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036A - 가축용 포유 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용 포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036A
KR20160012036A KR1020140093576A KR20140093576A KR20160012036A KR 20160012036 A KR20160012036 A KR 20160012036A KR 1020140093576 A KR1020140093576 A KR 1020140093576A KR 20140093576 A KR20140093576 A KR 20140093576A KR 20160012036 A KR20160012036 A KR 20160012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powdered milk
mixing
discharge
mix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981B1 (ko
Inventor
김진오
고승현
Original Assignee
(주)로봇앤드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봇앤드디자인 filed Critical (주)로봇앤드디자인
Priority to KR1020140093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9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00Sucking apparatus for young stock ; Devices for mixing solid food with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09Feeding pens for pigs or catt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획된 복수의 생육 공간들에서 가축을 생육하도록 된 한국형 목장구조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격벽(2)으로 폐쇄된 생육 공간에서 가축에게 분유를 포유하여 생육하도록 된 가축용 포유 장치에 있어서;
기체(3)와; 상기 기체(3)에 구비되며 물과 분유분말이 공급되어 혼합되는 혼합수단과; 상기 기체(3)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수단에서 혼합된 분유가 공급됨과 아울러 양 방향으로 분기하여 배출하도록 된 분기수단과; 상기 분기수단에서 배출된 분유를 토출 하도록 상기 기체의 양측 방향으로 노출된 토출 노즐(14)들을 가지는 토출 수단을 포함하는 가축용 포유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축용 포유 장치{A suckle device of cattle}
본 발명은, 목장에서 소(특히 한우)를 육성할 때 포유(哺乳)하는 포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획된 복수의 생육 공간들에서 가축을 생육하도록 된 한국형 목장구조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된 가축용 포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유나 그 밖의 유제품 생산을 위해 젖을 내는 동물, 특히 소를 품종개량 하거나 사육·이용하는 낙농 농가에서는, 송아지의 생육을 증가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그 중 하나가 사람이 직접 포유하는 인공 포유 방법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 포유 방법은, 별도의 포유 노즐을 가지어 사용하여 송아지 등에게 분유를 공급하는 포유 장치를 사용하여 생육 되는 송아지가 상기 포유 장치에 접근하여 상기 포유 장치에 구비된 포유 노즐을 입에 수용한 상태에서 포유를 자동으로 수행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인공 포유 방법에 적용되는 포유 장치들 중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70497호(명칭: 포유 장치)가 있으며, 상기 포유 장치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포유틀과, 상기 포유틀의 측방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포유부 하우징과, 상기 포유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포유부 하우징에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실린더의 하단부가 중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포유브라켓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유브라켓의 상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회전축의 양 단부가 상기 포유부 하우징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포유브라켓의 하단부에는 포유꼭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실린더의 신장 및 수축에 의해 상기 포유브라켓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며, 상기 포유꼭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포유부 하우징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개폐실린더와, 상기 개폐실린더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블럭과, 상기 블럭에 고정되며 횡방향으로 장방향 홈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블럭에 상단부가 접촉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장방향홈에 삽입되는 핀이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송아지의 체중에 따른 신장을 고려하여 포유 시의 포유꼭지의 포유높이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송아지 등이 포유 시에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송아지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었다.
