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474B1 -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474B1
KR101960474B1 KR1020170131402A KR20170131402A KR101960474B1 KR 101960474 B1 KR101960474 B1 KR 101960474B1 KR 1020170131402 A KR1020170131402 A KR 1020170131402A KR 20170131402 A KR20170131402 A KR 20170131402A KR 101960474 B1 KR101960474 B1 KR 10196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information
unit
sens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091A (ko
Inventor
윤상권
Original Assignee
아란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란타(주) filed Critical 아란타(주)
Publication of KR2018011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Card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가축에 장착되어 상기 가축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 센서부와, 상기 가축이 사육되는 사육시설의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사육시설에 설치된 환경 센서부와, 상기 생체 센서부 및 환경 센서에서 수집된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가 포함된 진단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통신모듈이 마련된 센서 유닛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된 상기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관제서버와,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관리자가 상기 가축 및 상기 가축의 주위 환경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진단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출력부가 마련된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은 센서유닛을 통해 가축의 생체정보 뿐 아니라 가축 주위의 환경에 대한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가축들의 상태를 진단하므로 진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은 센서유닛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학습하여 가축 또는 가축 주위 환경의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별하여 관리자 또는 가축 진료 기관에 판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가축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System for performing diagnosis of domestic animal}
본 발명은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와 같은 가축들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가축의 생체정보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이상 발생을 처리하는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 질병 관리는 축사에 사육중인 소, 돼지 등의 가축의 건강상태를 농장주 또는 관리인이 개체별로 일일이 가축의 발육상태, 체온, 맥박 및 호흡수 등을 직접 측정한 후, 측정된 정보를 전문 기관에 의뢰하여 분석함으로써, 가축에 대한 질병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러나, 측정된 정보가 전염병, 예컨대 구제역과 같은 전염성이 강한 전염병인 경우에는 초기 진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른 농가로 급속도록 확산되는 추세이다. 이럴 경우, 축산 농가에는 많은 재산적 피해를 입힐수 있고, 예방을 위한 방역 활동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가축 질병을 초기에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왔다.
대표적인 종래 기술의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213252호에서 가축 온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가축의 질병 진단 시스템 및 이의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 등록특허는 온도센서, 가축몸체관통부, 온도정보 송신수단을 구비한 온도감지몸체와, 온도감지몸체를 가축에 고정하는 온도감지몸체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온도감지몸체는 하단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온도센서로 구성하고, 상기 온도감지몸체 고정수단은 지지판, 탄성부, 탄성부 지지판, 주기둥 및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온도감지몸체에 선택적으로 GPS모듈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0941498호에서 맥박 측정용 압력센서를 이용한 가축 질병관리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등록특허는 가축용 이표의 몸체에 가축의 맥박을 센싱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탑재하고, 상기 센서의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탑재하여 기준 이상으로 맥박이 상승하였을 경우 관리자용 휴대용 단말기로 질병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원거리에 떨어진 관리자가 가축의 건강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가축 관리 시스템은 단순히 가축의 생체 정보만으로 진단하므로 가축 주위의 환경에 따른 가축의 질병 발생을 예측이나 예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가축의 생체정보 뿐 아니라 가축 주위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가축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은 가축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가축에 장착되는 생체 센서부와, 상기 가축이 사육되는 사육시설에 설치되어 가축 주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센서부와, 상기 생체 센서부 및 환경 센서부에서 수집된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가 포함된 진단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통신모듈이 마련된 센서 유닛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된 상기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관제서버와,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관리자가 상기 가축 및 상기 가축의 주위 환경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진단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출력부가 마련된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한다.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진단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의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이상 상황 판별모듈과, 상기 이상 상황 판별모듈에서 상기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에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경고신호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경고신호와 함께 상기 진단정보를 가축 진료 기관의 진료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생체 센서부는 상기 가축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가축의 맥박을 감지하는 맥박 감지 센서와, 상기 가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축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지피에스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온도센서, 가속도 센서 및 지피에스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축의 체온 정보, 움직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축의 발정 여부 또는 수태 여부를 판단하는 수태 정보 판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상 상황 판별모듈은 상기 수태 정보 판별부를 통해 제공되는 판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축이 발정 또는 수태 상태일 경우, 상기 가축의 이상 상황 발생으로 판단한다.
