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593B1 -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593B1
KR101574593B1 KR1020130032722A KR20130032722A KR101574593B1 KR 101574593 B1 KR101574593 B1 KR 101574593B1 KR 1020130032722 A KR1020130032722 A KR 1020130032722A KR 20130032722 A KR20130032722 A KR 20130032722A KR 101574593 B1 KR101574593 B1 KR 101574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smart terminal
information
image
bod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9228A (ko
Inventor
정구봉
서갑호
김종걸
윤성조
이주환
전정수
Original Assignee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32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593B1/ko
Publication of KR2014011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은 다수의 가축이 개별적인 ID로 구별된 각각의 개체에 대한 체온과 이동 위치의 상태정보(Physical Data)와 동작 동영상과 개체의 부위별 사진 및 활동성 자료가 포함된 영상정보(Image Data)를 이루는 데이터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이상 징후를 보이는 특정 개체가 체크되면, 특정 개체는 상기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추적되어 영상으로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정보(Image Data)가 수신되거나, 상기 특정 개체는 상기 스마트단말기룰 통해 추적되어 영상으로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정보(Image Data)가 수신됨으로써 그 판단 결과가 자동감지처리기(10)나 또는 스마트 단말기(30)를 이용한 이벤트 생성으로 농장주, 수의사 또는 외부 전문 가축관리기관에 전송될 수 있고, 특히 이상 징후를 보이는 개체(50-1)에 대한 정밀진단이 신속히 이루어짐으로써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이 잠복 주기를 갖는 법정 전염병에 대한 초등 대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Smart Terminal Liaison type Real Time Medical Examination Method}
본 발명은 축사의 사육 개체를 자동 관찰 및 검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축사에서 사육되는 다수의 가축이 개별적인 ID로 구별되어 체온과 함께 동작 동영상과 개체의 부위별 사진 및 활동성 자료 등이 상시 모니터링되고, 스마트 단말기에 의해 인터럽트(Interrupt)가 이루어짐으로써 가축 질병 사고의 미연 방지 및 신속한 초동대응을 통한 피해 최소화가 구현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넓은 지역에 분포된 축사에서 공동 사육되고 있는 가축은 좁은 축사에서 모여 집단적으로 사육되는 환경으로 인해 전염성 질병의 확산에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다.
특히,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법정 전염병은 공기 중을 통해 전염됨으로써 한번 발병될 경우 그 방역 및 전염 차단에 드는 사회적인 소요 비용이 매우 크고, 먹거리에 대한 전 사회적인 불안감도 빠르게 확산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전국에 걸쳐 널리 분포된 농가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사육되고 있는 가축은 국가적인 방역 시스템으로 구축됨으로써 국가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한 예로서, 집단적인 가축 사육 농가를 권역별 실태로 분류해 DB(Data Base)로 구축하고, DB(Data Base)를 네트워크(Network)로 무선 통신이나 유선 통신으로 상호 연계된 시스템으로 구축하며, 구축된 DB(Data Base)를 체크된 가축의 건강 및 질병상태로 주기적 갱신(Update)이 수행되는 가축 관리 시스템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로부터, 전국에 걸쳐 널리 분포되어 가축을 사육하고 있는 농가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특히 사육 관리자나 또는 질병 관리자가 가장 최신 정보로 개개 가축에 대한 건강 및 질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체계에서는 가축의 건강 상태가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체크 또는 파악될 수 없고, 특히 질병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도 농장주, 수의사 또는 외부 전문 가축관리기관이 조기에 파악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특히, 개체 질병의 파악이 늦춰짐으로써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법정 전염병의 발병 시 이를 초기에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고, 이로부터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가축 전염병 방역 시스템의 허점이 개선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국내특허공개 10-2011-0103629(2011.09.21)
