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129B1 -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129B1
KR102141129B1 KR1020190153899A KR20190153899A KR102141129B1 KR 102141129 B1 KR102141129 B1 KR 102141129B1 KR 1020190153899 A KR1020190153899 A KR 1020190153899A KR 20190153899 A KR20190153899 A KR 20190153899A KR 102141129 B1 KR102141129 B1 KR 10214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se
pad
processing
b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준
Original Assignee
대신기계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기계공업(주) filed Critical 대신기계공업(주)
Priority to KR1020190153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4Systems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target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배변을 처리한 배변 패드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하여 악취 및 위생문제가 적절히 해소되도록 하고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감지함으로써 배변 패드의 불필요한 낭비가 방지되도록 하는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처리 장치는 제1 커버(10)와, 상기 제1 커버(10)의 일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 커버(10)와, 상기 제1 커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처리구동부(30)와, 상기 제2 커버(20)의 내측에 구비되는 권취롤(40)과, 상기 제1 커버(10)와 제2 커버(20)의 사이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가이드판(50)과, 상기 제1 커버(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색 감지센서(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PET'S EXCREMENT AUTOMATIC REMOVAL APPARATUS}
본 발명은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배변을 처리한 배변 패드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하여 악취 및 위생문제가 적절히 해소되도록 하고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감지함으로써 배변 패드의 불필요한 낭비가 방지되도록 하는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키우는 애견의 경우 일정한 한 장소에서 배설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배설물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의 1회용 패드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1회용 패드와 같은 곳에서 배설을 했을 때, 애견이 이를 발로 밟기 쉽고, 배설물을 밟은 상태에서 실내를 돌아다니게 되므로 인해 주위의 바닥이 매우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배변기는 수납실 상부에 그레이팅이 놓여 안치되는 것이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애견이 그레이팅을 밟고 올라섰을 때 그레이팅이 분리되어 애견이 놀라는 경우가 발생하여 애견이 배변기를 꺼려 아무 곳에서나 배변을 하는 문제가 있다.
애견이 배설하고 난 뒤에 그레이팅에서 내려오는 경우에 그레이팅에 형성된 손잡이를 밟는 경우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에서 그레이팅이 분리되므로 인해 배설물이 실내의 바닥에 묻게 되어 이를 다시 사람이 치워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배설물이 튀는 경우에, 튀는 배설물이 실내에 놓여진 가구의 틈, 가전제품에 형성된 틈 등과 같은 곳에 튀겨 이를 닦아 낸다고 하여도 이를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애완동물 배변기의 구조는 크게 망과 용기로 구분된다. 용기의 수납공간 위에 망이 놓이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용기의 테두리 상단에 망이 놓여지거나 고정된다. 망의 저면 모서리부에 받침대가 형성되어 망을 받치게 되었으나, 애견이 망 위에 올라갈 경우 애견의 무게에 의해 망이 휘어져 심할 경우 바닥에 닿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결착부재가 망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돌기가 용기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용기와 결합되는 배변기가 개발되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손잡이가 없어서 결착부재를 이탈시키기 힘들었고, 결착부재가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어 결착부재를 이탈시킬 때 타측에 형성된 돌기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용기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제작되므로 강도가 약하고, 용기의 테두리 저면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공간부에 의하여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반복 사용시 용기가 뒤틀리거나 용기 자체의 형상이 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자동으로 배변을 처리하는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가 제안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는 배변 패드가 롤에 권취된 상태에서 모터구동으로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감아서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변 패드의 풀림과 감김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애완동물의 배변을 처리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는 배변을 처리한 배변 패드가 다시 감긴 상태로 일부 노출되게 구비되어 배변을 처리한 패드에 의해 악취와 위생 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처리 장치는 롤에 권취된 패드가 전부 사용될 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배변을 처리한 패드를 장기간 보관하게 됨으로써, 악취와 위생 문제가 증대되고 청소 및 유지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처리 장치는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감지하지 못하므로, 대변과 소변의 구분 없이 패드가 사용되어 불필요하게 패드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5-0071867호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2015.06.2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배변을 처리한 배변 패드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하여 악취 및 위생문제가 적절히 해소되도록 하고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감지함으로써 배변 패드의 불필요한 낭비가 방지되도록 하는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터를 설치하여 배변을 처리한 패드를 절단함으로써 배변을 처리한 패드를 