이러한, 포유 장치들은, 송아지가 생육 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포유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포유 장치들에서는, 하나의 생육 공간에서만 포유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는 생육공간에 적합하고, 비교적 작은 면적의 생육공간들이 다수 형성되어 생육 시간에 따라 그 생육 공간이 달리하는 한국형 목장구조에서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복수 개의 생육공간이 형성된 한국형 목장구조에서는, 종래의 포유 장치를 적용할 경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획된 복수의 생육 공간들에서 가축을 생육하도록 된 한국형 목장구조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된 가축용 포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축의 포유 특성에 일치하는 능동적 포유를 할 수 있도록 되어, 가축 특성에 맞는 생육을 할 수 있고, 더욱 건강한 가축을 얻을 수 있도록 된 가축용 포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축용 포유 장치는, 격벽으로 폐쇄된 생육 공간에서 가축에게 분유를 포유하여 생육하도록 된 가축용 포유 장치에 있어서; 기체와; 상기 기체에 구비되며 물과 분유분말이 공급되어 혼합되는 혼합수단과; 상기 기체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수단에서 혼합된 분유가 공급됨과 아울러 양 방향으로 분기하여 배출하도록 된 분기수단과; 상기 분기수단에서 배출된 분유를 토출 하도록 상기 기체의 양측 방향으로 노출된 토출 노즐들을 가지는 토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혼합수단은, 분유분말과 물이 각각 공급되는 분말공급 부재와 물공급 관이 관접 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에 의해 혼합하도록 되고 혼합된 분유가 토출 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혼합 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분말공급 부재는, 분유분말이 저장된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스크류가 내장된 '관(管)' 상의 혼합 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류의 종단을 통해 정량의 분유분말이 상기 혼합 조로 공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분기수단은, 상기 배출구에 접속되어 상기 혼합수단에서 혼합된 분유를 공급받는 입구와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분유를 자유 낙하하여 배출하며 상기 기체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노출되게 구비된 상기 토출 노즐들에 각각 공급하도록 상기 입구에서 분기 되는 출구를 가지는 '관(管)' 상의 분기 관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 관에는 상기 출구들 측으로 분유가 배출되는 방향을 선택하도록 된 분기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토출 수단은, 상기 분기 관의 출구에 각각 관접 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자유 낙하하는 분유를 유입 받는 유입구와 외부로 배출하도록 토출구를 가지는 한 쌍의 토출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 노즐과 상기 분기 관의 사이에 게재되어 구비되며 교반 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교반 날개에 의해 분유를 재혼합하도록 된 재혼합 조들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토출 수단을 구성하는 한 쌍의 토출 노즐은 그 수직 상의 위치를 달리하여 각각 배치하도록 상기 기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체에서 상기 토출 노즐이 위치된 측 방향에는, 가축이 진입하도록 된 진입 펜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진입 펜스와 상기 토출 노즐의 사이에는, 수직 상으로 개폐되는 개폐문이 상하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진입 펜스와 상기 토즐 노즐 사이 공간을 개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체에서 상기 진입펜스가 배치된 측에는 상기 진입 펜스로 가축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된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혼합조에는 세척수가 투입되며 세척수의 투입 여부를 조절하는 세척수 투입조절밸브를 가지는 세척수 투입 관이 관접 되며, 상기 재혼합 조와 상기 노출 노즐의 사이에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에 대한 개폐를 조절하도록 세척 조절밸브 부재가 각각 구비되어, 세척수가 상기 토출 노즐로 배출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세척 조절밸브 부재는, 상기 재혼합 조와 상기 토출 노즐 사이에 게재하는 외부개폐밸브와 상기 외부개폐밸브와 상기 토출 노즐 사이에 게재하여 세척수 및 분유의 토출 노즐 측으로의 이동을 조절하는 폐쇄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축용 포유 장치는, 상기 기체의 양 방향으로 구비된 상기 토출 노즐을 통해 자유 낙하하는 분유를 복수 개로 구획된 복수의 생육 공간들에서 가축을 생육하도록 된 한국형 목장구조에서 가축에게 자동으로 포유할 수 있어, 가축의 포유 특성에 일치하는 능동적 포유를 통해 가축 특성에 맞는 생육을 하여 더욱 건강한 가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축용 포유 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축용 포유 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 및 도 4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축용 포유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축용 포유 장치에서 포유 흐름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축용 포유 장치에서 세척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축용 포유 장치가 적용된 목장의 일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가축용 포유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축용 포유 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축용 포유 장치(1)는, 격벽(2)으로 폐쇄된 생육 공간에서 가축에게 분유를 자동으로 포유하여 생육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증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경제적으로 가축을 생육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축용 포유 장치(1)는, 특히 복수 개로 분할 구획된 생육공간들을 통해 각각의 생육공간에 생육특성(생육공간)을 달리하여 가축을 생육하도록 된 한국형 목장구조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하나의 장치를 적용하여 복수 개로 분할 구획된 생육공간으로 포유를 각각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한국형 목장구조에서 경제적으로 가축을 생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축용 포유 장치(1)는, 기체와, 상기 기체(3)에 구비되며 물과 분유분말이 공급되어 혼합되는 혼합수단을 가진다.