상기 특허문헌은 1개 이상의 아이피 카메라(Internet Protocol Camera)로 사육가축을 촬영하고, 공중망으로 아이피 카메라를 제어함으로써, 질병 관리자나 또는 각 농가의 종사자가 축사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 원격지에서 실시간(Real Time)으로 사육가축에 대한 먹이 공급이 가능한 기술의 예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상기 특허문헌의 기술을 가축 전염병 방역 시스템에 이용할 경우, 질병 관리자나 또는 각 농가의 가축 관리자는 원격지에서도 촬영된 사육 가축에 대한 영상을 통해서 가축건강상태 체크가 가능할 수 있고, 특히 질병 이상 징후를 보이는 사육 가축에 대한 영상을 통해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법정 전염병의 발병 여부를 실시간(Real Time)으로 체크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촬영된 영상만으로 사육 가축의 질병 여부가 판단될 경우,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이 잠복 주기를 갖는 법정 전염병에 대한 질병 판단은 이미 발병 후 일 수밖에 없고, 그 대책도 사후 대처일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축사에서 사육되는 다수의 가축이 개별적인 ID로 구별되어 체온과 함께 동작 동영상과 개체의 부위별 사진 및 활동성 자료 등이 상시 모니터링되고, 모니터링중 발생된 이상 징후를 보인 개체의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요청될 수 있음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이상 징후를 보이는 가축이 확인될 수 있고, 특히 스마트 단말기에 나타난 해당개체의 영상자료로부터 이상 상태가 자세히 확인됨으로써 가축 질병 사고의 미연 방지 및 신속한 초동대응을 통한 피해 최소화가 구현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은 다수의 가축이 개별적인 ID로 구별된 각각의 개체로 인식되고, 상기 개체로부터 제공된 상태정보(Physical Data)와 영상정보(Image Data)가 수신되어 상시 모니터링되며, 상기 상태정보(Physical Data)가 무선통신으로 스마트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접속으로 상시 모니터링이 인터럽트(Interrupt)되는 자동감시모드;
상기 상태정보(Physical Data)와 상기 영상정보(Image Data)중 어느 하나의 정보로부터 이상 징후를 보이는 특정 개체가 체크되는 이상징후 인식모드;
상기 특정 개체는 상기 상시 모니터링의 제어 지령을 통한 추적으로 영상정보(Image Data)로 촬영되거나, 상기 특정 개체는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제어 지령을 통한 추적으로 영상정보(Image Data)로 촬영되는 선택대응모드;
상기 촬영된 영상정보(Image Data)로부터 이상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특정 개체에 대한 정보를 이벤트로 외부에 전송하는 외부알림모드;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태정보(Physical Data)에는 상기 개체별로 각각 측겅된 체온이 포함되고, 상기 체온은 상기 개체에 직접 장착된 체온검출기에서 검출되고, 상기 체온검출기의 검출정보는 상기 개체를 식별하는 ID와 함께 무선위치인식기를 통해 무선으로 수집 및 전송된다.
상기 상시 모니터링 로직은 상기 개체의 체온과 상기 위치가 각각 그래프 선도로 표시되고, 상기 그래프 선도에는 상기 상태정보(Physical Data)의 이상 징후를 판단하는 영역이 설정되어진다.
상기 위치의 변화는 상기 개체가 시간당 이동하는 거리로 나타난다.
상기 영상정보(Image Data)에는 상기 개체나 상기 특정 개체의 동작 동영상과 개체의 부위별 사진 및 활동성 자료가 포함된 영상이고, 상기 영상은 카메라로 촬영된 후 무선으로 전송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개체를 촬영하거나 상기 특정 개체를 추적하도록 회전 및 이송가능하게 상기 개체나 상기 특정 개체가 사육되고 있는 축사에 설치된다.
상기 이벤트는 상기 상시 모니터링 로직에서 생성되는 알림 이벤트와, 상기 스마트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스마트 이벤트이고, 상기 알림 이벤트와 상기 스마트 이벤트에는 상기 특정 개체의 질병감염이나 임신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알림 이벤트나 상기 스마트 이벤트에 의해 확인된 상기 특정 개체는 농장주나 수의사 또는 외부 전문 가축관리기관으로부터 정밀 진단되고, 상기 정밀 진단결과에 따른 초기 대응이 이루어지는 신속대응모드;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통합관리시스템은 축사에서 가축이 개별적인 ID로 구별되어진 개체별로 직접 장착되어 검출된 체온이 송출되는 체온검출기와;
상기 축사에 설치되어 상기 개체별 위치와 함께 수집된 상기 체온이 상태정보로 전송되는 무선위치인식기와;
상기 축사에 설치되어 상기 개체의 위치 추적을 위해 회전 및 이송이 이루어지고, 위치 추적된 개체의 동작 동영상과 개체의 부위별 사진 및 활동성 자료를 촬영한 영상이 영상 정보로 전송되는 카메라와;
상시 모니터링 과정에서, 상기 체온을 포함한 상태정보나 상기 동작 동영상과 개체의 부위별 사진 및 활동성 자료를 포함한 영상 정보중 어느 하나로부터 이상 징후를 보이는 특정 개체가 체크된 후, 상기 카메라로 상기 특정 개체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제어 지령을 전송하고, 상기 카메라가 추적해 촬영한 상기 특정 개체의 영상 정보로부터 이상 상태를 판단해 외부에 전송되는 알림 이벤트가 생성되는 자동감지처리기와;
상기 체온을 포함한 상태정보가 확인되고, 상기 상시 모니터링을 인터럽트(Interrupt)하여 상기 개체의 ID를 포함한 상기 상태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로 상기 특정 개체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제어 지령을 전송하고, 상기 카메라가 추적해 촬영한 상기 특정 개체의 영상 정보로부터 이상 상태를 판단해 외부에 전송되는 스마트 이벤트가 생성되는 스마트 단말기;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위치인식기는 상기 축사에 설치된 레일 프레임으로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는 ID 영상송수신기로 제어되는 구동기에 구비되어 상기 축사의 중앙 천장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상기 레일 프레임에 회전 및 이송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레일 프레임은 상기 축사를 원형으로 감싸는 원형 가이드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원형 가이드 레일을 따라 회전 이송 가능하며, 상기 원형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축사의 지면에 대해 수직한 수직 가이드 레일이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위아래로 이송 가능하다.