상기 환경센서부는 상기 가축 주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가축 주위의 풍향을 측정하는 풍향센서와, 상기 가축 주위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가축 주위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센서와, 상기 가축 주위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가축 또는 가축의 주위환경에 이상이 발생시, 관리자가 신호입력 동작으로 이상발생신호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신호활성화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진료자 단말기는 상기 진단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현장정보 저장부와, 상기 신호활성화부에서 상기 이상발생신호가 활성화되거나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시 상기 센서유닛에 저장된 상기 가축의 식별정보 및 상기 이상발생신호가 발생되거나 상기 경고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활성정보출력부와, 상기 이상발생신호가 상기 신호활성부에서 수신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의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연결되는 단말기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진료자 단말기는 상기 가축 또는 가축의 주위환경의 이상발생 상황이 종료시 진료자가 종료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상황종료버튼과, 상기 상황종료버튼을 통해 상기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센서유닛에 저장된 가축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상발생신호가 활성화되거나 상기 경고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시간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저장하는 상황정보 저장부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관리자와의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음성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관리자가 상기 가축 진료 기관을 호출하고, 상기 가축 진료 기관의 진료자 단말기와의 음성통화기능을 제공하는 기관호출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진단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신호활성부로부터 상기 이상발생신호가 발생된 시점 및 상기 상황종료버튼로부터 상기 종료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상 상황 판별모듈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하여 상기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의 이상상황 발생에 대한 판별기준을 생성하는 기준생성부와, 상기 판별기준을 토대로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진단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의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상황판별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은 센서유닛을 통해 가축의 생체정보 뿐 아니라 가축 주위의 환경에 대한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가축들의 상태를 진단하므로 진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은 센서유닛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학습하여 가축 또는 가축 주위 환경의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별하여 관리자 또는 가축 진료 기관에 판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가축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의 관리자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의 진료자 단말기의 대형 스크린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100)은 가축의 생체정보 및 가축 주위의 환경에 대한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센서유닛(200)과, 상기 센서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관제서버(300)와, 상기 관제서버(300)와 통신하여 상기 정보를 제공받는 관리자 단말기(400)와, 가축 진료 기관의 진료자 단말기(500)를 구비한다.
센서유닛(200)은 가축에 장착되어 상기 가축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 센서부(210)와, 상기 가축이 사육되는 사육시설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센서부(220)와, 상기 생체 센서부(210), 환경 센서부 및 카메라(230)에서 수집된 생체정보, 환경정보 및 영상정보가 포함된 진단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통신모듈(240)을 구비한다.
상기 생체 센서부(210)는 다수개가 목장 또는 축사에 사육되는 소와 같은 가축들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가축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가축의 맥박을 감지하는 맥박 감지 센서와, 상기 가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축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지피에스 수신부와, 상기 가축에 설치되어 상기 가축에 대한 음성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를 구비한다.
상기 온도센서 및 맥박 감지 센서는 동물의 피부에 접촉하여 체온 및 맥박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종래의 웨어러블 감지센서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속도 센서는 가축의 행동 특성을 가속도, 속도, 변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검출하는 것으로, 3축 가속도 센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피에스 수신부는 3개 이상의 지피에스 위성들로부터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토대로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방법에 따라서 현재 본체(110)의 위치를 계산하며, 계산된 위치정보를 산출한다. 상기 생체 센서부(210)를 통해 측정되는 가축의 체온 정보, 맥박 정보, 움직임 정보, 가축의 음성정보 및 가축의 위치 정보는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다.
한편, 상술된 생체 센서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다양한 가축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환경 센서부(220)는 목장 또는 축사에 사육되는 소와 같은 가축들의 사육시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사육시설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사육시설 내의 풍향을 측정하는 풍향센서와, 상기 사육시설 내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사육시설 내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센서와, 상기 사육시설 내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 센서와, 상기 가축이 사육되는 사육시설 내에 설치되어 상기 가축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한다.
이때,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는 주위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거나 조도를 측정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스센서는 가축 주위 축사 또는 목장의 가스 유무 또는 가스 량 등을 측정한다. 이때, 가스센서는 암모니아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향센서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소형 풍향계를 구비하고, 소형 풍향계의 회전방향을 토대로 가축 주위 바람의 풍향을 감지한다. 냄새센서는 가축의 배변 냄새 또는 오물에 대한 냄새를 감지하고, 감지정보를 통신모듈(240)을 통해 관제서버(300)로 전송한다.
