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733A - 애완동물 급식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급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733A
KR20190014733A KR1020170098562A KR20170098562A KR20190014733A KR 20190014733 A KR20190014733 A KR 20190014733A KR 1020170098562 A KR1020170098562 A KR 1020170098562A KR 20170098562 A KR20170098562 A KR 20170098562A KR 20190014733 A KR20190014733 A KR 20190014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unit
information
terminal
automatic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티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티케이
Priority to KR1020170098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4733A/ko
Publication of KR2019001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rd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 급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애완동물의 신체에 부착하며, 상기 애완동물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가 마려된 단말기 유닛과, 상기 단말기유닛의 이동감지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공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감지부와, 상기 애완동물에 사료를 제공하는 자동 급식부와, 상기 자동 급식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급식부 인근의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와,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자동 급식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상기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감지부 또는 고정감지부를 통해 파악된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에 인접되게 상기 자동 급식부를 이동시키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장치는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로 이동하여 애완동물의 현재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므로 관리자가 보다 용이하게 애완동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 급식장치{Automatic feeder of pet feed}
본 발명은 애완동물 급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에 대한 현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애완동물 급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愛玩動物)은 주로 실내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동물을 말하는 것으로, 오늘날에는 단순히 동물이 아니라 반려자(친구)로서 대우하자는 의미에서 반려동물(伴侶動物)이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애완동물을 건강하게 사육하기 위해서는 각별한 애정과 관리가 필수적인데, 특히 급식에 있어서 적시에 정량의 사료나 간식을 공급하지 않으면 영양결핍이나 비만 또는 과식문제 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요구 되고 있다.
그러나 바쁜 현대인들의 경우 매일 정해진 시간마다 애완동물에게 정량의 사료와 간식을 제공하는 일은 대단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가족이 외출 또는 출근하거나 피치 못할 사정으로 인해 애완동물을 동반하지 않고 여행을 가게 될 경우 홀로 남겨 지게 되는 애완동물에 대한 급식문제도 심각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에게 한꺼번에 많은 양의 사료를 제공한 후 외출 또는 출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한꺼번에 많은 양의 사료를 제공하게 되면, 애완동물이 한꺼번에 사료를 많이 먹게 됨에 따라 과식으로 인한 탈이 생기게 되거나 특히 장마철에는 습기로 인해 사료가 눅눅해지거나 쉽게 상하게 됨에 따라 애완동물의 건강상 이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노출된 많은 양의 사료로 인해 집안에 불쾌한 냄새가 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급식기 내부에 사료를 보관한 후 정해진 시간에 정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급식기가 다양한 종류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급식기는 대부분 단순히 저장된 사료를 설정된 시간에 배출하는 것으로, 관리자가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시 애완동물의 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1321953호: 애완동물용 사료 및 간식 자동 급식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위급상황 발생시 애완동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관리자의 단말기로 애완동물에 대한 현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애완동물 급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장치는 애완동물의 신체에 부착하며, 상기 애완동물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가 마려된 단말기 유닛과, 상기 단말기유닛의 이동감지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공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감지부와, 상기 애완동물에 사료를 제공하는 자동 급식부와, 상기 자동 급식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급식부 인근의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와,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자동 급식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상기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감지부 또는 고정감지부를 통해 파악된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에 인접되게 상기 자동 급식부를 이동시키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장치는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자동급식부가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에 인접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정보수집부는 상기 자동 급식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급식부의 주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애완동물을 검출하는 영상분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분석부에서 분석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기설정된 기준시간동안 상기 애완동물이 미검출될 경우,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수집부는 상기 자동 급식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급식부의 주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애완동물을 검출하는 영상분석부와, 상기 자동 급식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급식부 인근의 소리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집된 소리정보 중 상기 애완동물의 소리를 검출하는 소리분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분석부에서 상기 애완동물의 소리가 검출되되, 상기 영상분석부에서 상기 애완동물이 미검출시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장치는 