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215A - 켄넬 및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켄넬 및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215A
KR20220113215A KR1020210025536A KR20210025536A KR20220113215A KR 20220113215 A KR20220113215 A KR 20220113215A KR 1020210025536 A KR1020210025536 A KR 1020210025536A KR 20210025536 A KR20210025536 A KR 20210025536A KR 20220113215 A KR20220113215 A KR 20220113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nnel
urine
unit
stool
alar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1533B1 (ko
Inventor
한승오
박미진
이송경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113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6Wireless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켄넬이 제공된다. 상기 켄넬은 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동물의 배설물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배설물이 감지되면,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 기등록된 단말기에 상기 알람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켄넬 및 모니터링 장치{Kennel and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동물의 배설물을 모니터링하는 켄넬 및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려 동물이 아닌 사람을 위한 대소변 자동 알림 모니터링 시스템이 존재한다.
해당 시스템은 기저귀에 수소 감지 센서,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를 부착하여 지그비로 신호를 보내 PC에 알림을 뜨게 한다.
반려 동물의 경우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713198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영상 분석을 통해 반려 동물의 배설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713198호
본 발명은 반려 동물의 배설물을 감지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는 켄넬 및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켄넬은 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동물의 배설물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배설물이 감지되면,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 기등록된 단말기에 상기 알람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는 복수의 켄넬과 통신하고, 각 켄넬의 식별 정보와 배설물의 감지 사실이 포함된 알람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알람 신호를 상기 식별 정보별로 구분해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켄넬에 설치된 팬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켄넬을 개폐하는 자동문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알람 신호를 전송한 켄넬에 대해 배변 회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특정 켄넬로부터 상기 알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켄넬에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켄넬의 도어를 개방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모든 켄넬의 도어를 개방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는 동물이 수용되며, 상기 동물의 배설물을 감지하는 켄넬; 상기 켄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켄넬에 수용된 상기 동물의 배변 활동을 카운트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켄넬은 상기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서의 출력값이 설정값을 만족하면 알람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알람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고, 상기 켄넬은 상기 배설물이 청소되면, 리셋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켄넬로부터 상기 리셋 신호가 입수되면 상기 배변 카운트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단말기와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 통신 가능한 켄넬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켄넬이 마련된 환경이 제공될 수 있으며, 대량의 반려 동물을 관리할 수 있는 켄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켄넬로부터 입수된 각 반려 동물의 상태가 단말기 상에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의 켄넬 및 반려 동물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변과 소변 각각을 감지하는 전용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반려 동물의 대변 또는 소변이 정확하고 확실하게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물의 배변 상태가 간편하게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동물을 수용하고 관리해야 하는 동물 병원이나 애견 호텔 등과 같은 곳에서 효율적으로 동물의 배변 상태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퍼스널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도 켄넬의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소변 센서가 형성되므로, 배변 패드 등에도 소변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배변 패드 등에 마련된 소변 센서를 이용하면, 혈뇨, 설사 등 동물의 건강 이상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배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각종 수치의 획득이 가능하다. 해당 수치는 동물의 건강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전문가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켄넬 및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켄넬(100) 및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모니터링 장치는 켄넬(100) 및 단말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켄넬(100)은 동물이 수용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켄넬(100)은 동물의 배설물, 예를 들어 소변 또는 대변을 감지할 수 있다. 켄넬(100)은 설정 공간 또는 설정 실내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켄넬(100)은 행과 열을 맞춰 배열되거나 적층될 수 있다.
