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075A -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 Google Patents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075A
KR20140143075A KR1020140009822A KR20140009822A KR20140143075A KR 20140143075 A KR20140143075 A KR 20140143075A KR 1020140009822 A KR1020140009822 A KR 1020140009822A KR 20140009822 A KR20140009822 A KR 20140009822A KR 20140143075 A KR20140143075 A KR 20140143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dor
water
malodo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133B1 (ko
Inventor
전병표
전재덕
Original Assignee
전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덕 filed Critical 전재덕
Priority to CN201480073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917055B/zh
Priority to CA2936178A priority patent/CA2936178A1/en
Priority to US15/113,781 priority patent/US20170009440A1/en
Priority to RU2016133017A priority patent/RU2016133017A/ru
Priority to MYPI2016001381A priority patent/MY173167A/en
Priority to JP2016549264A priority patent/JP2017504739A/ja
Priority to MX2016009253A priority patent/MX2016009253A/es
Priority to PCT/KR2014/001560 priority patent/WO2015111789A1/en
Publication of KR2014014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133B1/ko
Priority to CL2016001893A priority patent/CL2016001893A1/es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제거에 사용하는 악취배출수단을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좌변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컴팩트한 내장형으로 구성하면서도 좌변기의 기존 구성을 이용하여 제작 원가를 줄일 수 있는 경제성을 갖게 한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를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Deodorizing Toilet Seat Features a Flush}
본 발명은 좌변기(혹은 양변기) 내부에서 사용자들의 용변에 의하여 발생 되어 사용자들은 물론 이후의 사용자들에게도 불쾌감을 주는 악취(용변 냄새 등)를 신속히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게 한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악취제거에 사용하는 모든 악취배출구성과 악취 배출수단들을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모든 악취배출 구성들을 좌변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컴팩트(Compact)한 내장형 구성으로 하여 설치를 편리하게 하면서도 좌변기의 기존 구조를 크게 바꾸지 않고서도 제작할 수 있게 하여 제조 원가 또한 절감할 수 있는 경제성을 갖게 한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및 오피스텔과 같은 공동주택, 관공서 및 기업체들이 입주하는 대단위 빌딩의 사무실, 학교, 일반 주택 등의 화장실에는 수세식 좌변기가 설치되어 있음은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화장실에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에서 화장실의 천장과 같은 벽체에는 악취 배출용 팬이 설치되어 있는 사실 또한 주지되어 있다.
그러나 악취 배출용 팬은 화장실의 사용시 발생하게 되는 일반적인 냄새는 배출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가장 심한 악취 즉, 사람들이 좌변기에 용변을 보게 될 경우 발생하는 냄새 다시 말하면, 항문으로부터 배출되는 용변이 용변구의 물에 닿는 순간 용변으로부터 공기 중으로 악취가 유출되고 있는데, 이러한 악취는 신속하고 깨끗하게 제거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실은 악취의 제거가 깨끗하게 실행되지 못하고 있어, 다중(多衆)이 사용하는 공중 화장실의 경우 악취로 인한 불쾌감은 더욱 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기 특허문헌 표시와 같은 악취제거용 양변기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악취제거용 양변기는 기 설치된 양변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하기 인용문헌들의 표시와 같이, 악취 제거용 배출장치 혹은 악취배출관들이 양변기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된 구성이다.
이 때문에 외관상 미려 감을 해하는 문제를 줌은 물론 설치 작업에 있어서도 화장실의 구조물인 벽체 등에 구멍을 뚫거나 혹은 나사못 등을 별도 설치하여 배출설 구성품을 고정해야만 하는 등의 설치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불편이 있다.
