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37651A1 -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37651A1
WO2013137651A1 PCT/KR2013/002035 KR2013002035W WO2013137651A1 WO 2013137651 A1 WO2013137651 A1 WO 2013137651A1 KR 2013002035 W KR2013002035 W KR 2013002035W WO 2013137651 A1 WO2013137651 A1 WO 20131376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supply pipe
toi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20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주환
Original Assignee
Roh Ju Hwa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2649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17879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15084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82198B1/ko
Application filed by Roh Ju Hwan filed Critical Roh Ju Hwan
Priority to CN201380013716.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168762A/zh
Priority to JP2015500363A priority patent/JP2015509735A/ja
Priority to US14/385,169 priority patent/US20150053140A1/en
Publication of WO20131376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376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toilet combined toilet clean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device having an intake and drainage system for automatically cleaning the toilet after the pet defecation (urine) supplies the cleaning water to the toilet.
  • the water supply module and the water drainage module that collects the water cleaned by the toilet are assembled by detaching by combining the modules, and can be used only by the water supply module without the drainage modu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toilet cleaning devic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a place equipped with a drainage system such as a toilet and detects a pet in detail.
  • Hygiene needs to be considered when raising pets indoors. Of course, it is important to clean the molt pet's hair, but most importantly, specify the pet's bowel position and train the pet to bowel in a specific bowel position. It is.
  • the water supply module for supplying water and the drainage module for collecting the water that cleans the toilet can be instal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providing convenience for use regardless of place.
  • the technology is paten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ake and drainage modules and the waterproofing of the pipelines. If the drainage is installed in a place with a drainage system such as a toilet or a veranda, only the intake module can be used.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technology, when using only the acquisition module without the drainage modu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quisition module is not stably stood up, and thus it is true that there is some inconvenience in using the acquisition module independently.
  • the sensor method determines whether the pet is located on the toilet by the sensor method, according to the one-way transmission sensor for irradiating infrared rays toward the pet, that is, a sensor configuration in which the transmission sensor and the reception sensor are not remotely separated. It is pointed out that a pet with a high frequency absorbs infrared rays or a problem where frequent errors occur in a place where bright light is irradiated, such as a veranda, and an ultrasonic method also causes an operating error due to movement of other people around. .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but provides an automatic cleaning function of the pet toilet, easy between the inlet module for supplying the cleaning water to the toilet and the drainage module to collect the water after cleaning and discharge to the outside Providing a detachable coupling method to provid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but in a place equipped with drainage facilities, such as toilets, pet toilet toilet cleaning device that can provide a stable environment for cleaning the toilet with only the water supply module without the drainage module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a transmitting sensor on one side of the toilet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hair color of the pet, ambient light, movement of the surrounding object, and having a receiving senso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body, that is, the acquisition module It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pet as a separate structure, so that the cleaning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toilet in a state that drastically reduced the recognition error of the pet.
  • the modular combined toilet toilet cleaning device the net seated pets for defecation, and receiving a bowel receiving the bowel movement of the pet introduced from the net,
  • a toilet including an inlet pipe that introduces water stored in a module into the bowel, a drain pipe for draining sewage after cleaning the bowel, and an outgoing sensor unit equipped with an outgoing sensor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a receiving sensor;
  •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water tank supply pipe, a supply pipe connected to a supply hole of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upply pipe, and having a check valve open and closed at one side thereof, and a receiving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outgoing sensor.
  • the drainage module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ake module but detachably coupled to the intake module, the drainage modul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inflow of sewage through the drain pipe by the drive of the motor, and sensing through the sensing of the outgoing sensor and the receiving sensor Characterized by the controller to determine whether the pet defecation through the signa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heck valve;
  • the outgoing sensor unit may include a outgoing sens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ler by any one of a cab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plug having a lower en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acquisition module, the sensor housing having a plug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the plug,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going senso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nsor housing. .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acquisition module and the drainage module in the pet toilet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of the acquisition module and the drain module in the pet toilet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tructure of the toilet.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ter tank of the acquisition module in the state that the cover is ope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drainage module.
  •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est form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odular toilet combined toilet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t, the pet is seated for defecation, a bowel receiving receiving the bowel movement of the pet introduced from the net,
  • a toilet including an inlet pipe that introduces water stored in a module into the bowel, a drain pipe for draining sewage after cleaning the bowel, and an outgoing sensor unit equipped with an outgoing sensor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a receiving sensor;
  •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water tank supply pipe, a supply pipe connected to a supply hole of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upply pipe, and having a check valve open and closed at one side thereof, and a receiving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outgoing sensor.
  • the drainage module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ake module but detachably coupled to the intake module, the drainage modul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inflow of sewage through the drain pipe by the drive of the motor, and sensing through the sensing of the outgoing sensor and the receiving sensor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pet defecation through a signal, the controll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heck valv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state of the water supply module and the drainage module in the pet toilet bowl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eparation state of the water supply module and drainage module in the pet toilet bowl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ilet bowl cleaning device for pets As can be seen from Figures 1 and 2, the toilet bowl cleaning device for p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ee the bowel movement by landing or seating the pet to collect the bowel movements and the water for cleaning the toilet (100) It is composed of an intake module 200 for spraying the water, a drainage module 300 for collecting the water to clean the toilet, and a controller 400 for controlling the detailed function, the intake module 200 and the drainage module 300 Is configured to be engaged and released by a coupling that provides a removable function.
  • the toilet (100) is to provide a space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stool of the pet and cleaning the receiving water of the acquisition module 200, specifically, the pet
  • the water supply pipe 130 is a pipe for receiving the clean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the water after cleaning the external or drainage module It is composed of an outgoing sensor unit 150 for transmitting the object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receiving pipe 20, the receiving sensor 201 of the water supply module 200 to discharge.
  • the net 110 is commonly seen in the known toilet (100) is made of a thin panel form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efecation receiving 120 in a detachable manner.
  • the net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o provide a flat (flat) and a large space for the pets to rise up and bowel movements, in particular urine can be delivered to the bowel receiving 120. .
  • the net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wel support 120.
  • Bowel receiving 120 is to perform the function of storing the bowel movement (mainly urine) of the pet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net (110),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volum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net 110 and will be described later After cleaning by spra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200) to the inner space and the clean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drain pipe 140 and the water supply module 200 for discharging the water (including urine) to the drainage module 300 after this washing Receiving inlet pipe 130 is formed.
  • Inlet pipe 130 is to perform the function of supplying and spra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inlet module 200 to the space in the defibrillator 120, it may be provided with an injection unit at the end.
  • the injection part of the side portion of the toilet 100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200 or one side of the toilet 100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200,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ide of the defecation receiving 120, of the defecation receiving 120 It may be formed by including any one of the bottom or the bar, this injection unit has a base that is connected to the inlet module 200 through the inlet pipe 130, respectively, irrespective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supplied with water.
  • the injection unit may include an injection nozzle, the injection nozzle is set to the injection direction so as to inject water in a specific direction and can further determine the injection pressure. That is, the injection nozzle is installed at an end point at which the water entering the injection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perform the function to adjust the injection direction to the injection pressure.
  • the drain pipe 140 serves as a pipe for discharging the sewage to the outside after cleaning, but may be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module 300 for a place without a drainage facility to discharge the wastewater to the drainage module 300. Can be.
  • the outgoing sensor unit 150 includes an outgoing sensor 151 that performs a function of irradiating an object detection signal representative of infrared rays toward the receiving sensor 201 of the acquisition module 200, and specifically, the outgoing sensor 151. ), A sensor housing 152, and a cable 153.
  • the outgoing sensor 151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specifically the sensor signal detection module) of the acquisition module 200 via the cable 153, the controller (through the cable 153) ( At the same time as receiving wired control of 400, power is supplied to the object sensor 201 to irradiate the object detection signal to the reception sensor 201. Therefore, the outgoing sensor 151 is mounted to the sensor housing 152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eceiving sensor 201.