상기 단말기 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신호 감지센서와,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자동급식부가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에 인접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 유닛은 상기 애완동물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고정되며,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 및 이동감지부를 내장하는 착용 단말기 본체와, 상기 착용단말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부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감지부는 송신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고정감지부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감지부가 상기 이동감지부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고정감지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감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 유닛의 위치 또는 이동방향을 산출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서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감지부들은 각각 상호 구분되는 송출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각각의 고정감지부에서 송출되는 송출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기유닛은 상기 이동감지부에서 수신되는 송출신호를 통해 상기 단말기유닛의 이동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처리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장치는 상기 단말기 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관리자의 영상 또는 음성을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외부 출력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장치는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로 이동하여 애완동물의 현재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므로 관리자가 보다 용이하게 애완동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단말기유닛과 실내에 설치되는 고정감지부 및 데이터 처리서버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단말기유닛과 고정감지부 및 데이터 처리서버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도 4는 관리자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체온 정보의 출력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관리자 단말기에서 활동량 정보의 출력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실내에서 애완동물의 활동 반경 및 이동 점유율을 표시한 실시예의 도면,
도 7은 털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단말기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애완동물 급식장치는 애완동물의 신체에 부착하며, 상기 애완동물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가 마려된 단말기 유닛과, 상기 단말기유닛의 이동감지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공간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감지부와, 애완동물의 활동량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메인관리서버(400)로 업로드 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서버(300)와, 상기 애완동물에 사료를 제공하는 자동 급식부(610)와, 상기 자동 급식부(610)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급식부(610) 인근의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620)와, 상기 정보수집부(62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630)과, 상기 자동 급식부(6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정보수집부(620)에서 상기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감지부 또는 고정감지부를 통해 파악된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에 인접되게 상기 자동 급식부(610)를 이동시키 위한 구동부(640)와, 상기 구동부(6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60)를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유닛(100)은 상술한 것처럼 애완동물의 신체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애완동물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110)와, 상기 착용부(110)에 고정되는 착용단말기 본체(미도시)와, 상기 착용단말기 본체에 내장되는 생체신호 감지센서(140)와, 이동감지부(130) 및 무선통신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착용부(110)는 애완동물의 의류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앞다리와 가슴을 포함하는 몸통을 둘러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착용부(110)에 앞발을 끼워넣을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에 앞발을 끼워넣은 후 양단을 애완동물의 몸통을 감싸도록 고정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착용부(110)는 착용단말기 본체를 애완동물의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용단말기 본체는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140)와 무선통신부(150) 및 이동감지부(130)를 내장하기 위한 케이스이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요소들의 구동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도 내장하고 있다.
착용단말기 본체는 애완동물의 피부와 접촉하는 일측으로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140)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140)는 애완동물의 피부측으로 노출되어 체온을 감지하는 비접촉식 온도센서, 애완동물의 피부에 접촉되어 애완동물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감지부(130)는 후술하는 고정감지부(200)와 함께 애완동물의 활동량 및 이동경로에 대한 활동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이동감지부(130)는 소정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이동감지부(130)의 송출신호를 후술하는 고정감지부(200)가 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50)는 생체신호 감지센서(140)에서 측정한 애완동물의 생체신호를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데이터 처리서버(300) 또는 제어부(66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무선통신부(150)는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비콘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감지부(200)는 이동감지부(130)와 함께 애완동물의 활동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동물이 활동하는 활동공간에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주택의 실내에서 애완동물이 활동하며, 거실과 방에 각각 고정감지부(200)들이 설치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고정감지부(200)는 후술하는 정보처리부(310)에 수신정보를 전달하고, 정보처리부(310)는 수신정보를 활용해 애완동물이 이동하는 이동위치와, 이동거리 등의 활동정보를 산출한다.