신속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는, 직사각판으로 형성되는 제1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중공 입방체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하단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에서 일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직사각판으로 형성되는 제2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 베이스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중공 입방체 형태의 제2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배변 패드를 감아서 처리하는 처리구동부와; 상기 제2 커버의 내측으로 상기 제2 베이스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처리구동부와 연결되는 배변 패드가 권취되는 권취롤과;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의 내측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처리구동부와 권취롤의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배변 패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판과; 상기 제1 커버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판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배변 패드의 상면의 색을 감지하여 대변과 소변을 구별하는 색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의 상기 처리구동부는,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면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내측에 상기 배변 패드가 감긴 상태로 배치되도록 관형으로 형성되는 수용관과, 상기 배변 패드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관의 하단 내측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슬롯과, 상기 수용관에서 상기 배변 패드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관의 상단 내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인출공과, 상기 수용관의 양단 내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고무 재질의 블레이드가 다수개로 형성되며 회전되면서 상기 배변 패드를 권취하는 한 쌍의 처리롤러와,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처리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롤러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의 상기 처리구동부는,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처리롤러에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한 쌍의 기어박스와,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면에서 하부로 함몰된 상태로 상단이 노출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기어박스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롤러와, 상기 제1 베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하부롤러를 상호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연동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는, 그 내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롤러에 밀착되어 상기 하부롤러와 함께 상기 배변 패드를 이동시키는 상부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구동부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면을 따라 수평으로 수평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홈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배변 패드를 절단하는 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커버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판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배변 패드의 상면에 올라가 있는 애완동물을 감지하여 상기 처리구동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적외선 센서와; 상기 처리구동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구동부를 통해 처리되는 배변 패드의 사용 시작을 감지하는 사용시작스위치와; 상기 사용시작스위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배변 패드의 사용량을 감지하는 사용량감지센서와; 상기 제1 커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량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배변 패드의 사용량을 숫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배변을 처리한 배변 패드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하여 악취 및 위생문제가 적절히 해소되고,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감지함으로써 배변 패드의 불필요한 낭비가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커터를 설치하여 배변을 처리한 패드를 절단함으로써 배변을 처리한 패드를 신속히 제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악취와 위생 문제가 보다 신속하면서 적절하게 해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처리 장치의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처리 장치의 가이드판을 분해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처리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처리 장치의 커터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처리 장치의 사용량 감지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처리 장치의 처리구동부의 연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는 제1 커버(10)와, 상기 제1 커버(10)의 일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 커버(10)와, 상기 제1 커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처리구동부(30)와, 상기 제2 커버(20)의 내측에 구비되는 권취롤(40)과, 상기 제1 커버(10)와 제2 커버(20)의 사이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가이드판(50)과, 상기 제1 커버(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색 감지센서(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버(10)는 직사각판으로 형성되는 제1 베이스(11)의 상면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중공 입방체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하단에 유입구(1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처리구동부(30)가 내설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개폐 가능하여 상기 처리구동부(30)에서 배변 