  • the sensor housing 152 is protruded laterally on one side of the toilet (100), specificall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ceiving sensor 201 of the intake module 200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outgoing sensor 151 (
  • the plug receiving hole 155 for accommodating 154 is formed therethrough. That is, the sensor housing 152 to detachably receive the outgoing sensor 151, the plug 15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outgoing sensor 151 is inserted into the plug receiving hole 155, the outgoing sensor ( 151 may be firmly coupled to and released from the sensor housing 152.
  • the cable 153 performs a function of connecting the controller (sensor signal determination module) and the outgoing sensor 151 and receives a signal processing control of the controller (sensor signal determination module) and transmits a sensor signal and is supplied with power. You can have a role.
  • the cable 153 extending long from the acquisition module 200 may be mounted in a connection terminal form, that is, one side of the cable 153 may be formed in a removable coupling configuration, and further wireless communication without a cabl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n independent power supply means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0 and by mounting the battery itself.
  • the outgoing sensor unit 150 transmits and receives an object recognition signal remotely while forming a reception sensor 201 and a location sensor sensor set of a pet with a net portion of the toilet 100 interposed therebetween.
  • a reception sensor 201 and a location sensor sensor set of a pet with a net portion of the toilet 100 interposed therebetween Compared to the integrated object detection sensor system (ultrasound, etc.)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it prevents malfunctions, and in particular, can detect black hair pets having the property of absorbing sensor light. Facilities such as verandas with natural light provide the ability to accurately recognize and detect pets without malfunc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tructure of the toilet.
  • the toilet 100 is securely supported on the floor by the support leg 160, and it can be seen that two tubes extend into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of the toilet 100 and the support leg 160. , It can be seen that the diameter of the tub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support leg 160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toilet 100 is lifted off the floor by the tube.
  • one pipe is the water supply pipe 130 for supplying the clean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200 to the bowel movement
  • the other pipe is the water cleaned in the toilet (100).
  • the drainage module 300 or the drain pipe 140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inlet pipe 130 supplies water through the inlet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wel receiver 120, and the drain pipe 140 is a drain hole. It is formed to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discharge the sewage to the drainage module through the outside, it can be seen that the inlet pipe and the drain pipe is naturally extended in the form of L to U at a distance from the inlet / drain hole, respectively.
  • the length of the conduit may be shortened, and thus the warpage may be weakened,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of mounting on another conduit, that is, the drain pipe 140.
  • both the inlet pipe 130 and the drain pipe 140 can be naturally bent or bent while ensuring a sufficient length to b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toilet 100, to prevent the problem of mounting between the two and at the bottom of the toilet To ensure the efficiency of the deployment.
  • the cable 153 connected to the outgoing sensor 151 is connected to the outgoing sensor 151 at one portion or the side and the bottom boundary portion (also including one sidewall portion of the drainage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from the side of the toilet 100 to the bottom surface.
  • a cable bracket 170 is formed to facilitate cable arrangement so that a portion of the cable 153 can be fitted thereto.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ter tank of the acquisition module in the state that the cover is open.
  • the upper portion of the acquisition module 200 has an open water tank shape and the open portion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210.
  • the inside of the intake module 200 has a water tank 220 that can accommodate the clean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toilet 100,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220 is a supply hole 221 for draining the cleaning water to the supply pipe It is formed through.
  • the control housing 24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20, the control housing 24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water tank 220 when looking at the entire acquisition module 200, but the water tank 220 and As an independent space, the supply pipe 250, the check valve 260, the controller 400 and the power supply are built in,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trol housing 2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Let's do it.
  • the tank supply pipe 230 may be coupled to the tank supply hole 222 of the left or right side wall, and the remaining tank supply hole 222 is not used. Stop with a stopper.
  • the water tank supply pipe 23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20 through the water tank supply hole 222, and the water supply control portion 22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n inner end thereof.
  •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223 ris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220 so as to incline the water tank supply pipe 230 so that sufficient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220 through the water tank supply pipe 230.
  • the water supply is prevented from being supplied to the water tank 220, that is, the water supply pipe 230 is inclined to prevent water from being excessively supplied into the water tank 220.
  •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223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water tank supply pipe 230 through a thread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water tank supply pipe 230, and an auxiliary coupling means such as a packing / bracke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prevent leakage. It is possible to be mounted.
  • reception sensor 20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cquisition module 200, that is, one side (or a control panel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surface facing the toilet 100.
  • the reception sensor 201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 signal of the transmission sensor 151 as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 to whether the reception sensor 201 receives a signal of the transmission sensor 151, the transmission sensor 151 is provided. And presence of an object between the reception sensor 201, that is, a pet, may be detected.
  • the transmitting sensor 151 and the receiving sensor 201 are remotely separated to perform a function as an object recognition / sensing sensor, so that the detection of a pet on the net is more detailed than a known one-way signal transmitting sensor. Can be performed precisely.
  • the supply pipe 250 embedded in the control housing 260 of the intake module 200 receives the cleaning water obtained through the supply hole 221 of the water tank 220 to the toilet through the inlet pipe 130 of the toilet 100.
  • the flow of water received in the toilet 100 may be blocked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check valve 260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through the check valve 260.
  • th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upply hole 221 is opened without the flush valve mounted in the water tank of the known toilet, and then the supply pipe 260 connected to the supply hole 221 through the check valve 260 It has a structure to control the quantity of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and to prevent the malfunction problem compared to the electronic control method, and has the advantage of performing the quantity control due to the simpler and more intuitive mechanical structure.
  • Check valve 260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supply pipe 250 to control the flow flow by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pipe 250, it is possible to utilize a variety of currently available check valv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a check valve As an example, the valcon valve will be described.
  • the valcon valve is mounted on the control housing while exposing the switch to one side (back side) of the inlet module 200 to perform opening / closing control of the supply pipe. It also provides the convenience of controlling the possible way.
  • a switch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rol by the check valve control module of the controller 400 to be described later, as well as the user can quickly open and close the supply pipe 250 in an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water overflows from the toilet or the drainage module).
  • 26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intake module 200, and the supply pipe 250 can be immediately clos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witch 261.
  • the check valve 260 using the valcon valve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open switch for opening function in addition to the closing function.
  • the valve is opened and a predetermined time (eg For example, 20-30 seconds) includes a function to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time of the valve so that the valve can be closed.
  • the valcon valve By the valcon valve, it is possible not only to receive automatic control by the controller 400 but also to provide convenience for quickly performing manual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in an emergency situation.
  • the supply pipe 250 exposed to the outside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intake module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take pipe 130 of the toilet 100.
  • a coupling part such as a screw thread is formed at the coupling end of the supply pipe 250 and the water inlet pipe 130 to form a desorp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rough the detachable coupling (thread coupling) of the coupling pipe and the auxiliary coupling means such as packing to bracket.
  • the seal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upling assistant.
  • the supply pipe 250 may be integrally formed from the control housing 240 to an externally extended portion, but may be first mounted in the control housing 240 to ensure free rotation of the externally exposed supply pipe portion.
  • the supply pipe 251 and the externally exposed second supply pipe 252 are freely rotated by a mechanical coupling means such as a bearing, so that the free supply rotation of the second supply pipe 252 can be ultimately pursued. It is more preferable at the point which aims at the convenient desorption relationship with 130.
  • a leg 27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cquisition module 200 to support the acquisition module 200 alone on the floor in an installation situation in which the drainage module 300 is not required.
  • the drain pipe 140 of the toilet bowl is immediately inserted into a drain hole of the toilet without cleaning the wastewater in the drainage module 300 and then the wastewater after cleaning.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leg 270 of the acquisition module 200 performs a stable support function of the acquisition module.
  • Leg 270 of the acquisition module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S. 1 and 2, but may b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s shown in FIG. 4.
