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310A -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가축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가축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310A
KR20150124310A KR1020140051060A KR20140051060A KR20150124310A KR 20150124310 A KR20150124310 A KR 20150124310A KR 1020140051060 A KR1020140051060 A KR 1020140051060A KR 20140051060 A KR20140051060 A KR 20140051060A KR 20150124310 A KR20150124310 A KR 20150124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ivestock
manager
management serv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마은영
유흔호
조규동
장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임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임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임메드
Priority to KR102014005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4310A/ko
Publication of KR20150124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가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사용자에게 가축 관리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관리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 및 가축 관리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정보와,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가축 관리 방법{Livestock man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가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대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의 가입자들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예를 들면,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또는 교통 정보 등을 문자, 음성 또는 이미지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화소수가 수십만 또는 수백만 화소 이상으로 향상되어 해상도 높은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먼 거리에서도 사물을 직접 대면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소, 돼지등과 같은 각종 가축을 사육하는 사용자들은 해당 가축에 질병 등이 발생하면 동물 병원을 찾아가거나, 수의사의 출장을 통해 진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가축은 의사표시를 할 수 없기 때문에 가축이 아픈 경우에는 소유주가 동물 병원을 찾아가거나, 수의사 등 관리자의 출장을 통해 해당 가축을 관찰하고, 증상에 대한 이야기 등을 통해 질병을 유추 또는 판단하여 필요한 약을 조제하거나 가축을 치료할 밖에 없다.
따라서, 축산업자들이 동물 병원을 직접 찾아가지 않고도 수의사 등의 관리자를 통하여 각종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관리서비스를 제공받을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가축을 보유한 축산업자들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축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축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에는,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사용자에게 가축 관리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관리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 및 가축 관리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정보와,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가축의 증상에 대해 원격으로 상담 및 자문을 제공받음으로써, 가축의 즉각적인 처치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특정 전문가를 선택하여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관리서비스 를 제공받음으로써,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증상 분석 결과 국가재난형 전염병으로 판단될 경우, 유관기관 접속용 단말기로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관리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질병 통제 및 관리에 도움이 된다.
또한, 사용자들의 정보 부재로 인한 선택권리 제한 및 부정확한 관리지침으로 인한 약품의 오남용, 부실한 육성 방법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측면에서의 가축 관리 방법의 동작과정의 흐름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로그인 생성 화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가축 관리 화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가축 종류 선택 화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주요 증상 선택 화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구체적인 증상 항목 선택 화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증상 분석 화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관리자 리스트를 보여주는 화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원격 상담 화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상담 예약 화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예약 완료 화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측면에서의 가축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로그인 생성 화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워크 플로우 화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예약 현황을 보여주는 화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증상 결과 화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300),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 데이터베이스 서버(400) 및 유관기관 접속용 단말기 (500)와 현장 임상 수의사 통신 단말기(600) 등을 포함한다.
각 디바이스(100, 200)와 통신 단말기(600) 및 관리 서버(300), 유관기관 접속용 단말기(50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통신망은 유/무선 인터넷 등의 각종 통신망으로서,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300),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 현장 임상 수의사 통신 단말기(600), 유관기관 접속용 단말기 (500) 사이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가축의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 및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는 PDA, 스마트폰, 테블릿 PC, 일반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가축 관리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를 이용하고,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접속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접속한 상태에서 가축의 병력 관리, 가축의 진단, 화상상담, 법정전염병 발생 현황 확인 등을 할 수 있다.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가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300)로 통신 접속을 진행한 후, 상기 디바이스(100)에 구비되는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규회원등록 데이터 또는 아이디, 패스워드 등의 로그인 데이터(또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여 회원 로그인을 진행한다.