단말기(10)는 켄넬(1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켄넬(100)에 수용된 동물의 배변 활동을 카운트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10)는 퍼스널컴퓨터(PC) 또는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켄넬(100)은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서의 출력값이 설정값을 만족하면 배설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켄넬(100)은 센서의 출력값이 설정값을 만족하면,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단말기(10)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켄넬(100)에는 단말기(1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켄넬(100)에는 지그비 통신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알람 신호를 수신한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알람벨 등을 통해 알람 신호를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알람 신호의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켄넬(100)에 수용된 반려 동물의 배설물을 인지하고, 해당 배설물을 치우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켄넬(100)은 사용자 등에 배설물이 제거되면, 리셋 신호를 생성하고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리셋 신호는 켄넬(100) 내부에 배설물이 없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켄넬(100)에는 리셋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리셋 버튼은 켄넬(100)의 배설물을 제거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켄넬(100)은 리셋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리셋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켄넬(100)은 배설물이 제거된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리셋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배설물의 제거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변은 시간이 경과하면 마르거나 냄새가 사라질 수 있다. 소변이 청소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시간의 경과로 소변의 전기 전도도 또는 냄새가 사라지면 소변을 감지하는 센서에서는 아무 것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리셋 신호가 생성되면 곤란하다. 본 발명의 켄넬(100)에는 소변통(101) 또는 대변통(103)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켄넬(100)의 감지부(130)는 소변통(101) 또는 대변통(103)이 외부로 이탈되었다가 다시 켄넬(100) 내부로 진입하면 소변을 받는 소변통(101) 또는 대변을 받는 대변통(103)에 대한 청소가 수행된 것으로 간주하고, 리셋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켄넬(100)로부터 리셋 신호가 입수되면, 배변 카운트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리셋 신호의 입수를 조건으로 배변 카운트값을 증가시키는 것은 반려 동물의 배변 회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켄넬(100)에는 배설물을 감지하는 감지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30)를 이용한 배변의 자동 카운팅은 배설물의 성질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일 예로, 대변의 냄새를 이용해 대변을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음식 섭취 상태에 따라 대변의 냄새 지속력에 차이가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대변 센서(133)는 10분동안 반응하거나 30분동안 반응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30분 안에 대변을 두세번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배변 센서의 반응을 이용해 애완 동물의 배변 회수를 어떻게 카운트해야 할 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된다. 센서가 반응할 때마다 카운트를 한다면, 한번의 대변 배설에서 복수의 대변 조각이 외부로 배출될 때마다 카운트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켄넬(100) 내부의 배설물이 제거된 리셋 상태가 감지부(130)에 의해 자동 감지되거나 별도의 리셋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한해서 단말기(10)가 배변 카운트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켄넬(100)은 수용부(110), 감지부(130), 생성부(150), 제1 통신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10)는 동물이 수용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수용부(110)에 수용된 동물의 배설물을 감지할 수 있다. 추가로, 감지부(130)는 수용부(110)에 대한 소변통(101) 또는 대변통(103)의 착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지부(130)는 리셋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동물의 소변을 감지하는 소변 센서(131), 동물의 대변을 감지하는 대변 센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부(150)는 감지부(130)에서 배설물이 감지되면,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70)는 기등록된 단말기(10)에 알람 신호를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70)는 해당 단말기(10)에 리셋 신호를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수용부(11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고 동물의 소변을 받는 소변통(101)이 마련될 수 있다. 소변통(101)의 바닥면에는 소변을 감지하는 소변 센서(131)가 마련될 수 있다.
수용부(110)의 내부 공간에서 소변통(101)의 위에 설치되고 동물의 대변을 받으며, 소변을 통과시키는 메쉬 구조의 대변통(103)이 마련될 수 있다. 대변통(103)에 대면되는 위치에 대변을 감지하는 대변 센서(133)가 마련될 수 있다.
생성부(150)는 소변이 감지될 때의 알람 신호와 대변이 감지될 때의 알람 신호를 구분해서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단말기(10)는 알람 신호의 분석을 통해 반려 동물이 소변을 배설했는지, 대변을 배설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수용부(110)의 내측면(115)에는 동물의 대변을 받는 대변통(103)의 가장자리가 슬라이딩되는 레일(119)이 형성될 수 있다.
대변통(103)은 레일(119)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수용부(110)에 착탈될 수 있다.
대변 센서(133)는 수용부(110)의 내부로 진입한 대변통(103)의 바닥면에 대면되는 수용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대변통(103)이 그릇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대변 센서(133)에 대면되는 대변통(103)의 일측면에는 대변의 냄새가 통과하는 냄새 구멍(105)이 형성될 수 있다.