카메라는 상기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 또는 목장 내에 설치되어 상기 가축을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는 가축들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축사의 천장부나 목장에 설치된 기둥의 상측에 설치되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환경 센서부(22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비가 내릴 경우, 가축이 맞는 비의 산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산성도 센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환경 센서부(220)를 통해 가축 주위 환경의 습도 정보, 풍향 정보, 조도 정보, 암모니아 가스 농도 정보, 냄새 정보 및 비의 산성도 정보는 상기 환경 정보에 포함된다.
또한, 상술된 환경 센서부(220)는 생체 센서부(210)와 함께 가축에 장착될 수도 있다.
통신모듈(240)은 생체 센서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생체정보, 환경 센서부(220)로부터 제공되는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300)에 전송한다. 상기 통신모듈(240)은 와이파이, 비콘, 블루투스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240)은 각 생체 센서부(210) 및 환경 센서부(220)가 설치된 가축의 식별정보들이 저장된 메모리를 더 구비한다. 상기 통신모듈(240)은 상기 진단정보를 전송시 각 생체 센서부(210) 및 환경 센서부(220)가 설치된 가축의 식별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관제서버(300)는 상기 센서유닛(200)의 통신모듈(240)과 통신하여 센서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단정보들을 수집하고, 상기 진단정보들을 관리자 단말기(400) 또는 진료자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제서버(300)는 상기 센서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진단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데이터 베이스부(310)와, 상기 온도센서, 가속도 센서 및 지피에스 수신부(42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축의 체온 정보, 움직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축의 발정 여부 또는 수태 여부를 판단하는 수태 정보 판별부(320)와, 상기 온도센서, 가속도 센서 및 지피에스 수신부(42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축의 체온 정보, 움직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축의 활동량을 산출하는 활동량 산출부(330)와, 상기 센서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단정보를 토대로 가축의 되새김질 여부를 판별하는 되새김질 판별부와, 상기 센서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진단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의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과, 상기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에서 상기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에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경고신호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하거나 상기 경고신호와 함께 상기 진단정보를 가축 진료 기관의 진료자 단말기(500)에 전송하는 제어부(360)를 구비한다.
수태 정보 판별부(320)는 진단정보 중 가속도 센서를 통해 제공되는 가축의 움직임 정보, 온도센서를 통해 제공되는 체온정보, 지피에스 수신부(420)를 통해 제공되는 가축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가축의 발정 여부 및 가축의 수태 여부를 판별한다. 수태 정보 판별부(32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발정 또는 수태시 가축의 움직임 패턴, 이동 패턴 및 체온 변화 패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제1메모리를 더 구비하는데, 수태 정보 판별부(320)는 센서유닛(200)을 통해 제공되는 진단정보를 통해 현재 가축의 움직임 패턴, 이동 패턴 및 체온 변화 패턴을 산출하고, 산출된 패턴 데이터를 제1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가축의 수태 또는 발정 여부를 판별한다.
수태 정보 판별부(320)를 통해 판별된 가축의 수태 또는 발정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10)에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되며, 진단 정보와 함께 관리자 단말기(400) 또는 진료자 단말기(500)로 전송된다.
활동량 산출부(330)는 진단정보 중 가속도 센서를 통해 제공되는 가축의 움직임 정보, 온도센서를 통해 제공되는 체온정보, 지피에스 수신부(420)를 통해 제공되는 가축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각 가축의 활동량을 산출한다. 이때, 활동량 산출부(330)를 통해 산출된 가축의 활동량에 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10)에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되며, 진단 정보와 함께 관리자 단말기(400) 또는 진료자 단말기(500)로 전송된다.
되새김질 판별부는 진단정보 중 가속도 센서를 통해 제공되는 가축의 움직임 정보, 온도센서를 통해 제공되는 체온정보를 토대로 각 가축의 되새김질 여부를 판별한다. 되새김질 판별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가축이 되새김질시 가축의 움직임 패턴 및 체온 변화 패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제2메모리를 더 구비하는데, 되새김질 판별부는 센서유닛(200)을 통해 제공되는 진단정보를 통해 현재 가축의 움직임 패턴 및 체온 변화 패턴을 산출하고, 산출된 패턴 데이터를 제2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가축의 되새김질 여부를 판별한다.
되새김질 판별부를 통해 판별된 가축의 되새김질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10)에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되며, 진단 정보와 함께 관리자 단말기(400) 또는 진료자 단말기(500)로 전송된다.