즉, 상기 혼합수단을 통해 선택된 양만큼 공급되는 분유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가축에게 포유하는 분유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혼합수단은, 분유분말과 물이 각각 공급되는 분말공급 부재와 물공급 관(4)이 관 접속되며 공급되는 물과 분유를 혼합하도록 되고 혼합된 분유가 토출 되는 배출구(5)를 가지는 혼합 조(6)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혼합 조(6)는 상기 기체(3)에서 상부 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혼합된 분유가 소정의 높이에서 위치하여 일정한 위치에너지를 확보하도록 하여, 추후, 상기 분유를 자유 낙하시켜 최종적으로 펌프의 압력을 인가하지 않고도 안정되게 분유를 포유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포유 장치(1)에서, 상기 분말공급 부재는, 분유분말이 저장된 호퍼(7)의 하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미 도시된 제어수단을 통해 조절되어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스크류(8)가 내장된 '관(管)' 상의 혼합 관(9)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류(8)의 종단을 통해 정량의 분유분말이 상기 혼합 조(6)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호퍼(7)에 담긴 분유분말이 낙하하여 상기 혼합 관(9)의 내부로 진입되는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8)가 회전을 하면, 상기 호퍼(7)에서 진입하는 분유분말이 이송됨과 동시에 상기 혼합 조(6)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8)의 회전수를 조절하면 상기 혼합 조(6)로 이송되는 분유 분말의 공급량이 조절되기 때문에 정량의 분유를 원활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기체(3)에는, 상기 혼합 조(6)로 물을 공급하도록 된 물공급 관(4)이 배치되며, 상기 물공급 관(4)에는 미 도시된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제어되는 개폐 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혼합 조(6)로의 물의 공급 여부와 공급되는 량을 조절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물공급 관(4)이 상기 혼합 관(9)에 접속되어 분유 분말과 동시에 상기 혼합 조(6)로 투입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기 혼합 조(6)의 배출구(5)는 상기 혼합 조(6) 상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출구(5)의 주변 부위는 상기 배출구(5) 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어 혼합된 분유가 원활하게 상기 배출구(5) 측 방향으로 유도되어 배출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포유 장치(1)에서, 상기 기체(3)에는 혼합수단의 상기 혼합 조(6)에서 혼합되어 상기 배출구(5)를 통해 배출되는 분유를 공급받아 복수 개의 방향으로 분기하여 배출하도록 된 분기수단이 구비된다.
즉, 상기 분기수단을 통해 분유를 복수의 방향으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를 적용하여 복수 개로 분할 구획된 생육공간으로 포유를 각각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한국형 목장구조에 적합하면서도 경제적으로 가축을 생육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분기수단은, 상기 혼합 조(6)를 구성하는 상기 배출구(5)에 접속되어 상기 혼합수단의 혼합 조(6)에서 혼합된 분유를 공급받는 입구(10)와 상기 입구(10)를 통해 유입된 분유를 자유 낙하하여 배출하는 복 수의 출구(11)를 가지는 '관' 형상의 분기 관(12)을 가진다.
즉, 분유가 유입되는 입구(10)를 하나로 이루어지는 반면, 배출되는 출구(11)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분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상기 분기 관(12)에는, 미 도시된 상기 제어 수단을 조절되어 통해 상기 입구(10)를 통해 유입된 분유를 각각의 출구(11)로 유도함과 아울러 유도하는 방향을 선택하도록 되는 분기 밸브(13)가 구비되며, 상기 분기 밸브(13)는 상기 출구(11)들을 각각 개폐하도록 각각의 출구(11)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출구(11)들 중에서 상기 분기 밸브(13)를 통해 개방된 상기 출구(11)로 분유가 유도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타 출구(11)에 배치된 상기 분기 밸브(13)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되어 분유의 흐름을 중지하도록 되어, 결과적으로, 선택된 하나의 출구(11)를 통해서만 분유가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혼합 조(6)에서 정량적으로 혼합된 분유를 정량적으로 가축에게 포유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출구(11)들은 상기 입구(10)에 비하여 그 하부에 위치하도록 됨으로써, 분유가 상기 입구(10)에서 출구(11) 측 방향으로 자유 낙하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포유 장치(1)에서, 상기 기체(3)에는 상기 분기수단의 상기 분기 관(12)에서 유도되어 공급되는 분유를 토출 하여 가축에게 포유하도록 된 토출 노즐(14)을 가지는 토출 수단이 구비된다.