사용자의 발현증상 선택에 따라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의사결정 순서에 따른 메뉴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관리대상인 가축의 각종 생체신호(체온, 호흡수, 심박수) 및 증상(행동상태 리스트, 임상증상 리스트, 과거 이력 등)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 구비되는 입력수단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는 입력된 원격관리 대상인 가축의 각종 증상 데이터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된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를 전송 받아 화면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는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가 추가 검증을 위하여 관리자에 의한 원격상담을 원하는 경우 관리자 상담요청 데이터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관리자 리스트를 전송 받아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는 관리자 리스트를 확인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특정 관리자 선택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원격 상담을 원하는 특정 관리자 정보(이름, 연락처 등)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30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 또는 지정한 관리자에 의해 작성된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를 전송 받아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술한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 및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는, 카메라 등의 촬영장비가 내장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격관리를 받을 가축의 영상데이터를 촬영하여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관리자 상담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가 선택 또는 지정한 관리자의 접속용 디바이스(200)로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영상 데이터가 원격관리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와 관리자가 화상 통화를 통해 가축에 대한 상담을 진행할 수 도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는 각 가축의 증상에 따른 질병 및 사양에 관한 관리 데이터 및 원격관리 상담을 수행할 관리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 회원 로그인을 요청하고,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되는 신규회원등록 데이터 또는 아이디, 패스워드 등의 로그인 데이터를 토대로 회원 로그인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300)는 원격관리에 관한 초기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 전송하고, 원격진료에 관한 초기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되는 발현증상 선택 데이터에 따라 의사결정을 위한 메뉴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의사결정을 위한 메뉴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입력한 증상 데이터가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부터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되면, 상기 관리서버(300)는 해당 데이터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참조하여 원격관리대상 가축의 증상을 분석하며, 분석결과에 따른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는, 최신의 축산 정보를 알아볼 수 있는 축산뉴스가 저장된 축산뉴스 DB(410)와,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정보 DB(420)와, 사용자 별 영상자료 및 응답자료가 저장된 상담 DB(430)와, 가축의 증상에 대한 항목 및 항목에 따른 증상 분석정보가 저장된 증상항목 DB(440)와, 관리자 정보가 저장된 관리자 DB(450)와, 국내/외에서 발생된 법정전염병 발생 정보가 저장된 법정전염병 발생 현황 DB(460) 및 사용자의 가축에 대한 변동이력, 병력, 연령 등이 저장된 관리 DB(470)를 포함한다.
가축의 질병이 국가재난형 전염병으로 의심되거나 판단될 경우, 상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가축의 증상 데이터를 확인한 관리자가 입력하는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300)가 상기 유관기관 접속용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따라서, 국가재난형 전염병이 확산되는 것을 조기에 억제하고, 관리 당국은 재빠르게 국가재난형 전염병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로부터 요청 받은 가축의 증상 데이터를 검토하여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관리서비스에 관해 관리자의 오프라인 및 직접적인 관리가 필요할 경우, 상기 관리 서버(300)가 상기 현장 임상 수의사 통신 단말기(600)로 결과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측면의 가축 관리 방법의 동작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그인 생성 화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가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접속되면, 관리 서비스에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도록 도 3과 같이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 로그인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세히,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 로그인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입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입력된다(S100).
상기 관리 서버(30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 가축 관리 서비스 이용을 위한 초기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관리 화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가 가축 관리 서비스 이용을 위한 초기 데이터를 수신하면, 가축 관리 화면이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 출력된다. 상기 가축 관리 화면은 가축의 변동이력, 병력, 연령 등을 관리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마이 차트 선택부와, 가축의 증상 분석을 위한 증상진단 선택부와, 관리자와의 화상 상담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화상상담 선택부와, 법정전염병 발생현황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법정전염병 발생현황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축 관리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증상 분석메뉴 선택부가 선택되면(S110),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는 증상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기 위한 일련의 화면이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 종류 선택 화면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축 관리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증상 진단메뉴 선택부가 선택되면, 증상 분석이 필요한 가축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가축 종류 선택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는 증상 분석에 필요한 가축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S120).
일 예로 상기 가축 종류 선택화면에, 증상 분석에 필요한 가축의 종류가 아이콘 형태 또는 문자 형태 등으로 표시되고, 사용자는 표시된 가축 종류 중에서 어느 한 가축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가축 종류 선택화면에는 증상 분석에 필요한 가축명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패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요 증상 선택 화면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가축 종류 선택화면에서 가축의 종류가 선택되면, 상기 관리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증상항목 DB(440)에서 가축의 종류에 대응하는 주요 증상 항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는 주요 증상을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증상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증상 선택 화면에는 선택된 가축에 대한 주요 다양한 증상이 나열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나열된 다양한 증상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130).