또한 하기 문헌 표시와 같은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양변기에 일체형 구조로 하는 악취제거용 양변기가 있으나, 이 또한 기존의 양변기 본체에 별개의 구성물인 악취 제거 수단들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양변기의 구조가 복잡하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한 제조원가 또한 상승요인이 되는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좌변기의 외관을 해치는 일이 없는 내장형으로 되면서도 안가(安價)로 대량 공급이 가능한 악취제거용 좌변기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1.국내 특허 공고번호 1994-008470호, 2.국내 실용신안등록 20-0334919호. 3.국내 공개특허공보 2005-010724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악취제거구성 및 악취배출수단 등을 좌변기 본체의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여 외관상의 미려 감과 아울러 시공상의 작업성을 편리하게 하는 이점을 부여하고, 또한 기존 좌변기의 내부 구성을 크게 바꾸지 않고서도 제작할 수 있게 하여 좌변기의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경제성을 갖게 한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는,용변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와 연락되게 형성된 보울(Bowl)형상의 용변구와 상기 용변구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를 용변구의 내부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세척수 분사구를 갖는 용수로와 상기 용변구의 하부로 개구되게 형성된 배수트랩으로 이루어진 수세식 좌변기 본체; 및 상기 좌변기 본체의 양측 내부에서 용변구의 양측부를 따라 소정 길이의 통로를 이루며 용변구의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하되, 통로의 상부 개구는 상기 용수로 쪽으로 개방되게 형성하는 반면, 통로의 하부 개구는 상기 좌변기 본체의 저부로 노출되게 하여 화장실 바닥으로 배설된 통기관에 상호 연락되게 접속할 수 있게 한 악취 배출관로와 상기 악취 배출관로의 소정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용변구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한 악취 배출용 팬(Fan)으로 이루어진 악취배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배출관은 상기 용변구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용변구의 양 옆쪽을 따라 연장되는 분기로를 형성하다가 용변구의 저부에서 하나의 통로를 이루게 합쳐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배출 팬의 구동은 화장실 사용시 사용자들이 직접 온 혹은 오프되게 조작하는 구동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배출용 팬의 구동은 좌변기 혹은 화장실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열 혹 적외선 감지기를 이용한 사용자들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 작동되게 하는 구동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는,저수조와 용변구를 갖고 바닥에 설치되는 좌변기 본체; 상기 저수조의 양측 내벽을 따라 소정 형태의 배기로들을 형성하여 배기로의 일단 개구는 상기 용변구와 연락되는 형태로 개구되는 반면, 타단 개구는 상기 용변구의 하부벽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용변구의 하부에 마련된 공간부로 개구되게 한 악취 배출관부; 화장실 바닥부에 의하여 폐쇄되는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화장실 바닥으로 배설된 악취 배기관과 연락되게 접속됨에 의해, 상기 용변구에서 대변을 볼시 발생되는 악취를 상기 공간부를 향해 각각 개구된 배기로들을 통해 흡입하여 상기 악취 배기관로를 통하여 강제로 배기할 수 있게 한 악취 배출용 팬(Fan)모터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배출관부는 좌변기 본체의 성형시 배기로들을 형성하면서 변기 벽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배기로들에는 소정높이를 이루고자 ∩ 형으로 굴곡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에 의하면, 악취제거와 관련된 모든 구성을 좌변기 본체의 내부로 설치되게 하여, 좌변기의 설치를 편리하게 하면서도 좌변기의 외관에 대한 미려한 디자인을 해하는 일이 없게 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기존 좌변기의 몸체를 악취제거구성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컴팩트한 구조로, 좌변기의 제조를 안가(安價)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의 외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를 화장실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라 표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II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부분 확대 절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에 내장된 악취 배출관로만을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7은 도 6의 I-I선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II-II선 방향에 따른 평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III-III선 방향에 따른 평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에 대한 외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 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100)는 용변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1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저수조(110)은 그 저수조(110)의 바닥부에 제2도에서 설명되는 밸브(V)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용변 세척수 배수공(114)와 보울(Bowl)형상의 용변구(122)와 상호 연락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변구(122)는 화장 실의 바닥부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좌대(124)와 일체로 형성되어 좌변기 본체(120)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저수조(110)과 용변구(122)와의 연락은 저수조(110)의 하방으로부터 용변구(122)의 상부 전 둘레에 걸쳐서 설치된 후술하는 용수로(126)(도2 및 도3참조)에 의하여 달성되며, 이 용수로(126)은 상기 저수조(110)의 세척수 배수공(114)와 연락되게 설치되어 저수조(110)의 배수공(114)의 개방시 배수되는 용변 세척수가 상기 용변구(122)의 상부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된 상기 용수로(126)을 통하여 신속히 유동 되도록 하고 있으며, 용수로(126)를 통하여 유동되는 세척수가 용변구(122)의 내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후술하는 세척수 분사공(125)(도2참조)을 통하여 용변구(122)의 내부로 배수시킴에 의해, 용변구(122)에 쌓여 있던 사용자들의 용변이 깨끗이 씻기어 나가게 한다.
