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744A -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744A
KR20180113744A KR1020170045207A KR20170045207A KR20180113744A KR 20180113744 A KR20180113744 A KR 20180113744A KR 1020170045207 A KR1020170045207 A KR 1020170045207A KR 20170045207 A KR20170045207 A KR 20170045207A KR 20180113744 A KR20180113744 A KR 20180113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unit
movement
sen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티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티케이
Priority to KR1020170045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3744A/ko
Publication of KR20180113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rket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에게 착용하는 단말기를 통해서 애완동물의 활동량과 체온 측정을 통해 원거리에서도 애완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애완동물의 신체에 부착하며, 상기 애완동물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와 체온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단말기유닛과, 상기 단말기유닛의 이동감지부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실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감지부와, 상기 단말기유닛과 고정감지부의 감지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정보와 체온정보를 표시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PET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에게 착용하는 단말기를 통해서 애완동물의 활동량과 체온 측정을 통해 원거리에서도 애완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인 가구의 증가 등으로 강아지, 고양이 등 애완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1인 가구의 정서적 안정과 유대감 향상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한편으로는 외부 생활을 진행하는 동안 애완동물이 집에서 혼자 시간을 보내야 하여, 애완동물의 우을증 증가와 같은 부가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과의 계속적인 교감을 위해 CCTV 등을 통해 관찰하는 기술 또한 이미 공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단일방향의 소통에 국한 되어, 단순히 정해진 공간 내에 있는 애완동물의 행동만 관찰하는데 그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08-0001330호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반려동물 감지 시스템 및 반려동물급식, 수 장치에 대해 소개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고정된 장소의 카메라를 통해 애완동물의 움직임과 상태를 파악하고 주인과 소통하는데 있어, 공간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08-000133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확인하고, 체온정보를 통해 애완동물의 건강상태를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애완동물의 신체에 부착하며, 상기 애완동물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와 체온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단말기유닛과, 상기 단말기유닛의 이동감지부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실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감지부와, 상기 단말기유닛과 고정감지부의 감지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정보와 체온정보를 표시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유닛은 애완동물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감지부 및 체온감지센서를 내장하는 착용단말기 본체와, 상기 착용단말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체온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감지부는 상기 애완동물이 활동할 수 있는 활동 영역 내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감지부들에 상기 이동감지부가 근접할 때, 이를 감지하는 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감지부를 착용한 애완동물의 이동경로 및 이동상황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감지부는 송신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감지부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감지부가 상기 이동감지부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고정감지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감지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유닛의 위치 또는 이동방향을 산출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서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감지부는 각각 상호 구분되는 송출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각각의 고정감지부에서 송출되는 송출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기유닛은 상기 이동감지부에서 수신되는 송출신호를 통해 상기 단말기유닛의 이동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는 상기 정보처리부에서 산출된 애완동물의 활동정보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체온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메인 관리서버로 업로드 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온감지센서는 상기 착용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애완동물의 피부를 향해 노출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피부를 통해 체온을 측정하는 비접촉신 온도센서이며, 상기 착용 단말기 본체에는 상기 애완동물의 피부를 향하는 일측에 애완동물의 털을 상기 체온감지센서의 감지영역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털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원거리에서도 애완동물의 활동량 및 활동 상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의 체온 정보를 통해 애완동물의 건강상태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단말기유닛과 실내에 설치되는 고정감지부 및 데이터 처리서버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단말기유닛과 고정감지부 및 데이터 처리서버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도 4는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체온 정보의 출력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휴대단말기에서 활동량 정보의 출력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실내에서 애완동물의 활동 반경 및 이동 점유율을 표시한 실시예의 도면,
도 7은 털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단말기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애완동물의 신체에 착용하는 단말기유닛(100)과, 상기 단말기유닛(100)과 함께 애완동물의 활동정보 획득을 위해 설치되는 고정감지부(200)와, 체온 및 활동량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메인관리서버(400)로 업로드 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서버(300)와, 메인관리서버(400)에 업로드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휴대단말기(50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유닛(100)은 상술한 것처럼 애완동물의 신체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애완동물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110)와, 상기 착용부(110)에 고정되는 착용단말기 본체와, 상기 착용단말기 본체에 내장되는 체온감지센서(140)와 이동감지부(130) 및 무선통신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착용부(110)는 애완동물의 의류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앞다리와 가슴을 포함하는 몸통을 둘러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착용부(110)에 앞발을 끼워넣을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에 앞발을 끼워넣은 후 양단을 애완동물의 몸통을 감싸도록 고정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착용부(110)는 착용단말기 본체를 애완동물의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용단말기 본체는 상기 체온감지센서(140)와 무선통신부(150) 및 이동감지부(130)를 내장하기 위한 케이스이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요소들의 구동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도 내장하고 있다.
