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100A - 애완동물 배변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배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2100A KR20170042100A KR1020150141602A KR20150141602A KR20170042100A KR 20170042100 A KR20170042100 A KR 20170042100A KR 1020150141602 A KR1020150141602 A KR 1020150141602A KR 20150141602 A KR20150141602 A KR 20150141602A KR 20170042100 A KR20170042100 A KR 201700421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fecation
- pet
- washing water
- excrement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4000144977 poultry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33 contracep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4 contra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 매립 설치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의 대소변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애완동물의 사육확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 배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애완동물의 배변위치를 구획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배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변홈의 일측에는 배설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이동되며, 정화시설로 연결되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수관부와, 상기 배변홈의 배설물을 상기 유입구쪽으로 밀어내고 배변홈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수 분사부와, 상기 세척수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배변상태를 감지하는 배변감지센서부와, 상기 배변감지센서부의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세척수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애완동물의 배변위치를 구획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배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변홈의 일측에는 배설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이동되며, 정화시설로 연결되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수관부와, 상기 배변홈의 배설물을 상기 유입구쪽으로 밀어내고 배변홈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수 분사부와, 상기 세척수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배변상태를 감지하는 배변감지센서부와, 상기 배변감지센서부의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세척수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애완동물 배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매립 설치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의 대소변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애완동물의 사육확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 배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 내에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경우가 많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에서는 가장 큰 문제거리는 애완동물의 배변문제이다.
키우는 애완동물이 아무 장소에서나 배변을 하여 냄새와 오물의 청소에 따른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배변 장소를 지정하여 그 장소에서만 배변을 하도록 애완동물을 교육 시키고 있으나 이 역시 쉬운 일은 아니며, 정해진 배변장소에서만 배변을 하더라도 해당 배설물들을 별도로 청소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지정된 배변장소에서 배뇨나 배변을 하더라도 배변 냄새에 의해서 매우 곤혹스러울 뿐만 아니라 배변 냄새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청소를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5001호 및 동 등록실용신안 20-0446370호와 같은 애완동물용 배변기가 선행기술로 개시되었으나, 이들 모두는 단순히 애완동물이 발판이나 집뇨판 위에 올라가서 배변을 볼 수 있도록 만 된 것이기 때문에 수시로 물청소를 해야 하는 불편과 번거로움이 초래되는 단점을 전혀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시 생활에서는 애완동물만 집에 놔둔 채 모두가 하루종일 외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경우 선행기술의 배변기는 전혀 청소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집안에 배변냄새로 인한 악취가 심하게 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실내에 매립설치하며, 배설물이 정수장으로 바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에서 애완동물의 배설물에 의한 악취나 오염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 배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애완동물의 배변위치를 구획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배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변홈의 일측에는 배설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이동되며, 정화시설로 연결되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수관부와, 상기 배변홈의 배설물을 상기 유입구쪽으로 밀어내고 배변홈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수 분사부와, 상기 세척수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배변상태를 감지하는 배변감지센서부와, 상기 배변감지센서부의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세척수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변홈은 배설물이 상기 유입구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표면이 상기 유입구에 가까워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는 배변홈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면에 배변홈을 향해 돌출되어 애완동물이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분사부는 상기 배변홈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세척수를 공급받는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분사량을 제어하는 분사량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변감지센서부는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상기 배변홈 상에 위치한 상태를 검출하는 애완동물검출센서와,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감지하며, 상기 배설물이 대변 또는 소변인지를 분별하는 배설물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설물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배설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분사량 조절밸브를 통해 세척수의 분사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관부는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도록 물이 고여있는 유(U)자형의 역류차단부를 포함하며, 애완동물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역류차단부에 고여있는 물을 취식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입구의 상부를 가리는 차단판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애완동물의 배변 후 배설물이 물과 함께 정수시설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에서 배설물에 의한 냄새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배수시설에서 역류하는 악취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애완동물이 오수를 취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서, 애완동물의 사육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애완동물 배변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애완동물 배변장치의 제어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애완동물 배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애완동물 배변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애완동물 배변장치의 제어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애완동물 배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1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애완동물 배변장치(10)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관부(200)와,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세척수 분사부(300)와, 세척수 분사부(3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애완동물이 배변을 할 수 있는 배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주공간의 일측에 매립설치할 수 있으며, 상면에는 배변을 할 수 있는 배변홈(110)이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있다.