  • leg 270 according to FIG. 4 has a prefabricated structure of a plurality of leg segments 271.
  • Leg section 271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 a coupling piece 272 at one end to both ends, each leg section 271 may be of the same length, but may be of different lengths Do.
  • the leg segments 271 may independently adjust the length of each leg 270. That is, in the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cquisition module 200 has a horizontal state in order to smoothly operate the above-described water supply control unit 233 and other components.
  • the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so that the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horizontally adjusted more flexibly by selecting the leg segments 271 having different lengths while controlling the number of use of the leg segments 271 in this problem. It provides a property to keep it in a state.
  • the externally exposed supply pipe (second supply pipe 252) can be combined with the inlet pipe 130 through the coupling auxiliary portion 280, cleaning and assembling / disassembly Taking the convenience of the threaded method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in particular, the supply pipe (second supply pipe) exposed to the outside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free rotation is possible to ensure a convenient coupling with the inlet pipe 130.
  • the bar receiving groove 291 is formed in the acquisition module portion with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supply pipe (second supply pip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rotation preventing bar 290 is detachably fitted thereto.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 receiving groove 29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ti-rotation bar 290 may be formed with threads to couple both by a thread coupling method.
  • the anti-rotation bar 290 is to prevent the problem that is not tightly coupled with the inlet pipe 130 by unnecessary rotation of the supply pipe (second supply pipe) exposed to the outside, the anti-rotation bar 290 in normal use To the bar receiving groove 291 to prevent rotation of the supply pipe (second supply pip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o prevent rotation of the supply pipe exposed to the outside for cleaning to prevent rotation in the bar accommodation groove (291) The bar 290 may be removed to rotate the supply pipe.
  • the anti-rotation bar 290 provides a property that can ensure a safe and convenient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ly pipe (second supply pipe) and the inlet pipe 130 exposed to the outsid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drainage module.
  • Drainage modu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module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let module 200, in general,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module 20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age module 300 It may be seated or take the structure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module 200 can be accommodated into the drainage module 300, the coupling by the module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inlet module 200 and the drainage module 300 You can.
  • Such a module coupling portion may use a variety of known coupling means, and the module coupling portion may additionally have a locking means to ensure a firm coupling relationship at the coupling site of the intake module 200 and the drainage module 300 by external force. have.
  • the drainage module 300 temporarily stores the wastewater cleaned by the toilet 100 through the drain pipe 140 to perform a function of allowing the user to discard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drainage module 300 at the time of cleaning.
  • 310 is provided with a driving force of the pump 3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module 300 of the wastewater of the toilet (100).
  • the outer wall is provided with a cable bracket 170 for accommodating the cable 153 to neatly organize the cable 153 extending from the outgoing sensor 151.
  • a critical water level line is provided in the drainage module 300, and a water level detection module is installed around the critical water level line to block the opening of the check valve 260 in the controller 400 when the water level rises up to the critical water level line. It can also have the ability to:
  •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mounted on any one of the inlet module and the drain module (preferably the control housing of the inlet module), and grasps whether the pet is on the net and supplies the supply pipe of the inlet module 200. While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heck valve (260 illust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260 installed in the 250, and at the same time to perform the drainage time control from the water intake module 200 to the toilet 100 and the outgoing sensor 151 Execute outgoing signal transmission control of.
  • the controller 400 may basically include a control panel 410, a sensor signal grasping module 420, and a check valve opening / closing control module 430, and may further include an overflow management module 440.
  • the control panel 410 is form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acquisition module 200,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receiving sensor 201 is forme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amps (LED lamps) 411 and an input key 412 (switch to keyboard, Button, etc.), as well as the reception sensor 201 may be provided.
  • LED lamps LED lamps
  • input key 412 switch to keyboard, Button, etc.
  • the control panel 410 not only displays whether the lamp 411 is normally operated by color or flickering, but also the user manually sets the driving state of the check valve 260 through the input key 412 or automatically Select the setting mode.
  • the sensor signal determination module 420 receives a sensing signal through sensing of the sensor unit, that is, the outgoing sensor 151 and the receiving sensor 201, and the corresponding sensor signal is detected by the pet in the cleaning apparatus itself or around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to determine whether you have defecation.
  • the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pet by the sensing of the receiving sensor 201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acquisition module 200 and the outgoing sensor 15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ilet (100) toilet (100) Determining whether or not is located in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the reception sensor 201 whe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sensor 151 is received by the reception sensor 201, it is determined that the pet does not exist on the toilet 100, that is, on the net 110, and the transmission sensor 151 If it does not receive the signal irradiated by the reception sensor 201 serves to determine that the pet is present on the toilet (100).
  • the sensor signal grasping module 42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pet is located on the toilet 100 by sensing between the originating sensor 151 and the receiving sensor 201.
  • the check valve control module 430 may be fixed by a check function of a timer provided separately or by a time delay function of a check valve (valcon valve). After the passage of time or immediately, the check valve 260 is opened so that water is supplied into the bowel support 120 through the supply pipe 250 and the inlet pipe 130.
  • a check valve valcon valve
  • the check valve control module 4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tting modes to allow a user to select any one of the setting modes, and further, the user may select an input key of the control panel 420.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delay time and the quantity by operation.
  • the first setting mode is a setting mode in which the check valve 260 is opened immediately after 5 seconds after the pet withdraws from the toilet 100 afte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pet in the sensor unit for 2 seconds, and automatically closes after 20 seconds. to be.
  • the second setting mode is the same as the first setting mode, in which the check valve 260 is opened after 20 seconds from when the sensor is re-detected for 1 second after the detection of the sensor part (when the pet is back on the toilet). This mode is to start doing.
  • the first and second setting modes may be set by a user by operating an input key 412 of the control panel 410.
  • various setting modes can b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means (storage means such as a memory) provided in the controller 400, and the user can adjust the delay time and the check valve opening time. It is also possible.
  • the overflow management module 440 does not discharge wastewater from the toilet 100 to the drainage module 300 due to a failure of the pump 310 mounted on the drainage module 300.
  • the operation detection sensor 441, the check valve closing portion 442, the sensor inactive portion 443, the forced power cutoff portion 444 Consists of
  • the operation detection sensor 441 is formed in the inner side of any one of the defecation receiver and the drainage module 200 of the toilet bowl 100 or the drain pipe 140 or installed around the pump 310. It may be made of any one of the flow rate sensor, the vibration sensor.
  • the vibration sensor may detect whether the pump is normally driven by the vibration of the pump 310.
  • the operation detection sensor 441 ultimately determines whether drainage is well performed in the toilet 100 or the drainage module 300 based on the above-described situation determination, and generates an abnormal signal when it detects otherwise. It performs the function.
  • the check valve closing unit 442 performs a function of closing the check valve 260 when the abnormal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detecting sensor 441 is received, and the sensor inactivating unit 443 receives the outgoing sensor 151 and the receiving unit.
  • the driving of the sensor 201 is turned off, that is, inactivated, so that the sensor unit does not function. That is, by forcibly blocking the function of the sensor unit so as not to have a standby state or a detection state to open the check valve 260 even if the pet comes up on the net (110).