즉, 상기 토출 노즐(14)을 통해 분유를 토출 하여 근접되어 상기 토출 노즐(14)을 입에 물고 있는 가축에게 포유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 노즐(14)은 하향경사진 형태로 상기 기체(3)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분유가 자유 낙하하는 형태로 가축에게 공급되어, 별도의 토출 압력이 없이 가축에게 포유됨에 따라, 포유하는 가축이 흡입력을 자연스럽게 구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축이 자연환경 아래서 엄마 가축에게서 포유하는 방식을 구현하게 되어 생육특성에 적합한 포유를 구현하여 가축의 생육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포유 장치(1)에서, 상기 토출 수단의 상기 토출 노즐(14)은, 상기 분기 관(12)의 출구(11)에 각각 관접 되어 상기 출구(11)를 통해 자유 낙하하는 분유를 유입 받는 유입구(15)와 외부로 배출하도록 토출구(16)를 가진다.
즉, 가축이 상기 토출구(16)를 물고 흡입하여 토출 되는 분유를 포유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토출구(16)는 상기 유입구(15)에 비하여 그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축이 입에 물고 흡입할 때 가축의 구강을 훼손하지 않는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토출구(16)에 연성재질의 젖꼭지를 별도로 부착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단순한 설계변경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하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포유 장치(1)에서, 상기 토출 노즐(14)과 상기 분기 관(12)의 사이에는 교반 모터(17)를 통해 회전하는 교반 날개(18)에 의해 분유를 재혼합하도록 된 재혼합 조(19)들이 구비된다.
즉, 상기 재혼합 조(19)에서 분유를 교반 하여 상기 토출 노즐(14)을 통해 가축에게 포유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혼합 조(6)에서 상기 토출 노즐(14) 측으로 자유 낙하하는 거리와 시간 동안 물과 분유분말이 분리되는 현상을 통해 발생 되는 비 안정적인 분유 상태를 교반 하여 안정된 분유로 다시 구현함으로써, 가축에게 포유 되는 분유의 상태를 최상의 상태로 구현하여 포유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축의 생육을 최상의 품질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토출 수단을 구성하는 복 수개의 토출 노즐(14)들은, 상기 기체(3)에서 그 수직 상의 위치를 달리하여 각각 배치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 개로 분할 구획된 생육공간들을 통해 각각의 생육기간을 달리하는 생육특성에 따라, 그 크기가 서로 다른 가축들에게 각각 알맞은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포유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포유 장치(1)에서는, 상기 기체(3)에서 상기 토출 노즐(14)들이 위치된 측 방향에는, 가축이 진입하도록 된 진입 펜스(2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기체(3)의 상기 토출 노즐(14)이 위치되는 포유 공간으로 다수의 가축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고, 한번에 한 개체의 가축이 포유 공간에 위치되도록 하여, 더욱 안정적인 포유를 진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입 펜스(20)와 상기 토출 노즐(14)의 사이에는, 수직 상으로 개폐되는 개폐문(21)이 상하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진입 펜스(20)와 상기 토즐 노즐(14) 사이 공간을 개폐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폐문(21)은 상기 기체(3)에 고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폐문(21)을 통해 포유 공간을 개폐하여 타 측 방향의 포유 공간에서 포유가 이루어지는 동안, 가축이 상기 토출 노즐(14)을 헛되게 물어 스트레스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포유가 진행될 수 있는 상태에서만 상기 포유 공간을 개방하여 가축이 정서적 안정을 가지면서 포유를 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기체(3)에는 상기 개폐문(21)에 수직 상으로 배열된 랙 기어(22)와 기어 결합하며 승강 모터(23)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도록 된 피니언 기어(24)를 통해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제어되는 상기 승강 모터(23)의 구동을 조절하여 수직 상으로 왕복이동되어 개폐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포유 장치(1)에서, 상기 진입 펜스(20)가 배치된 측의 기체(3) 부위에는, 상기 진입 펜스(20)로 가축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된 센서(2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진입 펜스(20)를 통해 가축이 진입하면 상기 센서(25)에서 이를 감지하여 진입한 가축에게 포유를 하기 위한 흐름을 진행하는 것에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게 된다.