상기 도면에서 도면부호(112)는 용변 세척수 저수조(110)의 바닥에 설치된 세척수 배수공(114)를 개방 혹은 폐쇄하게 밸브(V)를 조작하는 밸브 손잡이를 표시한 것이다. 수세식 좌변기의 위 기재와 같은 구성은 기존의 좌변기와 크게 다를 바 없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를 화장실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 측 단면도를, 도 3은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라 표시한 평 단면도를, 도 4는 도 3의 II-II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부분 확대 절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에 내장된 악취 배출관로 만을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좌변기 본체(120)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특징기술인 악취 배출장치(130)이 그 좌변기 본체(120)과 일체화되게 설치되어 있다(도1참조). 악취배출장치(130)은 좌변기 본체(120)의 용변구(122)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개의 용변 세척수 분사공(1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좌변기 본체(120)의 내부로 설치되는 악취 배출장치(130)의 구성을 대별하면, 도5 표시의 악취 배출관로(132)와 그리고 도2 표시의 악취 배출용 팬(Fan)(136)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악취 배출관로(132)는, 도 2 내지 도 5의 표시와 같이, 상기 좌변기 본체(120)의 상단 양측 내부에서 용수로(126)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 관부들(132a)과 이 수직관부들(132a)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상기 변기 본체(120)의 용변구(122)의 주위를 경유하는 형태로 용변구(122)의 양 옆쪽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기다란 수평 관부들(132b)과 수평관부들(132b)을 하나로 합쳐지게 하여 좌변기 본체(120)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한 단일관부(132c)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단일관부(132c)는 화장실의 바닥에 기 배설된 배기관(116)에 상호 연통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자, 커플러 등의 별개의 접속구를 사용하여 기밀성 있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단일관부(132c)와 상호연락되게 접속되는 배기관(116)에는 상기 악취 배출용 팬(136)을 설치하여 용변구(122)에 쌓이게 되는 용변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강제 흡입하여 배기관(116)을 통하여 외부로 속히 배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악취 배출관로(132)는 좌변기 본체(120)를 제작하는 금형에 같이 설치하여 좌변기 본체(120)를 제작할 때부터 좌변기 본체(120)의 내부에 일체로 상기 악취 배출관로(132)가 설치되게 할 수 있고, 혹은 악취 배출관로(132)를 좌변기 본체(120)과는 별개의 구성물로 형성하여 좌변기 본체(120)를 제작시 내부에 설치되는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용수로(126)은 도2,3 및 도4의 표시와 같이, 용변 세척수 저수조(110)의 바로 밑에서부터 상기 용변구(122)의 상방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용변구(122)의 상방에 설치된 용변 세척수 분사공(125)와 연락되어 있으므로, 수직 관부들(132a)을 통하여 상기 용수로(126)에 개구되게 설치된 상기 악취 배출장치(130) 또한 상기 용수로(126)를 통하여 상기 용변 세척수 분사공(125)와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용수로(126)은 세척수 저수조(110)의 배수공(114)이 폐쇄되는 평상시에는 세척용 용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속이 빈(Hollow) 관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악취 배출관로(132), 용수로(126) 및 용변 세척수 분사공(125)는 상호 연락되는 하나의 통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용변구(122)에 용변을 보게 되는 과정에서 용변구(122)에 쌓이게 되는 용변으로부터 발생 되는 악취는 용변구(122)와 연락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세척수 분사구(125)→용수로(126)→악취 배출관로(132)의 각 관부들(132a, 132b, 132c)→배기관(116)을 통하여 악취 배출용 팬모터(136)의 구동으로 강제 배기시킬 수 있다. 악취 정도는 사람 마다 차이는 있겠으나, 용변으로부터는 기본적으로 악취가 발생되어 불 쾌감을 줄 수가 있으므로 화장실 내부의 후레쉬(Fresh) 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악취를 신속히 배기하여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악취 배출관로(132)의 단일관부(132c)쪽이나 혹은 배기관(116)의 내부에는 악취 배출용 팬모터(136)을 설치하여 악취 배출용 팬 모터(136)의 구동 여부에 따라서 용변구(122)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화장실의 실내로 퍼지기 전에 강제로 신속하게 흡입하여 배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악취 배기 작용으로 용변을 직접적으로 사람은 물론 용변을 본 후의 화장실 내부에 악취가 잔류 되는 일이 없게 한다. 