  • Forced power cut-off unit 444 performs a function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opening of the check valve 260 and the sensor unit to be inoperative, and in order to resume normal operation, the power cord is disconnected and then connected after a certain time. Requires a power disconnect delay time that must be
  • overflow management module 440 Due to the overflow management module 4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overflowing the water even if at least a smooth cleaning is not made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safe after-sales measures in case of failure of the pump.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는,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의 모듈식 탈부탁 결합에 의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애완동물의 배변을 감지하여 배변기를 자동 청소할 수 있는 특징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 의하면, 모듈 결합식으로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을 탈착할 수 있으면서 애완동물 감지의 정확성을 높이면서 청소의 편의성과 간편함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본 발명은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애완동물의 배변(소변) 후 자동으로 배변기를 청소하는 입수 및 배수 시스템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되 배변기에 청소용 물을 공급하는 입수 모듈과 배변기를 청소한 물이 수집되는 배수 모듈이 모듈 결합에 의한 탈착 방식으로 조립됨과 동시에 배수 모듈 없이 입수 모듈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실내, 거실, 베란다와 같이 배수 시설이 없는 시설은 물론 화장실과 같이 배수 시설이 갖추어진 장소에서도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고, 애완동물을 보다 디테일하게 감지하는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애완동물을 키울 때 위생에 신경을 써야 하는데, 물론 털갈이를 하는 애완동물의 털을 청소하는 것이 중요하나 가장 중요한 것은 애완동물의 배변 장소를 지정하고 애완동물이 특정 배변 장소에서 배변을 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화장실 바닥에서 애완동물이 배변을 하도록 훈련받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재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배변기가 출시되어 청소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공지의 배변기는 배변 받이와 네트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이 네트 상에 안착하여 대소변을 보면 주인이 네트 상의 대변을 수거하고 네트의 통공을 통해 배변 받이에 모인 소변을 별도로 수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그런데, 네트 상에 모인 대변은 수거하기 용이한 편에 속하나 소변의 경우 배변받이에 모이기 때문에 내트를 분리핸 다음 네트와 함께 배변받이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청소를 게을리 할 경우 악취가 실내에 잔류하는 위생상 문제가 따랐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배변기 청소장치가 국내외 특허를 통해 게시되고 있는데 특히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이 된 한국 특허 제 1178799호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의 경우 배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입수 모듈과 배변기를 청소한 물이 수집되는 배수 모듈이 조립식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이용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 기술에 의하면,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 간의 탈착 결합 관계의 편의성을 부여할 뿐 아니라 물이 지나는 관로의 연결 및 해제, 방수 처리를 추구할 뿐 아니라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다는 특성을 강조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의 탈착 관계 및 관로의 방수 처리에 대한 특징을 통해 특허를 받은 것인데, 만일 화장실, 베란다와 같이 배수 시설이 갖추어진 장소에서는 굳이 배수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입수 모듈만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배수 모듈 없이 입수 모듈만 사용할 때 입수 모듈이 안정적으로 기립 지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입수 모듈을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데 약간의 불편함이 따르는 것이 사실이다.
더불어, 센서 방식에 의하여 애완동물이 배변기 상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애완동물을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는 일 방향 발신 센서, 즉 발신 센서와 수신 센서가 원격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은 센서 구성에 의하면 검은 털을 가진 애완동물이 적외선을 흡수하거나 베란다와 같이 밝은 빛이 조사되는 장소에서 잦은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따르고, 더불어 초음파 방식 역시 주변의 다른 사람 등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 에러가 발생하는 단점이 지적된다.
따라서,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 간의 모듈식 결합 관계를 유지하되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이 분리되었을 때 입수 모듈의 독자적 사용 환경을 강화할 뿐 아니라 주변 물체의 움직임 내지 애완동물의 털 색깔, 주변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애완동물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를 개량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애완동물용 배변기의 자동 세척 기능을 제공하되 배변기에 청소용 물을 공급하는 입수 모듈과 청소 후 물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모듈 간 간편한 탈착 결합 방식을 제공하여 설치의 편의성을 제공하되, 화장실과 같이 배수 시설이 기본적으로 구비된 장소에서 배수 모듈 없이 입수 모듈만으로 안정적으로 배변기를 청소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애완동물의 털 색상, 주변광, 주변 물체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배변기의 일 측에 발신 센서를 구비하고 이 대향 측인 본체, 즉 입수 모듈의 정면에 수신 센서를 구비함으로 발신부 및 수신부를 분리형 구조로서 애완동물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인식 오류를 획기적으로 줄인 상태에서 배변기에 청소용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을 탈착할 때 공급관을 실링 처리하는 탈착부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입수 모듈의 일 측에 공급관의 회전을 방지하는 탈착식 바(bar)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입수 모듈에서 배변기로 배수하는 물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하여 밸콘 밸브 및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제공하여, 물 공급의 자동/수동 제어 방식을 추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네트 상에 애완동물의 위치 변동에 탄력적으로 적응하여 배변 청소용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는,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되는 네트 및, 상기 네트로부터 유입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 받이와, 입수 모듈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변 받이에 유입하는 입수관 및, 상기 배변 받이의 청소 후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수신 센서에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센서가 장착된 발신 센서부를 포함하는 배변기; 수조 공급관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물을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공급공과 상기 입수관을 연결하되 일 측에 개폐 가능한 체크 밸브가 설치된 공급관 및, 상기 발신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센서가 구비된 입수 모듈; 상기 입수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입수 모듈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배수관을 통해 오수를 유입하여 임시 저장하는, 배수 모듈 및, 상기 발신 센서와 수신 센서의 센싱을 통한 감지 신호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체크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신 센서부는, 케이블 및 무선 통신부 중 어느 하나의 통신 수단으로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하되, 하단에 플러그를 구비한 발신 센서; 상기 입수 모듈의 대향 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 홀을 구비한 센서 하우징;으로 구성이 되어, 상기 발신 센서가 상기 센서 하우징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 의하면,
1) 모듈 결합식으로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을 탈착할 수 있으면서 애완동물 감지의 정확성을 높이면서 청소의 편의성과 간편성을 제공할 수 있고,
2) 배수 모듈 없이 입수 모듈만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되 특히 경사 면에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3) 밸콘 밸브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점을 방지하면서 수동 및 자동 개폐 제어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공급관과 입수관의 결합 및 방수성은 물론 용이한 탈착 관계를 보장하되 회전 방지 바에 의해 공급관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5) 펌프의 고장에 의해 물이 넘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에서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에서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
도 3은 배변기의 저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입수 모듈의 수조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배수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는,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되는 네트 및, 상기 네트로부터 유입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 받이와, 입수 모듈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변 받이에 유입하는 입수관 및, 상기 배변 받이의 청소 후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수신 센서에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센서가 장착된 발신 센서부를 포함하는 배변기; 수조 공급관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물을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공급공과 상기 입수관을 연결하되 일 측에 개폐 가능한 체크 밸브가 설치된 공급관 및, 상기 발신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센서가 구비된 입수 모듈; 상기 입수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입수 모듈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배수관을 통해 오수를 유입하여 임시 저장하는, 배수 모듈 및, 상기 발신 센서와 수신 센서의 센싱을 통한 감지 신호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체크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에서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에서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는 애완동물이 착지 또는 안착하여 배변을 보고 이 배변을 수집하는 배변기(100)와, 상기 배변기(100)에 청소용 물을 분사하는 입수 모듈(200) 및, 배변기를 청소한 물이 수집되는 배수 모듈(300)과, 세부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0)로 구성되어 있고, 입수 모듈(200)과 배수 모듈(300)은 탈착식 기능을 제공하는 결합부에 의해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세부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100)는 애완동물의 변을 수용 및 저장하고 입수 모듈(200)의 물을 받아 청소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애완동물이 배변을 하는 곳인 네트(110)와, 애완동물의 배변을 임시 저장하는 배변 받이(120), 입수 모듈로부터 청소용 물을 공급받는 관로인 입수관(130), 청소 후 물을 외부 또는 배수 모듈로 배출하는 배수관(140), 입수 모듈(200)의 수신 센서(201)로 물체 파악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센서부(150)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네트(110)는 공지의 배변기(100)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얇은 패널 형태로 이루어져 배변 받이(120)의 상부에 탈착 방식으로 장착된다.
즉, 네트(110)는 애완동물이 올라와 배변을 할 수 있는 편평(flat)하고 넓은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배변, 특히 소변이 배변 받이(1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배변 받이(120) 내의 배변을 수거하거나 청소하기 위하여 네트(110)는 배변 받이(120)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이 된다.