패드(A)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처리구동부(30)를 노출되지 않으면서 거의 밀폐되게 둘러싸서 악취와 위생 문제를 해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베이스(11)는 상기 제1 커버(10)가 힌지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처리구동부(3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입구(12)는 배변이 묻은 상기 배변 패드(A)가 상기 제1 커버(10)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커버(10)는 그 내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롤러(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3)는 상기 상부롤러(14)의 상기 제1 커버(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고, 상기 상부롤러(14)는 상기 처리구동부(30)의 하부롤러(36)와 상기 배변 패드(A)를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하부롤러(36)의 회전에 따른 상기 배변 패드(A)의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커버(20)는 상기 제1 커버(10)에서 일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직사각판으로 형성되는 제2 베이스(21)의 상면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 베이스(21)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중공 입방체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권취롤(40)이 거의 밀폐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개폐 가능하여 상기 제2 베이스(21)의 상면으로 상기 권취롤(40)의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베이스(21)는 상기 제2 커버(20)가 힌지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권취롤(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처리구동부(30)는 상기 제1 커버(10)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애완동물의 배변이 묻어 있고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배변 패드(A)를 자동으로 감아서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처리구동부(30)는 상기 제1 커버(10)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내측에 상기 배변 패드(A)가 감긴 상태로 배치되도록 관형으로 형성되는 수용관(31)과, 상기 배변 패드(A)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관(31)의 하단 내측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슬롯(32)과, 상기 수용관(31)에서 상기 배변 패드(A)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관(31)의 상단 내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인출공(33)과, 상기 수용관(31)의 양단 내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고무 재질의 블레이드(34a)가 다수개로 형성되며 회전되면서 상기 배변 패드(A)를 권취하는 한 쌍의 처리롤러(34)와,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처리롤러(34)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롤러(3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35)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관(31)은 애완동물의 배변이 묻은 배변 패드(A)가 감긴 상태로 보관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삽입슬롯(32)은 상기 수용관(31)으로 배변 패드(A)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인출공(33)은 사용자가 상기 수용관(31)의 내부에 감긴 상태로 보관되는 배변 패드(A)를 손쉽게 외부로 인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처리롤러(34)는 상기 모터(35)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수용관(31)의 내부로 상기 블레이드(34a)를 회전시켜 상기 배변 패드(A)를 감아서 처리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블레이드(34a)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배변 패드(A)를 마찰력으로 감은 상태에서 계속 회전되면서 오므라들어 상기 배변 패드(A)가 상기 수용관(31)의 내측에서 여러 번 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 6 및 도 7 참조). 상기 모터(35)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공지의 것으로, 상기 처리롤러(34)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처리구동부(30)는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35)와 연결되며 상기 처리롤러(34)에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한 쌍의 기어박스(35a)와,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에서 하부로 함몰된 상태로 상단이 노출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기어박스(35a)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롤러(36)와, 상기 제1 베이스(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하부롤러(36)를 상호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연동축(36a)을 더 포함한다(도 10 참조).
상기 기어박스(35a)는 상기 모터(35)의 구동력을 상기 처리롤러(34)와 하부롤러(36)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기어박스(35a)는 상기 모터(35)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처리롤러(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서 상기 하부롤러(36)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롤러(36)는 상기 상부롤러(14)와 맞닿은 상태로 상기 모터(35)와 기어박스(35a)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배변 패드(A)를 상기 수용관(31)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동축(36a)은 상기 한 쌍의 하부롤러(36)를 상호 연결시키는 상기 하부롤러(36)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모터(35)와 기어박스(35a)에 직접 연결되는 일측에 있는 하나의 상기 처리롤러(34)와 하부롤러(36)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연동축(36a)이 회전되고, 그에 따라 다른 하나의 상기 하부롤러(36)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다른 하나의 하부롤러(36)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상기 기어박스(35a)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35)가 구비되지 않은 타측의 상기 처리롤러(34)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하나의 모터(35)로 상기 한 쌍의 처리롤러(34)와 하부롤러(36)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연동되는 것이다(도 10 참조).