악취 배기량은 악취배출용 팬 모터(136)의 용량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 데, 배기량은 화장실의 크기에 따라서 얼마든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데, 가능한 배기 용량이 크면서도 소음 발생이 작은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 배출용 팬 모터(136)의 구동은 화장실 사용시 사용자들이 직접 온 혹은 오프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전원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좌변기 혹은 화장실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열 혹은 적외선 감지기를 이용한 사용자들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 구동되도록 하는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용변을 본 후, 밸브 조작 손잡이(112)를 조작하게 되면, 그때까지 폐쇄되어 있던 배수공(114)의 개방으로 세척용 용수 저수조(110)으로부터 개방된 배수공(114)을 통하여 배수공(114)와 연락되는 용수로(126)를 경유후 세척 용수 분사공(125)를 통하여 용변구(122)의 내부로 분사되어, 용변구(122)의 내부에 쌓여있던 용변을 배수트랩(127)을 경유 후 화장실 바닥에 기 설치된 오수관(129)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즉, 세척수 저수조(110)에 저장된 용수가 배수공(114)을 통하여 일시적으로 용수로(126)쪽으로 배수되어 세척수 분사공(125)쪽으로 분사되더라도 용수로(126)에 설치된 악취배출관로(132)의 내부로 세척용 용수가 유입되는 일은 없다. 그 이유는 악취배출관로(132)에서 용수로(126)의 내부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수직관부들(132a)이 용수로(126)에 유입되는 세척용 용수의 수위보다는 더 높게 설치되어 내부로 세척용 용수의 유입을 없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용수로(126)의 내부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수직관부들(132a)의 직경은 대체로 20mm이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수로(126)에 유입되는 세척용 용수의 흐름에 전연 지장을 주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도 1 내지 도5 표시의 실시 예와는, 악취를 배기하는데 제공되는 악취배출장치(230)을 모두 좌변기 본체(220)의 내부에 설치되게 한 구성과, 그리고 악취 배출관부(231)를 좌변기 본체의 벽부를 따라서 그 벽부와 일체로 형성한 구성에서 차이가 있을 뿐, 그 밖의 악취 배출 작용은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하다.
도 6 및 도 7의 표시와 같이, 본 실시예의 좌변기(200)는, 저수조(210)와 용변구(222)를 갖고 화장실 바닥부(G)에 설치되는 좌변기 본체(220)의 내부에 악취배출장치(2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악취배출장치(230)은 악취 배출관부(231)와 악취 배출용 팬(Fan) 모터(M)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악취 배출관부(231)의 구성을 보면, 도 6 및 도 7의 표시와 같이, 저수조(210)의 양측 내벽을 따라 대략 ∩ 형태의 배기로(231-1)를 형성하여 배기로(231-1)들의 일단 개구부(231-2)들은 용수로(226)와 연락되게 하였고, 반면에 배기로(231-1)의 타단 개구부(231-3)들은 좌변기 본체(220)하부의 양측 내벽부(221)들을 따라 길게 연장하여 용변구(222)의 하부에 마련된 공간부(237)의 내부로 개방되게 하였다. 이 공간부(237)의 내부로 상기 악취 배출용 팬(Fan) 모터(M)가 설치된다. 따라서 용변구(222)에서 용변을 볼 때 발생되는 용변 악취는 용변구(222)의 세척수 분사공(225) 및 용수로(226)을 통한후, 이와 연락되는 악취 배출관부(231)의 내부로 유동되게 할 수 있는데, 악취 배기관부(231)를 통한 악취에 대한 흡입은 상기 악취 배출용 팬(Fan) 모터(M)에 의해서 보다 강제적으로 신속히 진행할 수 있다. 용변은 배수트랩(227) 및 오수관(229)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악취 배출용 팬(Fan) 모터(M)은, 용변구(222)의 하부에 마련된 공간부(237)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하부만이 개방된 공간부(237)의 내부로 설치되는 악취 배출용 팬(Fan) 모터(M)은, 좌변기 본체(220)의 좌대(224)의 저부가 화장실 바닥부(G)와 대면하게 설치되면(도7참조), 악취 배출용 팬(Fan) 모터(M)가 설치된 공간부(237)은 외부와 차단되는 사방이 기밀성(氣密性)있게 폐쇄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외부와 차단되는 공간부(237)내에 기 설치되는 악취 배출용 팬(Fan) 모터(M)은 화장실의 바닥부(G)의 아래로 배설되는 악취 배기관(232)과 연락되게 접속되어, 공간부(237)의 내부로 유입되는 악취는 악취 배출용 팬(Fan) 모터(M)의 흡입 작동에 의해서 악취 배출관부(231)를 통하여 신속히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악취 배출관부(231)을 ∩ 형으로 굴곡되게 형성한 이유는 배출 관로를 길게 형성하여 흡입 모터(M)로부터 용수로(226)에 대하여 작용되는 흡입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예시한 수세식 좌변기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일 예로 들어 표시한 것으로, 다른 종류의 수세식 좌변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저수조(110,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수공(114,214)을 개폐하는 밸브조작에 대한 상세 도면 및 이에 대한 설명은 통상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생략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00, 200 : 수세식 좌변기 110, 210 ; 저수조