그리고, 상기 증상 선택 화면에는 다음 단계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다음단계 선택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구체적인 증상 항목 선택 화면도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증상 선택 화면에서 증상이 선택되면, 상기 관리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증상항목 DB(440)에서 가축의 종류와 주요증상에 따른 다양하고 구체적인 증상 항목 데이터를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는 구체적인 증상을 선택하기 위한 구체적인 증상 항목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S140).
상기 증상 항목 선택 화면에는, 가축의 정확한 증상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체적인 항목이 나열되고,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나열된 증상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S150).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상 분석 결과 화면도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증상 항목 선택 화면에서 구체적인 증상 선택되면, 관리 서버(300)는 해당 데이터를 토대로 증상항목 DB(4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참조하여 원격관리대상 가축의 증상을 분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공한 증상 데이터를 토대로 가축의 증상을 분석한 이후, 관리 서버(300)에서는 분석된 결과에 따른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과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해당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도 8과 같이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는 증상 분석 결과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S16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유하고 있는 가축의 증상에 따른 분석결과를 토대로 예상되는 질병 및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는 추가 검증을 위한 관리자 상담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묻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상기 화면에 상담 요청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 8과 같이 상기 증상 분석 결과 화면에 증상체크 종료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부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서는 도 4의 가축 관리 화면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원격상담 요청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S180), 증상 분석은 종료된다. 반면,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원격상담 요청 명령이 입력되면(S180),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는 원격상담 요청 명령을 관리 서버(300)로 전달한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관리자 DB(450)를 참조하여 관리자의 리스트와 접속여부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리스트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가 상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관리자의 리스트와 접속여부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면,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는 관리자 리스트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S190).
상기 관리자 리스트 화면에서 상담원 또는 수의사와 상담요청일자, 화상상담 또는 전화상담 여부 등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부터 상담에 필요한 정보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즉,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담원 또는 수의사와 상담요청일자, 화상상담 또는 전화상담 여부 등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부터 관리 서버(300) 측에서 제공한 관리자 리스트 중 한 명의 관리자가 선택되면, 관리 서버(30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관리자의 상태를 관리자 DB(450)로부터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선택된 관리자의 상태가 대기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만약, 선택된 관리자의 상태가 대기 상태이면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로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하여 증상항목 DB에 저장된 가축의 증상데이터를 전송하고 원격관리 상담을 요청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상담 화면도이다.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에 원격관리 요청이 전달되면, 관리자의 수락 신호를 받아 원격 상담화면이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와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 각각에 디스플레이 된다(S220). 일 예로 원격 상담은 영상 통화일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와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 각각의 화면에 관리자와 사용자를 보여주는 화면이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담 예약 화면도이다.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판단 결과, 선택된 관리자의 상태가 대기 상태가 아닐 경우, 도 11과 같이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 예약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S270).
상기 예약화면에서 관리자 상담원 또는 수의사와 상담요청일자, 화상상담 또는 전화상담 여부 등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약 완료 화면도이다.
도 2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의 예약 화면에서 예약항목이 선택되면(S280), 선택된 관리자의 예약 완료 화면이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 디스플레이 된다(S290).
물론, 단계 S210에서 판단 결과, 선택된 관리자의 상태가 대기 상태가 아닐 경우,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는 대기중인 다른 관리자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200에서 판단 결과,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서 관리 서버(300) 측에서 제공한 관리자 리스트 중 하나의 관리자가 선택되지 않으면, 관리 서버(300)에서는 관리자 DB(450)를 통해 무작위로 대기중인 관리자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대기중인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에 원격관리 요청을 전달하고, 관리자의 수락 신호를 받을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와 관리자의 접속용 디바이스 각각에 원격상담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S240).