상기 권취롤(40)은 상기 제2 커버(20)의 내측으로 상기 제2 베이스(2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처리구동부(30)와 연결되는 배변 패드(A)가 권취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권취롤(40)에서 풀린 배변 패드(A)는 상기 제2 커버(20)에서 상기 제1 커버(10)로 유입되면서 상기 제1 커버(10)와 제2 커버(20) 사이에 애완동물의 배변 장소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판(50)은 상기 제1 베이스(11)와 제2 베이스(21)의 내측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처리구동부(30)와 권취롤(40)의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배변 패드(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1 베이스(11)와 제2 베이스(21)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색 감지센서(60)는 상기 제1 커버(10)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판(5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배변 패드(A)의 상면의 색을 감지하여 대변과 소변을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색 감지센서(60)에 의해 애완동물의 대변과 소변이 구별됨으로써, 배변 패드(A)에 대변이 있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처리 작동을 수행하고 소변이 있는 경우에는 처리를 지연시켜 소변을 수회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변 패드(A)의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구동부(30)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을 따라 수평으로 수평홈(71)이 형성되는 커터(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터(70)는 상기 수평홈(7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배변 패드(A)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커터(70)를 조작하여 악취가 나거나 위생상 문제가 있는 경우 등과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권취롤(40)에 있는 배변 패드(A)를 전부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변이 처리된 배변 패드(A)를 절단하여 상기 처리구동부(30)에서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커버(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적외선 센서(80)와, 상기 처리구동부(30)의 내측에 설치되는 사용시작스위치(90)와, 상기 사용시작스위치(90)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사용량감지센서(100)와, 상기 제1 커버(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센서(80)는 상기 가이드판(5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배변 패드(A)의 상면에 올라가 있는 애완동물을 감지하여 애완동물이 배변을 하는 경우에 상기 처리구동부(30)의 작동을 중지시켜 작동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용시작스위치(90)는 배변 패드(A)의 처음 이동시에 상기 처리구동부(30)를 통해 처리되는 배변 패드(A)의 사용 시작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사용량감지센서(100)는 상기 처리구동부(30)로 유입되는 상기 배변 패드(A)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배변 패드(A)의 사용량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상기 사용량감지센서(100)에 의해 감지되는 배변 패드(A)의 사용량을 숫자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용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배변 패드(A)의 사용량을 인지함으로써, 상기 처리구동부(30)에세 배변이 처리된 배변 패드(A)의 제거 시기와 상기 권취롤(40)에 상기 배변 패드(A)의 교체시기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제1 커버
11 : 제1 베이스 12 : 유입구
13 : 지지대 14 : 상부롤러
20 : 제2 커버
21 : 제2 베이스
30 : 처리구동부
31 : 수용관 32 : 삽입슬롯
33 : 인출공
34 : 처리롤러 34a : 블레이드
35 : 모터 35a : 기어박스
36 : 하부롤러 36a : 연동축
40 : 권취롤
50 : 가이드판
60 : 색 감지센서
70 : 커터
71 : 수평홈
80 : 적외선 센서
90 : 사용시작스위치
100 : 사용량감지센서
110 : 디스플레이
A : 배변 패드

Claims (5)

  1. 직사각판으로 형성되는 제1 베이스(11)의 상면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중공 입방체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하단에 유입구(12)가 형성되는 제1 커버(10)와;
    상기 제1 커버(10)에서 일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직사각판으로 형성되는 제2 베이스(21)의 상면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 베이스(21)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중공 입방체 형태의 제2 커버(20)와;
    상기 제1 커버(10)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배변 패드를 감아서 처리하는 처리구동부(30)와;
    상기 제2 커버(20)의 내측으로 상기 제2 베이스(2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처리구동부(30)와 연결되는 배변 패드가 권취되는 권취롤(40)과;
    상기 제1 베이스(11)와 제2 베이스(21)의 내측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처리구동부(30)와 권취롤(40)의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배변 패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판(50)과;
    상기 제1 커버(10)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판(5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배변 패드의 상면의 색을 감지하여 대변과 소변을 구별하는 색 감지센서(60)와;
    상기 처리구동부(30)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을 따라 수평으로 수평홈(71)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홈(7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배변 패드를 절단하는 커터(70)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구동부(30)는,
    상기 제1 커버(10)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내측에 상기 배변 패드가 감긴 상태로 배치되도록 관형으로 형성되는 수용관(31)과,
    상기 배변 패드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관(31)의 하단 내측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슬롯(32)과,
    상기 수용관(31)에서 상기 배변 패드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관(31)의 상단 내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인출공(33)과,
