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122A - 애완동물 배변기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배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122A
KR20170102122A KR1020160024493A KR20160024493A KR20170102122A KR 20170102122 A KR20170102122 A KR 20170102122A KR 1020160024493 A KR1020160024493 A KR 1020160024493A KR 20160024493 A KR20160024493 A KR 20160024493A KR 20170102122 A KR20170102122 A KR 20170102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retion
pet
conveyor
excremen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7824B1 (ko
Inventor
김면
장희식
박상혁
이성지
이동근
조은경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4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824B1/ko
Publication of KR2017010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35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01G17/08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for weighing livestock
    • H04M1/72533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 배변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 컨베이어수단; 제1 감지수단; 제2 감지수단; 가림수단; 세척수단; 및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세척 기능을 보유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고,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대변과 소변으로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몸무게와 배변 횟수를 체크하여 쉽고 간단하게 애완동물의 건강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배변기{APPARATUS FOR EXCREMENT OF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 배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 기능을 보유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고,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대변과 소변으로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몸무게와 배변 횟수를 체크하여 쉽고 간단하게 애완동물의 건강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애완동물 배변기에 관한 것이다.
핵가족화, 미혼 독립 인구 증가, 노령층 인구 증가 등 사회현상으로 인해 애완동물을 인간생활의 동반자로 인식하고 기르는 가정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사람들이 좁은 아파트나 빌라에 주로 거주함으로 인해 애완동물의 위생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아파트 등의 밀폐된 공간에서는 배변 문제로 골치를 앓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애완동물이 배변을 할 수 있는 배변판이나 배변패드 혹은 신문지를 거실이나 베란다 또는 화장실 바닥 등에 마련하고 배변 후에는 수시로 이를 교체해 주는 방법으로 배변을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배변패드 등의 과잉 사용은 자원낭비와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하고 애완동물의 배변에 대한 혐오감을 줄 수 있으며, 오염된 배변패드를 교체할 때까지 배변에서 발생하는 냄새와 병균발생 등으로 실내환경이 오염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들어 애완동물용 배변기가 출시되고 있으나, 이 또한 사용 후 사용자가 세척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보완된 애완동물 배변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506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척 기능을 보유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 배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대변과 소변으로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애완동물 배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몸무게와 배변 횟수를 체크하여 쉽고 간단하게 애완동물의 건강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애완동물 배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배설물수납함이 분리 또는 결합되고,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설하는 배설대를 제공하며, 컨베이어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는 컨베이어수단;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배설대에 배설되는 배설물을 감지하는 제1 감지수단; 상기 제1 감지수단을 통해 상기 배설물이 감지되는 경우 동작되며, 상기 배설대에 배설된 배설물이 특정 높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수단;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접하거나 떨어지도록 동작되어 상기 배설물수납함을 개폐하고,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접하는 경우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된 가림수단; 상기 배설대에 유체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수단; 및 상기 제2 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설대에 배설된 배설물을 소변 또는 대변으로 구분하여 상기 컨베이어수단, 상기 가림수단 및 상기 세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배변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배설대에 배설된 배설물이 소변인 경우 상기 세척수단을 통해 상기 배설물이 배설된 배설대 부분을 세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설물이 대변인 경우 상기 배설물수납함이 개방되도록 상기 가림수단을 상기 컨베이어수단으로부터 떨어지게 동작시켜 상기 컨베이어수단이 상기 배설대에 배설된 배설물을 상기 배설물수납함에 이송시키도록 하고, 상기 배설물수납함에 상기 배설물이 이송된 후 상기 배설물수납함이 폐쇄되도록 상기 가림수단을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접하게 동작시킨 후 상기 세척수단을 통해 상기 배설물이 배설된 배설대 부분을 세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림수단은, 패널구동부; 상기 패널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접하거나 떨어지는 패널; 및 상기 패널에 형성되고, 상호 간의 사이에 상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호 떨어져 배치되며, 상기 배설대에 배설된 배설물 또는 상기 세척수단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가 상기 유로측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오수안내벽;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설물수납함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2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컨베이어수단측에 가깝게 이동하거나 멀어지게 이동 가능한 가림막을 포함하는 가림수단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배설물이 대변인 경우 상기 가림막이 상기 컨베이어수단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애완동물이 올라설 수 있고, 무게측정부재가 설치되는 발판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애완동물이 상기 발판에 올라서는 경우, 상기 무게측정부재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애완동물의 몸무게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운트모듈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카운트모듈을 통해 카운트 된 상기 애완동물의 소변 및 대변 횟수를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애완동물의 몸무게 정보, 상기 애완동물의 소변 및 대변 횟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 기능을 보유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 배변기가 제공된다.
