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435Y1 - 다기능 변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435Y1
KR200211435Y1 KR2020000022225U KR20000022225U KR200211435Y1 KR 200211435 Y1 KR200211435 Y1 KR 200211435Y1 KR 2020000022225 U KR2020000022225 U KR 2020000022225U KR 20000022225 U KR20000022225 U KR 20000022225U KR 200211435 Y1 KR200211435 Y1 KR 200211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dor
sound
discharg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진 filed Critical 박성진
Priority to KR2020000022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435Y1/ko

Links

Landscapes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된 화장실 내부에서 용변중에 발생되는 순간적인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음향이 발생되도록 하는 다기능 변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악취흡입과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내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변기본체와, 상기 변기본체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관통공에 유입된 악취를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변기본체 후방에 형성된 공기유로와, 상기 공기유로 상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마그넷트 개폐판을 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단속으로 작동되는 구동모터에 연동되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변기{MULTI FUNCTION TOILET}
본 고안은 다기능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된 화장실 내부에서 용변중에 발생되는 순간적인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음향이 발생되도록 하는 다기능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문화의 발달에 의하여 양변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쾌적하고 편리하도록 변기에 여러가지 기능을 구비한 변기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좌변기는 상단 좌판이 위생적으로 유지되게 끝부분을 갈라 놓아 소변이 묻지 않도록 하였고, 비데(bidet)라는 별도의 장치로 국부를 세척해 주는 노즐형식의 분사기를 설치하여 사용하였으며, 특히, 여성들의 용변소리가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음향장치 등을 적용함으로서, 불필요한 물을 절약하는 것이다.
또한, 변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변기는 용변중에 발생되는 순간의 냄새가 변기의 틈새로 배출되는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해 화장실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악취제거장치 또는 음향장치 등의 단편적인 기능만이 변기에 적용되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장실 사용자가 용변중에 느끼는 순간적인 악취를 제거하도록 하는 다기능 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악취제거장치와 연동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다기능 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수조 내에 설치된 공기유로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악취배출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마그네틱 개폐판이 개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회로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7은 본 고안의 따른 변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변기 10: 변기 본체
11: 뚜껑 12: 좌판
13: 관통공 13': 악취흡입구
14: 배수구 15: 공기 유로
20: 수조 21: 배수공
30: 감지센서 40: 악취배출수단
41: 구동모터 42: 팬
43: 마그네틱 개폐판 50: 음향발생수단
51: 음성회로 52: 스피커
60: 배수수단 61: 배수마개
62: 마그네틱 스위치 63: 밀대봉
70: 제어부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악취흡입과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내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변기본체와, 상기 변기본체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관통공에 유입된 악취를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변기본체 후방에 형성된 공기유로와, 상기 공기유로 상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마그넷트 개폐판을 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단속으로 작동되는 구동모터에 연동되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를 표시하고 있다.
변기(100)는 사람이 앉아서 변을 볼 수 있는 변기본체(10)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부측에 여닫을 수 있는 뚜껑(11) 및 좌판(12)과,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부 후방에 급수전(도면상 미도시)으로 부터 급수된 물을 저장하는 수조(20)로 구성되어져 있다.
변기본체(10)는 배설물을 일시 저장하였다가 정화조(도면상 미도시)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정화조에 연결된 배수구에는 악취가 역류되지 않토록 U자형의 관로가 형성되어져 있고, 변기본체(10)의 상부 내주면에는 물을 배출함과 아울러 악취를 흡입하는 관통공(13)이 다수개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변기본체(10)의 내주면 상부 전방에는 사용자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감지센서(30)의 감지에 의해 동작되는 악취배출수단(40)이 관통공(13)에 연결된 공기유로(15)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악취배출수단(40)의 동작과 동시에 동작되는 음향발생수단(50)이 공기 유로(15)에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변기본체에는 수조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60)이 구비되어져 있다.
배수수단(60)은 수조(20) 하부의 배수공(21)를 막고 있는 배수마개(61)와, 상기 배수마개(61)를 개폐시키는 마그네틱 스위치(62)와,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62)에 설치됨과 아울러 감지센서(30)의 감지에 의해 진퇴작동되면서 상기 배수마개(61)를 개폐시키는 밀대봉(63)으로 이루어져 있다.
배수마개(61)는 배수공(21)를 차단함과 아울러 수조 내부에서 힌지결합되어 밀대봉(63)의 진퇴작동에 의해 일정각도로 개폐되어 물을 배수하는 것이다.
마그네틱 스위치(62)는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력을 형성되어 밀대봉(63)을 진퇴작동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방수처리가 되어야 한다.
밀대봉(63)은 부식에 강한 스텐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20)는 급수전으로 부터 급수되어진 물이 일시 저장되는 것으로서, 하방에는 배수공(21)이 천공되어져 있고, 배수된 물이 악취배출수단(40) 및 배수수단(60)의 전장품에 접촉되지 않토록 관통공과 연결된 ∩자형 공기유로(22)가 형성되어져 있다.
즉, 관통공(13)을 통해 배수와 악취흡입이 공용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수되는 물이 변기본체(10)의 공기유로(15)에 유입되지 않토록 수조 내부에 형성된 ∩자형 공기유로(22)를 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악취배출수단(40)은 구동모터(41)와 팬(42) 및 공기유로(15)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로(15)를 개폐 동작시키는 마그네틱 개폐판(43)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감지센서(30)는 일반적인 적외선센서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감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틱 개폐판(43)은 솔레로이드를 사용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음향발생수단(50)은 구동모터(41)와 연동되는 음성회로(51)를 작동시켜 이를 스피커(52)로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6에서는 본 고안의 회로 구성을 보인 블럭도로서, 감지센서(30), 마그네틱 개폐판(43), 구동모터(41) 및 음향회로(51)가 제어부(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변기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7 및 도 8에서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재래식 변기에 적용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재래식 변기(100)는 쪼그려 앉아 사용하는 것으로서, 변기(100)의 전방에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0)가 설치되어 있고, 변기(100) 내주면의 상측에는 악취흡입구(13')가 형성되며,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구(14)에 연결되도록 공기유로(15)가 상기 악취흡입구(13')에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도관 내측에는 구동모터(41), 팬(42), 마그네틱 개폐판(43) 및 음향발생수단(50)을 설치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변을 보기 위해 사용자가 변기(100)에 앉게 되면 변기본체(10)에 설치된 감지센서(30)가 동작하여 제어부(70)에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70)는 공기 유로(15)를 개방하는 마그네틱 개폐판(43)을 동작시킴과 동시에 구동모터(41)와 이에 연결된 팬(42)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배설한 대변 등의 악취는 공기유로(15) 상에 설치된 팬(42)의 회전동작에 의해 변기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관통공(13)에 유입되어 공기유로(15)와 배수구(14)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음향발생수단(50)에 의해 물소리 등의 멜로디가 발생하여 여성사용자들이 용변중에 발생되는 소리를 표출시키지 않기 위해서 소비하는 불필요한 물을 절약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을 다 마친 후 변기에서 일어나서 배수를 시키게 되면 감지센서(30)가 감지를 하여 마그네틱 개폐판(43)으로 공기유로(15)을 차단하고, 구동모터(41) 및 음향발생장치(50)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수조(20) 하부에 형성된 배수공(21)를 막고 있는 배수마개(61)가 마그네틱 스위치(62)에 부설된 밀대봉(63)에 의해 개방되면서 수조(20)내에 저장되어진 물에 의해서 용변과 변기본체(10) 내의 악취가 동시에 배수구(15)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기능 변기는 용변중에 발생되는 순간적인 악취를 변기에 설치된 공기배출수단으로 즉각 배출하도록 함으로서, 쾌적한 화장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기배출수단에 연동되게 음향을 발생시킴으로서, 특히, 여성들이 용변중에 발생되는 소리를 표출시키지 않기 위해서 사용하는 불필요한 물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악취흡입과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내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13)이 형성된 변기본체(10);
    상기 변기본체(10)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0);
    상기 관통공(13)에 유입된 악취를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변기본체(10) 후방에 형성된 공기유로(15);
    상기 공기유로(15) 상에 설치된 구동모터(41)와 마그넷트 개폐판(43)을 조정하는 제어부(70);
    상기 제어부의 단속으로 작동되는 구동모터(41)에 연동되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수단(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변기.
KR2020000022225U 2000-08-04 2000-08-04 다기능 변기 KR200211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225U KR200211435Y1 (ko) 2000-08-04 2000-08-04 다기능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225U KR200211435Y1 (ko) 2000-08-04 2000-08-04 다기능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435Y1 true KR200211435Y1 (ko) 2001-01-15