배변 받이(120)는 상기 네트(110)의 통공을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주로 소변)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네트(110) 하부에 일정한 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술할 입수 모듈(200)에서 공급되는 물을 내부 공간에 분사하여 청소를 한 후 이 세척 후 물(소변 포함)을 배수 모듈(300)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40) 및 입수 모듈(200)로부터 청소용 물을 공급받는 입수관(130)이 형성되어 있다.
입수관(130)은 입수 모듈(200)에서 공급된 물을 배변 받이(120) 내 공간에 공급 및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단부에 분사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사부는 본체(200)와 접한 배변기(100)의 측부 또는 본체(200)에 배변기(100)가 접해 있는 일 측면, 배변 받이(120)의 측부 둘레 부위 중 복수의 지점, 배변 받이(120)의 바닥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바, 이 분사부는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각각 입수관(130)을 통해 입수 모듈(200)과 연결이 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기반을 가진다.
또한, 분사부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사 노즐은 특정 방향을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 방향이 세팅되어 있고 더 나아가 분사압도 결정할 수 있다. 즉, 분사 노즐은 분사부(로 진입한 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단부 지점에 설치되어 분사 방향 내지 분사압을 조절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수관(140)은 청소 후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관로 역할을 하는데, 곧바로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으나 배수 시설이 없는 장소를 위하여 배수 모듈(300)과 연결되어 배수 모듈(300)로 오수를 배출할 수 있다.
발신 센서부(150)는 적외선을 대표로 하는 물체 감지 신호를 입수 모듈(200)의 수신 센서(201)를 향해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발신 센서(151)를 포함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발신 센서(151), 센서 하우징(152), 케이블(153)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발신 센서(151)는 케이블(153)을 매개로 입수 모듈(200)의 컨트롤러(구체적으로 센서 신호 감지 모듈)와 연결이 되는 것으로, 케이블(153)을 통해 컨트롤러(400)의 유선 제어를 받음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아 물체 감지 신호를 수신 센서(201)로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발신 센서(151)는 수신 센서(201)를 향한 방향으로 센서 하우징(152)에 장착이 된다.
센서 하우징은(152)는 배변기(100)의 일 측, 구체적으로 입수 모듈(200)의 수신 센서(201)의 대향 측에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발신 센서(151)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된 플러그(154)를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 홀(15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즉, 센서 하우징(152)은 발신 센서(151)를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으로, 발신 센서(15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플러그(154)가 플러그 수용 홀(155)에 삽입되면서 발신 센서(151)가 센서 하우징(152)에 견고하게 결합 및 해제될 수 있다.
케이블(153)은 컨트롤러(센서 신호 판단모듈)와 발신 센서(151)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컨트롤러(센서 신호 판단 모듈)의 신호 처리 제어를 받으면서 센서 신호를 전달함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는 역할을 겸비할 수 있다.
입수 모듈(200)로부터 길게 연장이 되는 케이블(153)이 거치적거릴 것을 예상하여 접속 단자 형태 방식, 즉 케이블(153)의 일 측 부위가 탈착식 결합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더 나아가 케이블 없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컨트롤러(400)의 제어를 받고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장착하여 독립적인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물이 자주 묻는 배변기 청소장치의 고유 특성상 접속 단자를 구비한 케이블의 경우 단자 부위가 물이 묻을 경우 오작동 내지 고장이 일어날 우려가 높고 또한 무선 통신 방식의 센서 방식은 센싱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가 높기 때문에, 물이 묻는 경우에도 안전하고 센서 인식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선 방식의 케이블(153)을 이용하여 컨트롤러(400)와 발신 센서(151)를 연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신 센서부(150)는 배변기(100)의 네트 부위를 사이에 두고 수신 센서(201)와 애완동물의 위치 감지 센서 세트를 이루면서 원격으로 물체 인식 신호를 주고받는바, 이러한 센서의 원격 구성에 의하여 발신부와 수신부의 구분 없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물체 감지 센서 방식(초음파 등)에 비하여 오작동 문제를 방지할 뿐 아니라 특히 센서 광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검은색 털의 애완동물을 우수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자연채광이 있는 베란다 등의 시설에서도 오작동 없이 애완동물을 정확하게 인식 및 감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3은 배변기의 저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변기(100)는 지지 레그(160)에 의해 바닥에 안전하게 지지되면서 배변기(100)의 저면과 지지 레그(160)의 사이 공간으로 2개의 관이 연장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관의 직경이 지지 레그(160)의 높이와 같거나 조금 작아 관에 의하여 배변기(100)가 바닥에서 들뜨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관의 역할을 설명하면, 하나의 관은 입수 모듈(200)에서 배변기로 청소용 물을 공급하는 입수관(130)이고, 다른 하나의 관은 배변기(100)에서 청소를 한 물을 배수 모듈(300) 또는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140)이다.
특히, 도 3을 통해 이러한 관로의 배치 상태를 참조하면 입수관(130)은 배변 받이(120)의 일 측에 형성된 입수공을 통해 물을 배변 받이(120) 내로 공급하고 배수관(140)은 배수공을 통해 배수 모듈 내지 외부로 오수를 배출하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러한 입수관 및 배수관이 각각 입수공/배수공에서 이격된 거리에서 L 내지 U 자 형태로 자연스럽게 연장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입수공과 입수관(130)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관로의 길이가 짧아져 휨성이 약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다른 관로, 즉 배수관(140)에 거치적거리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입수관(130) 및 배수관(140) 모두 배변기(100)의 저면에 장착될 정도로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면서 자연스럽게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여 양자 상호 간 거치적거리는 문제를 방지할 뿐 아니라 배변기 저면에서의 배치의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변기(100)의 측면에서 저면으로 이어지는 일 부위 또는 측면과 저면의 경계 부위(또한 후술할 배수 모듈의 일 측벽 부위도 포함)에는 상기 발신 센서(151)와 연결된 케이블(153)이 배변기(10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케이블 정리를 도모하는 케이블 브라켓(170)이 형성되어 이에 케이블(153)의 일 부위를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입수 모듈의 수조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입수 모듈(20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조 형태를 가지고 있고 개방 부위는 커버(21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다. 입수 모듈(200)의 내부는 배변기(100)에 공급할 청소용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조(220)를 구비하고, 수조(220)의 바닥면에는 공급관으로 청소용 물을 배수하는 공급공(22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수조(220)의 하부에는 컨트롤 하우징(240)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컨트롤 하우징(240)은 입수 모듈(200) 전체를 보았을 때 수조(2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수조(220)와 독립된 공간을 가지는 것으로, 공급관(250) 및 체크 밸브(260), 컨트롤러(400) 및 파워 서플라이가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컨트롤 하우징(24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다시 도 2를 참조하면서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수조(220)의 상부 측벽에는 외부에서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수조 공급관(230)이 연결되는 수조 공급공(222)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특히 4개의 측벽 부위(일반적으로 수조가 직육면체 형상이므로 4개의 측벽을 구비함)에 각각 수조 공급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청소 장치가 실내 공간에 자유로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바, 다시 말해 다양한 방향에서 연장되는 수조 공급관(222)을 본 발명의 청소 장치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청소 장치의 설치 장소 선택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수 모듈(200)을 벽에 붙여놨을 경우 왼쪽 또는 오른쪽 측벽의 수조 공급공(222)에 수조 공급관(230)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하지 않는 나머지 수조 공급공(222)은 마개로 막도록 한다.
