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464B1 -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464B1
KR102427464B1 KR1020200092038A KR20200092038A KR102427464B1 KR 102427464 B1 KR102427464 B1 KR 102427464B1 KR 1020200092038 A KR1020200092038 A KR 1020200092038A KR 20200092038 A KR20200092038 A KR 20200092038A KR 102427464 B1 KR102427464 B1 KR 102427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rement
unit
wall forming
pet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3052A (ko
Inventor
오성진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2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4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 위치되는 거주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 상에서 애완동물이 배출하는 배설물을 제거하는 배설물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애완동물을 관리하는 사용자가 애완동물 관리에 소모하는 시간을 최소화 가능한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An automatic treatment device of excreta}
본 발명은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애완동물의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관리자가 직접 도구를 이용하여 치웠으나, 현재는 일회용 배변패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어 관리자가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보다 쉽게 치울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변패드를 자동으로 깔아주고 교체하는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가 개발되었다. 미국특허공개 제2017/0347619호는 배변판과, 배변판의 일측에 설치된 배변시트공급부와, 배변판의 타측에 설치된 배변시트수거부를 포함하는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배변시트공급부에는 배변시트가 롤 형태로 감겨 있는 배변시트공급롤이 수납되고, 배변시트수거부에는 오염된 배변시트를 권취할 수 있는 권취롤러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변패드를 자동으로 설치하는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경우 애완동물이 배설활동을 할 때마다 배변패드가 소모되므로, 낭비가 심한 문제가 있어 새로운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공보 제10-2019-0117398호(명칭: 애완동물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공개일: 2019.10.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에 소모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관리자를 대신하여 애완돌물의 배설물을 처리 가능한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는, 애완동물이 위치되는 거주공간(110)을 형성하는 하우징부(100); 및 상기 하우징부(100) 상에서 애완동물이 배출하는 배설물을 제거하는 배설물 제거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0)는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거주공간(110)을 형성하는 외벽 형성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0)는 상기 외벽 형성부(120) 상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거주공간(110)을 개폐하는 도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0)는 상기 외벽 형성부(120) 상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벽 형성부(120)와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를 체결하는 체결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0)는 상기 외벽 형성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외벽 형성부(120)가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의 체결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의 상부에 펼쳐지거나 접히는 플레이트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300)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외벽 형성부(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와,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는 내부에 배설물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배설물 수납부(210)와,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배설물이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설물 유입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설물 유입부(22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개폐되는 조리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에 결합되어 배설물 제거부(200) 상에 보관되는 배설물을 배출시키는 세정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정부(400)는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의 내부 온도 및 가스 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배설물 센싱부와, 물을 일정 이상의 수압으로 인가하여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에 위치된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정유닛(410)과, 상기 배설물 센싱부에서 전달된 온도 정보와 가스 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세정유닛(410)의 작동 시점을 조절하는 세정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는, 물을 이용하여 배설물을 제거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직접 치우거나 장치를 세척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애완동물이 배설을 하려고 할 시에만 배설물 유입부를 개폐 가능하므로, 애완동물의 거주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배설물 유입부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장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보관되는 배설물의 처리가 배설물이 쌓인 일정 시점에서 이루어지므로 배설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물의 낭비를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의 외벽 형성부의 움직임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의 배설물 제거부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