착용단말기 본체는 애완동물의 피부와 접촉하는 일측으로 상기 체온감지센서(140)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체온감지센서(140)는 애완동물의 피부측으로 노출되어 체온을 감지하는 비접촉식 온도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감지부(130)는 후술하는 고정감지부(200)와 함께 애완동물의 활동량 및 이동경로에 대한 활동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이동감지부(130)는 소정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이동감지부(130)의 송출신호를 후술하는 고정감지부(200)가 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50)는 체온감지센서(140)에서 측정한 체온정보를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데이터 처리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무선통신부(150)는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비콘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감지부(200)는 이동감지부(130)와 함께 애완동물의 활동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동물이 활동하는 활동 영역에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주택의 실내에서 애완동물이 활동하며, 거실과 방에 각각 고정감지부(200)들이 설치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고정감지부(200)는 후술하는 정보처리부(310)에 수신정보를 전달하고, 정보처리부(310)는 수신정보를 활용해 애완동물이 이동하는 이동위치와, 이동거리 등의 활동정보를 산출한다.
각 실내에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애완동물이 착용한 단말기유닛(100)의 이동감지부(130)에서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송출신호는 고정감지부(200)에서 감지되고, 고정감지부(200)들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정보처리부(310)에서 수신하여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확인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진행함에 따라 각 시간별로 애완동물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통해 애완동물이 이동한 이동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애완동물의 활동량과 이동거리 등의 활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애완동물의 위치 확인은 다양한 방법으로 산출할 수 있는데, 복수개의 고정감지부(200) 중 가장 가까운 고정감지부(200)의 위치를 기초로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으며, 또는 각 방 또는 거실에 세 개 이상의 고정감지부(2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삼각측량법을 통해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처리부(310)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서버(300)는 상기 정보처리부(310)에서 산출한 애완동물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활동량 정보와 함께 무선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애완동물의 체온정보를 메인관리서버(400)로 업로드한다. 상기 메인관리서버(400)로의 데이터 업로드를 위해 데이터 처리서버(300)는 인터넷 통신망과 접속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통신부(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동감지부(130)에서 신호를 송출하고, 고정감지부(200)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고정감지부(200)들에서 상호 구분되는 신호, 예를 들면 상호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하고, 단말기유닛(100)의 이동감지부(130)에서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처리부(310)는 단말기유닛(100)에 마련될 수 있으며, 각 고정감지부(200)들에서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면, 이동감지부(130)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데, 고정감지부(200)와 애완동물의 거리에 따라 송출된 신호의 수신 시간에 시간차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시간차를 통해서 애완동물의 위치를 산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휴대단말기(500)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메인관리서버(400)로 업로드된 정보를 출력하여 실시간으로 애완동물의 활동정보와 체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500)는 애완동물 관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별도의 단말기일 수도 있으나,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PC와 같은 모바일 기깅일 수 있다.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인관리서버(400)에 업로드된 정보들 중 설정된 애완동물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스마트폰을 통해 출력되는 애완동물의 정보 표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경우 애완동물의 체온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이며, 화면 상부측에 가장 최근에 측정된 애완동물의 체온이 표시된다. 상기 측정된 체온 정보의 외부를 둘러싼 원의 경우 측정 체온이 정상 범주일 때와 그렇지 않을때의 색상을 서로 달리하여 체온이 정상 상태인지의 여부를 즉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의 아래쪽에는 일정주기로 측정된 애완동물의 측정체온이 꺾은석 그래프 형태로 제공되며, 이를 통해 체온의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체온 정보 출력페이지의 일측 또는 체온 정보 출력페이지에서 링크로 연동되는 페이지에 애완동물의 적정 체온 정보가 표시되어 현재 측정된 체온이 정상범주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애완동물의 활동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페이지의 실시예이다.
화면 상단에는 애완동물의 활동 정보를 수치화하여 표시하는데, 활동정보의 데이터는 누적 이동거리를 표시할 수도 있고, 단위 시간당 이동한 거리 정보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애완동물의 이동거리, 속도, 이동 빈도 수 등의 지표들을 통해 산출하는 별도의 지표 수치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화면의 하부에는 이동 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막대그래프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막대그래프 형태의 이동거리 데이터는 단위 시간당 이동한 이동거리 형태로 제공되거나, 이동거리를 누적량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아울러 활동정보의 경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애완동물의 활동영역을 평면도 형태로 표시하고, 각 활동 지점에서의 이동량을 그림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과 같은 활동정보 페이지는 이동하면서 머무른 공간 영역을 표시하며, 특히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머물거나 더 자주 머무른 지점은 더 진한 색상이나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활동정보를 더욱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착용 단말기 본체(12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착용 단말기 본체(120)에털 고정부(60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털 고정부(600)는 체온감지센서(140)가 애완동물의 피부를 향해 노출되는 일측에서 착용 단말기 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빗과 같이 애완동물의 털을 일방항으로 빗어 견인할 수 있는 고정부재(610)들을 포함한다.