또,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대변과 소변으로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몸무게와 배변 횟수를 체크하여 쉽고 간단하게 애완동물의 건강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설물 중 소변이 처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설물 중 대변이 처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100)는 크게 본체(10)와 컨베이어수단(20), 제1 감지수단(30), 제2 감지수단(40), 세척수단(60), 가림수단(50), 발판(70) 및 제어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사각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화장실이나 베란다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바닥에 배치된다. 본체(10)에는 배설물수납함(12)이 분리 또는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배설물수납함(12)은 서랍식으로 본체(10)에 분리 또는 결합되며, 사용자가 손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설물수납함(12)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0)에 결합시 자석 등을 이용하여 본체(10) 내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배설물수납함(12)에는 배설물처리제, 예를 들어 소취작용, 탈취작용 및 흡착력이 강하며, 그외 음이온 방사, 원적외선 방사, 항균작용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분말형태의 숯이 담겨져 있을 수 있으며, 이 외에 사용자가 배설물수납함(12)에 수납된 배설물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배설물수납함(12)에 교환이 가능한 일회용 비닐봉투를 씌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배설물수납함(12)에 배설물이 일정량 이상 채워지면 알람이 작동하도록 하는 구성이나 배설물수납함(12)에 수납된 배설물에 기생하는 각종 세균 등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램프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에는 하기에 서술하는 가림수단(50)의 유로(58)와 연결되어 애완동물의 배설물, 특히 소변이나 하기에 서술하는 세척수단(60)에서 분사되어 배설대(24)를 세척한 유체(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4)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구(14)는 화장실의 배수구나 베란다의 배수구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외에, 본체(10)에는 애완동물이 야간에도 배설이 가능하도록 조명(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조명은 하기에 서술하는 발판(70)에 애완동물이 올라서게 되면 점등되고, 배설물을 배설한 애완동물이 재차 발판(70)을 밟으면 소등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컨베이어수단(20)은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설하는 배설대(24)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컨베이어구동부(22), 예를 들어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컨베이어수단(20)은 무한궤도 방식으로 구동되는 일종의 벨트 컨베이어로, 벨트 부분이 배설대(24)로 사용된다. 컨베이어수단(20), 특히 벨트 부분은 애완동물이 올라가서 배설을 하는 장소이므로 애완동물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감지수단(30)은 본체(10)에 설치되고, 배설대(24)에 배설되는 배설물을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1 감지수단(30)은 수발광센서, 레이저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감지수단(40)은 제1 감지수단(30)을 통해 배설물이 감지되는 경우 동작되며, 특정 높이에 배설물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제2 감지수단(40)은 제1 감지수단(30)과 동일한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가림수단(50)은 컨베이어수단(20)에 접하거나 떨어지도록 동작되어 배설물수납함(12)을 개폐하는 구성요소이다.