데이터 베이스부(310)는 상기 센서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진단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부(310)는 후술되는 관리자 단말기(400)의 신호활성부로부터 상기 이상발생신호가 발생된 시점 및 후술되는 진료자 단말기(500)의 상황종료버튼(540)로부터 상기 종료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데이터 베이스부(310)는 센서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단정보, 이상발생신호 발생된 시점 정보 및 종료신호가 입력된 시점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리스트로 정리하여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10)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관리자 단말기(400) 또는 진료자 단말기(500)가 요청시 각 단말기로 제공된다.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은 센서유닛(200)을 통해 제공되는 진단정보가 기설정된 기준들 이하 또는 이상일 경우, 가축 또는 가축 주위 환경의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된다. 이때,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진단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별로 기설정된 기준이 저장된 제3메모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일예로,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가축의 온도가 제3메모리에 기 저장된 최저 온도 기준보다 낮거나 최고 온도 기준보다 높을 경우,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은 상기 가축에 질병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한다. 또한, 맥박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가축의 맥박이 제3메모리에 저장된 최저 맥박수보다 낮거나 최고 맥박수보다 높을 경우,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은 가축의 건강상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한다. 그리고,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은 습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습도가 기설정된 습도보다 높거나 풍향센서를 통해 측정된 풍향이 소정의 단위시간동안 변경빈도가 설정된 수 이상이거나 가스센서를 통해 다량의 암모니아 가스가 감지되거나 냄새 센서를 통해 가축 주위에 배변 또는 오물의 냄새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상이 거나 조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가축 주위의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 이하일 경우, 가축 주위 환경에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한다.
또한,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은 상기 되새김질 판별부를 통해 판별된 정보를 토대로 하루동안 되새김질 발생 빈도가 기설정된 수보다 낮거나 되새김질 발생 간격이 설정된 기준보다 클 경우, 또는 활동량 산출부(330)를 통해 산출된 가축의 활동량이 기설정된 활동량보다 낮을 경우, 가축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은 상기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은 상기 수태 정보 판별부(320)를 통해 제공되는 판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축이 발정 또는 수태 상태일 경우, 상기 가축의 이상 상황 발생으로 판단한다.
한편,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10)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하여 상기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의 이상상황 발생에 대한 판별기준을 생성하는 기준생성부(351)와, 상기 판별기준을 토대로 상기 수신부(420)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진단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의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상황판별부(352)를 더 구비한다.
기준생성부(351)는 데이터 베이스부(310)에 저장된 진단정보, 이상발생신호 발생된 시점 정보 및 종료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학습한다. 즉, 기준생성부(351)는 데이터 베이스부(310)에 저장된 데이터들 중 이상발생신호가 발생된 시점의 진단정보, 종료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진단 정보를 학습자료로 선정하고, 선정된 학습자료를 학습하여 진단정보에 대한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기준을 생성한다. 상기 기준생성부(351)는 인공신경망 모델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황판별부(352)는 기준생성부(351)를 통해 판별기준이 생성되면, 센서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단정보를 상기 판별기준을 토대로 분석하여 가축 또는 가축의 주위 환경에 대한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별한다.
제어부(360)는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을 통해 가축 또는 가축 주위 환경에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경고신호를 관리자 단말기(400) 또는 진료자 단말기(500)에 전송한다.
제어부(360)는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을 통해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400)에 설치된 내장카메라로 촬영한 가축의 영상을 진료자 단말기(500)로 전송하고, 관리자가 진료자와 음성통화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400)와 진료자 단말기(500)를 연결하여 진료자가 관리자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토대로 가축의 상태를 확인하여 진단 및 처방을 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관제서버(300)와 통신하여 경고신호 또는 경고신호와 함께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가축을 포함한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내장카메라가 마련된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는 상기 관제서버(300)와 통신하여 상기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420)와, 관리자가 상기 가축 및 상기 가축의 주위 환경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부(420)에서 수신된 상기 진단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출력부(430)를 구비한다.
상기 수신부(420)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의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관제서버(300)와 통신하여 진단정보 및 경고신호를 수신한다. 정보출력부(430)는 스마트폰 또는 PDA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수신단 진단정보 및 경고신호를 표시한다. 또한, 정보출력부(430)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가축의 울음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부(420) 및 정보출력부(430)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관리자 단말기(400)는 상기 가축 또는 가축의 주위환경에 이상이 발생시, 관리자가 신호입력 동작으로 이상발생신호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신호활성화부(440)와, 관리자가 상기 가축 진료 기관을 호출하고, 상기 가축 진료 기관의 진료자 단말기(500)와의 음성통화기능을 제공하는 기관호출부(450)를 구비한다.