상기 자동감지처리기에서는, 상기 개체의 체온과 상기 움직임이 각각 그래프 선도로 표시되고, 상기 개체의 상기 움직임과 상기 외형이 영상으로 표시되며, 상기 무선위치인식기와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와 무선통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는 상기 농장주나 수의사 또는 외부 전문 가축관리기관이고, 상기 알림 이벤트나 상기 스마트 이벤트에 의해 확인된 상기 특정 개체를 직접 정밀 진단하며, 상기 알림 이벤트와 상기 스마트 이벤트에는 상기 특정 개체의 질병감염이나 임신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제공된 체온과 함께 동작 동영상과 개체의 부위별 사진 및 활동성 자료가 상시 모니터링되어 이상 징후를 감지하고,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됨으로써 거리 제한 없이 가축 상태가 확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도 스마트 단말기로 상시 모니터링 과정이 인터럽트(Interrupt)됨으로써 이상 징후를 보이는 해당 개체의 확인 및 체크가 스마트 단말기로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이상 상태 확인 후 관리자에게 신속히 알려줌으로써 가축 질병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고 신속한 초동대응으로 피해도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장주, 수의사 또는 외부 전문 가축관리기관이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해 이상 징후를 보이는 개체에 대해 신속히 검사함으로써 전염병 발생시 미신고 축사 감소로 고전염병 확산이 방지되고, 특히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가축 전염병 방역 시스템의 허점이 완전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장주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해 가축의 이상 징후뿐만 아니라 가축의 체온 변화로부터 정확한 가(可)임기(任期)를 파악함으로써 출산 시 사고 방지 및 비용 절감과 함께 소득증대를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성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통합관리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 로봇의 구성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통합관리시스템이 획득하는 상태정보와 영상정보의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의 동작흐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통합관리시스템의 실시간 상태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에 나타나는 정보의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관리시스템은 자동감지처리기(10)와 이동 로봇(20) 및 스마트 단말기(30)를 포함하며, 상호 통신은 무선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시스템은 현지 대응부(40)와 함께 연계됨으로써 이상 징후 가축을 직접 현장 방문하여 정밀 진단할 수 있고, 이로부터 가축 질병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고 신속한 초동대응으로 피해도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자동감지처리기(10)는 축사(50)의 사육 가축을 각각 구별한 ID 개체 별 위치 및 체온과 함께 동작 동영상과 개체의 부위별 사진 및 활동성 자료가 동영상 정보로 수신되고, 정보의 상시 모니터링과정에서 적어도 1가지 이상의 데이터로부터 이상여부를 체크한 후 그 결과를 알림 이벤트로 외부나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나 상기 활동성 자료는 개체가 시간당 이동하는 거리로 나타나며, 상기 시간은 초나 분 또는 시간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체온과 위치 정보는 ID 개체별 상태 정보로 칭하고, 상기 동영상 정보는 ID 개체별 동작 동영상, 개체의 부위별 사진, 활동성 자료가 포함된 ID 개체별 영상 정보로 칭한다.
상기 알림 이벤트의 전송은 자동으로 농장주, 수의사 또는 외부 전문 가축관리기관에 전송되고, 알림 이벤트의 생성은 상시 모니터링로직을 이용해 자동 생성된다.
상기 자동감지처리기(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로봇(20)과 상호 통신하며, 이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이동로봇(20)은 자동감지처리기(10)에서 생성된 제어 지령을 무선 통신망으로 수신하고, 자신이 수집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이 내장된다.