가림수단(50)은 크게 패널구동부(52)와 패널(54), 오수안내벽(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널구동부(52)는 일종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하기의 패널(54)이 슬라이드 동작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패널(54)은 패널구동부(5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컨베이어수단(20)에 접하거나 떨어지도록 슬라이딩 동작된다. 오수안내벽(56)은 패널(54), 특히 패널(54)의 상면에 다수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호 떨어져 배치되어 오수, 예를 들어 배설대(24)에 배설된 배설물 또는 하기에 서술하는 세척수단(60)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흐름을 안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오수안내벽(56)이 상호 떨어져 배치되면서 오수안내벽(56) 상호 간의 사이에 유로(58)가 형성되며, 이러한 유로(58)는 패널(54)이 컨베이어수단(20)에 접하는 경우 본체(10)의 배출구(14)와 연결되어 화장실의 배수구나 베란다의 배수구 등을 통해 오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세척수단(60)은 배설대(24)에 유체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구성요소이며 유체, 예를 들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물탱크(62)와 물탱크(62)에 연결되는 펌프(64), 펌프(64)에 의해 물탱크(62)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컨베이어수단(20)의 배설대(24)에 분사하는 노즐(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단(60)에서는 물탱크(62)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 예를 들어 물을 세척수로 사용하게 되나, 물탱크(62)를 생략하고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하여 세척수를 공급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단(60)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는 통상의 물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세척력을 높일 수 있도록 비누 성분 등이 포함된 세척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노즐(66)은 다수로 구성되어 배설대(24)를 구석구석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70)은 애완동물이 배설대(24)에 오르기 위한 받침으로 사용되는 부분으로, 애완동물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부재(72)가 설치된다. 이러한 무게측정부재(72)는 애완동물이 배설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100)에 올라서거나, 배설을 한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배변기(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로 활용될 수 있다.
제어수단(80)은 제2 감지수단(40)으로부터 전송받은 감지신호에 따라 애완동물이 배설대(24)에 배설된 배설물을 소변 또는 대변으로 구분하게 되며, 이처럼 구분된 소변 또는 대변에 따라 컨베이어수단(20), 가림수단(50) 및 세척수단(60)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설물을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수단(80)이 배설물을 소변 또는 대변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라 컨베이어수단(20), 가림수단(50) 및 세척수단(60)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설물을 처리하는 과정은 하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100)의 동작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언급한다.
제어수단(80)에는 데이터베이스(82)와 카운트모듈(84), 통신모듈(86)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82)에는 제어수단(80)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100)를 사용하게 되는 애완동물의 각종 정보, 특히 애완동물을 보다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82)에 저장되는 애완동물의 정보에는 애완동물의 소변 및 대변 횟수 정보, 애완동물의 몸무게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카운트모듈(84)은 애완동물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100)를 이용하여 배설하는 소변 및 대변 횟수를 카운트하고, 제어수단(80)은 카운트모듈(84)에 의해 카운트된 애완동물의 소변 및 대변 횟수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82)에 저장한다.