신호활성화부(440)는 관리자 단말기(400)를 사용하는 관리자가 가축 또는 가축 주위 환경에 이상상황이 발생시 가축 진료 기관에 긴급연락을 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신호활성화부(440)(210)는 관리자 단말기(400)의 터치 스크린 화면(401)에 사용자의 긴급신호입력동작의 실행을 위한 버튼타입의 아이콘(411)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관리자 단말기(400)의 터치 스크린 화면(401)에 버튼타입의 아이콘(411)이 제공된 상태는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아이콘(411)은 관리자 단말기(400)의 터치 스크린 화면(401)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관리자 단말기(400)의 터치 스크린 화면(401)이 잠긴 상태 및 터치 스크린 화면(401)이 관리자 단말기(400)의 조작이 가능하게 열린 상태에서 항상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단말기(4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관리자 단말기(400)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기울기 센서(미도시)가 마련되는데, 상기 신호활성화부(440)는 관리자 단말기(400)의 터치스크린에 제공된 상기 아이콘(411)을 사용자가 누르는 긴급신호입력동작이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및 관리자 단말기(400)의 기울기센서에서 기울기가 발생하는 기울기동작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이면 이상발생신호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입력동작이 5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상발생신호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상기 기울기센서에서 기울기가 발생하는 횟수가 5회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상발생신호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관호출부(45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아이콘(411)과 유사하게 관리자 단말기(400)의 터치 스크린 화면(401)에서 호출버튼 이미지를 형성하며, 관리자가 상기 호출버튼 이미지를 터치할 경우, 기설정된 진료자 단말기(500)에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관리자는 기관호출부(450)를 통해 진료자와 손쉽게 통화할 수 있다. 이때, 기관호출부(450)는 진료자 단말기(500)에 연결시, 진료자가 가축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400)에 설치된 내장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진료자 단말기(500)에 전송한다.
상술된 신호활성화부(440) 및 기관호출부(450)는 응용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관리자 단말기(400)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료자 단말기(500)는 관제서버(300)와 통신하고, 이상발생신호에 대응하여 이상발생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진료자 단말기(500)는 관제서버(300)와 통신하여 진단정보 및 경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510), 수신모듈(510)에서 수신된 진단정보를 출력하여 가축 또는 가축 주위 환경에 대한 이상상황 발생을 판단하는 현장표시모듈(520),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의 상황에 따라 처리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처리수단(530)을 구비한다.
상기 수신모듈(510)은 현장정보 저장부(511), 활성정보출력부(512)(430), 단말기 연결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정보 저장부(511)에는 수신모듈(510)이 관제서버(300)와 통신하여 관제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진단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될 수 있다.
활성정보출력부(512)(430)는 관제서버(300)와 통신하여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의 이상발생신호 및 관제서버(300)의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고, 이상상황이 발생된 가축에 대한 식별정보 및 상기 이상발생신호가 발생되거나 경고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정보는 센서유닛(200)의 통신모듈(240)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 통신모듈(240)에는 생체 센서부(210) 및 환경 센서부(220)가 장착된 가축들 각각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단말기 연결부(513)는 이상발생신호 또는 경고신호가 활성정보출력부(512)로 수신되면 진료자 단말기(500)를 관리자 단말기(400)와 연결할 수 있다. 즉, 단말기 연결부(513)는 상기 이상발생신호가 관리자 단말기(400)의 신호활성부(440)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에 설치된 내장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수신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의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연결할 수 있다.
단말기 연결부(513)는 진료자의 선택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료자 단말기(500)에 버튼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현장표시모듈(520)는 위치정보표시부(521), 음성출력부(522), 영상표시부(523) 및 센싱 정보 표시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표시부(521)는 수신모듈(510)를 통해 수신된 각 가축의 위치정보를 지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위치정보표시부(521)는 생체 센서부(210)의 지피에스 수신부(42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수신모듈(510)을 통해 전달받아 표시한다.
음성출력부(522)는 수신모듈(510)를 통해 수신된 가축의 음성정보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522)는 셍체 센서부의 마이크로부터 제공되는 가축의 음성정보를 수신모듈(510)을 통해 전달받아 출력한다.