대변통(103)의 바닥면에는 소변은 통과하고 대변은 통과하기 어려운 크기의 소변 구멍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소변통(101)은 액체 상태의 소변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소변을 모으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은 양의 소변도 감지할 수 있도록, 소변 센서(131)는 소변을 받는 소변통(101)의 바닥면에 인쇄된 전도성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전도성 잉크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1 패턴(201)과 제2 패턴(202)을 포함할 수 있다.
평소, 서로 이격된 제1 패턴(201)과 제2 패턴(202)은 전기적으로 단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턴(201)의 전기 신호는 제2 패턴(202)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제2 패턴(202)에서 제1 패턴(201)의 전기 신호가 미감지되면 소변이 미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동물이 소변을 배설하면, 해당 소변은 소변통(101)의 바닥면을 따라 퍼지게 되고, 제1 패턴(201)과 제2 패턴(20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전기적 연결로 인해 제1 패턴(201)의 전기 신호가 제2 패턴(202)에서 감지될 수 있다. 감지부(130) 또는 생성부(150)는 제1 패턴(201)의 전기 신호가 제2 패턴(202)에서 감지되면, 소변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소변 센서(131)는 전기가 소통되는 소변에 의해 제1 패턴(201)과 제2 패턴(202)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소변을 감지할 수 있다.
대변 센서(133)는 대변에서 유발되는 가스를 감지하고 수용부(11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가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소변통(101)에 대면되는 수용부(110)의 내측 일면에는 제1 도선(111)에 의해 생성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커넥터(210)가 마련될 수 있다.
소변통(101)에는 수용부(110)에 진입하면서 제1 커넥터(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터(2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10)와 제2 커넥터(220)의 연결이 해제되면, 감지부(130)는 소변의 제거를 위해 소변통(101)이 외부로 이탈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후, 제1 커넥터(210)와 제2 커넥터(220)가 다시 연결되면, 감지부(130)는 청소가 완료된 소변통(101)이 다시 설치된 것으로 인식하고, 소변 또는 배설물의 카운트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동물이 대변만을 본 경우라 하더라도, 대변의 일부가 소변통(101)에 낙하되므로, 대변의 경우에도 대변통(103) 뿐만 아니라 소변통(101)에 대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소변통(101)을 이용해 리셋 신호가 생성하고, 전체적인 배설물의 카운트값을 증가시켜도 별다른 문제는 없다.
제1 패턴(201) 및 제2 패턴(202)은 제2 커넥터(220), 제1 커넥터(210), 제1 도선(111)을 통해 생성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스 센서는 제2 도선(112)에 의해 생성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용부(110)에는 내부 공간을 환기시키는 팬(106), 수용부(110)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자동문(120)이 마련될 수 있다. 자동문(120)에는 투명한 창문(129)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70)는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팬(106)에 제공할 수 있다. 팬(106)은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설물이 감지되면, 제1 통신부(170)는 단말기(10)로 알람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기(10)로부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 신호는 수용부(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팬(106)을 회전시킬 수 있다. 팬(106)의 회전에 의해 수용부(110) 내부의 배설물 냄새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70)는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신호를 자동문(120)에 제공할 수 있다. 자동문(120)에는 물리적인 문을 자동으로 움직이는 모터(108)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 신호는 해당 모터(108)에 제공될 수 있다.
자동문(120)은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설물이 감지되면, 제1 통신부(170)는 단말기(10)로 알람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기(10)로부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제어 신호는 배설물의 청소 또는 수용부(110) 환기를 위한 출입구의 개방을 지시할 수 있다.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자동문(120)이 열리고, 수용부(110)의 출입구가 외부에 개방될 수 있다.