한편, 상기 이동 로봇(20)은 축사(50)에 설치되어져 사육되는 ID 개체(50-1)별로 체온과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제어 지령을 받아 지정된 ID 개체(50-1)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해 송신한다. 이는 이후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30)는 자동감지처리기(10)에 ID 개체(50-1)의 ID와 체온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동 로봇(20)에 ID 개체(50-1)의 추적을 요청해 동작 동영상과 개체의 부위별 사진 및 활동성 자료를 수신하며, 필요시 스마트 이벤트로 외부나 관리자에게 특정 UI를 사용하여 알려준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기(30)는 널리 보급된 휴대전화인 스마트 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지대응부(40)는 가축의 질병을 정확히 진단하고, 특히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이 잠복 주기를 갖는 법정 전염병에 대한 진단과 함께 방제를 위한 초등 대처가 지역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질병대응부(40)는 운용부(10)에서 제공된 이벤트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고, 모든 개체 식별 ID나 지역 코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이 잠복 주기를 갖는 법정 전염병에 대한 진단과 함께 방제를 위한 초등 대처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축사(50)와 이에 설치된 이동로봇(20)의 구축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봇(20)은 상태정보 모듈(21)과 영상정보모듈(25)로 구성되어 축사(50)에 설치되고, 축사(50)에는 그 구조를 따라 레일 프레임(27)이 설치된다.
상기 상태정보 모듈(21)은 파악된 ID 개체(50-1)별 위치와 체온을 포함한 상태정보가 전송되는 무선위치인식기(21-1)와, ID 개체(50-1)의 체온을 검출하도록 ID 개체(50-1)에 직접 장착된 체온검출기(21-2)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위치인식기(21-1)는 무선 통신으로 체온검출기(21-2)의 정보가 수집되고, 무선 통신으로 ID 개체(50-1)의 위치와 함께 체온 정보를 운용부(10)로 전송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상기 무선위치인식기(21-1)가 상기 운용부(10)로 전송하는 정보는 체온과 위치인 상태정보이다.
상기 체온검출기(21-2)는 ID 개체(50-1)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센서와 체온센서의 검출 신호를 무선 송신해주는 송신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정보모듈(25)은 ID 개체(50-1)를 추적하여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25-1)와, 카메라(25-1)를 추적 대상인 ID 개체(50-1)쪽으로 이동시켜주는 구동기(25-2)와, 카메라(25-1)를 이동하기 위한 제어지령이 수신되고 촬영한 영상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ID 영상송수신기(25-3)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25-1)는 ID 개체(50-1)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고, 특히, 상기 카메라(25-1)는 축사(50)에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카메라(25-1)는 축사(50)의 중앙 천장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위에서 ID 개체(50-1)의 각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메라(25-1)는 360도 회전이 가능한 캠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5-1)는 축사(50)를 원형으로 돌면서 이동가능하고 특히 수직하게 위아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ID 개체(50-1)의 각각을 옆과 위아래에서 촬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메라(25-1)는 축사(50)를 원형으로 감싸는 가이드 레일과 위아래로 수직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반면, 카메라(25-1)는 줌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축사(50)의 중앙 천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거나 직선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거나 위아래로 수직한가이드 레일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25-2)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카메라(25-1)를 회전해주는 출력기어 및 레일 프레임(27)을 따라 구동기(25-2)자체를 이동시켜주기 위한 휠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구동기(25-2)는 레일 프레임(2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과 같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ID 영상송수신기(25-3)는 무선 통신으로 운용부(10)에서 내려진 제어 지령을 수신하고, 카메라(25-1)의 촬영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운용부(10)로 전송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상기 ID 영상송수신기(25-3)가 상기 운용부(10)로 전송하는 정보는 동작 동영상, 개체의 부위별 사진, 활동성 자료인 영상정보이다.
상기 레일 프레임(27)은 지반에 고정된 수직한 다수의 포스트(Post)와, 포스트(Post)의 상단을 이어줌으로써 축사(50)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통상, 가이드 레일은 I빔 타입이거나 또는 LM 가이드 타입일 수 있다.
