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243B1 -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243B1
KR102269243B1 KR1020200155882A KR20200155882A KR102269243B1 KR 102269243 B1 KR102269243 B1 KR 102269243B1 KR 1020200155882 A KR1020200155882 A KR 1020200155882A KR 20200155882 A KR20200155882 A KR 20200155882A KR 102269243 B1 KR102269243 B1 KR 102269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weight
dogs
pad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웅
Original Assignee
박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웅 filed Critical 박상웅
Priority to KR102020015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conveying belt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려견의 배변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동시에 반려견의 체중 변화와, 반려견의 배변의 상태에 기반하여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롤형 배변 패드가 수납되어 있는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가 제공되고,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는 반려견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 배변 패드 위에서의 반려견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 센서; 배변물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자동 배변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반려견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반려견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반려견의 배변 활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롤형 배변 패드를 와인딩하여 배변 패드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AUTOMATIC BOWEL DISPOSAL DEVICE FOR DOGS}
본 발명은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려견의 배변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동시에 반려견의 체중 변화와, 반려견의 배변의 상태에 기반하여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변 패드는 강아지,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의 배설물 처리를 위하여 박스,휴지, 신문지와 같은 배설물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의 것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반려동물 전용 배변 패드가 사용되기도 한다. 반려동물 전용 수동형 배변 패드는 반려동물의 배설물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및 보유하여 주변의 환경이 오염되는것을 방지하고 신문지와 같은 재질의 것에 비해 배설물로 인한 악취를 막아 주기도 한다.
하지만 배변패드 교체 시 일일이 덩어리가 큰 고체형 배변의 경우 따로 반려주가 처리를 해주어야하며 반려주가 신경을 자주 쓰지 않으면 배변패드의 사용량을 초과하여 주변 환경이 더러워질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배변판을 이용하는 경우 반려견의 대변이나 소변을 바로 치우지 않으면 집안에 변 냄새로 가득 차게 되어 수시로 반려견 주인이 신경을 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종래의 배변패드를 이용하는 경우 패드의 교체를 위하여 패드를 매번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구매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패드의 과잉 사용은 자원낭비와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수동식의 배변 패드의 처리를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17413호에는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식 배변 처리 패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서는 롤형 배변 패드를 사용한 배변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롤형 배변 패드는 그 안에 구비된 모터로 연결된 롤형 배변 패드 걸이에 장착 및 탈착하여 사용하도록 하며, 모터로 연결된 반대편 본체 내부의 배변 패드 걸이에 걸어 자동적으로 패드가 감기며 교체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동식의 배변 패드는 무게 및 위치센서 감지를 통해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감지하고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처리하고 손쉬운 배변패드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며, 배설물로 인한 주변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고 악취를 방지해주어 반려주의 육체적인 체력 소모의 부담을 줄여주고 쾌적한 배변패드의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얻어질 수 있었지만, 단순히 배변의 처리만을 위해 기능함으로서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반려견의 배변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한편 반려견의 건강 상태 등을 예측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반려견용 자동 배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반려견의 배변 활동을 감지하고 반려견의 체중 변화, 대변의 상태, 반려견의 발에 분포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반려견용 자동 배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롤형 배변 패드가 수납되어 있는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가 제공되고,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는 반려견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 배변 패드 위에서의 반려견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 센서; 배변물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자동 배변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반려견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반려견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반려견의 배변 활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롤형 배변 패드를 와인딩하여 배변 패드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반려견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반려견의 배변 활동이 끝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반려견의 배변물을 촬영하고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제어부는 반려견의 배변물 영상 분석을 통해 배변물이 소변인지 대변인지를 판별하도록 동작되고, 배변물이 대변인 경우에만 배변 패드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배변물이 소변인 경우 반려견의 배변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에 도달하였을 때 배변 패드를 이동시키거나 사용자의 단말에 이를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제어부는 반려견의 배변물 영상 분석을 통해 배변물이 대변인 경우로 판단되면, 대변의 형태와 컬러를 분석하여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제어부는 반려견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면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반려견의 체중을 측정하고, 현재 측정된 체중을 과거 측정된 체중과 비교한 체중 변화량 분석에 기반하여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제어부는 반려견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면 다수의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반려견의 네 발로부터의 중량 분포를 측정하고, 중량 센서로부터 측정된 반려견의 네 발의 중량 분포를 미리 정해진 기준 분포에 비교한 분포 분석에 기반하여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반려견의 배변물 영상 분석, 상기 반려견의 체중 변화량 분석, 및 압력 분포 분석에 기반하여 반려견의 건강에 이상이 발견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견의 대변의 형태, 컬러 또는 형태와 컬러의 조합을 통해 반려견의 장기 기능 이상, 기생충이나 세균에 의한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반려견의 체중 증가 여부를 통해 현재 반려견의 비만 여부, 질병 여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견의 네 발의 압력점을 통한 체중 분포 분석을 통해 관절의 이상과 같은 관절 상태까지도 알 수 있게 되어 반려견의 종합적인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외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센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제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제어부에서의 청소 및 대변 분석을 통한 건강 상태 진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제어부에서의 체중 및 압력 분포 측정을 통한 건강 상태 진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를 이용한 반려견 진단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는 패드 수납부(110), 패드 받침부(120) 및 배변 처리부(130)를 포함한다.