상기 배변홈(110)은 바닥면(130)의 일측에 배설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120)가 형성되어 있는데, 배설물이 유입구(120)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배변홈(110)의 바닥면(130)은 상기 유입구(120)가 형성된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연장될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는 배설물의 세척이 용이하고, 배설물에 의한 부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본체(100)의 재질은 이 외에도 다양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에는 배변홈(110)의 양측 측면에 애완동물이 배변 중 디딜 수 있도록 받침대(140)가 배변홈(11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변홈(110)의 바닥은 배설물이 안착되며 배변 중 애완동물의 발바닥에 배설물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140)를 형성해 두어 애완동물이 받침대(140)를 밟고 배변을 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배변 후 애완동물에 의해 실내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배수관부(200)는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정화시설로 연결되는 하수관과 연결된다. 배수관부(200)는 배설물이 물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관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유입구(1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배수관(210)과, 제1 배수관(210)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배수관(220)과, 제2 배수관(220)의 상단에서 다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수관과 연결되는 제3 배수관(230)을 포함한다.
배수관부(200)를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 배수관(210, 220, 230)은 굴곡을 갖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이렇게 제1 배수관(210) 및 제2 배수관(220)이 유(U)자 형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배수관(210) 및 제2 배수관(220)에는 상기 제2 배수관(22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물이 고여, 하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세척수 분사부(300)는 배변홈(110)의 바닥면(130)에 배설된 배설물을 유입구(120)를 향해 이동시키고 배변홈(110)의 바닥면(130)을 세척하기 위한 것이다.
세척수 분사부(300)는 분사노즐(310)과, 분사량 조절밸브(330)를 포함한다.
분사노즐(310)은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320)과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공급라인(320)은 상수도나 세척수를 저장하는 별도의 세척수 저장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분사노즐(310)은 본체(100)의 타측에서 유입구(120)가 형성된 일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며, 배변홈(110)의 바닥면(130)에 쌓인 배설물을 유입구(120)를 향해 밀어냄과 동시에 배변홈(110)의 바닥면(130)을 세척한다.
상기 분사량 조절밸브(330)는 분사노즐(310)과 연결되는 공급라인(320) 상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어유닛(4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분사량 조절밸브(330)는 세척수의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어유닛(400)에서 배설물이 대변인지 소변인지에 따라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량이 달라지도록 조절한다. 즉, 대변인 경우에는 밸브의 개방시간을 길게하여 세척수가 오랜시간 분사되도록 하고, 소변인 경우에는 밸브의 개방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하여 세척수의 분사시간을 줄인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분사노즐(310)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분사노즐(310)의 형태와 갯수는 필요에 다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310)은 본 실시예와는 달리 유입구(120)가 형성된 본체의 일측에도 추가로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400)은 상기 세척수 분사부(3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배변감지센서부(410)와 제어부(420)를 포함한다.
배변감지센서부(410)는 애완동물의 접근과 배변상황 및 배설물의 종류를 감지하고, 감지정보를 제어부(420)에 전달하여 제어부(420)가 세척수 분사부(300)의 구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배변감지센서부(410)는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상기 배변홈(110)으로 진입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애완동물검출센서(411)와, 배설물이 배설되었는지의 여부 및 배설물이 대변인지 소변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배설물감지센서(412)를 포함한다.
애완동물검출센서(411)는 배변을 위해 애완동물이 상기 받침대(140)에 올라서 있는 상태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애완동물검출센서(411)는 본체(100)에 설치되어 있는 광센서가 적용되어 상기 광센서에서 조사된 조사광이 반대쪽의 수광부에 입사되는 지의 여부를 통해 애완동물이 받침대(140) 상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애완동물검출센서(41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검출센서(411)는 애완동물의 열을 통해 접근 상태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고, 받침대(140) 상에 올라서는 경우 받침대(140)에 가해지는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과 같은 중량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는 받침대(140) 상에 올라서면 받침대(140)를 가압하는 압력을 통해 애완동물의 접근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배설물감지센서(412)는 배변활동을 통해 배설되는 배설물 및 배설물의 종류를 감지한다.