자동문(120)은 별도로 마련된 비상 버튼 또는 단말기(10)의 제어에 의해서도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나 전기적인 신호가 끊기는 비상 상황에서 동물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부(110)에는 수용부(110) 내부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107)가 마련될 수 있다. 생성부(150)는 윈폼(Winforms)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생성부(150)는 감지부(130)와 유무선 통신하고, 감지부(130)에 의해 센싱된 감지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고,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알람 신호는 제1 통신부(170)에 의해 단말기(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70)는 단말기(10)와 통신하는 지그비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7)와 제1 통신부(170)는 켄넬(100)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70)는 단말기(10)로부터 팬(106)(fan)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신호 또는 자동문(120)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는 생성부(150)에서 직접 생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기(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단말기(10)는 제2 통신부(11), 표시부(13),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1)는 복수의 켄넬(100)과 통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1)는 각 켄넬(100)의 식별 정보와 배설물의 감지 사실이 포함된 알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켄넬(100)이 마련된 경우, 알람 신호가 어느 켄넬(100)의 것인지 파악될 필요가 있는 알람 신호가 생성된 켄넬(100)을 특정하기 위해 각 켄넬(100)에 부여된 식별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켄넬(100)에 마련된 제1 통신부(170)는 알람 신호가 생성되면, 해당 알람 신호와 함께 특정 켄넬(100)의 식별 정보를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제2 통신부(11)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표시부(13)는 알람 신호를 식별 정보별로 구분해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3)는 알람 신호화 식별 정보가 표시되는 각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켄넬(100)에 설치된 팬(106)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켄넬(100)을 개폐하는 자동문(120)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켄넬(100)로부터 알람 신호가 수신되면, 알람 신호를 전송한 특정 켄넬(100)에 대해 배변 회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특정 켄넬(100)로부터 알람 신호가 수신되면, 제2 통신부(11)를 통해 특정 켄넬(100)에 팬(106)을 동작시키는 제1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2 통신부(11)를 통해 특정 켄넬(100)의 도어(door)를 개방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모든 켄넬(100)의 도어를 개방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별도의 비상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켄넬(100) 밖에 마련된 비상 버튼이 눌리면, 자동문(120)이 동작하고, 모든 켄넬(100)의 출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비상 버튼은 화재나 비상 상황을 대비한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의 모니터링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켄넬(100)은 감지부(130) 및 생성부(150)에 구동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S 510).
단말기(10)는 켄넬(100)의 자동문(120)을 개폐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 610). 제2 제어 신호는 별도의 비상 버튼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S 620). 단말기(10) 또는 비상 버튼에 의해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는 켄넬(100)의 자동문(120)에 전달되고, 자동문(120)을 개폐시킬 수 있다(S 630).
구동 전원이 공급으로 인해, 감지부(130)와 생성부(150)는 서로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고, 수용부(110) 내부의 소변 또는 대변을 감지할 수 있다(S 520).
소변 센서(131)에서 소변이 감지되면(S 531), 소변 센서(131)는 생성부(150)에 소변의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 532). 소변 센서(131)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은 생성부(150)는 소변의 존재를 나타내는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 533).
대변 센서(133)에서 대변이 감지되면(S 541), 대변 센서(133)는 생성부(150)에 대변의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 542). 대변 센서(133)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은 생성부(150)는 대변의 존재를 나타내는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 543).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알람 신호는 제1 통신부(170)를 통해 단말기(10)로 전송될 수 있다(S 550).