특히, 레일 프레임(27)은 이를 따라 이동되는 카메라(25-1)에 따라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카메라(25-1)가 축사(50)의 중앙 천장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경우 레일 프레임(27)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카메라(25-1)가 축사(50)의 원형을 따라 돌고 수직하게 위아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경우 레일 프레임(27)은 축사(50)를 원형으로 감싸는 가이드 레일과 위아래로 수직한 가이드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카메라(25-1)는 줌기능을 구비할 경우 레일 프레임(27)은 직선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이나 위아래로 수직한 가이드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이동 로봇(20)을 통해 수비된 상태정보와 영상정보가 자동감지처리기(10)와 스마트단말기(30)에서 도시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감지처리기(10)와 스마트단말기(30)에 나타나는 상태정보는 ID 개체(50-1)별 체온 변화를 도식적으로 알 수 있는 그래프 선도와, ID 개체(50-1)별 위치 이동 변화를 도식적으로 알 수 있는 그래프 선도가 포함된다.
그러므로, 자동감지처리기(10)에서 실행되는 상시 모니터링 로직은 체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선도로부터 체온이 설정 한도를 벗어나거나 또는 위치 이동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선도로부터 이동 거리가 설정 한도를 벗어남을 감지하고, 이로부터 ID 개체(50-1)의 정확한 ID와 함께 이상 징후를 판단해 줄 수 있다.
이때, 위치변동은 개체가 시간당 이동하는 거리로 나타나며, 상기 시간은 초나 분 또는 시간이 적용될 수 있다.
이로부터, 스마트단말기(30)에서는 체온이나 위치 이동에 이상 징후가 있는 특정한 개체가 체크될 수 있다.
또한, 자동감지처리기(10)와 스마트단말기(30)에 나타나는 영상정보는 ID 개체(50-1)별 동작 동영상, 개체의 부위별 사진, 활동성 자료가 포함된 영상정보이다.
그러므로, 자동감지처리기(10)에서 실행되는 상시 모니터링 로직은 이상 징후가 발생된 해당 ID 개체(50-1)에 대한 동작 동영상, 개체의 부위별 사진, 활동성 자료중 어느 한 가지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상태가 판단되고, 이로부터 해당 ID 개체(50-1)에 대한 알림 이벤트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활동성 자료는 개체가 시간당 이동하는 거리로 나타나며, 상기 시간은 초나 분 또는 시간이 적용될 수 있다.
이로부터, 스마트단말기(30)에서는 체온이나 위치 이동에 이상 징후가 있는 해당 ID 개체(50-1)에 요청된 영상정보로부터 정확한 상태가 판단되고, 해당 ID 개체(50-1)에 대한 스마트 이벤트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무엇보다도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이 잠복 주기를 갖는 법정 전염병에 대한 초등 대응이 지역적으로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하고, 이로부터 법정 전염병의 초기 대응시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가축 전염병 방역 시스템의 허점이 완전히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의 동작흐름을 나타낸다.
S10과 같이 통합관리시스템이 온(On)으로 전환됨으로써 내장된 상시 모니터링 로직이 실행상태로 전환된다. 상시 모니터링 로직이 실행되면, S20과 같이 제어 명령을 생성해 이동로봇에 제어 지령을 내리고, S30에서는 제어 지령을 수신한 이동 로봇이 가축의 ID로 구분된 개체에 대해 정보를 수집하여 준다.
S30에서 이동 로봇이 수집하는 정보는 S31의 상태정보와 S32의 영상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S31의 상태정보는 ID로 구분된 개체별로 측정되는 체온과 함께 위치가 포함되며, S32의 영상정보는 ID로 구분된 개체에 대한 동작 동영상, 개체의 부위별 사진, 활동성 자료가 포함된다.
도 5에는 S20과 S40을 통해 이루어지는 자동감지처리기(10)와 이동로봇(20)의 상태정보 및 영상정보가 수신되는 과정이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봇(20)의 상태정보는 ID 개체(50-1)의 체온과 위치 이동으로서, 이를 위해 무선위치인식기(21-1)와 체온검출기(21-2)사이에서는 개체의 ID와 함께 체온 및 위치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무선 통신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무선위치인식기(21-1)에서 수집한 ID 개체별 체온과 위치 정보가 무선통신으로 자동감지처리기(10)로 전송됨으로써, 상시 모니터링 로직은 이를 그래프 선도로 도시하면서 그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준다.
또한, 이동로봇(20)은 카메라(25-1)를 이용해 축사(50)에 있는 모든 ID 개체(50-1)의 동작 동영상, 개체의 부위별 사진, 활동성 자료 및 위치 이동에 대한 영상으로 촬영하여 준다.
그러면, 카메라(25-1)가 촬영한 영상정보는 ID 영상송수신기(25-3)를 통해 무선통신으로 자동감지처리기(10)로 전송됨으로써, 상시 모니터링 로직은 영상정보로부터 발생되는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준다.
