)의 구멍(60)을 차단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역류되는 물은 부구(55)에 의해 연결관(46)측으로 역류하지 못하므로 결국 물은 양변기(2)의 집수실(7)로 안내되므로 집수실(7)의 오물을 깨끗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의 집수실(7)로 배수됨에 따라서 급수통로(8)의 수위기 낮아지게 되면 자연적으로 부구(55)가 하강하여 제4도 실선과 같이 원상 복귀하게 되며, 부구(55)는 스크린(51)에 의해 양변기(2)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다음 사용에 대해 역류방지 준비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양변기(2)의 안내돌편(12)은 물탱크(3)에서 순간적으로 배수되는 물을 양변기(2)의 집수실(7)로 안내토록하여 가능한한 배출부재(6)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안내돌편(12)의 경사각도에 따라 양변기(2)로 안내되는 물의 유속을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부재(6)는 배출기(48)의 고장시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분해조립식으로 하며, T관(47)과 벽(70)에 매설된 배출관(44)의 연결시 높이 조절되게 연결 관(46)을 T관(47)에 끼우도록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이외에 외부인의 사용시 배출기를 자동적으로 구동시켜 악취 및 습기를 배출시키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외부인에게 좋은 인상을 줄수 있으며, 다음 사용자에게도 깨끗하고 청결한 화장실을 사용토록 하므로써 쾌적한 용변기분을 제공할 수 있고 양변기의 오물을 깨끗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전방에 형성된 집수실(7)의 상부주연에 급수통로(8)를 형성한 양변기(2)의 후방상부에 물탱크(3)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집수실(7)의 상부에 변기시트(16)와 뚜껑( 17)을 회동되게 고정설치하며, 벽에 매설되어 외부로 노출된 배출관(44)을 상기 급수통로(8)와 연통되게 설치하고, 상기 배출관(44)에 배출기(48)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3)의 후면 중간부에 배출부재 설치홈(14)을 세로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변기시트(16)와 뚜껑(17)을 양측 승강부재(4)에 고정하여 승강되게 하고, 상기 일측 승강부재(4)에 스위치 작동부재(5)를 설치하여 승강부재(4)의 상, 하작동시 전원을 온, 오프되게 하여 배출기(48)를 작동시키며, 상기 양변기(2)와 배출관(44)사이에 배출부재(6)를 물탱크(3)의 배출부재 설치홈(14)을 거쳐 설치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3)와 연통된 양변기(2)의 급수통로(8)에 집수실 (7)방향으로 안내돌편(12)을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4)는, 상부에 돌환(24)이 형성된 안내관(18)을 양변기(2)에 삽입설치한후 양변기(2)의 저면에서 사각형으로 절곡시킨 지지틀(23)과 스위치고정판(36)을 안내관(18)에 끼워서 고정너트(19)로 고정설치 하고, 중앙에 스프링설치구멍(28)이 형성된 승강봉(20)을 상기 안내관(18)에 상하작동되게 삽입설치하여 상단에 변기시트(16)와 뚜껑(17)을 회동되게 고정설치하고, 스프링 설치구멍 (31)이 형성된 안내지지관(21)을 상기 승강봉(20)의 스프링 설치구멍(28)에 슬라이딩되게 삽입설치하는 동시에 지지틀(23)에 지지되게 하며, 상기 승강봉(20)과 안내지지관 (21)의 스프링 설치구성(28)과 (31)사이에 탄력스프링(22)을 설치하여 승강봉 (20)을 탄력지지토록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5)는, 상기 승강부재(4)의 승강봉(20)하단에 스위치작동편(32)의 고정단을 록크너트(34)로 고정설치하고, 상기 스위치 작동편(32)의 자유단은 지지틀(23)의 구멍(35)을 통해 돌출되게 하며, 상기 스위치 고정판(36)에 리미트 스위치(33)를 고정설치한후 스위치 작동편(32)의 자유단과 단락 또는 접촉되게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고정판(36)을 "ㄷ"자형으로 절곡한후 그 양단에 돌기(41)가 형성되게 절곡하고, 상기 돌기(41)와 대향되는 위치에 요홈(43)이 형성된 카바(42)를 스위치 고정판(36)에 형합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6)는 절곡된 내부에 다수개의 부구 저지핀(51)을 돌출형성한 엘보우(45)를 양변기(2)의 급수통로(8)와 연통되게 고정설치하고, 상기 부구저지핀(51)에 부구(55)를 설치하며, 내주면 하단에 구멍(60)이 형성되게 돌환(59)을 돌출시킨 연결관(46)을 상기 엘보우(45)와 결합너트(57)로 연결하고, T관(47)의 상단에 설치된 마개(66)에 배출기(48)를 고정설치하여 T관(47)내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T관(47)에 연결관(46)을 끼워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66)에 요환(65)을 형성하여 T관(47)의 상단에 형성된 돌환(63)과 형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1019900001818A 1990-02-14 1990-02-14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920008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1818A KR920008182B1 (ko) 1990-02-14 1990-02-14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1818A KR920008182B1 (ko) 1990-02-14 1990-02-14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764A KR910015764A (ko) 1991-09-30
KR920008182B1 true KR920008182B1 (ko) 1992-09-25

Family

ID=1929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818A KR920008182B1 (ko) 1990-02-14 1990-02-14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1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666A1 (en) * 2009-09-28 2011-03-31 Long Tim C Vented toilet
KR101415178B1 (ko) * 2013-12-06 2014-07-04 (주)대금 악취 이동수단을 갖는 양변기 악취 배출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477700A (en) 1999-08-09 2001-03-05 Bioen Co. Ltd Odor exhausting apparatus for water clos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666A1 (en) * 2009-09-28 2011-03-31 Long Tim C Vented toilet
KR101415178B1 (ko) * 2013-12-06 2014-07-04 (주)대금 악취 이동수단을 갖는 양변기 악취 배출구
WO2015084086A3 (ko) * 2013-12-06 2015-08-13 주식회사 대금 악취 이동수단을 갖는 양변기 악취 배출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764A (ko) 199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3150A (en) Toilet stool ventilating means
US8789213B2 (en) Self-ventilating toilet
US3902203A (en) Toilet stool ventilating means
US8060952B2 (en) Odor removal system and overflow safety system for toilets
US20090044320A1 (en) Self-ventilating toilet
GB2209356A (en) Ventilating a water closet
KR920008182B1 (ko)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GB2178456A (en) Odour extractor apparatus for use with lavatories
US2122687A (en) Ventilated toilet bowl
KR200492905Y1 (ko) 착탈식 냄새흡입부재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KR200442285Y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KR920008183B1 (ko)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CN209854864U (zh) 一种多功能如厕系统
CA2347273C (en)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CN217630304U (zh) 具有排气装置的卫生设备
KR100573960B1 (ko) 악취 제거기능을 겸비한 절수형 양변기
KR0178581B1 (ko) 환기장치를 구비한 사이폰 변기
KR200294082Y1 (ko) 포세식 위생변기의 악취방지장치
KR200277599Y1 (ko) 좌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200220437Y1 (ko) 수세식 좌변기의 냄새배출장치
CN212641655U (zh) 一种马桶除臭装置
CN209620197U (zh) 一种负压吸附无臭无味节水陶瓷便器设备
CN204298924U (zh) 挂式节水座便器
KR200220460Y1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CN211341051U (zh) 一种无臭小便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9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