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859U - 좌식변기의 환기구조 - Google Patents

좌식변기의 환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859U
KR20140003859U KR2020120011801U KR20120011801U KR20140003859U KR 20140003859 U KR20140003859 U KR 20140003859U KR 2020120011801 U KR2020120011801 U KR 2020120011801U KR 20120011801 U KR20120011801 U KR 20120011801U KR 20140003859 U KR20140003859 U KR 201400038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toilet
pipe
present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섭
Original Assignee
신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호섭 filed Critical 신호섭
Priority to KR2020120011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859U/ko
Publication of KR201400038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85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식변기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식변기의 배수구와 흡입로가 구분되어 있어 환기장치를 간단하게 변기에 설치할 수 있고 세척수의 배출시에도 용변시 흘러나오거나 변기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분 냄새를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어 화장실의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좌식변기의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저수통과 연결되는 메인배수홀과 테두리배수홀을 형성한 좌식변기의 테두리관 외측에 테두리배수홀과 연통되는 배수관을 연결하고 상기 테두리배수홀과 분리되도록 형성한 배기구역에 배기관을 연결하여 좌식변기 테두리관 내측면에 형성된 배기홀과 연통하도록 형성한 분관부와, 상기 분관부의 배기관이 연결되어 외부로 분 냄새를 배출하도록 벽체에 내장되는 연결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는 배기팬을 형성한 배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식변기의 환기구조{Ventilating structure of a toilet bowl}
본 고안은 좌식변기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식변기의 배수구와 흡입로가 구분되어 있어 환기장치를 간단하게 변기에 설치할 수 있고 세척수의 배출시에도 용변시 흘러나오거나 변기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분 냄새를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어 화장실의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좌식변기의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식변기는 용변을 앉아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용변을 마친 후 좌식변기에 담긴 배설물을 세척수저장통에 담수 되어 있는 일정량의 세척수를 밸브를 작동시켜 용변을 변기 내로 배출하여 배설물과 세척수가 함께 배수구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좌변기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세척수 저장통, 2는 레버, 3은 밸브, 4는 배수통로, 5는 좌변기, 6은 배수구, 7은 배기구를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좌식변기의 구조와 화장실의 환기구조는 세척수가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저장통(1)에 레버(2)에 의해 개페되는 밸브(3)를 형성한다.
상기의 밸브(3)의 개폐에 따라 배출되는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배수통로(4)를 형성한 좌변기(5)의 배수통로(4)와, 좌변기(5)의 내부테두리에 배수구(6)를 통하여 세척수가 배출된다.
이때 용변시 발생하는 분 냄새는 대부분 천정에 설치된 배기구(7)에 연결된 덕트(8)를 통하여 배기모터(9)에 의해 배기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좌식변기와 환기구조는 용변을 마치고 난 후 분 냄새가 화장실에 퍼진 상태에서 배기하는 것으로 빠른 환기가 어려워 일정시간이 경과 한 후 배기가 되기 때문에 다음 화장실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161161호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는 변기 내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용변을 볼 때 변기에서 흘러나오는 분 냄새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으로서 분 냄새가 화장실에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환기구조는 배수구를 통하여 물이 쏟아질 때 통기구가 고무덮개를 통하여 폐쇄되어 용변이 물과 섞이면서 발생하는 분 냄새는 화장실 내부에 퍼지도록 되어 있어 완전한 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좌식변기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수구와 흡입로가 구분되어 있어 세척수와 분과 함께 섞여 배출되는 배출시에도 분 냄새를 흡입할 수 있어 분 냄새가 변기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장치가 간단하여 변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환기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적 감각을 향상시키며 화장실의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좌식변기의 환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저수통과 연결되는 메인배수홀과 테두리배수홀을 형성한 좌식변기의 테두리관 외측에 테두리배수홀과 연통되는 배수관을 연결하고 상기 테두리배수홀과 분리되도록 형성한 배기구역에 배기관을 연결하여 좌식변기 테두리관 내측면에 형성된 배기홀과 연통하도록 형성한 분관부와, 상기 분관부의 배기관이 연결되어 외부로 분 냄새를 배출하도록 벽체에 내장되는 연결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는 배기팬을 형성한 배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의 환기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분관부의 배기구역은 테두리관 내측에 링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역과 연통되도록 두개 이상의 배기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의 환기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배기부의 연결관은 천정에 형성된 배기덕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의 환기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에 본 고안은 좌식변기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수구와 흡입로를 구분하여 세척수가 분과 함께 섞여 배출되는 때에도 변기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분 냄새를 흡입할 수 있어 분 냄새가 변기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장치가 간단하여 변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환기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적 감각을 향상시켜 화장실의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좌식변기와 환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식변기의 환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식변기의 환기장치 중 분관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좌식변기의 환기장치 중 분관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좌식변기의 환기장치 분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좌식변기의 환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식변기의 환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식변기의 환기장치 중 분관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좌식변기의 환기장치 중 분관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좌식변기의 환기구조는 세척수배수와 분 냄새배기를 각각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한 분관부(10)와, 상기 분관부(10)에서 배기되는 분 냄새를 배기하는 배기부(20)로 구성된다.
상기의 분관부(10)는 세척수가 저장되어 밸브(11)에 의해 개폐되는 저수통(12)을 형성한 좌식변기(15)의 테두리관(16)의 외측 테두리에 테두리배수홀(14)을 형성하여 저수통(12)과 연결된 배수관(17)으로 배출되는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테두리관(16)에 형성된 테두리배수홀(14)과 분리되도록 배기구역(18)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역(18)은 배기관(18')과 연결하여 테두리관(16) 내측면에 형성한 배기홀(19)을 통하여 분 냄새를 배기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분관부(10)의 배기관(18')이 연결되어 외부로 분 냄새를 배출하도록 배기부(20)를 형성한다.
상기 배기부(20)는 좌식변기(15)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배기관(18')과 연결되는 연결관(22)을 벽체(21)에 내장하고 상기 연결관(22)의 단부에는 배기팬(23)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분관부(10)의 배기구역(18)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관(16) 내측에 링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역(18)과 연통되도록 두개 이상의 배기홀(19)을 형성하며 상기 배기부(20)의 연결관(22)은 천정에 형성된 배기덕트(24)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좌식변기(15)에 용변을 보면 좌식변기(15) 내측에 분 냄새가 가득차게 된다.
이와 같이 좌식변기(15) 내측에 발생 된 분 냄새는 배기부(20)의 배기팬(23)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분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자세히 설명하면 연결관(22)에 설치된 배기팬(23)의 회전에 의하여 연결관(22)과 연결된 배기관(18')과 연통된 배기구역(18)의 기압을 낮춰주어 좌식변기(15) 내측에서 발생되는 분 냄새를 배기홀(19)을 통하여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용변이 끝난 후 세척수를 배출하면 저수통(12)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가 메인배수홀(13)과 배수관(17)과 연결되어 있는 테두리배수홀(14)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세척수가 배출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좌식변기(15)에 잔존하고 있는 분 냄새가 좌식변기(15)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홀(19)을 통한 분 냄새의 흡입은 계속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세척수의 배출과 분 냄새의 흡입이 동시에 작동할 수 있는 것은 세척수가 배출되는 테두리배수홀(14)과 배기구역(18)이 분리되어 있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배기되는 분 냄새는 기존에 시공되어 있는 벽체의 타일 내부에 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슬림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기존 시공되어 있는 천정의 배기덕트(24)와 연결관(22)을 연결하여 분 냄새를 배기하여도 시공을 편리성을 증진 시킬 수 있다.
10 : 분관부 11 : 밸브
12 : 저수통 13 : 메인배수홀
14 : 테두리배수홀 15 : 좌식변기
16 : 테두리관 17 : 배수관
18 : 배기구역 18' : 배기관
19 : 배기홀 20 : 배기부
21 : 벽체 22 : 연결관
23 : 배기팬 24 : 배기덕트