영상표시부(523)는 수신모듈(510)를 통해 수신된 카메라(230)의 영상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센싱 정보 표시부(524)는 지피에스 수신부(42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 마이크를 통해 제공되는 가축의 음성정보 및 카메라(230)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정보를 제외한 진단정보를 표시한다. 진료자는 이러한 현장표시모듈(52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들을 통해 가축 또는 가축 주위 환경의 이상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처리수단(530)은 음성출력부(522)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음성출력 선택부(531), 영상표시부(523)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영상표시선택부(532)를 구비한다. 이러한 처리수단(530)은 진료자가 상기 현장표시모듈(520)를 통해 확인하여 판단한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에 대한 이상 상황 발생 여부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서 설명되는 진료자 단말기(500)에서 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진료자 단말기(500)는 대형 스크린(505)을 포함할 수 있고, 대형 스크린(505)에는 수신모듈(510)의 활성정보출력부(512)(430)를 통해 출력되는 가축의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영역, 각 가축의 위치정보를 지도 형태로 표시하는 위치정보표시부(521), 카메라(230)로부터 촬영된영상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표시부(523), 나머지 진단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센싱 정보 표시부(524)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형 스크린(505)의 한 화면에서 위급현장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100)의 진료자 단말기(500)는 상황종료버튼(540), 상황정보 저장부(550) 및 음성데이터 저장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황종료버튼(540)은 진료자 단말기(500)를 통해 상기 가축 또는 가축의 주위환경의 이상발생 상황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어 이상발생 상황이 완료되면 진료자에 의해 선택되어 종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황정보 저장부(550)는 상황종료버튼(540)이 선택되어 종료신호가 생성되면, 활성정보출력부(512)(430)에서 출력되는 가축의 식별정보 및 이상발생신호가 활성화되거나 경고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리스트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음성데이터 저장부(560)는 단말기 연결부(513)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400)와 연결되어 관리자 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관리자와의 통화내용이 저장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100)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축들에 설치된 생체 센서부(210)들 및 환경 센서부(220)들로부터 진단정보가 통신모듈(240)을 통해 관제센터로 전송된다. 상기 관제센터는 센서유닛(200)으로부터 제공받은 진단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0) 및 진료자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이때, 관제센터의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은 상기 진단정보, 수태 정보 판별부(320) 및 되새김질 판별부로부터 판별된 정보 또는 활동량 산출부(330)로부터 산출된 활동량 정보를 토대로 각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에 이상상황 발생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을 통해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에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는 관제서버(300)는 관리자 단말기(400) 또는 진료자 단말기(500)로 경고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이상 상황 판별모듈(350)은 데이터 베이스부(310)에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하여 판별기준을 생성하고, 생성된 판별기준에 따라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에 이상상황 발생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한편, 관리자 단말기(400)는 관제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진단정보를 정보출력부(430)를 통해 표시하며, 관리자가 상기 진단정보를 토대로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에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신호활성화부(440)를 통해 이상발생신호을 발생시켜 관제서버(300)를 통해 진료자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이때,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400)의 기관호출부(450)를 통해 가축 진료 기관의 진료자를 직접 호출하여 통화할 수도 있다.