각 실내에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고정감지부(2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애완동물이 착용한 단말기유닛(100)의 이동감지부(130)에서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송출신호는 고정감지부(200)에서 감지되고, 고정감지부(200)들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정보처리부(310)에서 수신하여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확인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진행함에 따라 각 시간별로 애완동물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통해 애완동물이 이동한 이동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애완동물의 활동량과 이동거리 등의 활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애완동물의 위치 확인은 다양한 방법으로 산출할 수 있는데, 복수개의 고정감지부(200) 중 가장 가까운 고정감지부(200)의 위치를 기초로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으며, 또는 각 방 또는 거실에 세 개 이상의 고정감지부(2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삼각측량법을 통해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처리부(310)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서버(300)는 상기 정보처리부(310)에서 산출한 애완동물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활동량 정보와 함께 무선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애완동물의 생체신호 정보를 메인관리서버(400)로 업로드한다. 상기 메인관리서버(400)로의 데이터 업로드를 위해 데이터 처리서버(300)는 인터넷 통신망과 접속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통신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서버(300)는 정보처리부(310)를 통해 산출된 애완동물의 위치정보를 인터넷통신부(320)를 이용하여 통신모듈(630) 또는 제어부(660)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동감지부(130)에서 신호를 송출하고, 고정감지부(200)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고정감지부(200)들에서 상호 구분되는 신호, 예를 들면 상호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하고, 단말기유닛(100)의 이동감지부(130)에서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처리부(310)는 단말기유닛(100)에 마련될 수 있으며, 각 고정감지부(200)들에서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면, 이동감지부(130)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데, 고정감지부(200)와 애완동물의 거리에 따라 송출된 신호의 수신 시간에 시간차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시간차를 통해서 애완동물의 위치를 산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기(500)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메인관리서버(400)로 업로드된 정보를 출력하여 실시간으로 애완동물의 활동정보와 생체 신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는 애완동물 관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별도의 단말기일 수도 있으나,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인관리서버(400)에 업로드된 정보들 중 설정된 애완동물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스마트폰을 통해 출력되는 애완동물의 정보 표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경우 애완동물의 체온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이며, 화면 상부측에 가장 최근에 측정된 애완동물의 체온이 표시된다. 상기 측정된 체온 정보의 외부를 둘러싼 원의 경우 측정 체온이 정상 범주일 때와 그렇지 않을때의 색상을 서로 달리하여 체온이 정상 상태인지의 여부를 즉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의 아래쪽에는 일정주기로 측정된 애완동물의 측정체온이 꺾은석 그래프 형태로 제공되며, 이를 통해 체온의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체온 정보 출력페이지의 일측 또는 체온 정보 출력페이지에서 링크로 연동되는 페이지에 애완동물의 적정 체온 정보가 표시되어 현재 측정된 체온이 정상범주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애완동물의 활동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페이지의 실시예이다.
화면 상단에는 애완동물의 활동 정보를 수치화하여 표시하는데, 활동정보의 데이터는 누적 이동거리를 표시할 수도 있고, 단위 시간당 이동한 거리 정보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애완동물의 이동거리, 속도, 이동 빈도 수 등의 지표들을 통해 산출하는 별도의 지표 수치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화면의 하부에는 이동 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막대그래프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막대그래프 형태의 이동거리 데이터는 단위 시간당 이동한 이동거리 형태로 제공되거나, 이동거리를 누적량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아울러 활동정보의 경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애완동물의 활동영역을 평면도 형태로 표시하고, 각 활동 지점에서의 이동량을 그림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과 같은 활동정보 페이지는 이동하면서 머무른 공간 영역을 표시하며, 특히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머물거나 더 자주 머무른 지점은 더 진한 색상이나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활동정보를 더욱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자동 급식부(610)는 메인바디(611)와, 메인바디(611)의 전면에 설치된 급식대(612)와, 상기 메인바디(611)의 내부에 설치되어 다량의 사료가 수용된 사료통(미도시)과, 상기 사료통의 사료를 급식대(612)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닛(미도시)을 구비한다.
메인바디(611)는 내부에 사료통 및 배출유닛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상단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한편, 메인바디(61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외관이 미려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바디(611)의 전면 하부에는 배출유닛에 의해 이송된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613)가 형성되어 있다.