제2 통신부(11)를 통해 알람 신호가 수신되면(S 560), 단말기(10)는 수용부(110)에 설치된 팬(106)을 회전시키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켄넬(100)에 전송할 수 있다(S 57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켄넬(100), 모니터링 장치, 단말기(10) 등) 일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단말기 11...제2 통신부
13...표시부 15...제어부
100...켄넬 101...소변통
103...대변통 104...소변 구멍
105...냄새 구멍 106...팬
107...카메라 108...모터
110...수용부 111...제1 도선
112...제2 도선 115...수용부의 내측면
119...레일 120...자동문
129...창문 130...감지부
131...소변 센서 133...대변 센서
150...생성부 170...제1 통신부
201...제1 패턴 202...제2 패턴
210...제1 커넥터 220...제2 커넥터

Claims (7)

  1. 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동물의 배설물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배설물이 감지되면,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
    기등록된 단말기에 상기 알람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제1 통신부;
    를 포함하는 켄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동물의 소변을 받는 소변통이 마련되고,
    상기 소변통의 위에 설치되고 상기 동물의 대변을 받으며, 상기 소변을 통과시키는 메쉬 구조의 대변통이 마련되며,
    상기 소변통의 바닥면에는 상기 소변을 감지하는 소변 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대변통에 대면되는 위치에 상기 대변을 감지하는 대변 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생성부는 상기 소변이 감지될 때의 알람 신호와 상기 대변이 감지될 때의 알람 신호를 구분해서 생성하는 켄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동물의 대변을 받는 대변통의 가장자리가 슬라이딩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대변통은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수용부에 착탈되며,
    상기 대변 센서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진입한 상기 대변통의 바닥면에 대면되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켄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동물의 소변을 감지하는 소변 센서, 상기 동물의 대변을 감지하는 대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 센서는 상기 소변을 받는 소변통의 바닥면에 인쇄된 전도성의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소변 센서는 전기가 소통되는 상기 소변에 의해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소변을 감지하고,
    상기 대변 센서는 상기 대변에서 유발되는 가스를 감지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가스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소변통에 대면되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 일면에는 제1 도선에 의해 상기 생성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소변통에는 상기 수용부에 진입하면서 상기 제1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터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1 도선을 통해 상기 생성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스 센서는 제2 도선에 의해 상기 생성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켄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내부 공간을 환기시키는 팬, 상기 수용부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자동문이 마련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팬에 제공하며,
    상기 팬은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자동문에 제공하며,
    상기 자동문은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켄넬.
  6. 복수의 켄넬과 통신하고, 각 켄넬의 식별 정보와 배설물의 감지 사실이 포함된 알람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알람 신호를 상기 식별 정보별로 구분해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켄넬에 설치된 팬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켄넬을 개폐하는 자동문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알람 신호를 전송한 켄넬에 대해 배변 회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제어부는 특정 켄넬로부터 상기 알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켄넬에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켄넬의 도어를 개방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모든 켄넬의 도어를 개방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
  7. 동물이 수용되며, 상기 동물의 배설물을 감지하는 켄넬;
    상기 켄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켄넬에 수용된 상기 동물의 배변 활동을 카운트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켄넬은 상기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서의 출력값이 설정값을 만족하면 알람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알람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고,
    상기 켄넬은 상기 배설물이 청소되면, 리셋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켄넬로부터 상기 리셋 신호가 입수되면 상기 배변 카운트값을 증가시키는 모니터링 장치.
KR1020210025536A 2021-02-05 2021-02-25 켄넬 및 모니터링 장치 KR102571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023 2021-02-05
KR20210017023 2021-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215A true KR20220113215A (ko) 2022-08-12
KR102571533B1 KR102571533B1 (ko) 2023-08-29

Family

ID=8280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536A KR102571533B1 (ko) 2021-02-05 2021-02-25 켄넬 및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883B1 (ko) * 2023-05-24 2024-06-10 강병모 반려동물 보안출입장치가 구비된 펫하우스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872A (ko) * 1999-03-20 2000-10-16 이용성 대소변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06869A (ko) * 2003-07-10 2005-01-17 연성찬 동물의 스케줄관리 및 화장실이용 학습장치
KR20130142858A (ko) * 2012-06-19 2013-12-30 이재범 애완동물 배변기