    상기 수용관(31)의 양단 내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변 패드를 마찰력으로 감은 상태에서 계속 회전되면서 오므라들어 상기 배변 패드가 상기 수용관(31)의 내측에서 여러 번 감길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블레이드(34a)가 외주면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배변 패드를 권취하는 한 쌍의 처리롤러(34)와,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처리롤러(34)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롤러(3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구동부(30)는,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35)와 연결되며 상기 처리롤러(34)에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한 쌍의 기어박스(35a)와,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에서 하부로 함몰된 상태로 상단이 노출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기어박스(35a)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롤러(36)와,
    상기 제1 베이스(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하부롤러(36)를 상호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연동축(36a)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10)는,
    그 내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롤러(36)에 밀착되어 상기 하부롤러(36)와 함께 상기 배변 패드를 이동시키는 상부롤러(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커버(10)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판(5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배변 패드의 상면에 올라가 있는 애완동물을 감지하여 상기 처리구동부(3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적외선 센서(80)와;
    상기 처리구동부(3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구동부(30)를 통해 처리되는 배변 패드의 사용 시작을 감지하는 사용시작스위치(90)와;
    상기 사용시작스위치(90)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배변 패드의 사용량을 감지하는 사용량감지센서(100)와;
    상기 제1 커버(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량감지센서(100)에 의해 감지되는 배변 패드의 사용량을 숫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1020190153899A 2019-11-27 2019-11-27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102141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99A KR102141129B1 (ko) 2019-11-27 2019-11-27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99A KR102141129B1 (ko) 2019-11-27 2019-11-27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129B1 true KR102141129B1 (ko) 2020-08-04

Family

ID=7204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899A KR102141129B1 (ko) 2019-11-27 2019-11-27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057U (ko) * 2021-02-16 2022-08-23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변패드 교체 및 수거가 용이한 애완동물용 배변처리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867A (ko) 2013-12-19 2015-06-29 박재현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101661675B1 (ko) * 2016-03-04 2016-10-04 대신기계공업(주)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20170102122A (ko) * 2016-02-29 2017-09-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 배변기
KR20190060555A (ko) * 2017-11-24 2019-06-03 이승후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20190114097A (ko) * 2018-03-29 2019-10-10 이미화 애완견용 배변 구획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867A (ko) 2013-12-19 2015-06-29 박재현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20170102122A (ko) * 2016-02-29 2017-09-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 배변기
KR101661675B1 (ko) * 2016-03-04 2016-10-04 대신기계공업(주)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20190060555A (ko) * 2017-11-24 2019-06-03 이승후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20190114097A (ko) * 2018-03-29 2019-10-10 이미화 애완견용 배변 구획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057U (ko) * 2021-02-16 2022-08-23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변패드 교체 및 수거가 용이한 애완동물용 배변처리기
KR200497192Y1 (ko) 2021-02-16 2023-08-24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변패드 교체 및 수거가 용이한 애완동물용 배변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675B1 (ko)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US5363807A (en) Automated portable pet toilet
KR101578491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US8316801B1 (en) Waste disposal system for canines
TWI669051B (zh) 排泄物收集裝置與應用其之智慧型排泄物收集系統
US5592900A (en) Automated portable pet toilet
JP5043929B2 (ja) 動物用リターデバイス
US20090241850A1 (en) Pet Waste Collection System
KR102141129B1 (ko)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101849043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2049065B1 (ko) 애완견용 용변 처리기
KR20200000206A (ko) 반려동물용 배변패드를 포함하는 배변기
WO2010081020A2 (en) Animal waste pad dispenser and holder
KR102372625B1 (ko) 반려견용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20170016662A (ko) 애완견 용변 자동 처리기
KR101903677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EP3741208A1 (en) Toilet for pets
KR102205322B1 (ko)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101828911B1 (ko)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KR200173567Y1 (ko) 사료 자동 급이기
TWM564324U (zh) Excreta collection device and intelligent excrement collection system using the same
AU2021102743A4 (en) An Automatically Self-Cleaning Pet Potty
KR20220002057U (ko) 배변패드 교체 및 수거가 용이한 애완동물용 배변처리기
KR101393150B1 (ko) 애완견용 자동 세정방식 배변장치
KR100576603B1 (ko) 애완동물의 사료공급과 배설물 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