즉 수조 공급관(230)은 수조 공급공(222)을 통해 수조(220)의 내부로 연결되는 것으로, 그 내측 단에는 입수량 제어 부레(223)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입수량 제어 부레(223)는 수조(220)의 수위에 대응하여 부상함으로써 수조 공급관(230)에 경사를 부여함으로써 수조(220)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었을 때 더 이상 수조 공급관(230)을 통해 수조(220)에 물을 공급하지 않도록 하여 물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수조 공급관(230)에 경사를 부여하여 물이 수조(220) 내에 과잉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입수량 제어 부레(223)는 수조 공급관(230)의 내측 단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수조 공급관(230)과 연결될 수 있고, 누수 방지를 위해 패킹/브라켓과 같은 보조 결합 수단이 추가로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입수 모듈(200)의 일 측, 즉 배변기(100)를 향한 면의 일 측(또는 후술할 컨트롤 패널)에는 수신 센서(201)가 설치되어 있다.
수신 센서(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 센서(151)의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수신 센서(201)가 발신 센서(151)의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발신 센서(151)와 수신 센서(201) 사이의 물체, 즉 애완동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신 센서(151)와 수신 센서(201)를 원격으로 분리하여 물체 인식/감지 센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공지의 일 방향 신호 발신 방식의 센서보다 네트에 올라온 애완동물의 감지를 더욱 디테일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입수 모듈(200)의 컨트롤 하우징(260)에 내장된 공급관(250)은 수조(220)의 공급공(221)을 통해 입수된 청소용 물을 배변기(100)의 입수관(130)을 통해 배변기에 공급하는데, 체크 밸브(260)를 통하여 배변기에 공급되는 수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체크 밸브(260)의 구동 상태에 따라 배변기(100)에 입수되는 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장치는 공지의 양변기의 수조에 장착된 플러시 밸브 없이 공급공(221)을 개방 상태로 둔 다음, 체크 밸브(260)를 통하여 공급공(221)에 연결된 공급관(260)의 개폐 제어를 통하여 배변기에 공급되는 수량을 제어하는 구조를 가져, 전자식 제어 방식에 비해 오작동 문제를 방지할 뿐 아니라 보다 단순하고 직관적인 기계적 구조로 인해 수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구비한다.
체크 밸브(260)는 공급관(250)의 내부 일 측에 장착되어 공급관(250)을 개폐함으로 유량 흐름 제어를 하는 것으로, 현재 출시되어 있는 다양한 체크 밸브를 활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체크 밸브의 일 례로서 밸콘 밸브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밸콘 밸브(valcon valve)는 입수 모듈(200)의 일 측면(배면)에 스위치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컨트롤 하우징에 장착되어 공급관의 개폐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후술할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나 수동 제어도 가능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공지의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면 구동 시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여 애완동물이 쉽사리 네트(110)에 접근하지 않는 문제가 따르지만, 밸콘 밸브는 소음 없이 안정적으로 구동이 된다는 장점도 겸비한다.
즉, 후술할 컨트롤러(400)의 체크 밸브 제어 모듈에 의하여 자동 개폐 제어가 되는 것은 물론 긴급 상황(배변기 또는 배수 모듈에서 물이 넘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신속하게 공급관(250)을 개폐할 수 있는 스위치(261)를 입수 모듈(200)의 배면 일 측에 형성하고, 이 스위치(261)의 조작을 통해 곧바로 공급관(250)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밸콘 밸브를 이용한 체크 밸브(260)는 폐쇄 기능 이외에 개방 기능을 하는 개방 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는바, 이 경우 딜레이 기능을 겸비하여 개방 스위치를 조작하면 밸브가 개방되고 일정 시간(예를 들어, 20-30초) 후에 밸브가 폐쇄될 수 있도록 밸브의 개폐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밸콘 밸브에 의하여, 컨트롤러(400)에 의한 자동 제어를 받는 것은 물론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수동 제어(밸브의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입수 모듈(200)의 측벽 외부 부위로 노출 연장된 공급관(250)은 배변기(100)의 입수관(13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공급관(250)과 입수관(130)의 결합 단에 나사산과 같은 결합부를 형성하여 이 결합부의 탈착 결합(나사산 결합)을 통하여 양자의 탈착 관계를 형성하고 패킹 내지 브라켓과 같은 보조 결합 수단인 결합 보조부를 통해 실링(sealing)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공급관(250)은 컨트롤 하우징(240)에서 외부로 연장된 부위까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외부로 노출된 공급관 부위의 자유로운 회전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컨트롤 하우징(240) 내에 장착된 제 1 공급관(251)과 외부로 노출된 제 2 공급관(252)이 베어링과 같은 기계적 결합 수단에 의하여 자유 회전 결합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제 2 공급관(252)의 자유 회전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입수관(130)과의 편리한 탈착 관계를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입수 모듈(200)의 저면에는 레그(270)가 형성되어, 배수 모듈(300)이 필요 없는 설치 상황에서 입수 모듈(200)을 단독적으로 바닥에 지지할 수 있다.
즉, 화장실과 같이 배수 시설을 갖춘 장소에 본 발명의 청소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배수 모듈(300)에 오수를 굳이 수용할 필요 없이 배변기의 배수관(140)을 곧바로 화장실의 배수공에 끼워 넣어 청소 후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데, 이 때 입수 모듈(200)의 레그(270)는 입수 모듈의 안정적인 지지 기능을 수행한다.
입수 모듈(200)의 레그(270)는 도 1,2에서 보아 알 수 있듯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따른 레그(270)는 복수 개의 레그 절편(271)의 조립식 구조를 가진다. 레그 절편(271)은 일 단 내지 양 단에 결합편(272)을 구비하여 상호 결합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각각의 레그 절편(271)은 동일 길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각기 다른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레그 절편(271)에 의하여 각각의 레그(270)의 길이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청소 장치는 상술한 입수량 제어 부레(233) 및 기타 구성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입수 모듈(200)이 수평 상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황에 따라 바닥이 경사진 설치 장소에 본 발명의 청소 장치를 배치할 수도 있어 이러한 문제에서 상기 레그 절편(271)의 사용 개수를 조절함과 동시에 각기 다른 길이를 가진 레그 절편(271)의 선택을 통하여 보다 탄력적으로 본 발명의 청소 장치를 수평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다시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외부로 노출이 된 공급관(제 2 공급관(252))은 결합 보조부(280)를 매개로 입수관(130)과 결합이 될 수 있는바, 청소 및 조립/분해의 편의성을 취하여 나사산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특히 외부로 노출된 공급관(제 2 공급관)은 입수관(130)과의 편리한 결합성을 보장하기 위해 자유 회전이 가능하다고 상술한 바 있다.
그런데 외부로 노출이 된 공급관(제 2 공급관)이 외력 또는 실수로 회전이 되면, 입수관(130)과의 긴밀한 결합 관계에 방해가 되어 결합 보조부가 장착되어 있다 해도 이 사이로 물이 새어나갈 우려가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 모듈(200)의 일 측(제 2 공급관의 회전 반경 이내)에 회전 방지 바(29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외부로 노출된 공급관(제 2 공급관)의 회전 반경 이내의 입수 모듈 부위에 바 수용 홈(291)을 형성하고 이에 회전 방지 바(290)를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한다. 이 때 바 수용 홈(291)의 내주 면 및 회전 방지 바(290)의 외주 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산 결합 방식으로 양자를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 방지 바(290)는 외부로 노출된 공급관(제 2 공급관)의 불필요한 회전에 의하여 입수관(130)과 긴밀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으로, 정상 사용 시에는 회전 방지 바(290)를 바 수용 홈(291)에 끼움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된 공급관(제 2 공급관)의 회전을 방지하고, 청소를 위해 외부로 노출된 공급관을 회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바 수용 홈(291)에서 회전 방지 바(290)를 분리하여 공급관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방지 바(290)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된 공급관(제 2 공급관)과 입수관(130)과의 안전하면서 편리한 결합 관계를 보장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배수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배수 모듈(300)은 입수 모듈(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입수 모듈(2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입수 모듈(200)의 하부가 배수 모듈(300)의 상부에 안착이 되거나 입수 모듈(200)의 하부가 배수 모듈(300) 내로 수용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고, 입수 모듈(200)과 배수 모듈(300)의 결합 부위에 형성된 모듈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을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듈 결합부는 공지된 다양한 결합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듈 결합부는 추가적으로 잠금 수단을 구비하여 외력에 의해 입수 모듈(200)과 배수 모듈(300)의 결합 부위에서의 견고한 결합 관계를 보장할 수 있다.