114, 214 : 세척수 배수공 120, 220 : 좌변기 본체
125,225 : 세척수 분사구 126, 226 : 용수로
130, 230 : 악취 배출장치 132, 232: 악취 배출관로
136, M : 악취배출용 팬 모터

Claims (6)

  1. 용변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와 연락되게 형성된 보울(Bowl)형상의 용변구와 상기 용변구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를 용변구의 내부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세척수 분사구를 갖는 용수로와 상기 용변구의 하부로 개구되게 형성된 배수트랩으로 이루어진 수세식 좌변기 본체; 및
    상기 좌변기 본체의 양측 내부에서 용변구의 양측부를 따라 소정 길이의 통로를 이루며 용변구의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하되, 통로의 상부 개구는 상기 용수로 쪽으로 개방되게 형성하는 반면, 통로의 하부 개구는 상기 좌변기 본체의 저부로 노출되게 하여 화장실 바닥으로 배설된 통기관에 상호 연락되게 접속할 수 있게 한 악취 배출관로와 상기 악취 배출관로의 소정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용변구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한 악취 배출용 팬(Fan)으로 이루어진 악취배출장치를 포함하여 된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2. 청구 항1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배출관로는 상기 용수로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 관부들과 이 수직관부들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상기 변기 본체의 용변구의 양 옆쪽 내부에 위치되게 한 수평 관부들과 수평관부들을 하나로 합쳐지게 하여 좌변기 본체의 하방으로 연장하여 개구 되게 한 단일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3. 청구 항2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배출 팬의 구동은 화장실 사용시 사용자들이 직접 온 혹은 오프 조작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4. 청구 항2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배출 팬의 구동은 좌변기 혹은 화장실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열 혹 적외선 감지기를 이용한 사용자들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 실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5. 저수조와 용변구를 갖고 바닥에 설치되는 좌변기 본체;
    상기 저수조의 양측 내벽을 따라 소정 형태의 배기로들을 형성하여 배기로들의 일단 개구부들은 상기 용변구와 연락되는 형태로 개구되는 반면, 타단 개구부들은 상기 용변구의 하부벽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용변구의 하부에 마련된 공간부로 개구되게한 악취 배출관부; 및
    화장실 바닥부에 의하여 폐쇄되는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화장실의 바닥부로 배설된 악취 배기관과 연락되게 접속됨에 의해, 상기 용변구에서 용변을 볼시 발생되는 악취를 상기 공간부를 향해 개구된 상기 배기로들을 통해 각각 흡입하여 상기 악취 배기관을 통하여 강제로 배기할 수 있게 한 악취 배출용 팬(Fan) 모터를 포함하여 된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배출관부는 좌변기 본체의 성형시 좌변기 벽부에 배기로들을 형성하면서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배기로들은 소정 높이를 이루게 ∩ 형으로 굴곡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20140009822A 2013-06-05 2014-01-27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101495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936178A CA2936178A1 (en) 2013-06-05 2014-02-26 Flush toilet with deodorizing function
US15/113,781 US20170009440A1 (en) 2013-06-05 2014-02-26 Flush toilet with deodorizing function
RU2016133017A RU2016133017A (ru) 2013-06-05 2014-02-26 Унитаз со смывом с функцией дезодорации
MYPI2016001381A MY173167A (en) 2013-06-05 2014-02-26 Flush toilet with deodorizing function
CN201480073293.4A CN105917055B (zh) 2013-06-05 2014-02-26 水冲式坐便器
JP2016549264A JP2017504739A (ja) 2013-06-05 2014-02-26 悪臭除去機能を有する水洗式腰掛便器
MX2016009253A MX2016009253A (es) 2013-06-05 2014-02-26 Inodoro con funcion desodorante.