또한, 발판(70)에 마련되는 무게측정부재(72)는 애완동물이 발판(70)에 올라서는 경우 애완동물의 몸무게를 측정하고, 이처럼 무게측정부재(72)를 통해 측정된 애완동물의 몸무게 정보는 제어수단(8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82)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82)에 저장된 애완동물의 정보는, 제어수단(80)의 제어에 따라 통신모듈(86)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애완동물의 관리 정보, 즉 애완동물의 몸무게 정보, 애완동물의 소변 및 대변 횟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통상의 휴대폰이나 PDA 등과 함께, 통상의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에 애완동물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두고, 이를 통해 애완동물의 건강을 간단히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86)을 통해 전송된 애완동물의 몸무게 정보를 애완동물의 품종이나 몸길이, 나이 등에 따른 표준 체중 범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애완동물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게 해당 애완동물의 식사량을 조절할 것을 추천하거나, 애완동물의 소변 및 대변 횟수 정보에 따라 애완동물의 건강상태를 체크하여 동물병원에 가는 것을 권유하는 등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건강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설물 중 소변이 처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100)는 사용 전 대기상태인 경우 가림수단(50)이 컨베이어수단(20)에 접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애완동물이 발판(70)에 올라서게 되면 애완동물의 몸무게를 측정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먼저, 도 3의 (a)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애완동물이 발판(70)을 통해 컨베이어수단(20)의 배설대(24)에 올라서서 배설하게 되면, 제1 감지수단(30)에서 애완동물의 배설물(E)을 감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의 (b)와 같이 제2 감지수단(40)이 동작하게 되는데, 제2 감지수단(40)에서는 배설대(24)에 배설된 배설물(E)이 특정 높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애완동물의 배설물(E)이 소변일 경우 제2 감지수단(40)에 배설물(E)이 감지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2 감지수단(40)은 컨베이어수단(20)의 배설대(24)로부터 약 2~4cm 정도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제어수단(80)은 이처럼 제2 감지수단(40)에 배설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애완동물의 배설물(E)이 소변이라고 판단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3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세척수단(60)을 구동시켜 배설물(E), 즉 소변이 배설된 배설대(24) 부분을 세척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애완동물이 배설을 하고 난 다음 노즐(66)을 통해 물이 분사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세팅할 수 있도록 타이머(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타이머의 시간을 10초로 세팅하게 되면, 애완동물이 배설대(24)에서 배설을 하고나서 배설대(24)에서 이탈, 즉 발판(70)을 재차 밟는 경우 타이머가 작동되어 세팅된 10초가 지나면 제어수단(80)이 노즐(66)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처럼 타이머를 설치하여 애완동물이 배설대(24)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물이 분사되어 애완동물이 놀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애완동물의 소변(E)과 세척수단(60)의 노즐(66)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는 컨베이어수단(20)의 배설대(24)를 따라 발판(70)측으로 흐르게 되고, 컨베이어수단(20)에 접하고 있는 가림수단(50), 특히 패널(54)로 이동하여 패널(54)의 상면에 다수 형성된 오수안내벽(56)에 의해 유로(58)측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유로(58)와 연결되어 있는 본체(10)의 배출구(14)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100)로부터 애완동물의 소변(E)과 세척수가 화장실의 배수구나 베란다의 배수구 등으로 배출된다.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설물 중 대변이 처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100)는 애완동물이 발판(70)을 통해 컨베이어수단(20)의 배설대(24)에 올라서서 배설하고, 제1 감지수단(30)에서 애완동물의 배설물(E)을 감지하게 되는 부분까지는 애완동물의 배설물(E)이 소변일 경우와 동일하다.
다음, 도 4의 (b)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제2 감지수단(40)을 통해 배설대(24)에 배설된 배설물(E)이 특정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수단(80)은 이를 대변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수단(80)은 도 4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컨베이어수단(20)에 접하고 있는 상태의 가림수단(50)이 컨베이어수단(20)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패널구동부(52)를 구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패널(54)이 컨베이어수단(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 즉 배설물수납함(12)을 개방하게 된다.
다음, 제어수단(80)은 컨베이어수단(20), 즉 컨베이어구동부(22)를 구동시켜 배설대(24)에 배설되어 있는 애완동물의 대변(E)이 개방된 배설물수납함(12)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한다. 애완동물의 대변(E)이 배설물수납함(12)에 수납된 후에도 컨베이어구동부는 계속 구동하며, 이러한 컨베이어구동부(22)의 구동은 애완동물의 배설물(E)이 묻어있는 배설대(24) 부분이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수행된다.