배수 모듈(300)은 배변기(100)를 청소한 오수를 배수관(140)을 통해 임시 저장하여 청소 시에 사용자가 배수 모듈(300)에 저장된 오수를 버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펌프(310)를 구비하여 펌프(310)의 구동력으로 배변기(100)의 오수를 배수 모듈(300) 측으로 유입할 수 있다.
더불어, 외측 벽에는 케이블(153)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블 브라켓(170)을 구비하여 발신 센서(151)로부터 연장된 케이블(153)을 깔끔하게 정리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배수 모듈(300) 내에 임계 수위 라인을 구비하고, 이 임계 수위 라인 주변에 수위 감지 모듈을 설치하여 임계 수위 라인까지 수위가 차올랐을 경우 컨트롤러(400)에서 체크 밸브(260)의 개방을 차단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400)는 입수 모듈 및 배수 모듈 중 어느 하나(바람직하게는 입수 모듈의 컨트롤 하우징)에 장착이 되는 것으로서, 애완동물이 네트에 올라왔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입수 모듈(200)의 공급관(250)에 설치된 체크 밸브(본 발명에서는 밸콘 밸브를 예시)(260)의 개폐 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입수 모듈(200)에서 배변기(100)로의 배수 시간 제어를 수행하고 발신 센서(151)의 발신 신호 송출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400)는 컨트롤 패널(410), 센서 신호 파악 모듈(420), 체크밸브 개폐 제어 모듈(43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오버플로우 관리 모듈(440)을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10)은 입수 모듈(200)의 정면 부위, 즉 수신 센서(201)가 형성된 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램프(LED 램프)(411)와 입력키(412)(스위치 내지 키보드, 버튼 등)는 물론 수신 센서(201) 역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패널(410)은 램프(411)의 색상 내지 깜빡임을 통한 정상 작동 여부를 표시할 뿐 아니라, 입력 키(412)를 통하여 체크 밸브(260)의 구동 상태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아니면 자동 설정 모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센서 신호 판단 모듈(420)은 상기 센서부, 즉 발신 센서(151)와 수신 센서(201)의 센싱을 통해 감지 신호를 전송받아 해당 센서 신호가 애완동물이 본 발명의 청소장치 자체 또는 이 주변에서 배변을 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센서부는 입수 모듈(200)의 정면 부위에 구비된 수신 센서(201)와 배변기(100)의 일 측에 구비된 발신 센서(151)의 센싱에 의하여 애완동물이 배변기(100)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발신 센서(151)에서 발신한 신호를 수신 센서(201)에서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애완동물이 배변기(100) 상, 즉 네트(110)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을 하고, 발신 센서(151)에서 조사된 신호를 수신 센서(201)에서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배변기(100) 상에 애완동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센서 신호 파악모듈(420)은 발신 센서(151)와 수신 센서(201) 간의 센싱에 의하여 애완동물이 배변기(100) 상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체크 밸브 제어 모듈(430)은 상기 센서 신호 판단 모듈(420)에서 애완동물이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였을 때 별도로 구비된 타이머의 체크 기능 또는 체크밸브(밸콘 밸브)의 자체적인 타임 딜레이 기능에 의하여 일정 시간이 흐른 다음 또는 즉시 체크 밸브(260)를 개방하여 공급관(250) 및 입수관(130)을 통하여 배변 받이(120) 내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체크 밸브 제어 모듈(430)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복수 개의 세팅 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이 중 어느 하나의 세팅 모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 패널(420)의 입력 키 조작에 의하여 딜레이 시간과 수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세팅 모드는 센서부에서 애완동물의 존재를 2초 연속 감지한 후에 애완동물이 배변기(100)에서 물러난 5초 뒤에 바로 체크 밸브(260)가 개방되고, 20초 후에 자동으로 닫히는 설정 모드이다.
제 2 세팅 모드는 상기 제 1 세팅 모드와 같되, 센서부의 감지 후 다시 1초라도 재 감지를 할 경우(애완동물이 배변기에 다시 올라온 경우) 그때부터 다시 20초 후에 체크 밸브(260)가 개방 작동을 하기 시작하는 모드이다.
이러한 제 1,2 세팅 모드는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410)의 입력키(412)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를 든 세팅 모드 이외에 다양한 세팅 모드를 컨트롤러(400)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 수단(메모리 등의 저장 수단)에 기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딜레이 시간, 채크 밸브 개방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버플로우(overflow) 관리 모듈(440)은 배수 모듈(300)에 장착된 펌프(310)의 고장 등의 이유로 배변기(100)의 오수가 배수 모듈(300)로 배출되지 않고 배변기(100) 또는 입수 모듈(200)에서 물이 넘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작동 감지 센서(441), 체크 밸브 폐쇄부(442), 센서 비활성부(443), 강제 전원 차단부(444)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 감지 센서(441)는 배변기(100)의 배변 받이 및 배수 모듈(200)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일 측, 또는 배수관(140) 내에 형성되거나 펌프(310)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위 감지 센서 및 유량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위 감지 센서로 이루어지는 경우 배변 받이(120) 내지 배수 모듈(300)의 내부의 특정 지점에서 과잉 수위 여부를 측정할 수 있고, 유랑 감지 센서의 경우 배수관(130)에서 유량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진동 감지 센서는 펌프(310)의 진동에 의한 펌프의 정상 구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감지 센서(441)는 상술한 상황 판단에 의하여 궁극적으로 배변기(100) 내지 배수 모듈(300)에서 배수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그렇지 않을 경우를 감지하였을 때 이상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체크 밸브 폐쇄부(442)는 상기 작동 감지 센서(441)에서 생성한 이상 신호를 전달받았을 때 체크 밸브(260)를 닫는 기능을 수행하고, 센서 비활성부(443)는 발신 센서(151) 및 수신 센서(201)의 구동을 off 처리, 즉 비활성 처리하여 센서부가 기능을 하지 않도록 한다. 즉, 강제적으로 센서부의 기능을 차단하여 애완동물이 네트(110)에 올라와도 체크 밸브(260)를 개방할 대기 상태 내지 감지 상태를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강제 전원 차단부(444)는 체크 밸브(260)의 전자식 개방 및 센서부의 작동되지 않도록 이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다시 정상 작동을 하기 위해서는 전원 코드를 뽑았다가 일정 시간 후에 연결해야 하는 전원 분리 딜레이 시간을 요구하도록 한다.