S40은 통합관리시스템이 상태정보와 영상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상시 모니터링 상태가 연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일부 정보가 스마트단말기로 전송되는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단말기로 전송되는 일부 정보는 상태정보로서, 개체의 체온과 위치에 대한 경향을 나타낸 그래프 선도이다.
한편, S50은 통합관리시스템이 스마트 단말기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인식하는 과정으로서, 이로부터 스마트 단말기는 통합관리시스템을 인터럽트(Interrupt)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된다. 이러한, 인터럽트(Interrupt)는 스마트 단말기나 또는 통합관리시스템에서 로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는 S50을 통해 이루어지는 스마트단말기(30)와 자동감지처리기(10)의 정보 요청 및 수신되는 과정이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단말기(30)는 ID 개체(50-1)에 대한 ID를 무선으로 요청할 수 있고, 자동감지처리기(10)는 스마트단말기(30)의 요청에 답해 ID 개체(50-1)의 ID와 함께 위치 이동 정보를 전송하여 준다.
한편, S50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정보 요청 여부가 인식되면, 그 요청에 따라 S100으로 전환되거나 또는 S200으로 전환됨으로써 인터럽트(Interrupt)가 수행된다.
S100은 통합관리시스템의 상시 모니터링 로직이 지속되는 과정을 통해 이상 징후가 나타나는 개체가 있는지 판단되는 단계로서, 상시 모니터링 로직은 이상 징후 개체가 없으면 S40으로 피드백되어 지속되지만, 만약 이상 징후 개체가 있으면 S110과 같이 ID 파악 후 해당 ID 개체의 위치 및 추적을 위한 이동로봇 제어 지령을 생성하고, S120과 같이 통합관리시스템은 해당 ID 개체가 추적되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영상정보는 해당 ID 개체에 대한 동작 동영상, 개체의 부위별 사진, 활동성 자료가 포함된다.
반면, S200에서는 통합관리시스템이 스마트 단말기의 정보 요청에 응해 스마트 단말기로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주며, S210과 같이 스마트 단말기는 전송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수신된 정보는 개체의 체온과 위치에 대한 경향을 나타낸 그래프 선도이다.
S220에서는 스마트 단말기에 나타난 정보로부터 이상 징후를 보이는 개체가 체크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S220의 체크로 이상 징후를 보이는 개체가 있으면, S230과 같이 스마트 단말기에서는 통합관리시스템으로 이상 징후 개체의 ID를 요청한 후 이를 수신함으로써 이상 징후 개체를 정확히 파악하여 준다.
S240에서는 이상 징후 개체의 ID가 파악된 후, 해당 ID 개체를 추적하여 영상 정보를 수집하도록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동로봇 제어 지령을 생성하고, S250과 같이 스마트 단말기는 해당 ID 개체가 추적되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영상정보는 해당 ID 개체에 대한 동작 동영상, 개체의 부위별 사진, 활동성 자료가 포함된다.
도 5에는 S100과 S200을 통해 이루어지는 이동로봇(20)의 영상정보 수신과정이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감지처리기(10)나 또는 스마트단말기(30)의 제어 지령을 받은 이동로봇(20)의 카메라(25)는 ID 영상송수신기(25-3)와 구동기(25-2)를 이용해 해당 ID 개체(50-1)쪽으로 위치 이동됨으로써 지목된 해당 ID 개체(50-1)를 추적해 영상 정보로 촬영한다.
그러면, ID 영상송수신기(25-3)와 자동감지처리기(10)사이에서 무선통신이 이루어짐으로써, ID 영상송수신기(25-3)는 수집된 영상정보를 전송하고, 자동감지처리기(10)나 또는 스마트단말기(30)는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그 변화가 체크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스마트 단말기(30)에 나타난 수신 화면의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30)에서는 해당 ID 개체에 대한 상태정보(체온 및 위치)와 영상정보(동작 동영상과 개체의 부위별 사진 및 활동성 자료)를 한 화면으로 나타내고, 이로부터 사용자는 필요한 모든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스마트 단말기(30)의 사용자는 현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 원격지에서도 요청한 개체에 대한 체온과 움직임 및 얼굴 상태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확인을 통해 해당 개체의 건강 상태와 질병 징후를 손쉬우면서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S300은 이상 징후를 보인 해당 ID 개체의 영상정보로부터 통합관리시스템이나 또는 스마트 단말기가 정확한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으로서, 이는 S400의 질병감염이나 S500의 임신이나 S600의 정상으로 각각 구별되어 판단될 수 있다.