KR101368144B1 (ko) * 2012-09-24 2014-02-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대변을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건강 모니터링 방법
KR20150031921A (ko) * 2013-09-17 2015-03-25 이재춘 애완동물 배변 케어 시스템
KR20160081680A (ko) * 2014-12-31 2016-07-08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20160089229A (ko) * 2015-01-19 2016-07-27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653737B1 (ko) * 2016-02-12 2016-09-05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변 훈련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관리 장치
KR101713198B1 (ko) 2015-02-09 2017-03-09 주식회사 디바이스넷 반려 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 동물 관리 방법
KR20170102122A (ko) * 2016-02-29 2017-09-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 배변기
KR101922697B1 (ko) * 2018-05-10 2018-11-27 김상길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 및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90002216A (ko) * 2017-06-29 2019-01-08 (주)크레이더스 센싱 장치
JP2019071894A (ja) * 2017-08-29 2019-05-16 株式会社ハチたま 動物用健康管理システム、ペットの健康管理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プログラム
JP2020120592A (ja) * 2019-01-30 2020-08-13 株式会社ハチたま 動物用トイレ使用状況管理システム
KR102147973B1 (ko) * 2020-01-14 2020-08-25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반려동물용 기저귀
KR20210014376A (ko) * 2019-07-30 2021-02-09 (주)디아이디티 스마트 펫 하우스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872A (ko) * 1999-03-20 2000-10-16 이용성 대소변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06869A (ko) * 2003-07-10 2005-01-17 연성찬 동물의 스케줄관리 및 화장실이용 학습장치
KR20130142858A (ko) * 2012-06-19 2013-12-30 이재범 애완동물 배변기
KR101368144B1 (ko) * 2012-09-24 2014-02-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대변을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건강 모니터링 방법
KR20150031921A (ko) * 2013-09-17 2015-03-25 이재춘 애완동물 배변 케어 시스템
KR20160081680A (ko) * 2014-12-31 2016-07-08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20160089229A (ko) * 2015-01-19 2016-07-27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713198B1 (ko) 2015-02-09 2017-03-09 주식회사 디바이스넷 반려 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 동물 관리 방법
KR101653737B1 (ko) * 2016-02-12 2016-09-05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변 훈련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관리 장치
KR20170102122A (ko) * 2016-02-29 2017-09-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 배변기
KR20190002216A (ko) * 2017-06-29 2019-01-08 (주)크레이더스 센싱 장치
JP2019071894A (ja) * 2017-08-29 2019-05-16 株式会社ハチたま 動物用健康管理システム、ペットの健康管理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プログラム
KR101922697B1 (ko) * 2018-05-10 2018-11-27 김상길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 및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20120592A (ja) * 2019-01-30 2020-08-13 株式会社ハチたま 動物用トイレ使用状況管理システム
KR20210014376A (ko) * 2019-07-30 2021-02-09 (주)디아이디티 스마트 펫 하우스
KR102147973B1 (ko) * 2020-01-14 2020-08-25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반려동물용 기저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883B1 (ko) * 2023-05-24 2024-06-10 강병모 반려동물 보안출입장치가 구비된 펫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533B1 (ko)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496B1 (ko) 동물 배변 훈련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배변 훈련 시스템
US9955671B1 (en) Animal training and indicating device
KR101960474B1 (ko)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WO2019044899A1 (ja) 猫用トイレ使用状況管理システム及び猫用トイレ
US20200178906A1 (en) Medical devices
US11044889B1 (en) Pet monitoring
KR20160149390A (ko) 배설물상태 및 배변활동을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100065480A (ko) 일상행위 인식 시스템
KR102152068B1 (ko) 반려동물 관리 장치
KR20180076468A (ko) IoT 기술과 자기주도형 학습 알고리즘기반의 인공지능 애완동물용 하우스 및 시스템
GB2512575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non-invasive incontinence detection, analysis and transmission
KR102571533B1 (ko) 켄넬 및 모니터링 장치
US20210074143A1 (en) Recording activity detection
CN112770707A (zh) 排便记录系统、排便记录方法及排便记录程序
KR20090119157A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및 멀티 센서 기반의 생리 현상모니터링 시스템
KR20070005211A (ko) 축산 통합관리시스템
KR20190019271A (ko) 애완동물 배변훈련장치
KR20190014733A (ko) 애완동물 급식장치
CN215867176U (zh) 猫砂盆安全检测系统、自动猫砂盆
US20220178126A1 (en) Defecation recording system, defecation recording method and defecation recording program
JP6880529B2 (ja) 排泄物撮影装置
US11087574B1 (en) Monitoring system with trash can integration
US202301436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behavior modification of a domesticated animal
US10893243B1 (en) Lawn violation detection
CN213844304U (zh) 移动侦测报警器及居家防护报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