PCT/KR2014/001560 WO2015111789A1 (en) 2013-06-05 2014-02-26 Flush toilet with deodorizing function
CL2016001893A CL2016001893A1 (es) 2013-06-05 2016-07-26 Inodoro con función desodorante, en el cual se construye un medio de expulsión de olor que se instala dentro del cuerpo de inodoro con el fin de que no se vea desde el exterior, y que se puede fabricar utilizando la estructura existente del inodoro, reduciendo el costo de fabricació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4591 2013-06-05
KR1020130064591 2013-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075A true KR20140143075A (ko) 2014-12-15
KR101495133B1 KR101495133B1 (ko) 2015-02-24

Family

ID=5246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9822A KR101495133B1 (ko) 2013-06-05 2014-01-27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70009440A1 (ko)
JP (1) JP2017504739A (ko)
KR (1) KR101495133B1 (ko)
CN (1) CN105917055B (ko)
CA (1) CA2936178A1 (ko)
CL (1) CL2016001893A1 (ko)
MX (1) MX2016009253A (ko)
MY (1) MY173167A (ko)
RU (1) RU2016133017A (ko)
WO (1) WO20151117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5198A (zh) * 2018-01-03 2018-05-08 广东欧诺卫浴科技有限公司 一体成型即时排臭气坐便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600A (ko) 2015-03-27 2016-10-06 전재덕 배출관로를 이용한 외장형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20160115601A (ko) 2015-03-27 2016-10-06 전재덕 배출관로를 이용한 내장형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US10640963B2 (en) 2015-07-30 2020-05-05 Su Technology Co., Ltd.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 from toilet
WO2017018866A1 (ko) * 2015-07-30 2017-02-02 김상규 변기 악취제거장치
WO2017222091A1 (ko) * 2016-06-23 2017-12-28 전재덕 배출관로를 이용한 내장형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US20210085675A1 (en) * 2018-01-22 2021-03-25 Bioventures, Llc BCL-2 Proteins Degraders for Cancer Treatment
CN108560659A (zh) * 2018-04-10 2018-09-21 陈伟林 一种自带除异味功能的马桶
US11591783B2 (en) * 2019-08-15 2023-02-28 Akmal Payziev Toilet ventilation system
KR102370999B1 (ko) 2021-04-16 2022-03-10 배윤주 세제 자동공급 좌변기
KR102478565B1 (ko) 2021-09-30 2022-12-15 서진우 역류차단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트랩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20775B (it) * 1988-05-16 1990-06-21 Ideal Standard Spa Vaso igienico con dispositivo per l'evacuazione dei cattivi odori
US4984305A (en) * 1989-12-22 1991-01-15 Boisvert Paul J Self ventilating toilet
JP3039250B2 (ja) * 1994-01-28 2000-05-08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脱臭便器
DK0918908T3 (da) * 1996-08-16 2001-04-23 Cws Int Ag Udløsning af en rensnings-, ventilations- og/eller desinfektionsproces
KR20000005937U (ko) * 1998-09-05 2000-04-06 박병준 좌변기의 악취제거장치
JP2001140320A (ja) 1999-11-12 2001-05-22 Hasegawa Toso Kogyo:Kk トイレルーム内換気構造