만약, S300의 체크 결과 S600의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시 모니터링 로직은 S10으로 복귀됨으로써 모니터링을 계속 수행하여준다.
반면, S300의 체크 결과 S400의 질병감염이나 또는 S500의 임신으로 판단된 경우, 통합관리시스템이나 또는 스마트 단말기에서는 이벤트를 생성해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각각에 맞는 대응 조취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통합관리시스템에서는 S400의 질병감염 판단 시나 S500의 임신 판단 시 각각 알림 이벤트를 생성하여 주고, 생성된 알림 이벤트는 S410과 같이 농장주나 수의사 또는 외부 전문 가축관리기관으로 전송되거나 S510과 같이 농장주나 수의사로 전송된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에서는 S400의 질병감염 판단 시나 S500의 임신 판단 시 각각 스마트 이벤트를 생성하여 주고, 생성된 스마트 이벤트는 S410과 같이 농장주나 수의사 또는 외부 전문 가축관리기관으로 전송되거나 S510과 같이 농장주나 수의사로 전송된다.
그러면, S700과 같이 알림 이벤트나 스마트 이벤트로 해당 ID 개체의 이상여부를 인식한 농장주나 수의사 또는 외부 전문 가축관리기관이 현지를 직접 방문하고, 현지에서 해당 ID 개체가 전문가에 의해 정밀 진단되어 정확한 상태가 확진될 수 있다.
이어, S800은 S700의 정밀 진단 결과에 따라 질병 감염에 대한 신속한 후속 조치 수행이나 또는 임신에 의한 관리나 출산 조치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질병감염이나 임신시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문가 진단과정이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지 대응부(40)는 자동감지처리기(10)의 알림 이벤트 정보나 또는 스마트 단말기(30)의 스마트 이벤트 정보로부터 개체 ID와 체온 및 영상등을 제공받음으로써, 해당되는 ID 개체(50-1)의 상태와 함께 그 장소도 파악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지 대응부(40)는 해당 ID개체(50-1)가 있는 현지로 전문가를 신속히 파견함으로써 전문가가 질병감염이나 임신 여부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현지 대응부(40)는 농장주나 수의사 또는 외부 전문 가축관리기관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은 다수의 가축이 개별적인 ID로 구별된 각각의 개체에 대한 체온과 이동 위치의 상태정보(Physical Data)와 동작 동영상과 개체의 부위별 사진 및 활동성 자료가 포함된 영상정보(Image Data)를 이루는 데이터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이상 징후를 보이는 특정 개체가 체크되면, 특정 개체는 상기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추적되어 영상으로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정보(Image Data)가 수신되거나, 상기 특정 개체는 상기 스마트단말기룰 통해 추적되어 영상으로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정보(Image Data)가 수신됨으로써 그 판단 결과가 자동감지처리기(10)나 또는 스마트 단말기(30)를 이용한 이벤트 생성으로 농장주, 수의사 또는 외부 전문 가축관리기관에 전송될 수 있고, 특히 이상 징후를 보이는 개체(50-1)에 대한 정밀진단이 신속히 이루어짐으로써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이 잠복 주기를 갖는 법정 전염병에 대한 초등 대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0 : 자동감지처리기 20 : 이동로봇
21 : 상태정보 모듈 21-1 : 무선위치인식기
21-2 : 체온검출기 25 : 영상정보모듈
25-1 : 카메라 25-2 : 구동기
25-3 : ID 영상송수신기 27 : 레일 프레임
30 : 스마트단말기
40 : 현지 대응부 50 : 축사
50-1 : ID 개체

Claims (17)

  1. 다수의 가축이 개별적인 ID로 구별된 각각의 개체로 인식되고, 자동감지처리기에서 상기 개체에 직접 장착된 위치 및 체온검출기로부터 제공된 상태정보(Physical Data)와 카메라에 의한 영상정보(Image Data)가 수신되는 모니터링단계;
    상기 상태정보(Physical Data)만 무선통신으로 상기 자동감지처리기에서 스마트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접속으로 상기 자동감지처리기의 상시 모니터링이 인터럽트(Interrupt)되는 자동감시단계;
    상기 상태정보(Physical Data)로부터 상기 자동감지처리기에서 이상 징후를 보이는 특정ID의 개체가 체크되는 이상징후 인식단계;
    상기 자동감지처리기의 상기 상시 모니터링의 제어 지령을 통한 상기 카메라의 자동 추적으로 상기 특정ID의 개체에 대한 영상정보(Image Data) 촬영단계;
    상기 상태정보에서 측정된 상기 특정ID의 개체의 위치와, 상기 촬영된 영상정보(Image Data)의 동적영상과 부위별사진으로 부터 이상여부 판단단계;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특정 개체에 대한 정보를 이벤트로 농장주, 수의사, 외부 전문 가축관리기관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외부알림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Physical Data)에는 상기 개체별로 각각 측정된 위치 및 체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온검출기의 검출정보는 상기 개체를 식별하는 ID와 함께 무선위치인식기를 통해 무선으로 수집 및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시 모니터링에서는 상기 개체의 체온과 상기 개체의 위치가 각각 그래프 선도로 표시되고, 상기 그래프 선도에는 상기 상태정보(Physical Data)의 이상 징후를 판단하는 영역이 설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Image Data)에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상기 개체나 상기 특정ID의 개체의 동작 동영상과 개체의 부위별 사진 및 활동성 자료가 포함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카메라로 촬영된 후 무선으로 전송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개체를 촬영하거나 상기 특정ID의 개체를 자동 추적하도록 회전 및 이송가능하게 상기 개체나 상기 특정 개체가 사육되고 있는 축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상시 모니터링에서 생성되는 알림 이벤트와, 상기 스마트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스마트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알림 이벤트와 상기 스마트 이벤트에는 상기 