즉, 상기 센서(25)에 의해 가축의 진입 여부가 감지되면, 감지된 데이터를 상기 미 도시된 제어수단으로 송신하여, 상기 제어수단에서 이를 연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포유 장치(1)에서는, 상기 혼합 조(6)와 상기 분기 관(12) 및 상기 재혼합 조(19)들을 세척하도록 된 세척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미 도시된 제어 수단을 통해 제어되어 상기 혼합 조(6)와 상기 분기 관(12) 및 상기 재혼합 조(19)를 주기적으로 세척하여 포유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가축의 생육을 더욱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세척 수단은, 상기한 혼합 조(6)에 관접 되며 투입되는 세척수의 투입 여부를 조절하는 세척수투입밸브(26)를 가지는 세척수 투입 관(27)과, 상기 재혼합 조(19)와 상기 노출 노즐(14)의 사이에 게재하여 상기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에 대한 개폐를 조절하도록 세척 조절밸브 부재가 각각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세척 조절밸브를 통해, 세척수가 상기 토출 노즐(14)로 배출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세척수가 상기 토출 노즐(14)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축이 포유되는 공간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상기 세척 조절밸브 부재는, 상기 재혼합 조(19)와 상기 토출 노즐 사이(14)에 게재하는 외부개폐밸브(28)와 상기 외부개폐밸브(28)와 상기 토출 노즐(14) 사이에 게재하여 세척수 및 분유의 토출 노즐 측으로의 이동을 조절하는 폐쇄밸브(29)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혼합 조(6)와 상기 분기 관(12) 및 상기 재혼합 조(19)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한 후 각각 세척수를 투입하여 세척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분유가 이동하는 이동로 상에서 세척수가 이동함과 동시에 이동하는 공간을 세척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세척수는, 알카리성 용제와 산성 용제들이 선택된 비율로 각각 투입되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축용 포유 장치의 작용 효과를 사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포유 장치(1)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에 의해 구획된 가축의 생육공간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으로 배치된 상기 생육공간에서 생육 되는 가축이 상기 진입 펜스(20)에서 자동으로 포유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와 같이, 생육공간에서 생육 되는 가축에게 포유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축이 포유를 원할 때, 상기 진입 펜스(20)로 진입하면, 상기 센서(25)에서 이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데이터를 미 도시된 제어수단에서 연산하여 포유 동작으로 구동하게 된다.
먼저, 상기 호퍼(7)에 분유분말을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25)를 통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입 펜스(20)에 가축이 진입되어 위치된 상태를 하면,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8)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스크류를 회전시키면 상기 호퍼(7)에 저장된 분유분말이 상기 스크류(8)에 의해 정량이 이송되어 상기 혼합 조(6)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물공급 관(4)을 통해 상기 혼합 조(6)로 선택된 양의 용수가 공급되어 상기 혼합 조(6) 내부에서 혼합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개폐문(21)이 개방되어 상기 토출 노즐(4)을 가축에게 개방하면, 가축이 상기 토출 노즐(14)을 본능적으로 입에 물고 흡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혼합 조(6)에서 혼합된 분유는 자유 낙하하여 상기 배출구(5)를 통해 상기 분기 관(12)의 입구(10)로 유도된 후 상기 분기 관(12)에서 상기 토출 노즐(14)을 통해 분기 되는바, 이때에는, 도 5 및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25)를 통해 먼저 진입 펜스(20)로 진입된 측 방향에 위치된 분기밸브(13)만 개방되고 타 측의 분기밸브(13)는 폐쇄되어, 개방된 분기밸브(13)가 위치된 측 방향으로 분유가 자유 낙하 되어 유도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분기 관(12)을 통해 분기 된 분유는 상기 재혼합 조(19)에서 물과 분유분말이 재 혼합된 상태로 되어 상기 토출 노즐(14) 측 방향으로 자유 낙하 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토출 노즐(14)을 입에 물고 흡입하는 가축의 구강으로 분유가 흡입되면서 포유 된다.