도 4은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 상에 세정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10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1000)의 외벽 형성부(120)의 움직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1000)는 애완동물이 위치되는 거주공간(110)을 형성하는 하우징부(100)와, 상기 하우징부(100) 상에서 애완동물이 배출하는 배설물을 제거하는 배설물 제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애완동물의 배설물은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는 관리자에게 애완동물을 관리하기 어려운 요소 중 대표적인 이유로 꼽힌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관리자가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보다 쉽게 제거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에 결합되어 애완동물이 외부와 격리된 상태에서 배설활동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00)는 펼쳐지는 형태로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와 결합이 해제되어 개방된 상태에서 애완동물이 배설활동을 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부(100)는 복수번 절곡된 플레이트 타입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와 결합되어 상기 거주공간(110)을 형성하는 외벽 형성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외벽 형성부(120)와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는 서로 마주보는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체결부(300)를 통하여 체결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애완동물의 배변활동이 폐쇄된 구조물 내에서 이루어지거나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체결부(300)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외벽 형성부(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와,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마그네틱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1000)는 상기 외벽 형성부(120)의 통로 상에 도어부(130)가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도어부(130)를 이용하여 통로를 폐쇄하여 애완동물이 거주공간(110) 외부로 나오는 것을 제한 가능하므로, 상황에 따라 애완동물 운반용 케이지로 사용 가능하며, 보다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외벽 형성부(120)의 상부에는 손잡이부(14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0)는 상기 외벽 형성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외벽 형성부(120)가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의 체결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의 상부에 펼쳐지거나 접히는 플레이트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1000)는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출하는 장소로 사용되지만, 이 외에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이 거주하는 공간으로도 사용 가능한 장치로, 애완동물이 거주 시 편안함을 느끼게 하기 위하여 부드러운 패드 타입의 상기 플레이트부(150)가 설치되나, 이러한 플레이트부(150)의 경우 애완동물이 배변활동을 하게 되면 제거되어야 하므로, 상기 외벽 형성부(120)에 접혀질 수 있게 결합시킨 것이며, 상기 외벽 형성부(120)가 제거될 경우에는 애완동물이 배변 활동을 하는 시점이므로 사용자가 상기 외벽 형성부(120)를 들어 올릴 시 자연스럽게 외벽 형성부(120)의 내벽으로 접혀지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150)에는 무게측정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상기 플레이트부(150)에 체중을 전부 인가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체중을 체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1000)의 배설물 제거부(200)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는 내부에 배설물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배설물 수납부(210)와,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배설물이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설물 유입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설물 유입부(22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개폐되는 조리개일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이 배변활동을 하여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의 상부측에 형성된 상기 배설물 유입부(220)에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위치되면, 도 3(b) 및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설물 유입부(220)가 열리며 통로가 개방되고, 개방된 통로를 통하여 배설물이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며, 배설물이 제거된 후에는 상기 배설물 유입부(220)가 닫힌 후 상기 플레이트부(150)가 다시 배설물 유입부(220) 상부측에 깔릴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설물 유입부(220)의 작동은 사용자의 직접 조작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배설물 수납부(210)의 상측에 위치된 애완동물이 배변활동을 하는 자세를 일정시간 유지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후,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 상측에 위치된 애완동물이 배변활동을 하는 자세를 일정시간 취하지 않으면 폐쇄되는 자동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1000)는 애완동물을 촬영하여 애완동물의 실시간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와 같은 자세정보 획득부와, 상기 자세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한 영상 정보를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애완동물이 배변활동을 하려고 하는지를 판단하는 영상정보 비교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에는 무게측정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에 체중을 전부 인가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체중을 체크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1000) 상에 세정부(400)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1000)는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보관된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 상에 보관되는 배설물을 관리자가 직접 치울 경우 많은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일정 이상의 수압으로 배설물을 밀어줄 수 있는 세정유닛(410)을 이용하여 배설물 수납부(210) 상에 보관되어 있는 배설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세정유닛(410)은 깨끗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411)와, 사용된 세정수와 함께 배설물이 배출되는 배출부(4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원활한 배설물 배출을 위하여, 상기 배출부(412)는 지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기 세정부(400)는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의 내부 온도 및 가스 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배설물 센싱부와, 상기 배설물 센싱부에서 전달된 온도 정보와 가스 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세정유닛(410)의 작동 시점을 조절하는 세정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애완동물이 배변활동을 한 후 즉시 배설물을 제거하는 자동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하우징부 110 : 거주공간