특정ID의 개체의 질병감염이나 임신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알림 이벤트나 상기 스마트 이벤트에 의해 확인된 상기 특정ID의 개체의 질병감염이나 임신여부가 상기 농장주나 상기 수의사 또는 상기 외부 전문 가축관리기관으로부터 정밀 진단되고, 질병감염이나 임신여부에 따른 초기 대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30032722A 2013-03-27 2013-03-27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KR101574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22A KR101574593B1 (ko) 2013-03-27 2013-03-27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22A KR101574593B1 (ko) 2013-03-27 2013-03-27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228A KR20140119228A (ko) 2014-10-10
KR101574593B1 true KR101574593B1 (ko) 2015-12-07

Family

ID=5199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722A KR101574593B1 (ko) 2013-03-27 2013-03-27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5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443B1 (ko) * 2016-06-15 2017-04-24 김국현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WO2018088611A1 (ko) * 2016-11-10 2018-05-17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KR20220041770A (ko) 2020-09-25 2022-04-01 김병근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008A1 (ko) * 2014-12-17 2016-06-2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상정보 분석을 이용한 피사체 상황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9530A (ko) * 2018-07-19 2020-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상 개체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2425521B1 (ko) * 2019-11-21 2022-07-27 (주)씽크포비엘 영상정보 분석 기반 방역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KR102425522B1 (ko) * 2019-11-29 2022-07-27 (주)씽크포비엘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방역 경계선을 설정하는 방법
WO2022231404A1 (ko) * 2021-04-30 2022-11-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객체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443B1 (ko) * 2016-06-15 2017-04-24 김국현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WO2018088611A1 (ko) * 2016-11-10 2018-05-17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KR20220041770A (ko) 2020-09-25 2022-04-01 김병근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228A (ko) 2014-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593B1 (ko)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KR101960474B1 (ko)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JP6203238B2 (ja) 畜産管理システム
KR101866226B1 (ko) 대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45698B1 (ko) 실시간 자동 검진 방법 및 이를 위한 자동 검진 시스템
KR101122644B1 (ko)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45373B1 (ko) 방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4868B1 (ko) 원격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8704668B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alerting based on animal behavior in designated environments
KR102108829B1 (ko)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
KR102125915B1 (ko) 스마트 농장 관리 시스템
KR102527322B1 (ko) 딥러닝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가축 관리 방법
KR102188981B1 (ko) 스마트 고독사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3425A (ko) 가축질병 모니터링 시스템, 가축질병 모니터링 서버 및 그 모니터링 방법
KR102129212B1 (ko) 손위생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4982254B2 (ja) 動線管理システムおよび動線監視装置
US109868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102160551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동물의 질병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20200103286A1 (en) Notification control device, notification control system, and notification control method
KR20130088667A (ko) 가축생산성 향상을 위한 u―IT기반 원격 화상 진료 장치
KR20110137096A (ko) 가축방역 예방시스템 및 그 예방방법
KR102415157B1 (ko) 백신접종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는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KR20130035819A (ko) 열화상 카메라 및 센서를 이용한 가축 발정 진단 시스템
KR20230026006A (ko) 축사 내 승가행위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102368151B1 (ko) 가상화폐 보상지원을 통한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