이러한 오버플로우 관리모듈(440)에 인해, 펌프의 고장 시에 안전한 사후 대처 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최소한 원활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물이 넘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수요자 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9)

  1.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로서,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여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되는 네트 및,
    상기 네트를 지지하면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 받이와,
    상기 배변 받이의 측부, 바닥부, 둘레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어 배변 받이 내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여 청소를 하는 분사부 및, 청소 후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배변기;
    외부로 물을 입력받아 상기 분사부에 연결된 공급관을 매개로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개폐 가능하게 바닥 면에 설치되어 개방 시 상기 공급관에 물을 유입시키는 체크 밸브를 포함한 입수 모듈과,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오수를 수용하는 것으로, 상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단턱 내 공간에 상기 입수 모듈을 안착시키고, 상부에 설치된 커버의 개방으로 오수를 외부로 버릴 수 있는, 배수 모듈 및,
    상기 입수 모듈의 일 측에 형성되어 애완동물이 상기 배변기로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를 포함한, 본체;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체크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공급관은,
    직경 차이를 두어 제 1,2 공급관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제 1,2 공급관이 결합되었을 때 실링부에 의하여 상기 제 1,2 공급관을 실링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2.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로서,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되는 네트 및, 상기 네트로부터 유입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 받이와, 입수 모듈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변 받이에 유입하는 입수관 및, 상기 배변 받이의 청소 후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수신 센서에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센서가 장착된 발신 센서부를 포함하는 배변기;
    수조 공급관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물을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공급공과 상기 입수관을 연결하되 일 측에 개폐 가능한 체크 밸브가 설치된 공급관 및, 상기 발신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센서가 구비된 입수 모듈;
    상기 입수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입수 모듈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배수관을 통해 오수를 유입하여 임시 저장하는, 배수 모듈 및,
    상기 발신 센서와 수신 센서의 센싱을 통한 감지 신호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체크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입수 모듈은,
    저면에 레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센서부는,
    케이블 및 무선 통신부 중 어느 하나의 통신 수단으로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하되, 하단에 플러그를 구비한 발신 센서;
    상기 입수 모듈의 대향 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 홀을 구비한 센서 하우징;으로 구성이 되어,
    상기 발신 센서가 상기 센서 하우징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결합부를 매개로 탈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레그 절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 모듈은,
    상기 수조의 하부에서 상기 수조와 독립적인 공간으로 이루어진 컨트롤 하우징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공급공과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 하우징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밸콘 밸브로 구성되되,
    상기 입수 모듈의 측면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수동 개폐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컨트롤 하우징에 수용된 제 1 공급관과, 상기 제 1 공급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입수 모듈 외측으로 노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입수관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공급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공급관과 상기 입수관의 결합 부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양자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산 회전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급관의 회전 반경 내의 상기 입수 모듈의 일 측에는,
    상기 제 2 공급관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바 수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방지 바;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수 모듈 내의 펌프의 정상 구동 여부를 감지하는 작동 감지 센서와,
    상기 작동 감지 센서에서 이상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상기 체크 밸브를 닫는 체크 밸브 폐쇄부 및,
    상기 발신 센서와 수신 센서에 전원 공급을 강제로 차단하는 강제 전원 차단부로 구성된 오버플로우 관리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PCT/KR2013/002035 2012-03-15 2013-03-14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WO20131376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80013716.9A CN104168762A (zh) 2012-03-15 2013-03-14 模块结合式宠物用排便器清扫装置
JP2015500363A JP2015509735A (ja) 2012-03-15 2013-03-14 モジュール結合式ペット用排便器掃除装置
US14/385,169 US20150053140A1 (en) 2012-03-15 2013-03-14 Modularly connected device for cleaning a pet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491 2012-03-15
KR1020120026491A KR101178799B1 (ko) 2012-03-15 2012-03-15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10-2012-0150841 2012-12-21
KR1020120150841A KR101282198B1 (ko) 2012-12-21 2012-12-21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7651A1 true WO2013137651A1 (ko) 2013-09-19

Family

ID=4916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2035 WO2013137651A1 (ko) 2012-03-15 2013-03-14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53140A1 (ko)
JP (1) JP2015509735A (ko)
CN (1) CN104168762A (ko)
WO (1) WO20131376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0337A (zh) * 2017-12-27 2018-04-27 无锡金铭祥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除臭杀菌功能的宠物活动平台
CN110160631A (zh) * 2018-05-18 2019-08-23 李文杰 A计权声功率级测量法检测卫生洁具给/排水噪声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467B1 (ko) * 2015-09-02 2016-05-31 주식회사 도그토토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WO2017150086A1 (ja) * 2016-02-29 2017-09-08 シャープ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CN113179960B (zh) * 2021-04-28 2022-10-04 太原市农业综合行政执法队 一种基于环保用诱导宠物集中粪便收集处理装置
USD998259S1 (en) * 2021-07-12 2023-09-05 Sebastian Waddell Automatically self-cleaning pet potty
CN113678753B (zh) * 2021-08-30 2022-09-27 安康康泰牧业有限责任公司 一种蛋鸡养殖场及养殖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5335A (ja) * 1993-05-27 1994-12-06 Yoji Sonegawa 犬・猫用の自動水洗便器
JP2003265059A (ja) * 2002-03-19 2003-09-24 Seio:Kk 持運可能な犬猫用水洗トイレ
KR200410598Y1 (ko) * 2005-08-19 2006-03-13 변호철 애완견 배설물 처리기
JP2010154830A (ja) * 2008-12-30 2010-07-15 Toshio Miyake 猫用水洗トイレ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4057A (en) * 1971-09-01 1973-05-22 G Lee Pet toilet
US4117555A (en) * 1977-07-15 1978-10-03 Dennis Bethel E Canine toilet
ES2075499T3 (es) * 1992-03-06 1995-10-01 Nestle Sa Aparato sanitario abierto para perros y gatos.
IL118829A (en) * 1996-07-10 2001-08-08 Pets N People Ltd Litter apparatus
JP3300890B2 (ja) * 1998-07-31 2002-07-08 清幸 大林 ペット用水洗トイレ
JP2004057182A (ja) * 2002-07-29 2004-02-26 Tsutomu Odawara ペットのトイレ
JP2005287490A (ja) * 2004-04-01 2005-10-20 Yoji Sonegawa 犬・猫用水洗便器
US20080178817A1 (en) * 2004-05-29 2008-07-31 Marsha Beth Brewer Animal flush toilet and assembly system
JP2006204230A (ja) * 2005-01-31 2006-08-10 Ayako Takatsuma ペット用トイレ
US7114464B1 (en) * 2005-11-21 2006-10-03 Guang-Yi Chang Cage
US8151732B2 (en) * 2008-03-31 2012-04-10 Fournier Curt R Animal waste managemen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5335A (ja) * 1993-05-27 1994-12-06 Yoji Sonegawa 犬・猫用の自動水洗便器
JP2003265059A (ja) * 2002-03-19 2003-09-24 Seio:Kk 持運可能な犬猫用水洗トイレ
KR200410598Y1 (ko) * 2005-08-19 2006-03-13 변호철 애완견 배설물 처리기
JP2010154830A (ja) * 2008-12-30 2010-07-15 Toshio Miyake 猫用水洗トイ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0337A (zh) * 2017-12-27 2018-04-27 无锡金铭祥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除臭杀菌功能的宠物活动平台
CN110160631A (zh) * 2018-05-18 2019-08-23 李文杰 A计权声功率级测量法检测卫生洁具给/排水噪声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9735A (ja) 2015-04-02
CN104168762A (zh) 2014-11-26
US20150053140A1 (en)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37651A1 (ko)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WO2017039076A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US4094023A (en) Ventilated toilet seat
US6617973B1 (en) Underground battery vault system for communications applications
WO2016108608A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WO2017171128A1 (ko)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WO2015111789A1 (en) Flush toilet with deodorizing function
US10105271B2 (en) Inner bowl of operating head of nursing machine, and nursing machine
CN103221619A (zh) 用于卫生设备的技术单元
KR101282198B1 (ko)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CN109083246A (zh) 一种新型环保的蹲便式厕所冲水装置
WO2010047560A2 (ko)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WO2015060479A1 (ko) 진공변기시스템의 자동배출장치
WO2009116834A2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WO2014137150A1 (ko) 화장실 방향제분사장치
WO2013022288A2 (ko) 층상 배수장치
WO2016056700A1 (ko) 사물인터넷과 센서 기반의 벨트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KR200347067Y1 (ko) 자동절수 시스템이 구비된 양변기
WO2009142419A2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WO2019142979A1 (ko) 반려동물 생활시설
CN214738542U (zh) 一种真空蹲便器
WO2016056825A1 (ko)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WO2015167162A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KR100929793B1 (ko) 배터리의 충전효율을 높인 집광 충전식 소변 자동세척기
WO2024053885A1 (ko)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616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0036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85169

Country of ref document: US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21/11/2014)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616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