이후, 제어수단(80)은 도 4의 (d)와 같이 패널구동부(52)를 반대로 구동시켜 패널(54)이 컨베이어수단(20)으로부터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 동작시키고, 패널(54)이 컨베이어수단(20)에 접하여 배설물수납함(12)을 폐쇄하게 되면 패널구동부(5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수단(80)은, 세척수단(60)을 구동시켜 애완동물의 대변(E)이 배설된 배설대(24) 부분을 세척하도록 하며, 배설대(24)를 세척한 세척수는 가림수단(50)의 패널(54)로 이동하여 오수안내벽(56)을 통해 유로(58)측으로 안내된 다음 본체(10)의 배출구(14)를 통해 화장실의 배수구나 베란다의 배수구 등으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0), 특히 배설대(24)의 양측에는 애완동물의 배설물(E)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튐방지벽이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100)는, 사용자가 일정 기간마다 배설물수납함(12)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비우기만 하면 되고, 세척 기능을 보유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고, 애완동물의 배설물(E)을 대변과 소변으로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본체 12: 배설물수납함
14: 배출구 20: 컨베이어수단
22: 컨베이어구동부 24: 배설대
30: 제1 감지수단 40: 제2 감지수단
50: 가림수단 52: 패널구동부
54: 패널 56: 오수안내벽
58: 유로 60: 세척수단
62: 물탱크 64: 펌프
66: 노즐 70: 발판
72: 무게측정부재 80: 제어수단
82: 데이터베이스 84: 카운트모듈
86: 통신모듈 100: 애완동물 배변기
200: 사용자 단말 E: 배설물

Claims (6)

  1. 애완동물 배변기에 있어서,
    배설물수납함이 분리 또는 결합되고,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설하는 배설대를 제공하며, 컨베이어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는 컨베이어수단;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배설대에 배설되는 배설물을 감지하는 제1 감지수단;
    상기 제1 감지수단을 통해 상기 배설물이 감지되는 경우 동작되며, 상기 배설대에 배설된 배설물이 특정 높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수단;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접하거나 떨어지도록 동작되어 상기 배설물수납함을 개폐하고,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접하는 경우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된 가림수단;
    상기 배설대에 유체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수단; 및
    상기 제2 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설대에 배설된 배설물을 소변 또는 대변으로 구분하여 상기 컨베이어수단, 상기 가림수단 및 상기 세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배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배설대에 배설된 배설물이 소변인 경우 상기 세척수단을 통해 상기 배설물이 배설된 배설대 부분을 세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설물이 대변인 경우 상기 배설물수납함이 개방되도록 상기 가림수단을 상기 컨베이어수단으로부터 떨어지게 동작시켜 상기 컨베이어수단이 상기 배설대에 배설된 배설물을 상기 배설물수납함에 이송시키도록 하고, 상기 배설물수납함에 상기 배설물이 이송된 후 상기 배설물수납함이 폐쇄되도록 상기 가림수단을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접하게 동작시킨 후 상기 세척수단을 통해 상기 배설물이 배설된 배설대 부분을 세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수단은,
    패널구동부;
    상기 패널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접하거나 떨어지는 패널; 및
    상기 패널에 형성되고, 상호 간의 사이에 상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호 떨어져 배치되며, 상기 배설대에 배설된 배설물 또는 상기 세척수단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가 상기 유로측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오수안내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애완동물이 올라설 수 있고, 무게측정부재가 설치되는 발판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애완동물이 상기 발판에 올라서는 경우, 상기 무게측정부재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애완동물의 몸무게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운트모듈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카운트모듈을 통해 카운트 된 상기 애완동물의 소변 및 대변 횟수를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애완동물의 몸무게 정보, 상기 애완동물의 소변 및 대변 횟수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
KR1020160024493A 2016-02-29 2016-02-29 애완동물 배변기 KR101837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493A KR101837824B1 (ko) 2016-02-29 2016-02-29 애완동물 배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493A KR101837824B1 (ko) 2016-02-29 2016-02-29 애완동물 배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122A true KR20170102122A (ko) 2017-09-07
KR101837824B1 KR101837824B1 (ko) 2018-03-13

Family

ID=5992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493A KR101837824B1 (ko) 2016-02-29 2016-02-29 애완동물 배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824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193B1 (ko) 2018-02-08 2018-06-29 이성용 더블형 에어샤워모듈을 통한 탈취·제균기능을 갖는 스마트 IoT형 고양이 화장실 장치