한편, 진료자 단말기(500)는 관제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진단정보가 현장정보 저장부(511)에 저장된다. 진료자는 진료자 단말기(500)의 현장표시모듈(520)을 통해 표시되는 진단정보를 토대로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에 이상상황 발생이 판단되면, 단말기 연결부(513)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400)를 연결하여 관리자와 음성통화를 하여 경고하거나 처리방법을 안내할 수도 있다. 이상상황이 종료되면 진료자는 진료자 단말기(500)의 상황종료버튼(540)을 조작하여 종료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100)은 센서유닛(200)을 통해 가축의 생체정보 뿐 아니라 가축 주위의 환경에 대한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가축들의 상태를 진단하므로 진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100)은 센서유닛(200)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310)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학습하여 가축 또는 가축 주위 환경의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별하여 관리자 또는 가축 진료 기관에 판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가축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200: 센서유닛
210: 생체 센서부
220: 환경 센서부
230: 카메라
240: 통신모듈
300: 관제서버
310: 데이터 베이스부
320: 수태 정보 판별부
330: 활동량 산출부
350: 이상 상황 판별모듈
360: 제어부
400: 관리자 단말기
420: 수신부
430: 정보출력부
440: 신호활성화부
450: 기관호출부
500: 진료자 단말기
510: 수신모듈
513: 단말기 연결부
520: 현장표시모듈
530: 처리수단
540: 상황종료버튼
550: 상황정보 저장부
560: 음성데이터 저장부

Claims (10)

  1. 가축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가축에 장착되는 생체 센서부와, 상기 가축이 사육되는 사육시설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센서부와, 상기 생체 센서부 및 환경 센서부에서 수집된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가 포함된 진단정보를,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함께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통신모듈이 마련된 센서 유닛;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된 상기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관리자가 상기 가축 및 상기 가축의 주위 환경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진단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출력부와, 상기 가축 또는 가축의 주위환경에 이상이 발생시, 관리자가 신호입력 동작으로 이상발생신호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신호활성화부가 마련된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이상발생신호가 상기 신호활성화부에서 수신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내장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수신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의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연결되는 진료자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환경센서부는 상기 사육시설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사육시설 내의 풍향을 측정하는 풍향센서와, 상기 사육시설 내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센서와, 상기 가축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비가 내릴 경우, 상기 가축이 맞는 비의 산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산성도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생체 센서부와 함께 상기 가축에 장착되고,
    상기 생체센서부는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축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지피에스 수신부와, 상기 가축에 장착되어 상기 가축의 음성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된 상기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진단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의 이상상황 발생여부를 판별하는 이상 상황 판별모듈; 및
    상기 이상 상황 판별모듈에서 상기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에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가축의 영상을 상기 진료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가 진료자와 음성통화할 수 있도록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진료자 단말기를 연결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진료자 단말기는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진단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축의 위치정보를 지도 형태로 표시하는 위치정보표시부;
    상기 진단정보 중 상기 마이크로부터 제공된 상기 가축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상기 진단정보 중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영상표시부;
    상기 진단정보 중 상기 가축의 위치정보, 상기 가축의 음성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외한 정보를 표시하는 센싱 정보 표시부; 및
    상기 센서유닛에 저장된 가축의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영역, 상기 위치정보표시부, 상기 영상표시부 및 센싱 정보 표시부가 인접되게 배치된 대형 스크린;을 구비하는,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센서부는 상기 가축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가축의 맥박을 감지하는 맥박 감지 센서와, 상기 가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온도센서, 가속도 센서 및 지피에스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축의 체온 정보, 움직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축의 발정 여부 또는 수태 여부를 판단하는 수태 정보 판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상 상황 판별모듈은 상기 수태 정보 판별부를 통해 제공되는 판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축이 발정 또는 수태 상태일 경우, 상기 가축의 이상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는,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자 단말기는
    상기 진단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현장정보 저장부;
    상기 신호활성화부에서 상기 이상발생신호가 활성화되거나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시 상기 센서유닛에 저장된 상기 가축의 식별정보 및 상기 이상발생신호가 발생되거나 상기 경고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활성정보출력부; 및
    상기 이상발생신호가 상기 신호활성화부에서 수신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내장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수신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의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연결되는 단말기 연결부;를 구비하는,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자 단말기는
    상기 가축 또는 가축의 주위환경의 이상발생 상황이 종료시 진료자가 종료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상황종료버튼;
    상기 상황종료버튼을 통해 상기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센서유닛에 저장된 가축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상발생신호가 활성화되거나 상기 경고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시간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저장하는 상황정보 저장부;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관리자와의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음성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관리자가 가축 진료 기관을 호출하고, 상기 내장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진료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가축 진료 기관의 진료자 단말기와의 음성통화기능을 제공하는 기관호출부;를 더 구비하는,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진단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신호활성화부로부터 상기 이상발생신호가 발생된 시점 및 상기 상황종료버튼로부터 상기 종료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 더 구비하는,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황 판별모듈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하여 상기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의 이상상황 발생에 대한 판별기준을 생성하는 기준생성부와,