120 : 외벽 형성부 130 : 도어부
140 : 손잡이부 150 : 플레이트부
200 : 배설물 제거부 210 : 배설물 수납부
220 : 배설물 유입부
300 : 체결부
400 : 세정부 410 : 세정유닛

Claims (7)

  1. 애완동물이 위치되는 거주공간(110)을 형성하는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 상에서 애완동물이 배출하는 배설물을 제거하는 배설물 제거부(200);
    외벽 형성부(120)와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를 체결하는 체결부(300); 및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에 결합되어 배설물 제거부(200) 상에 보관되는 배설물을 배출시키는 세정부(400);를 포함하는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0)는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거주공간(110)을 형성하는 외벽 형성부(120)와,
    상기 외벽 형성부(120) 상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거주공간(110)을 개폐하는 도어부(130)와,
    상기 외벽 형성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외벽 형성부(120) 및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의 체결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의 상부에 펼쳐지거나 접히는 플레이트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는
    내부에 배설물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배설물 수납부(210)와,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배설물이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설물 유입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는 애완동물이 거주하는 공간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출하는 장소로 사용되고,
    애완동물이 거주하는 공간으로 사용 시, 상기 플레이트부(150)는 상기 배설물 제거부(200)의 상부에 펼쳐지고,
    애완동물이 배변활동을 하는 경우, 상기 외벽 형성부(120) 및 배설물 제거부(200)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외벽 형성부(120)를 들어 올리면 상기 플레이트부(150)는 외벽 형성부(120)의 내벽으로 접혀지며,
    애완동물이 배변활동을 하여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의 상부측에 형성된 상기 배설물 유입부(220)에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위치되면, 상기 배설물 유입부(220)가 열리며 통로가 개방되고, 개방된 통로를 통하여 배설물이 상기 배설물 수납부(210)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며, 배설물이 제거된 후에는 상기 배설물 유입부(220)가 닫힌 후 상기 플레이트부(150)가 배설물 유입부(220)의 상부측에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유입부(22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개폐되는 조리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
  7. 삭제
KR1020200092038A 2020-07-24 2020-07-24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 KR102427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038A KR102427464B1 (ko) 2020-07-24 2020-07-24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038A KR102427464B1 (ko) 2020-07-24 2020-07-24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052A KR20220013052A (ko) 2022-02-04
KR102427464B1 true KR102427464B1 (ko) 2022-07-29

Family

ID=8026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038A KR102427464B1 (ko) 2020-07-24 2020-07-24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4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9090A1 (en) 2005-05-05 2006-11-09 Ahad George A Pet toilets
US20100071628A1 (en) 2008-09-22 2010-03-25 Killian Mathew Wells Portable Waste box and Absorbent Pad Holder for Housebreaking Dog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641U (ko) * 2007-02-26 2008-08-29 정명구 다목적 공간을 갖는 개집
KR20110135527A (ko) * 2010-06-11 2011-12-19 김현경 애완동물 자동 수세식 화장실
KR101335350B1 (ko) * 2012-03-27 2013-12-06 한승묵 동물용 변기
KR101931004B1 (ko) * 2016-12-28 2018-12-19 남궁성 IoT 기술과 자기주도형 학습 알고리즘기반의 인공지능 애완동물용 하우스 및 시스템
KR102311995B1 (ko) 2018-04-08 2021-10-13 김종수 애완동물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9090A1 (en) 2005-05-05 2006-11-09 Ahad George A Pet toilets
US20100071628A1 (en) 2008-09-22 2010-03-25 Killian Mathew Wells Portable Waste box and Absorbent Pad Holder for Housebreaking Do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052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91036B (zh) 宠物用厕所
US5713302A (en) Pet waste containment system
US5148771A (en) Veterinarian infectious waste containment system
CA2276500C (en) Self-cleaning litter box
KR102004482B1 (ko)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JP3708272B2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1861670B1 (ko) 고양이 화장실
GB1583252A (en) Sanitary device for removing animal droppings
KR20190018859A (ko) 반려견 배변장치
KR101809458B1 (ko) 애완견 용변 자동 처리기
KR20160149390A (ko) 배설물상태 및 배변활동을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US20060272590A1 (en) Cat litter box cabinet system
KR20130103214A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KR940002647B1 (ko) 휴대용 동물 분뇨 처리장치
KR102427464B1 (ko)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
KR102269243B1 (ko)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KR101738630B1 (ko) 애완 동물 수세식 배변기
CN111296300A (zh) 一种猫的排泄物处理方法和智能猫厕所
KR100967115B1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KR102468558B1 (ko)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20170060295A (ko) 반려동물 배변 훈련 및 배변 처리장치
JP2000188988A (ja) ペット用トイレ
CA3009392A1 (en) Catch drawer litter box
KR100963234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KR102308187B1 (ko)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설물(排泄物)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