급식대(612)는 배출구(613) 하측의 메인바디(611) 전면에 설치되며, 메인바디(611)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급식대(612)는 상부에 배출구(613)로부터 배출된 사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사료통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메인바디(611)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다량의 사료가 수용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메인바디(611)의 배출구(613)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배출유닛은 상기 배출구(613)를 개폐하여 급식대(612)로의 사료의 공급여부를 결정한다. 배출유닛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배출구(6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6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도어의 회전축에 설치된 회동모터와, 관리자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에 배출구(613)가 개방되어 사료가 급식대(612)로 배출되도록 상기 회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구비한다. 한편, 배출유닛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설정된 시간에 사료통의 사료를 급식대(612)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정보수집부(620)는 상기 자동 급식부(610)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급식부(610)의 주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621)와, 상기 카메라(621)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애완동물을 검출하는 영상분석부(622)와, 상기 자동 급식부(610)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급식부(610) 인근의 소리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623)와, 상기 마이크(623)로부터 수집된 소리정보 중 상기 애완동물의 소리를 검출하는 소리분석부(624)를 구비한다.
카메라(621)는 자동 급식부(610)의 메인바디(611) 전면에 설치되어 메인바디(611) 전방을 촬영한다. 영상분석부(622)는 메인바디(611) 내부에 마련되며, 카메라(621)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고, 영상에서 애완동물을 검출한다. 이때, 영상분석부(622)는 관리자가 키우는 애완동물의 종류, 크기 또는 외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제1데이터 베이스(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애완동물의 형상 정보에 따라 영상에서 애완동물을 검출한다. 영상분석부(622)에서 검출된 검출정보는 제어부(660)로 전송된다. 상기 영상분석부(622)는 영상에서 특정 부분을 감지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상분석모듈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이크(623)는 메인바디(611)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메인바디(611) 주면의 소리 정보를 수집한다. 소리분석부(624)는 메인바디(611) 내부에 마련되며, 마이크(623)로부터 수집된 소리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소리정보에서 애완동물의 소리를 검출한다. 이때, 소리분석부(624)는 관리자가 키우는 애완동물의 다양한 소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제2데이터 베이스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2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애완동물에 대한 소리정보를 토대로 마이크(623)에 수집된 소리정보에서 애완동물의 소리를 검출한다. 상기 소리분석부(624)는 녹음된 소리에서 특정 소리를 감지하기 위해 종래에 일번적으로 사용되는 소리분석모듈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카메라(621) 및 마이크(623)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 및 소리 정보는 통신모듈(630)을 통해 메인관리서버(400) 또는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된다.
통신모듈(630)은 상기 정보수집부(62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메인바디(611) 설치된다. 또한, 통신모듈(630)은 통신망을 통해 카메라(621) 및 마이크(623)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 및 소리 정보를 메인관리서버(400) 또는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하며, 관리자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되는 관리자의 영상 또는 음성을 수신하여 외부 출력부(650)에 전달한다. 상기 통신모듈(630)은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비콘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구동부(640)는 상기 메인바디(611) 이동될 수 있도록 메인바디(611) 후방부 하측에 설치된 복수의 구동바퀴(641)와, 상기 구동바퀴(641)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메인바디(611)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조향바퀴와, 상기 구동바퀴(641)들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바퀴(641)들을 회전키는 휠구동모터와, 상기 조향바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바디(611)의 이동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조향바퀴를 회동시키는 조향작동부재와, 휠구동모터 및 조향작동부재를 제어하는 컨트롤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조향작동부재는 조향바퀴에 설치되어 조향바퀴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전기모터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조향바퀴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모듈은 제어부(660)에 의해 작동하며, 이동감지부(130), 고정감지부(200) 및 데이터 처리 서버(3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애완동물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 메인바디(611)가 애완동물의 현재위치에 인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휠구동모터 및 휠조향부재를 제어한다.
외부 출력부(650)는 단말기 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통신모듈(630)을 통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관리자의 영상 또는 음성을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651) 및 스피커(652)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모듈(651)은 메인바디(611)의 전면에 설치되며, 관리자 단말기(500)로부터 제공된 관리자의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LCD 패널이 적용된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자신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면, 통신모듈(630)은 전송된 관리자의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모듈(651)로 전달한다. 관리자가 집을 비우더라도 디스플레이 모듈(651)을 통해 출력되는 관리자의 영상에 의해 애완동물은 심적 안정감을 갖게 된다.