배설물감지센서(412)는 상기 배변홈(110)의 바닥면(130)에 설치되어 애완동물로부터 배설되는 배설물의 열을 감지하거나,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와 같은 기체를 감지하는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배설물감지센서(412)는 배설물의 배설여부 및 배설물이 대변인지 소변인지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제어부(4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420)는 애완동물검출센서(411) 및 배설물감지센서(412)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고,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세척수 분사부(300)를 구동한다. 즉, 애완동물검출센서(411)에서 애완동물이 본체(100)에 접근한 상태를 감지한 후, 배설물감지센서(412)를 통해 배변이 이루어졌는지를 감지한다.
배변이 이루어진 후, 애완동물이 이동하면,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밸브를 개방하는데, 상기 배설물감지센서(412)에서 감지된 배설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분사량 조절밸브(330)를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량을 조절한다.
다시 말해, 배설물이 소변인 경우 배설물 자체가 바닥홈의 경사에 의해 유입구(120)쪽으로 자동으로 흘러 내려가게 되므로 소량의 세척수만으로도 배변홈(110) 바닥면(130)의 배설물을 깨끗이 세척할 수 있으므로 세척수의 분사량이 소량이 되도록 분사시간을 짧게 한다. 반대로 배설물이 대변인 경우에는 배설물을 유입구(120)쪽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배변홈(110)의 바닥면(130)에 잔류하는 배설물을 세척할 수 있게 다량의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량 조절밸브(330)의 개방시간을 소변인 경우에 비해 길게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애완동물 배변장치(10)는 유입구(120)의 상부에 차단판(1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단판(150)은 배설물이 유입구(120)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변홈(110)의 바닥판으로부터 소정거리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데, 애완동물이 유입구(120)를 통해 악취의 역류 방지를 위해 배수관에 고여있는 물을 취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단판(150)이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애완동물의 배변 후 배설물을 유입구(120)로 흘려보내기 위해 세척수를 분사할 때에는 차단판(150)이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차단판(150)을 회전시키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더 구비해 둘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0)의 상단 일측에 배변홈(110)을 가리기 위한 가림판(160)도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림판(160)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배설물을 흘려보내는 동안 배변홈(110)으로 애완동물이 진입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어부(420)에서 세척수 분사부(300)를 구동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때, 가림판(160)이 배변홈(110)의 상부를 가릴 수 있게 본체(100)를 향해 회동하도록 구동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림판(160)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은 모터나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구동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10)는 애완동물의 접근 및 배변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배설물을 처리하여 악취나 배설물에 의한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애완동물 배변장치
100: 본체 110: 배변홈
120: 유입구 130: 바닥면
140: 받침대 150:차단판
150: 가림판
200: 배수관부 210: 제1 배수관
220: 제2 배수관 230: 제3 배수관
300: 세척수 분사부 310: 분사노즐
320: 공급라인 330: 분사량 조절밸브
400: 제어유닛 410: 배변감지센서부
411: 애완동물검출센서 412: 배설물감지센서
420: 제어부
100: 본체 110: 배변홈
120: 유입구 130: 바닥면
140: 받침대 150:차단판
150: 가림판
200: 배수관부 210: 제1 배수관
220: 제2 배수관 230: 제3 배수관
300: 세척수 분사부 310: 분사노즐
320: 공급라인 330: 분사량 조절밸브
400: 제어유닛 410: 배변감지센서부
411: 애완동물검출센서 412: 배설물감지센서
420: 제어부
Claims (5)
- 애완동물의 배변위치를 구획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배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변홈의 일측에는 배설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이동되며, 정화시설로 연결되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수관부와;
상기 배변홈의 배설물을 상기 유입구쪽으로 밀어내고 배변홈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수 분사부와;
상기 세척수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배변상태를 감지하는 배변감지센서부와, 상기 배변감지센서부의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세척수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홈은 배설물이 상기 유입구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표면이 상기 유입구에 가까워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는 배변홈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면에 배변홈을 향해 돌출되어 애완동물이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분사부는 상기 배변홈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세척수를 공급받는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분사량을 제어하는 분사량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배변감지센서부는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상기 배변홈 상에 위치한 상태를 검출하는 애완동물검출센서와,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감지하며, 상기 배설물이 대변 또는 소변인지를 분별하는 배설물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설물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배설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분사량 조절밸브를 통해 세척수의 분사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부는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도록 물이 고여있는 유(U)자형의 역류차단부를 포함하며,