패드 수납부(110)에는 롤타입의 배변 패드(200)가 제공되고 롤타입의 배변 패드(200)는 패드 수납부(110)와 배변 처리부(130)의 각각에 마련된 제1 및 제2 회전 샤프트(미도시)에 끼워져 연결되고 제1 회전 샤프트 또는 제2 회전 샤프트 중 하나가 회전함에 따라 감겨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드(200)의 자동 공급을 위해 패드 수납부(110)에 제1 회전 샤프트가 제공되고 배변 처리부(130)에 제2 회전 샤프트가 제공되어 있으며, 제2 회전 샤프트가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롤타입의 배변 패드(200)가 패드 받침부(120) 상에서 이동하게 되지만, 이와 반대로 패드 수납부(110)에 마련된제1 회전 샤프트에 모터가 제공되어 배변 패드(200)을 와인딩하고 그에 따라 배변 패드(200)가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롤타입 배변 패드(200)가 배변 패드 상에서 이동되는 거리는 패드 받침부(120)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형견을 위한 패드 받침부(120)의 경우 대략 40cm의 길이를 가짐에 따라 반려견의 배변시 롤타입 배변 패드는 한번에 40cm의 길이로 교체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중형견을 위한 패드 배침부(120)의 경우 대략 60cm의 길이를 가짐에 따라 반려견의 배변시 롤타입 배변 패드는 한번에 60cm의 길이로 교체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지만 패드의 교체 이동 거리는 패드 받침부(120)의 길이에 맞춰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의 센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는 반려견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중량 센서(310), 반려견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 센서(330) 및 배변물의 정지 화상(동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40)가 제공된다.
반려견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중량 센서(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의 패드 받침부(120)의 저면에 제공된다. 복수의 중량 센서(310)는 배변 활동을 위해 반려견이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 위에 올라왔을 때 반려견의 체중을 측정하도록 동작하고, 또한 반려견의 발바닥으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을 측정하여 반려견의 체중 분포를 측정한다.
복수의 중량 센서(310)의 경우 반려견의 4 발바닥으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을 각각 측정하기 위해 패드 받침부(120)의 4개의 코너부 근방의 각각 하나씩 제공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압력값은 반려견의 관절에 대한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데이터로서 이용되고 또한 복수의 중량 센서(310)로부터 측정된 반려견의 체중은 체중 변화에 따른 비만 정도를 판단하는 데이터로서 이용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는 반려견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움직임) 감지 센서(330)와 배변 패드 상의 배변물(소변/대변)의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340)을 포함한다.
동작 감지 센서(330)는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로의 반려견의 들어오고 나가는 동작(인입 동작)을 감지하여 프로세서(제어부)에 이를 전달하고 프로세서는 배변 활동이 감지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반려견의 배변물(대변/소변)을 촬영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작 감지 센서(330)는 초음파 센서가 이용될 수있지만 다른 동작 감지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촬영된 반려견의 배변물의 정지 화상은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로서 이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의 제어부(400)의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배변활동 판단부(410), 중량/압력 분석부(420), 영상 저장부(430), 건강상태 판단부(440), 모터 구동부(450), 및 알림 발생부(460)을 포함한다.