KR20010102643A (ko) * 2000-05-03 2001-11-16 최흥문 양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CN1498299A (zh) * 2001-06-21 2004-05-19 军 李 自动冲水抽气座便器
KR200271567Y1 (ko) 2001-12-03 2002-04-11 김종현 좌변기 악취제거장치
JP2004225250A (ja) * 2003-01-20 2004-08-12 Shuji Fukuda トイレの換気装置
US20050000004A1 (en) * 2003-07-01 2005-01-06 Yun Danny K. Integrated toilet and air deodorizer
GB2407587B (en) * 2003-10-31 2008-04-23 Paul Clifford Green A toilet air flow freshening system
CN2890205Y (zh) * 2006-01-06 2007-04-18 曹龙银 排气座便器
CN200943251Y (zh) * 2006-08-25 2007-09-05 张方中 一种防臭便器
CN2911041Y (zh) * 2007-02-02 2007-06-13 姚建民 蹲便器带双通道除臭空气转换装置
KR100841794B1 (ko) * 2007-06-08 2008-06-30 김진권 냄새 없는 양변기
CN101775836A (zh) * 2009-01-09 2010-07-14 汤发宽 环保型自动吸排式排臭坐便器
CN201439610U (zh) * 2009-05-05 2010-04-21 宋业浩 智能负压除臭连体坐便器
CN201704767U (zh) * 2010-06-04 2011-01-12 李国学 无臭座便器
CN201826379U (zh) * 2010-10-20 2011-05-11 董鑫 座便器污染源中的挥发性异味、有毒物质的消除装置
CN203096881U (zh) * 2013-01-23 2013-07-31 韩奎波 自动排臭座便器
CN203160373U (zh) * 2013-03-05 2013-08-28 刘花芸 除臭式座便器
CN203188329U (zh) * 2013-04-02 2013-09-11 叶刚 红外感应式排臭型坐便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5198A (zh) * 2018-01-03 2018-05-08 广东欧诺卫浴科技有限公司 一体成型即时排臭气坐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L2016001893A1 (es) 2016-10-14
US20170009440A1 (en) 2017-01-12
WO2015111789A1 (en) 2015-07-30
CN105917055A (zh) 2016-08-31
JP2017504739A (ja) 2017-02-09
KR101495133B1 (ko) 2015-02-24
CA2936178A1 (en) 2015-07-30
MX2016009253A (es) 2017-01-19
MY173167A (en) 2020-01-01
RU2016133017A (ru) 2018-02-14
CN105917055B (zh)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133B1 (ko)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CN106836419B (zh) 一种厕所除臭系统
KR200401803Y1 (ko) 좌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20130133454A (ko)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CN202809786U (zh) 便器换气机构
KR100491641B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100133675A (ko)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CN201106201Y (zh) 空气节水式除臭坐便器
KR20100131897A (ko) 변기탈취장치
JP2010520958A (ja) トイレの改良
KR200306436Y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190089256A (ko) 냄새흡입장치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CN106836418B (zh) 一种厕所除臭装置及具有该装置的厕所除臭系统
KR200408971Y1 (ko) 악취제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KR20160115601A (ko) 배출관로를 이용한 내장형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CN218970167U (zh) 一种封闭式小便斗
KR200294082Y1 (ko) 포세식 위생변기의 악취방지장치
KR200373279Y1 (ko) 정화조 오수 파이프를 통한 배기 탈취 장치를 구비한좌변기
KR101485132B1 (ko) 양변기 악취 배출장치
KR20070081029A (ko)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JP3119840U (ja) 水洗便器脱臭装置
JPH0547076U (ja) 水洗トイレ脱臭装置
KR20160115600A (ko) 배출관로를 이용한 외장형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200428087Y1 (ko) 좌변기 내 발생되는 냄새 제거 역류 방지 장치
KR20140003859U (ko) 좌식변기의 환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