애완동물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역류차단부에 고여있는 물을 취식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입구의 상부를 가리는 차단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1602A KR101788704B1 (ko) | 2015-10-08 | 2015-10-08 | 애완동물 배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1602A KR101788704B1 (ko) | 2015-10-08 | 2015-10-08 | 애완동물 배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2100A true KR20170042100A (ko) | 2017-04-18 |
KR101788704B1 KR101788704B1 (ko) | 2017-10-20 |
Family
ID=5870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1602A KR101788704B1 (ko) | 2015-10-08 | 2015-10-08 | 애완동물 배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8704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29070A (zh) * | 2018-10-22 | 2019-02-15 | 张掖市甘州区山湖种畜繁育场 | 一种湖羊舍通风排粪机构 |
KR102205322B1 (ko) * | 2020-07-22 | 2021-01-20 | 대신기계공업(주) |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
US20210204523A1 (en) * | 2020-01-03 | 2021-07-08 | Benjamin Joseph LOGAN | Combined poultry roost and waste routing apparatus |
KR20220049145A (ko) * | 2020-10-14 | 2022-04-21 | 최윤자 | 반려동물용 자동 배변판 |
KR20220049628A (ko) * | 2020-10-14 | 2022-04-22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
KR20220155628A (ko) * | 2021-05-17 | 2022-11-24 | 주식회사 아이디피 | 대면적 온도 감지 시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20828A (zh) * | 2018-10-28 | 2019-01-18 | 长沙鑫元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自动清洁功能的猫砂盆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918141C2 (de) * | 1989-05-31 | 1998-04-09 | Eastman Kodak Co | Mikrokapseln mit einer polymeren Kapselwand |
JP2007306826A (ja) * | 2006-05-17 | 2007-11-29 | Itaru Minami | ペット用トイレの案内及び便器 |
-
2015
- 2015-10-08 KR KR1020150141602A patent/KR10178870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29070A (zh) * | 2018-10-22 | 2019-02-15 | 张掖市甘州区山湖种畜繁育场 | 一种湖羊舍通风排粪机构 |
US20210204523A1 (en) * | 2020-01-03 | 2021-07-08 | Benjamin Joseph LOGAN | Combined poultry roost and waste routing apparatus |
KR102205322B1 (ko) * | 2020-07-22 | 2021-01-20 | 대신기계공업(주) |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
WO2022019380A1 (ko) * | 2020-07-22 | 2022-01-27 | 대신기계공업(주) |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
KR20220049145A (ko) * | 2020-10-14 | 2022-04-21 | 최윤자 | 반려동물용 자동 배변판 |
KR20220049628A (ko) * | 2020-10-14 | 2022-04-22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
KR20220155628A (ko) * | 2021-05-17 | 2022-11-24 | 주식회사 아이디피 | 대면적 온도 감지 시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8704B1 (ko) | 2017-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8704B1 (ko) | 애완동물 배변장치 | |
KR101305387B1 (ko) |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 |
KR101724597B1 (ko) |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 |
US8863693B2 (en) | Animal toilet | |
KR101674270B1 (ko) |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 |
US20100175625A1 (en) | Self-filling and self-draining watering device | |
RU2632164C2 (ru) | Водопо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ивотных | |
US20170339911A1 (en) | Pet waste collection and disposal apparatus | |
KR20190027841A (ko) | 보울 내용물에 대응하도록 변기 보울에 대한 물 용적 배출의 조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시스템, 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장실 및 관련 방법 | |
RU2632940C2 (ru) | По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ивотных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и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животных | |
US8434426B2 (en) | Pet toilet | |
KR100598034B1 (ko) |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 |
KR101178799B1 (ko) |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 |
KR101282200B1 (ko) |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 |
RU120331U1 (ru) |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туалет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с водным ополаскиванием | |
CN220326521U (zh) | 一种居家型宠物鸭笼 | |
CN209473282U (zh) | 一种红外线感应自动冲水宠物厕所 | |
CN209749408U (zh) | 一种翻转清洗的宠物马桶 | |
KR101260479B1 (ko) | 반려동물 자동 수세식 화장실 | |
KR101849070B1 (ko) | 반려동물 생활시설 | |
KR200463634Y1 (ko) | 애완견 소변기 | |
KR101176412B1 (ko) |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 |
KR200463633Y1 (ko) | 애완견 소변기 | |
JPH06335335A (ja) | 犬・猫用の自動水洗便器 | |
KR102495541B1 (ko) | 반려동물용 자동 배변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