Claims (3)

  1. 밸브(11)에 의해 개폐되는 저수통(12)과 연결되는 메인배수홀(13)과 테두리배수홀(14)을 형성한 좌식변기(15)의 테두리관(16) 외측에 테두리배수홀(14)과 연통되는 배수관(17)을 연결하고 상기 테두리배수홀(14)과 분리되도록 형성한 배기구역(18)에 배기관(18')을 연결하여 좌식변기(15) 테두리관(16) 내측면에 형성된 배기홀(19)과 연통하도록 형성한 분관부(10)와,
    상기 분관부(10)의 배기관(18')이 연결되어 외부로 분 냄새를 배출하도록 벽체(21)에 내장되는 연결관(22)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22)의 단부에는 배기팬(23)을 형성한 배기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의 환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관부(10)의 배기구역(18)은
    테두리관(16) 내측에 링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역(18)과 연통되도록 두개 이상의 배기홀(1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의 환기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20)의 연결관(22)은 천정에 형성된 배기덕트(2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의 환기구조.
KR2020120011801U 2012-12-13 2012-12-13 좌식변기의 환기구조 KR201400038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801U KR20140003859U (ko) 2012-12-13 2012-12-13 좌식변기의 환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801U KR20140003859U (ko) 2012-12-13 2012-12-13 좌식변기의 환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859U true KR20140003859U (ko) 2014-06-23

Family

ID=5244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801U KR20140003859U (ko) 2012-12-13 2012-12-13 좌식변기의 환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85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4903A (zh) * 2016-03-25 2016-06-29 衡阳市金泉置业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防臭功能的蹲便器用冲水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4903A (zh) * 2016-03-25 2016-06-29 衡阳市金泉置业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防臭功能的蹲便器用冲水器
CN105714903B (zh) * 2016-03-25 2019-07-16 衡阳市金泉置业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防臭功能的蹲便器用冲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133B1 (ko)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101375078B1 (ko) 공기 순환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조립체
KR200401803Y1 (ko) 좌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102130169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20130133454A (ko)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CN202809786U (zh) 便器换气机构
KR20140003859U (ko) 좌식변기의 환기구조
CN102912839B (zh) 一种排臭马桶
KR20040037290A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US20120260414A1 (en) Toilet stool with apparatus for eliminating offensive odor
CN104963399A (zh) 零污染座便器
KR20100033034A (ko) 욕실의 배수시스템
KR200306436Y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100005081U (ko) 비데 및 변기
KR101333988B1 (ko) 다양한 조건의 오배수관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통기트랩
KR200489470Y1 (ko) 양변기 냄새배출장치
KR20110123449A (ko) 악취 제거용 좌변기
KR101415178B1 (ko) 악취 이동수단을 갖는 양변기 악취 배출구
JP2014520984A (ja) 便器用脱臭装置
KR200381138Y1 (ko) 좌변기 악취제거 장치
KR20160115601A (ko) 배출관로를 이용한 내장형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CN102720265A (zh) 一种高水封内芯式排水控制装置
JP2680343B2 (ja) 脱臭機能を有する水洗便器
CN202672326U (zh) 一种高水封内芯式排水控制装置
CN106948139A (zh) 用于滚筒洗衣机的上盖组件及滚筒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