그리고, 상기 분유의 포유가 완료되어 가축이 정량의 포유를 하게 되면, 가축이 본능적으로 상기 토출 노즐(14)을 입에서 떼고 상기 진입 펜스에서 이탈한다.
이와 같이, 가축의 포유가 완료되면, 상기 개방된 분기밸브(13)는 폐쇄하고, 폐쇄된 분기밸브(13)는 개방되어 타 측 방향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포유를 하면 된다.
상기에서, 상기 센서(25)가 가축의 상기 진입 펜스(20)에서의 이탈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수단으로 송신하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개폐문(21)이 폐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상기 진입 펜스(20)로 진압하는 가축들을 순차적으로 포유하게 된다.
그리고, 분유가 이동되는 이동 공간들을 세척하여 청결하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를 상기 혼합 조(6)로 투입하고, 분유를 토출 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세척수가 분유가 이동되는 공간을 경유하면서 자동으로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폐쇄밸브(29)는 폐쇄하고, 상기 외부개폐밸브(28)는 개방하여, 사용된 세척수를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포유 장치 2 : 격벽
3 : 기체 4 : 물공급 관
5 : 배출구 6 : 혼합 조
7 : 호퍼 8 : 스크류
9 : 혼합 관 10 : 입구
11 : 출구 12 : 분기 관
13 : 분기 밸브 14 : 토출 노즐
15 : 유입구 16 : 토출구
17 : 교반 모터 18 : 교반 날개
19 : 재혼합 조 20 : 진입 펜스
21 : 개폐문 22 : 랙기어
23 : 승강모터 24 : 피니언 기어
25 : 센서 26 : 세척수 투입밸브
27 : 세척수 투입 관 28 : 외부개폐밸브
29 : 폐쇄밸브

Claims (11)

  1. 격벽으로 폐쇄된 생육 공간에서 가축에게 분유를 포유하여 생육하도록 된 가축용 포유 장치에 있어서;
    기체와;
    상기 기체에 구비되며 물과 분유분말이 공급되어 혼합되는 혼합수단과;
    상기 기체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수단에서 혼합된 분유가 공급됨과 아울러 양 방향으로 분기하여 배출하도록 된 분기수단과;
    상기 분기수단에서 배출된 분유를 토출하도록 상기 기체의 양측 방향으로 노출된 토출 노즐들을 가지는 토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포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혼합수단은,
    분유분말과 물이 각각 공급되는 분말공급 부재와 물공급 관이 관접 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에 의해 혼합하도록 되고 혼합된 분유가 토출 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혼합 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포유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말공급 부재는,
    분유분말이 저장된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스크류가 내장된 '관(管)' 상의 혼합 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류의 종단을 통해 정량의 분유분말이 상기 혼합 조로 공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포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기수단은,
    상기 배출구에 접속되어 상기 혼합수단에서 혼합된 분유를 공급받는 입구와,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분유를 자유 낙하하여 배출하며 상기 기체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노출되게 구비된 상기 토출 노즐들에 각각 공급하도록 상기 입구에서 분기 되는 출구를 가지는 '관(管)' 상의 분기 관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 관에는,
    상기 출구들측으로 분유가 배출되는 방향을 선택하도록 된 분기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포유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토출 수단은,
    상기 분기 관의 출구에 각각 관접 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자유 낙하하는 분유를 유입 받는 유입구와 외부로 배출하도록 토출구를 가지는 한 쌍의 토출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 노즐과 상기 분기 관의 사이에 게재되어 구비되며 교반 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교반 날개에 의해 분유를 재혼합하도록 된 재혼합 조들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포유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토출 수단을 구성하는 한 쌍의 토출 노즐은,
    그 수직 상의 위치를 달리하여 각각 배치하도록 상기 기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포유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체에서 상기 토출 노즐이 위치된 측 방향에는,
    가축이 진입하도록 된 진입 펜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포유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진입 펜스와 상기 토출 노즐의 사이에는,
    수직 상으로 개폐되는 개폐문이 상하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진입 펜스와 상기 토즐 노즐 사이 공간을 개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포유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체에서 상기 진입펜스가 배치된 측에는,
    상기 진입 펜스로 가축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된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포유 장치.