CN109042354A (zh) * 2018-08-20 2018-12-21 北海飞九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清理粪便的宠物厕所
KR102040866B1 (ko) * 2018-06-19 2019-11-05 이성진 애완 동물용 하우스
CN110574692A (zh) * 2018-06-08 2019-12-17 夏普株式会社 控制装置、厕所、信息处理装置以及控制方法
KR102141129B1 (ko) * 2019-11-27 2020-08-04 대신기계공업(주)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102269243B1 (ko) * 2020-11-19 2021-06-25 박상웅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CN113115715A (zh) * 2021-04-20 2021-07-16 杨茜 一种恒温箱自动清理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294306B1 (ko) * 2021-03-02 2021-08-26 주식회사 플루토 애완동물의 배변 관리 기능을 탑재한 애완동물 관련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제공 방법
KR102351325B1 (ko) * 2021-07-26 2022-01-14 이우영 반려동물용 배설물 처리장치
KR20220113215A (ko) * 2021-02-05 2022-08-1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켄넬 및 모니터링 장치
EP3941189A4 (en) * 2019-03-19 2022-12-14 Brilliant Pet 2 LLC PET WASTE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USER CONTROL
US11895981B2 (en) 2015-11-04 2024-02-13 Brilliant Pet 2 LLC Pet waste paper marking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7182A (en) 1974-04-05 1976-02-10 Minako Kamimura Pet toilet
JP2009153409A (ja) 2007-12-25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ペット用排泄回数計数装置
KR101423739B1 (ko) * 2012-06-19 2014-07-31 이재범 애완동물 배변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5981B2 (en) 2015-11-04 2024-02-13 Brilliant Pet 2 LLC Pet waste paper markings
KR101863193B1 (ko) 2018-02-08 2018-06-29 이성용 더블형 에어샤워모듈을 통한 탈취·제균기능을 갖는 스마트 IoT형 고양이 화장실 장치
CN110574692A (zh) * 2018-06-08 2019-12-17 夏普株式会社 控制装置、厕所、信息处理装置以及控制方法
KR102040866B1 (ko) * 2018-06-19 2019-11-05 이성진 애완 동물용 하우스
CN109042354A (zh) * 2018-08-20 2018-12-21 北海飞九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清理粪便的宠物厕所
EP3941189A4 (en) * 2019-03-19 2022-12-14 Brilliant Pet 2 LLC PET WASTE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USER CONTROL
KR102141129B1 (ko) * 2019-11-27 2020-08-04 대신기계공업(주)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102269243B1 (ko) * 2020-11-19 2021-06-25 박상웅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KR20220113215A (ko) * 2021-02-05 2022-08-1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켄넬 및 모니터링 장치
KR102356839B1 (ko) * 2021-03-02 2022-02-08 주식회사 플루토 애완동물 관련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과 연동되는 배변처리장치를 이용한 배변 관리 방법
KR102294306B1 (ko) * 2021-03-02 2021-08-26 주식회사 플루토 애완동물의 배변 관리 기능을 탑재한 애완동물 관련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제공 방법
CN113115715A (zh) * 2021-04-20 2021-07-16 杨茜 一种恒温箱自动清理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351325B1 (ko) * 2021-07-26 2022-01-14 이우영 반려동물용 배설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824B1 (ko) 201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824B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1423739B1 (ko) 애완동물 배변기
CN107949276B (zh) 模块式宠物排便器清洁装置
TWI669051B (zh) 排泄物收集裝置與應用其之智慧型排泄物收集系統
KR101751878B1 (ko) 반려동물 자동 배변 밀폐 처리장치
CN113163730A (zh) 一种高效去除动物粪便的垃圾收集装置及其方法
DK3097776T3 (en) PLATFORM FOR CARE AND CARE OF PETS
US20090211615A1 (en) Cleaning device
KR101972224B1 (ko) 반려견 배변장치
KR20160076354A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WO2012071737A1 (zh) 宠物厕所
KR102112815B1 (ko) 양변기 탈착형 반려 동물 배변 자동처리장치
KR20200015193A (ko) 반려동물용 배변 처리장치
JP2006204230A (ja) ペット用トイレ
KR20150071867A (ko)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20160081680A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20190128819A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1796113B1 (ko) 애완동물용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
KR102078698B1 (ko) 애완견용 배변 구획처리장치
KR101415871B1 (ko)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변기
KR20240036030A (ko) 애완동물용 변기
CN105722386A (zh) 用于雄性犬的小便装置和电子系统
KR101016716B1 (ko) 애완동물용 변기
KR20040095064A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ishnan A brief review on lavatory cleaning devices and their feasibility in public toilets in developing coun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