배변활동 판단부(410)는 동작 감지 센서(330)로부터의 입력에 기반하여 반려견의 배변활동 여부를 판단하도록 기능한다. 예를 들면 배변 활동 판단부(410)는 동작 감지 센서(3320)로부터 동작 감지 신호가 들어오고 난 후 미리정해진 시간 예를 들면 4초 이상 지속하여 동작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동작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400)의 배변 활동 판단부(410)는 반려견의 배변 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고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을 수행하여 영상 저장부(430)에 저장하는 반면 그렇지 않으면 배변활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중량/압력 분석부(420)는 배변활동 판단부(410)에서 배변 활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중량 센서(310)과 감압 센서(320)로부터의 측정값을 기록하도록 동작한다. 중량/압력 분석부(420)는 중량 및 압력을 분석하고 이를 건강 상태 판단부(440)에 전달한다.
영상 저장부(430)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저장된 영상을 언제든지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건강 상태 판단부(440)는 중량/ 압력 분석부(420)로부터 측정된 중량과 압력 분포값과, 영상 저장부(420)에 저장된 촬영 화상을 통해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도록 기능한다.
이를 위해 건강 상태 판단부(440)는 측정된 반려견의 체중(중량)을 기존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의 체중과 과거의 체중을 비교하여 체중 변화를 기록하고, 현재의 체중이 과거의 체중에 비해 급격하게 증가했는지(비만 의심), 급격하게 감소했는지(질병 의심)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건강 상태 판단부(440)는 측정된 반려견의 현재 발바닥 체중 분포를 분석하고 어느 한쪽으로 체중이 치우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반려견의 경우 앞발과 뒷발의 무게 분포는 약 60:40의 분포량을 보이는데 앞발과 뒷발의 무게 분포를 감안하여 두 개의 뒷발에 대한 무게 범위가 기준치 범위 예를 들면 60:40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 슬개골 탈구나 관절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상태 판단부(440)는 카메라로 부터 촬영된 대변/소변의 화상으로부터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 상태 판단부의 대변/소변의 화상 분석을 통해 반려견의 대변 및 소변의 컬러, 크기, 형태, 대변량 또는 소변량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건강의 이상유무를 사전에 검지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변이 가늘고 긴 형태를 띄는 경우 반려견의 영양 부족을 의심할 수 있으며, 동그랗고 짧은 변의 경우 변비를 의심할 수 있고, 대변의 형태가 불명확한 경우 설사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대변의 컬러를 통해 붉은 색이 많은 경우 혈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는 반려견의 결장 또는 직장과 같은 내장 이상을 의심하거나, 파보 바이러스, 기생충, 출혈성 위장염, 직장 상해, 스트레스와 같은 질병을 의심해볼 수 있다.
또한 길쭉한 모양의 갈색 또는 황색의 정상변에 기준하여 정상모양 대변의 컬러가 검은색인 경우 위장 또는 소장에서의 출혈을 의심할 수도 있으며 정상모양이면서 적색을 띨 경우 혈변 또는 출혈성 위장염으로 의심할 수 있으며 설사인 경우, 밝은 갈색의 색상일 경우 소화기관의 문제, 황토색일 경우 장내 산성화 즉, 담즙의 문제를 의심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반려견의 배변 활동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예를 들면 반려견이 배변 장치를 떠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청소구동부(450)를 통해 모터를 구동하여 배변 패드를 교체하는 청소 기능을 실시하도록 한다.
청소구동부(450)에서 배변 패드를 교체하는 청소 동작과 관련해서 사용자가 배변 횟수를 미리 설정한 경우 소변 및 대변을 포함하여 설정된 횟수에 도달한 경우 청소가 수행되거나 배변 활동이 감지된 경우 매번 청소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청소구동부(450)는 촬영된 영상을 통해 대변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청소를 수행하고 소변인 경우 미리 설정된 횟수에 따라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청소구동부(450)는 반려견의 배변 활동이 완료될 때마다 카메라를 통해 현재의 배변판 상태를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사용자가 전송된 영상을 보고 원격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발생부(4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건강 상태 판단부(440)에서 반련견의 건강 상태를 판단한 결과 반려견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거나, 청소 구동부(450)로부터 반려견의 배변 활동이 완료된 경우 이를 통보하도록 기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알림 발생부(460)로부터의 알림 메시지를 통해 반려견의 건강 상태와 현재 배변 패드의 상태 등을 관찰 할 수 있고 원격으로 배변 패드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는 통신부(350)를 구비하고 통신부(350)는 인터넷과 같은 네크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에서의 청소 기능 및 영상 분석을 통한 건강 진단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계 S100에서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제어부(400)는 동작감지 센서(330)로부터 반려견의 인입을 감지한다. 제어부(400)는 이어진 단계 S110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동작이 지속적으로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반려견이 배변 패드 위에 머무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120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100으로 진행된다.