원격상담 또는 전화상담 이후에 상기 관리 서버(300) 는 해당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로부터 관리자가 작성한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결과데이터를 기초로 가축의 질병이 국가재난형 전염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단계 S230에서 판단 결과, 가축의 질병이 국가재난형 전염병일 경우 관리 서버(300)는 유관기관 접속용 단말기(500)로 관리자의 결과데이터를 전송하게 되고(S250), 관리자가 작성하는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260).
단계 S230에서 판단 결과, 가축의 질병이 국가재난형 전염병이 아닐 경우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가 작성하는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260).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가축의 증상에 대해 원격관리를 제공받음으로써, 가축의 즉각적인 처치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특정 전문가를 선택하여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관리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써, 서비스의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증상 분석 결과 국가재난형 전염병으로 판단될 경우, 유관기관 접속용 단말기로 원격관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질병 통제 및 관리에 도움이 된다.
이하에서는, 관리자 측면에서의 축사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측면에서의 가축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로그인 생성 화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워크 플로우 화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예약 현황을 보여주는 화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관리자는 가축의 질병 및 사양 관리를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자이다.
먼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자 접속 디바이스가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면, 상기 관리자 접속 디바이스에 로그인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세히, 로그인 화면이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관리자의 로그인 정보가 입력된다(S300).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에서 입력된 정보는 상기 관리 서버(3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로 가축 관리 서비스 이용을 위한 초기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도 15와 같이 관리자의 워크 플로우 화면이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에 출력된다(S310).
상기 워크 플로우 화면에는 고객현황, 상담관리, 농장 모니터링, 쪽지함 관리, 라운지 관리 각각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 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워크 플로우 화면에서 상담관리 선택부가 선택되면, 상기 관리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 관리자 DB(450)를 통해 도 16과 같이 특정 관리자에 접수된 예약 현황 정보를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로 전달한다. 그러면,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에는 예약 현황판이 디스플레이 된다(S330).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에 디스플레이된 예약 현황판을 확인하여, 예약 존재 여부 등 상담에 필요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예약 현황판에서 특정 예약자를 선택하면, 해당 예약자가 입력한 가축의 증상 정보와 상기 관리 서버(300)에서 판단한 증상 분석 정보가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에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에서 도 2의 단계 S110 내지 S170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에는 예약 상담을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원격관리 상담 수락 명령이 입력되면, 관리 서버(300)는 사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 원격관리 상담을 요청한다.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상담수락 명령이 입력되면, 원격 상담화면이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와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 각각에 디스플레이 된다(S350).
상담이 완료된 후에,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를 통하여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고, 상기 관리 서버(300) 는 해당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에서 입력된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360).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농장 모니터링 화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5의 화면 또는 도 16의 화면에서 농장 모니터링 선택부가 선택되면,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에서는 농장 모니터링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농장 모니터링 화면에는, 도 2의 단계 110 내지 170을 수행하여 생성된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농장 모니터링 화면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가축의 증상 정보와 상기 관리 서버(300)에서 판단한 증상 분석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상기 농장 모니터링 화면을 확인하여 상담이 필요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원격관리 상담 요청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로 원격관리 상담을 요청한다.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상담수락 명령이 입력되면, 원격 상담화면이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와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 각각에 디스플레이 된다.
상담이 완료된 후에,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를 통하여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고, 상기 관리 서버(300) 는 해당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200)에서 입력된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Claims (15)

  1.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사용자에게 가축 관리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관리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 및
    가축 관리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정보와,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로 제공할 가축의 증상에 대한 항목 및 상기 항목에 따른 증상 분석 정보가 저장되는 증상항목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최신의 축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별 응답자료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관리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국내/외에서 발생된 법정전염병 발생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의 가축에 대한 변동이력, 병력, 연령 등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가축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 및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은,
    컴퓨터, 모바일, PDA, 스마트폰, 테블릿 PC 중에서 선택되는 가축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가축의 질병이 국가재난형 전염병으로 의심되거나 판단될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가축의 증상 데이터를 전송 받기 위한 유관기관 접속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가축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가축의 질병 및 사양관리에 관해 수의사의 현장방문 치료가 필요할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가축의 증상 데이터를 전송 받기 위한 현장 수의사 통신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가축 관리 시스템.