스피커(652)는 메인바디(611)에 설치되며, 관리자 단말기(500)로부터 제공된 관리자의 소리정보를 출력한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하여 전송하면 통신모듈(630)은 전송된 관리자의 목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스피커(652)로 전달한다. 이때, 스피커(652)는 녹음된 관리자의 목소리 뿐 아니라 관리자 단말기(500)로부터 제공된 관리자의 영상정보에 포함된 소리정보도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가 집을 비우더라도 스피커(652)를 통해 출력되는 관리자의 목소리에 의해 애완동물은 심적 안정감을 갖게 된다.
제어부(660)는 통신모듈(630)을 이용하여 정보수집부(62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500) 또는 메인관리서버(400)에 전송하거나 관리자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 및 소리정보를 외부 출력부(650)에 전달한다.
한편, 제어부(660)는 통신모듈(630)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500)로부터 추적신호가 수신되면, 정보수집부(620)를 통해 애완동물의 현재 정보가 수집될 수 있도록 자동 급식부(610)가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에 인접되게 이동되도록 구동부(640)의 컨트롤모듈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관리자는 원거리에서 집 안의 애완동물의 상태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추적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660)가 통신모듈(630)을 통해 상기 추적신호를 수신하면 구동부(640)의 컨트롤모듈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메인바디(611)를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에 인접되게 이동시킨다. 이때, 정보수집부(620)는 카메라(621) 및 마이크(623)를 통해 애완동물의 영상 정보 및 소리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660)는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시 상기 자동 급식부(610)가 초기 설치 위치에서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에 인접되게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64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정보수집부(62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별하는데, 상기 영상분석부(622)에서 분석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카메라(621)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기설정된 기준시간동안 상기 애완동물이 미검출될 경우,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한다.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제어부(660)는 메인바디(611)를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에 인접되게 이동되도록 구동부(640)의 컨트롤모듈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정보수집부(620)는 카메라(621) 및 마이크(623)를 통해 애완동물의 영상 정보 및 소리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준시간은 애완동물의 사료 공급의 시간 간격에 대응되게 5~6시간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660)는 상기 소리분석부(624)에서 상기 애완동물의 소리가 검출되되, 상기 영상분석부(622)에서 상기 애완동물이 미검출시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660)는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애완동물의 생체신호 즉, 심박수 또는 체온이 기설정된 기준 이하일 경우, 제어부(660)는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급식장치는 관리자 단말기(500)로부터 추적신호가 입력되거나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시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로 이동하여 애완동물의 현재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므로 관리자가 보다 용이하게 애완동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착용 단말기 본체(12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착용 단말기 본체(120)에 털 고정부(60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털 고정부(600)는 생체신호 감지센서(140)가 애완동물의 피부를 향해 노출되는 일측에서 착용 단말기 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빗과 같이 애완동물의 털을 일방항으로 빗어 견인할 수 있는 고정부재(610)들을 포함한다.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140)가 체온측정을 위한 비접촉시 체온감지센서일 경우, 상기털 고정부(600)는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140)가 피부와 인접한 상태로 유지되며, 피부와 생체신호 감지센서(140) 사이에 애완동물의 털이 위치하여 정확한 체온 측정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애완동물 급식장치
100: 단말기유닛
110: 착용부
140: 생체신호 감지센서
130: 이동감지부
150: 무선통신부
200: 고정감지부
300: 데이터 처리 서버
310: 정보처리부
320: 인터넷통신부
400: 메인관리서버
610: 자동 급식부
620: 정보수집부
630: 통신모듈
640: 구동부
650: 외부 출력부
660: 제어부

Claims (9)

  1. 애완동물의 신체에 부착하며, 상기 애완동물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가 마려된 단말기 유닛과;
    상기 단말기유닛의 이동감지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공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감지부와;
    상기 애완동물에 사료를 제공하는 자동 급식부와;
    상기 자동 급식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급식부 인근의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와;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자동 급식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상기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감지부 또는 고정감지부를 통해 파악된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에 인접되게 상기 자동 급식부를 이동시키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급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자동급식부가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에 인접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애완동물 급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부는
    상기 자동 급식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급식부의 주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애완동물을 검출하는 영상분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분석부에서 분석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기설정된 기준시간동안 상기 애완동물이 미검출될 경우,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급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부는
    상기 자동 급식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급식부의 주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애완동물을 검출하는 영상분석부와,
    상기 자동 급식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 급식부 인근의 소리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집된 소리정보 중 상기 애완동물의 소리를 검출하는 소리분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분석부에서 상기 애완동물의 소리가 검출되되, 상기 영상분석부에서 상기 애완동물이 미검출시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급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신호 감지센서와;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애완동물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자동급식부가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에 인접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애완동물 급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유닛은
    상기 애완동물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고정되며,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 및 이동감지부를 내장하는 착용 단말기 본체와,
    상기 착용단말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부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급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부는 송신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고정감지부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감지부가 상기 이동감지부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고정감지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감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 유닛의 위치 또는 이동방향을 산출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서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급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감지부들은 각각 상호 구분되는 송출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각각의 고정감지부에서 송출되는 송출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기유닛은 상기 이동감지부에서 수신되는 송출신호를 통해 상기 단말기유닛의 이동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급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관리자의 영상 또는 음성을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외부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급식장치.