단계 S120에서 제어부는 카메라를 통해 반려견의 배변물을 촬영하고(배변 패드 촬영)하고 배변물 영상을 저장한다.
이어진 단계 S130에서 제어부(400)는 배변물의 화상을 분석하여 배변물이 소변인지 대변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배변물이 대변인 경우 단계 S140으로 진행되는 반면 배변물이 소변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135로 진행된다.
단계 S135에서 배변물이 소변인 경우 제어부(400)는 지정된 횟수에 도달여부를 판단하여 청소를 수행여부를 결정하거나 사용자 알림을 통해 현재 배변 패드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원격으로 청소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단계 S140에서, 즉 단계 S130에서 배변물이 대변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400)는 청소 구동부를 통해 배변 패드를 교체하는 청소를 진행하는 한편 영상 분석을 통해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반려견의 건강 상태는 대변의 형상 또는 컬러를 통해 진행된다.
단계 S150에서 제어부(400)는 대변 상태에 기반하여 반려견의 건강 상태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게 된다.
도 5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에서의 체중 및 체중분포 그리고 분석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흐름은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에 제공된 한 개 또는 다수의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단계 S200에서는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제어부(400)는 동작감지 센서(330)로부터 반려견의 인입을 감지한다. 제어부(400)는 이어진 단계 S210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동작이 지속적으로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반려견이 배변 패드 위에 머무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210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200으로 진행된다.
단계 S210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도록 지속적으로 반려견의 동작이 감지되면 단계 S220에서는 중량 센서 및 각 중량센서로부터 반려견의 중량값과 중략분포값을 각각 측정하게 된다.
이어진 단계 S230에서는 측정된 중량값과 중량 분포값을 이용하여 체중의 이상변화 여부와 압력 분포를 통한 이상 유무를 분석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는 측정된 현재 체중이 과거에 비해 급격하게 증가했는지 또는 감소했는지 여부를 통해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고, 또한 중량 분포를 통해 반려견의 관절 상태 이상을 판단하게 된다.
단계 S230에서 판단된 결과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반려견의 건강 이상 유무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를 이용한 반려견 진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의 시스템에 기재된 자동 배변 처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반려견 건강 분석 서버(20)에 연결되고, 사용자는 전용 앱(APP)을 통해 반려견 건강 분석 서버(20)와의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지만 도 6에 도시된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는 자신이 직접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지 않고 카메라(340)에 의해 촬영되고 영상 저장부(430)에 저장된 반려견의 대변 화상과 체중계에 의해 계측된 체중 및 체중 분포 정보를 반려견 건강 분석 서버(20)로 전송하여 분석을 요청한다.
반려견 건강 분석 서버(20)는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로부터의 건강 분석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과 함께 수신된 반려견의 배변 정보(대변의 형태/컬러)를 이용하여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게 된다.
보다 정확한 반려견 건강 분석을 위해 반려견 건강 분석 서버(20)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반려견의 견종 정보, 반려견의 연령 정보, 반려견의 사료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려견의 사료 정보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성분을 입력하도록 구성되거나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사진 촬영기능을 이용하여 사료에 포함된 바코드를 촬영하고 바코드 정보를 반려견 건강 분석 서버(20)에 전송함으로써 인식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반려견 사료들의 바코드가 저장되어 있고 반려견 건강 분석 서버(20)는 바코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바코드에 대응하는 사료를 탐색하여 발견하고 발견된 사료의 성분을 해당하는 반려견의 사료 정보로서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려견의 견종 정보, 반려견의 연령 정보, 반려견의 사료 정보는 반려견 건강 분석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23)에 사용자별로 저장되어 관리된다.