    상기 판별기준을 토대로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진단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축 또는 가축 주위의 환경의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상황판별부를 더 구비하는,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KR1020170131402A 2017-04-24 2017-10-11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KR101960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470 2017-04-24
KR20170052470 2017-04-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278 Division 2017-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091A KR20180119091A (ko) 2018-11-01
KR101960474B1 true KR101960474B1 (ko) 2019-07-15

Family

ID=6439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1402A KR101960474B1 (ko) 2017-04-24 2017-10-11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4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779A (ko) * 2019-11-29 2021-06-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가축 발성음 센싱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3272A (ko) * 2020-10-22 2022-04-29 주식회사 아이티테크 딥러닝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가축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591B1 (ko) * 2018-11-29 2021-09-30 김정우 알 추적 및 수거 시스템
KR102182176B1 (ko) * 2018-12-07 2020-11-24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가축 모니터링 장치 및 가축 모니터링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
CN109745018A (zh) * 2019-02-01 2019-05-14 内蒙古蜜蜂科技有限公司 一种牲畜生长过程的智能监测方法及系统
CN109906966A (zh) * 2019-03-28 2019-06-21 华中农业大学 一种畜禽养殖场多功能移动平台
KR102250862B1 (ko) * 2019-04-19 2021-05-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제역 감지 장치
CN110378553A (zh) * 2019-06-05 2019-10-25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智能养殖控制方法、装置、计算机装置及存储介质
CN112070621B (zh) * 2020-09-09 2023-10-20 新希望六和股份有限公司 一种生猪饲养管理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581505B1 (ko) * 2020-12-15 2023-09-25 주식회사 라이브스톡 기기간 통신에 기반한 가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315991B1 (ko) * 2020-12-31 2021-10-21 한국축산데이터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인공지능 기반 원격 가축 관리 장치 및 시스템
CN115225653A (zh) * 2021-04-15 2022-10-21 深圳市中融数字科技有限公司 畜牧物联网系统
JP2023150570A (ja) * 2022-03-31 2023-10-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データ収集装置、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収集方法
CN116432907B (zh) * 2023-04-15 2024-04-19 亭曈(杭州)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深度学习的牲畜运动行为分析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8573A (ja) * 2007-03-16 2008-10-02 Orion Mach Co Ltd 反芻動物の健康管理システム、反芻動物の健康管理方法および反芻動物の健康管理システム用首輪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860B1 (ko) * 2013-07-30 2016-03-21 주식회사 유코리아 Usn 센서를 활용한 축사환경지수 및 체온예측관리를 위한 웹/모바일기반 관리시스템
KR20150124310A (ko) * 2014-04-28 2015-11-05 주식회사 에임메드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가축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8573A (ja) * 2007-03-16 2008-10-02 Orion Mach Co Ltd 反芻動物の健康管理システム、反芻動物の健康管理方法および反芻動物の健康管理システム用首輪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N을 이용한 암소 발정감지 시스템. 서정택 외 4인.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36(2D), 2009.11, PP.181-186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779A (ko) * 2019-11-29 2021-06-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가축 발성음 센싱 시스템 및 방법
KR102364172B1 (ko) * 2019-11-29 2022-02-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가축 발성음 센싱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3272A (ko) * 2020-10-22 2022-04-29 주식회사 아이티테크 딥러닝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가축 관리 방법
KR102527322B1 (ko) * 2020-10-22 2023-05-03 주식회사 아이티테크 딥러닝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가축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091A (ko)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474B1 (ko)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US10485452B2 (en) Fall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961311B1 (ko) 가축용 질병 예측 및 알림 시스템
US8305220B2 (en) Monitoring and displaying activities
US889087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the path of an animal or a human in the home
US200601391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activity and fall
KR101574593B1 (ko)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EP2030181A1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for the real-time detection of epileptic seizures
KR20130042771A (ko) 원격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EP3717980B1 (en) Ultrasound analytics for actionable information
KR101445698B1 (ko) 실시간 자동 검진 방법 및 이를 위한 자동 검진 시스템
KR102231183B1 (ko) IoT 망을 이용한 독거인 생활 패턴 학습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82737B1 (ko) 가축의 생체정보 원격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분석 시스템
KR20190014733A (ko) 애완동물 급식장치
KR20150098024A (ko) 영상정보 및 생체신호정보를 이용한 동물의 사육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Biswas et al. Agitation monitoring of persons with dementia based on acoustic sensors, pressure sensors and ultrasound sensors: a feasibility study
KR100935879B1 (ko) 친생활 지능형 로봇을 이용한 헬스 케어 및 위험 진단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13384247A (zh) 照护系统与自动照护方法
WO2020075675A1 (ja) ケアシステムの管理方法および管理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05292129A (ja) 超音波位置計測装置
JP6509172B2 (ja) ストレスモニタ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771902B2 (ja) 可搬型医療用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30015651A (ko) 원격 건강관리 시스템
WO2023144877A1 (ja) 動物管理支援装置、動物管理支援方法、及び、記録媒体
US2023036040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