상기털 고정부(600)는 체온측정을 위해 설치되는 체온감지센서(140)가 피부와 인접한 상태로 유지되며, 피부와 체온감지센서(140) 사이에 애완동물의 털이 위치하여 정확한 체온 측정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100: 단말기유닛
110: 착용부
120: 착용 단말기 본체
130: 이동감지부
140: 체온감지센서
150: 무선통신부
200: 고정감지부
300: 데이터 처리서버
310: 정보처리부
320: 인터넷통신부
400: 메인관리서버
500: 휴대단말기
600: 털 고정부
610: 고정부재

Claims (7)

  1. 애완동물의 신체에 부착하며, 상기 애완동물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와 체온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단말기유닛과;
    상기 단말기유닛의 이동감지부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실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감지부와;
    상기 단말기유닛과 고정감지부의 감지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정보와 체온정보를 표시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유닛은 애완동물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감지부 및 체온감지센서를 내장하는 착용단말기 본체와,
    상기 착용단말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체온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감지부는 상기 애완동물이 활동할 수 있는 활동 영역 내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감지부들에 상기 이동감지부가 근접할 때, 이를 감지하는 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감지부를 착용한 애완동물의 이동경로 및 이동상황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부는 송신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감지부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감지부가 상기 이동감지부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고정감지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감지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유닛의 위치 또는 이동방향을 산출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서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감지부는 각각 상호 구분되는 송출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각각의 고정감지부에서 송출되는 송출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기유닛은 상기 이동감지부에서 수신되는 송출신호를 통해 상기 단말기유닛의 이동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는 상기 정보처리부에서 산출된 애완동물의 활동정보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체온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메인 관리서버로 업로드 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감지센서는 상기 착용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애완동물의 피부를 향해 노출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피부를 통해 체온을 측정하는 비접촉신 온도센서이며,
    상기 착용 단말기 본체에는 상기 애완동물의 피부를 향하는 일측에 애완동물의 털을 상기 체온감지센서의 감지영역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털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70045207A 2017-04-07 2017-04-07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13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07A KR20180113744A (ko) 2017-04-07 2017-04-07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07A KR20180113744A (ko) 2017-04-07 2017-04-07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44A true KR20180113744A (ko) 2018-10-17

Family

ID=6409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207A KR20180113744A (ko) 2017-04-07 2017-04-07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37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839A (ko) 2018-11-12 2020-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렌옵틱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애완동물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10059941A (ko) * 2019-11-18 2021-05-26 유승오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US11675846B2 (en) * 2019-09-10 2023-06-13 Allfin Inc. Nutritional balance providing system based on pet health inform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839A (ko) 2018-11-12 2020-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렌옵틱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애완동물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675846B2 (en) * 2019-09-10 2023-06-13 Allfin Inc. Nutritional balance providing system based on pet health information
KR20210059941A (ko) * 2019-11-18 2021-05-26 유승오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932B1 (ko) 반려동물 케어를 위한 멀티모달 시스템
KR102139922B1 (ko) 반려동물 행동 감시 케어시스템
KR101922132B1 (ko) 반려동물의 감정 상태 감지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13744A (ko)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39229A (ko) 사물 인터넷 기반 반려 동물 생애 주기 관리 시스템
Wcislik et al. Wireless health monitoring system
JP2017027574A (ja) 近距離通信デバイスを用いた安否情報管理装置
KR20140049795A (ko)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KR101846845B1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20170038552A (ko) 배변 유무를 고지할 수 있는 기저귀 시스템
KR20190014733A (ko) 애완동물 급식장치
JP2021035355A (ja) 家畜の健康状態管理システム、家畜用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家畜の健康状態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Hung et al. A hybrid key item locating method to assist elderly daily life using internet of things
US117661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 physiological condition of a user
KR20220121084A (ko) 병실관리장치
KR20160045423A (ko) 반려동물 목걸이를 활용한 분실방지 및 건강관리 시스템
JP2016135172A (ja) 生体情報の通信監視システム
KR101657682B1 (ko) 가속도 센서 및 gps를 이용한 사료효율 분석 시스템
JP2006320290A (ja) 個体状態推定システム、個体状態推定方法
KR20180032254A (ko) 생체신호 측정장치
Jähne-Raden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 fall prevention on geriatric wards: A report
KR20170000093A (ko) 원격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090102903A (ko) 체온을 이용한 건강관리 기기 및 시스템
KR20210076540A (ko) 스마트 프렌즈 멀티 케어 웨어러블 밴드
CN211676225U (zh) 一种运动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