반려견 건강 분석 서버의 데이터베이스(23)에는 반려견의 종별, 연령별에 따른 대변 정보를 포함하고, 대변 정보는 반려견이 건강한 상태일 때의 대변의 형태, 크기, 무게, 컬러 정보가 반려견의 종별 및 연령별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반려견 건강 분석 서버(20)에서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의 식별번호번호와 함께 대변 이미지를 수신하면 반려견 건강 분석 서버(20)는 먼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해당하는 반려견의 종과 연령 정보를 가져오고, 그와 동시에 해당하는 반려견의 종과 연령에 대응하는 기준 건강 대변의 정보를 호출하게 된다.
기준 건강 대변의 정보에는 해당하는 반려견의 종과 연령에 대응하는 건강 상태일 때의 대변의 형태, 대변의 크기, 대변의 컬러, 대변의 무게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후 반려견 건강 분석 서버(20)의 이미지 분석 모듈(22)은 수신된 대변 이미지에 대한 컬러 및 형태 분석을 수행한다. 이미지 분석 모듈(22)은 대변 이미지에서의 컬러를 나타내는 색상 정보(R(red), G(green), B(blue))를 기초로 하는 휘도(Y) 및 색차 정보(Cb, Cr)를 이용하여 사진 이미지로부터 대변 영역을 추출해 내고 추출된 대변 영역에 대한 R/G/B 정보를 획득하고, 측정된 R/G/B 값의 분포값 또는 R/G/B 히스토그램을 기준 대변의 컬러 정보(측정된 R/G/B 값의 분포값 또는 R/G/B 히스토그램)와 비교를 수행하여 정상 분포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일 R/G/B 분포값 분석을 통해 적색 분포가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혈변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흑색 분포가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흑변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분석 모듈(22)은 대변의 컬러 추출된 대변 영역을 흑백 이미지(2진 이미지)로 전환하고 전환된 2진 영상으로부터 에지 파인딩(edge finding) 기술을 통해 대변의 형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대변 형태를 기준 형태 정보와 비교를 수행함으로써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는 반려견이 배변 활동을 종료한 후 대변의 이미지와 함께 무게 정보를 더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변의 무게 정보를 이용한 건강 상태 진단은 반려견의 종, 연령, 체중에 따라 건강 상태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반려견에 대한 종, 연령, 체중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두고 있기 때문에 반려견의 배변 활동시 대변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 대변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반려견 건강 분석 서버(20)에서 분석된 정보는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로 전송되고 자동 배변 처리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반려견의 건강 분석 정보를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견의 대변의 형태, 컬러를 통해 반려견의 장기 기능 이상, 기생충이나 세균에 의한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반려견의 체중 증가 여부를 통해 현재 반려견의 비만 여부, 질병 여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견의 네 발의 체중값을 통한 체중 분포 분석을 통해 관절의 이상과 같은 관절 상태까지도 알 수 있게 되어 반려견의 종합적인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기 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110: 패드 수납부
120: 패드 받침부 130: 배변 처리부
200: 배변 패드 310: 중량 센서
330: 움직임 감지 센서 340: 카메라
350: 통신부 400: 제어부

Claims (4)

  1. 롤형 배변 패드가 수납되어 있는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는
    배변 패드 위에서의 반려견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 센서;
    배변물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배변 패드를 지지하는 패드 받침부 아래의 4개의 코너부 근방에 각각 하나씩 제공되어 반려견의 전체 체중 및 반려견의 네 발의 각각의 중량 분포를 측정하는 복수의 중량 센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자동 배변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반려견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반려견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반려견의 배변물을 촬영, 저장하고 이 영상을 분석하여 배변 패드를 이동시키거나 사용자의 단말기에 이를 통보하도록 구성되고,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제어부는 반려견의 배변활동이 감지되면 다수의 중량센서를 이용하여 반려견의 네 발로부터의 중량 분포를 측정하고, 복수의 중량 센서로부터 측정된 반려견의 네 발의 중량 분포를 미리 정해진 기준 체중 분포에 비교한 체중 분포 분석에 기반하여 반려견의 관절 이상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반려견의 관절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제어부는 반려견의 배변물 영상 분석을 통해 배변물이 대변인 경우로 판단되면, 대변을 분석하여 형태와 컬러 또는 형태와 컬러의 조합을 통하여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여 반려견의 건강에 이상이 발견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의 제어부는 반려견의 배변활동이 감지되면 한 개 또는 다수의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반려견의 체중을 측정하고,
    현재 측정된 체중을 과거 측정된 체중과 비교한 체중 변화량 분석에 기반하여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여 반려견의 건강에 이상이 발견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4. 삭제