  7. 관리 서버에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가 접속하여,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가축 관리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가축 관리 화면 상에서 진단 선택부가 선택되고,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에 의해서 증상 분석에 필요한 가축 정보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서 입력된 가축 정보가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전송된 가축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축의 증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결과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분석 결과에 따른 결과데이터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 정보가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 가축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종류 선택화면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에 의해서 상기 가축의 종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가축의 주요 증상을 선택하기 위한 주요 증상 선택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에 의해서 가축의 주요 증상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가축의 구체적인 증상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구체적인 증상 항목 선택화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결과데이터가 표시된 이후에,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원격 상담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에 의해서 원격 상담이 선택되면, 상기 관리 서버가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로 상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로부터 수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관리 서버가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와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와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 각각에 원격 상담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원격 상담이 종료 후,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접속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에 의해서 원격 상담이 선택되어,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관리자 리스트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관리자와 상담요청일자, 화상상담 또는 전화상담 여부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관리자가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선택된 관리자에 대한 원격 상담 예약 화면이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예약 항목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예약 완료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특정 관리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관리 서버가 대기 상태인 임의의 관리자의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로 원격 상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축 관리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가축의 질병 및 사양에 관한 이상 내역과 분석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축의 질병이 국가재난형 전염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가축의 질병이 국가재난형 전염병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관리 서버가 유관기관 접속용 단말기로 증상 분석 데이터를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축 관리 방법.

  15. 관리 서버에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가 접속하여,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워크플로우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상기 워크플로우 화면 상에서 농장 모니터링 선택부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가축의 증상 정보와 상기 관리 서버에서 판단한 증상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로의 상담 요청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로 상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로부터 수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관리 서버가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와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 접속용 디바이스와 상기 관리자 접속용 디바이스 각각에 원격 상담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방법.


KR1020140051060A 2014-04-28 2014-04-28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가축 관리 방법 KR20150124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60A KR20150124310A (ko) 2014-04-28 2014-04-28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가축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60A KR20150124310A (ko) 2014-04-28 2014-04-28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가축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310A true KR20150124310A (ko) 2015-11-05

Family

ID=5460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060A KR20150124310A (ko) 2014-04-28 2014-04-28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가축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43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091A (ko) * 2017-04-24 2018-11-01 아란타(주)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CN111968002A (zh) * 2020-08-18 2020-11-20 武汉轻工大学 养殖服务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091A (ko) * 2017-04-24 2018-11-01 아란타(주)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CN111968002A (zh) * 2020-08-18 2020-11-20 武汉轻工大学 养殖服务系统
CN111968002B (zh) * 2020-08-18 2023-12-26 武汉轻工大学 养殖服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07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ed collaboration between automotive mechanics
KR101769480B1 (ko) 병원 진료 예약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방법
US11657175B2 (en) Patient medical data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n external device
JP5690383B2 (ja) 医療支援装置及びシステム
US10721436B2 (en) Method for providing video call service, electronic device therefor, and server therefor
US9002075B2 (en) Interpretation support system
JP2014044495A (ja) 医用画像管理サーバ
JP5698323B2 (ja) 医療支援装置及びシステム
KR20150124310A (ko)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가축 관리 방법
US201501784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patients and critical information
TWI556187B (zh) 看診順序安排方法、系統與一電腦可讀取儲存裝置
US201802613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ggregated and customizable clinical decision support information
KR20150118504A (ko) 동물병원의 전자진료의뢰 방법 및 전자진료의뢰 시스템
KR20060058446A (ko) 유/무선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원격진료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6190517B1 (ja) 通信端末、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724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JP2005196533A (ja) 連携診断装置
JP2004194759A (ja) 連携診断システム
JP7304020B2 (ja) レポーティング装置、レポーティング方法、レポーティングプログラム、及びレポーティングシステム
Abu-Seida et al. Veterinary telemedicine: A new era for animal welfare
US20130275147A1 (en) Medical information interoperability testing apparatus
JP2018120271A (ja) 医療連携システム
KR20160115169A (ko) 의료 정보 등록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40149141A1 (en) Remote Patient Monitoring System
WO20030961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