  10. 제 3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혼합 조에는 세척수가 투입되며 세척수의 투입 여부를 조절하는 세척수 투입조절밸브를 가지는 세척수 투입 관이 관접 되며, 상기 재혼합 조와 상기 노출 노즐의 사이에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에 대한 개폐를 조절하도록 세척 조절밸브 부재가 각각 구비되어, 세척수가 상기 토출 노즐로 배출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포유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세척 조절밸브 부재는,
    상기 재혼합 조와 상기 토출 노즐 사이에 게재하는 외부개폐밸브와 상기 외부개폐밸브와 상기 토출 노즐 사이에 게재하여 세척수 및 분유의 토출 노즐 측으로의 이동을 조절하는 폐쇄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포유 장치.
KR1020140093576A 2014-07-23 2014-07-23 가축용 포유 장치 KR101635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576A KR101635981B1 (ko) 2014-07-23 2014-07-23 가축용 포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576A KR101635981B1 (ko) 2014-07-23 2014-07-23 가축용 포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036A true KR20160012036A (ko) 2016-02-02
KR101635981B1 KR101635981B1 (ko) 2016-07-20

Family

ID=5535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576A KR101635981B1 (ko) 2014-07-23 2014-07-23 가축용 포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628A (ko) * 2020-10-14 2022-04-2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17B1 (ko) * 2008-03-14 2011-04-06 (주)바이오사료연구소 송아지 자동 포유 장치 및 그 포유 방법
KR20120074249A (ko) * 2010-12-27 2012-07-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공급우유의 위생성이 강화된 송아지 개체별 맞춤형 전자동 정밀감량포유시스템
US8333167B2 (en) * 2008-07-28 2012-12-18 Delaval Holding Ab Animal feeder
KR200464971Y1 (ko) * 2011-06-08 2013-01-29 (주)한엑스 돈사용 플라잉 급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17B1 (ko) * 2008-03-14 2011-04-06 (주)바이오사료연구소 송아지 자동 포유 장치 및 그 포유 방법
US8333167B2 (en) * 2008-07-28 2012-12-18 Delaval Holding Ab Animal feeder
KR20120074249A (ko) * 2010-12-27 2012-07-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공급우유의 위생성이 강화된 송아지 개체별 맞춤형 전자동 정밀감량포유시스템
KR200464971Y1 (ko) * 2011-06-08 2013-01-29 (주)한엑스 돈사용 플라잉 급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628A (ko) * 2020-10-14 2022-04-2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981B1 (ko)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484Y1 (ko) 축사용 양계급이기
KR101776935B1 (ko) 의료실험용 동물 사육 크린룸
KR100952282B1 (ko) 축산용 급여기의 위치조절식 급수조
EP2371212A1 (en) A plant for controlled distribution of material with a substantially fluid behaviour for feeding animals
KR101830356B1 (ko)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KR101635981B1 (ko) 가축용 포유 장치
KR101137120B1 (ko) 동물사료 또는 식물 비료 자동공급장치.
KR20140136550A (ko) 습식 및 건식 겸용 사료급이기
KR20220066480A (ko) 어류 인공부화장치
US3779210A (en) Incubative animal confinement system
US3352286A (en) Portable animal feeder
CN111134075A (zh) 一种养殖池和船舶
KR20130119638A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이송스크류 구조
KR101690659B1 (ko) 가축용 포유 시스템
TWI747637B (zh) 水生動物養殖系統的乾溼兩用自動投餌器
TWM526268U (zh) 立體式魚菜共生系統
CN105409804B (zh) 养猪场自动给料食槽装置
CN214413832U (zh) 一种多功能鱼料投喂机
KR20190016839A (ko) 가축용 사료공급기
CN210726350U (zh) 一种畜牧用自动加料饲料槽
KR101870972B1 (ko)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KR20150091597A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이송날개 구조
NO318416B1 (no) Anordning ved fôringsanlegg for fiskelarver samt fremgangsmate ved fôring av fiskelarver
CN212184651U (zh) 一种猪舍饲料及饮水自动供应系统
CN218184643U (zh) 一种畜牧养殖用兽用饮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