KR1020200155882A 2020-11-19 2020-11-19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KR102269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882A KR102269243B1 (ko) 2020-11-19 2020-11-19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882A KR102269243B1 (ko) 2020-11-19 2020-11-19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243B1 true KR102269243B1 (ko) 2021-06-25

Family

ID=7662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882A KR102269243B1 (ko) 2020-11-19 2020-11-19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2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93090A1 (en) * 2015-11-04 2020-03-26 Brilliant Pet 2 LLC Pet waste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user control
KR20230037744A (ko) * 2021-09-09 2023-03-17 남궁철 사물 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건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390A (ko) * 2015-06-18 2016-12-28 이민성 배설물상태 및 배변활동을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170102122A (ko) * 2016-02-29 2017-09-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 배변기
KR20180010925A (ko) * 2016-07-22 2018-01-31 이창섭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
KR101851464B1 (ko) * 2016-11-17 2018-04-23 백순화 센싱 패드를 이용한 동물의 분만 예측 및 알림 시스템과 분만 예측 및 알림 방법
JP2019071896A (ja) * 2017-08-29 2019-05-16 株式会社ハチたま ペットの排泄通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390A (ko) * 2015-06-18 2016-12-28 이민성 배설물상태 및 배변활동을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170102122A (ko) * 2016-02-29 2017-09-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 배변기
KR20180010925A (ko) * 2016-07-22 2018-01-31 이창섭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
KR101851464B1 (ko) * 2016-11-17 2018-04-23 백순화 센싱 패드를 이용한 동물의 분만 예측 및 알림 시스템과 분만 예측 및 알림 방법
JP2019071896A (ja) * 2017-08-29 2019-05-16 株式会社ハチたま ペットの排泄通知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93090A1 (en) * 2015-11-04 2020-03-26 Brilliant Pet 2 LLC Pet waste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user control
KR20230037744A (ko) * 2021-09-09 2023-03-17 남궁철 사물 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건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KR102584162B1 (ko) 2021-09-09 2023-10-04 남궁철 사물 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건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243B1 (ko)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JP2019071896A (ja) ペットの排泄通知システム
KR20160149390A (ko) 배설물상태 및 배변활동을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JP2007252805A (ja) データ検出装置及びデータ検出方法
US201403504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ameness in livestock
KR20190018859A (ko) 반려견 배변장치
CN111681760A (zh) 智能宠物管理系统
KR20200011102A (ko) IoT 기반 스마트 애완동물 관리시스템
CN111539384B (zh) 牧场采食监控方法、系统、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22992A (ko)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판
CN106888985A (zh) 监测宠物外显信息以判断宠物健康状态的系统及其方法
KR102486554B1 (ko) Rfid를 기반으로 애완동물을 감지하는 스마트 변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280358B1 (ko) 반려동물용 스마트 배뇨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JP6948982B2 (ja) 動物用尿検査装置、動物用尿検査システム、及び動物用尿検査プログラム
JP7290922B2 (ja) 動物撮影装置、動物状態判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NL2027108B1 (en) Animal husbandry system
KR102344722B1 (ko) 반려동물의 비만도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체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방법
KR102344723B1 (ko)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체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방법
KR102342132B1 (ko) 스마트 변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657144B1 (ko) 멸균 용기에 의한 반려동물 및 가축의 질병검사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31728A (ko) 반려동물용 스마트 배변판 및 그의 관리 방법
JP7401914B2 (ja) ペット用排泄物採取容器並びに、これを用いたペットの排泄物の記録方法及びペットの健康状態の診断方法
KR102427464B1 (ko)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
CN113892433A (zh) 宠物厕所中宠物砂余量的监测方法及宠物厕所
JP7352845B2 (ja) 排泄物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