Family

ID=7307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225U KR200211435Y1 (ko) 2000-08-04 2000-08-04 다기능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4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137A (ko) * 2001-09-20 2002-01-10 손영석 향기와 멜러디가 나는 소,좌변기.
KR20040014091A (ko) * 2002-08-09 2004-02-14 조성현 탈취형 양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137A (ko) * 2001-09-20 2002-01-10 손영석 향기와 멜러디가 나는 소,좌변기.
KR20040014091A (ko) * 2002-08-09 2004-02-14 조성현 탈취형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140143075A (ko)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100999397B1 (ko)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KR200211435Y1 (ko) 다기능 변기
KR100491641B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060088521A (ko) 좌변기의 냄새제거 장치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KR100709400B1 (ko) 벽걸이형 위생 소변기
KR200306436Y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JP2002275979A (ja) 壁掛式衛生設備機器
CN115461514A (zh) 马桶动态冲水法及动态冲水式防臭防溅水无水箱马桶
KR101478111B1 (ko) 전자식 양변기
KR100386377B1 (ko) 거품발생장치가 구비된 소변기
JP3648435B2 (ja) 手洗い装置
KR200438551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CN107923171B (zh) 便器除臭装置
JPH10195957A (ja) 便座装置
KR200438550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101460445B1 (ko) 감지센서가 구비된 세면대 겸용 소변기
JPH0747483Y2 (ja) 便器装置
KR19990032244U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KR200240467Y1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JP2801986B2 (ja) 水洗便器装置
KR200306437Y1 (ko) 좌변기의 거품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