KR1020170098562A 2017-08-03 2017-08-03 애완동물 급식장치 KR20190014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562A KR20190014733A (ko) 2017-08-03 2017-08-03 애완동물 급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562A KR20190014733A (ko) 2017-08-03 2017-08-03 애완동물 급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33A true KR20190014733A (ko) 2019-02-13

Family

ID=6536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562A KR20190014733A (ko) 2017-08-03 2017-08-03 애완동물 급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473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918A1 (ko) * 2019-02-16 2020-08-20 주식회사 로보이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
KR20210111075A (ko) * 2020-03-02 2021-09-10 주식회사 코어엠 스마트 사료 공급 장치, 스마트 사료 공급 장치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19934B1 (ko) * 2023-01-10 2023-04-10 (주)마미엘 반려 동물 자동 급식 및 훈련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WO2023229064A1 (ko) * 2022-05-26 2023-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내 펫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동작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918A1 (ko) * 2019-02-16 2020-08-20 주식회사 로보이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
KR20210111075A (ko) * 2020-03-02 2021-09-10 주식회사 코어엠 스마트 사료 공급 장치, 스마트 사료 공급 장치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3229064A1 (ko) * 2022-05-26 2023-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내 펫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동작방법
KR102519934B1 (ko) * 2023-01-10 2023-04-10 (주)마미엘 반려 동물 자동 급식 및 훈련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8136B2 (en) Monitoring device for animals
KR20190014733A (ko) 애완동물 급식장치
CN105208933B (zh) 用于监测动物的健康卫生的多种传感器
US8925485B2 (en) Intelligent pet-feeding device
US8866605B2 (en) Animal monitoring system
US8305220B2 (en) Monitoring and displaying activities
KR101960474B1 (ko)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US9807982B2 (en) Pet health monitoring and analysis
KR102139922B1 (ko) 반려동물 행동 감시 케어시스템
KR101922132B1 (ko) 반려동물의 감정 상태 감지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40032A (ko) 동물 배변 훈련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배변 훈련 시스템
KR102354642B1 (ko)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방법
CN111134033A (zh) 一种动物智能喂食器及其方法和系统
KR102182737B1 (ko) 가축의 생체정보 원격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분석 시스템
KR20180113744A (ko)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US202302927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n-invasive animal health sensing and analysis
AU2017315672A1 (en) Monitoring and identifying laboratory animals through uwb and other digital sensory signatures
CN208924916U (zh) 一种宠物窝
KR101657682B1 (ko) 가속도 센서 및 gps를 이용한 사료효율 분석 시스템
TW201713284A (zh) 用於感測寵物生理狀態之感測設備
US2019020654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data collection, and related charging station and system
KR20210073826A (ko) 애완동물건강 멀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 멀티 모니터링 방법
WO202207482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TWI813450B (zh) 寵物照護裝置
US202302405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n-invasive animal health sensing and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