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443B1 -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443B1
KR101729443B1 KR1020160074522A KR20160074522A KR101729443B1 KR 101729443 B1 KR101729443 B1 KR 101729443B1 KR 1020160074522 A KR1020160074522 A KR 1020160074522A KR 20160074522 A KR20160074522 A KR 20160074522A KR 101729443 B1 KR101729443 B1 KR 101729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signal
monitoring system
photographing
identific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현
Original Assignee
김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현 filed Critical 김국현
Priority to KR102016007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6Recognition of special voice characteristics, e.g. for use in lie detectors; Recognition of animal vo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의 몸에 부착되어 식별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송신부; 상기 가축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 상기 촬영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촬영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 상기 신호 송신부에서 발생한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 장치가 상기 가축을 화면에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가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촬영 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 Animal Monitoring System }
본 발명은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의 몸에 부착되어 식별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송신부; 상기 가축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 상기 촬영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촬영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 상기 신호 송신부에서 발생한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 장치가 상기 가축을 화면에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가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촬영 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실시간으로 가축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축산 농가에서 가축들의 상태를 파악하고, 돌발 상황이나 위급 상활 발생시 신속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가축들을 곁에서 감시하고 돌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사육 환경이나, 24시간 그러한 감시와 돌봄을 지속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소의 경우 출산이 임박하면 신경이 고도로 예민해져서 주인이 아닌 다른 사람이 곁에 있는 경우 송아지가 폐사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일반 축산 농가에서는 겨울에는 출산 빈도를 낮출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축산 농가에서 사육하는 가축들의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하기 위하여 이동식 CCTV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표적으로 축산 농가에 와이어를 이용한 이동식 CCTV의 경우 이동시 자리 불균형 또는 줄걸림 현상으로 인하여 카메라 파손의 우려가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축산 농가에서 카메라 파손 우려 없이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특정 가축(예를 들어, 출산이 임박한 소)인지 자동으로 판별하여 카메라가 특정 가축의 위치를 인식하여 지속적으로 촬영하고, 위급 상황 발생시 환풍기를 가동하는 등의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스마트한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이 절실한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519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가축의 몸에 부착된 신호 송신부에서 발생시키는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촬영 장치가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가축을 화면에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가축의 위치에 따라 이동 모듈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축사 내 특정 가축에 대한 영상 정보, 체온 정보 및 축사 내 음향 정보를 획득하여 정확한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은, 가축의 몸에 부착되어 식별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송신부; 상기 가축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 상기 촬영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촬영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 상기 신호 송신부에서 발생한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 장치가 상기 가축을 화면에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가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촬영 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신호는, 특정 주파수를 갖는 주기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촬영 장치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 상기 촬영 장치를 상기 레일에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 및 상기 촬영 장치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이동 모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턱; 상기 가이드 턱과 접하여 외부 고정 부재에 고정되는 서포트 빔; 및 상기 서포트 빔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모터 및/또는 상기 회전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신부는, 가축의 귀에 부착하는 귀표일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가축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는 열 화상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가축의 체온을 감지하여 생성한 체온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가축이 내는 소리를 인식하는 음향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음향 인식부가 인식한 가축의 소리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은, 축사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축사 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풍 장치;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축의 위치에 대응되는 환풍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가축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촬영 장치, 상기 이동 모듈 및 상기 환풍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축사를 감시하는 기존의 감시 카메라가 고정되어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보완하여, 가축이 움직이더라도 가축에 비축된 신호 발생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근거로 촬영 장치가 이동하거나 회전하여 지속적으로 가축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가축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가축의 체온이 올라가는 경우 가축의 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환풍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축사에서 나는 소리까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여 가축에게 돌발 상황이나 위급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의 이동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이 가축을 촬영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은, 신호 송신부(100), 촬영 장치(200), 이동 모듈(300), 신호 수신부(400), 제어부(500) 및 통신 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송신부(100)는 가축(10)의 몸에 부착되어 식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신호 송신부(100)는 특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일체의 장치, 기기, 칩일 수 있다. 상기 식별 신호는 가축(10)마다 고유한 각종 정보(이하, '가축 정보'라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축 정보는 가축의 종류, 이름, 나이, 예방 접종 내역, 질병 이력 등 가축을 안전하게 사육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송신부(100)는 가축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의 식별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에 따라, 상기 가축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는 달라질 수 있음에 유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신호 송신부(100)는, 가축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식별 신호(예를 들어, 가축마다 고유한 식별 신호)만을 발생하고, 후술하는 제어부(500) 또는 이동 단말기(미도시)에서 상기 고유한 식별 신호에 대응되는 가축 정보를 로딩하거나 매칭하여 가축 관리에 활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식별 신호가 가축 정보를 포함할 필요가 없으므로 식별 신호의 데이터 량이 작아질 수 있고, 신호 송신부(100)가 식별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전력이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식별 신호는 고유의 주파수를 갖는 주기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식별 신호는 가축마다 고유한 주기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신호는 A라는 가축에 대해서는 5.0kHz의 주파수를 갖는 주기 신호일 수 있고, B라는 가축에 대해서는 5.1kHz의 주파수를 갖는 주기 신호일 수 있다.
신호 송신부(100)는 가축(10)의 몸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송신부(100)는 가축(10)의 귀에 부착하는 귀표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호 송신부(100)는 발찌, 목걸이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송신부(100)는 가축의 움직임 또는 이동에 따라 가축의 위치를 나타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 송신부(100)는 상기 가축의 체온을 감지하여 생성한 체온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송신부(100)는 상기 가축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예를 들어, 디지털 체온계 등)를 부착하여 가축의 체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신부(100)는 상기 체온 데이터를 상기 식별 신호와 함께 또는 별개로 송신할 수 있다.
촬영 장치(200)는, CCTV를 비롯하여 상기 가축을 촬영하여 모니터링에 필요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일체의 장치,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200)는 상기 가축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는 열 화상 카메라일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의 이동 모듈(3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를 참조하여 이동 모듈(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모듈(300)은 촬영 장치(200)와 연결되어 촬영 장치(2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모듈(300)은, 레일(310), 이동 모터(320), 회전 모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310)은 바퀴가 다닐 수 있도록 두 줄로 깔아 놓은 가늘고 긴 부재로서, 촬영 장치(2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축사의 한 측면에만 레일(310)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예일뿐이며, 모든 측면에 사각형 모양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가축의 효율적인 모니터터링을 위하여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태로도 설치될 수 있다. 레일(310)은, 가이드 턱(311), 서포트 빔(312) 및 전력 공급 라인(31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턱(311)은 후술하는 이동 바퀴(360)가 회전하여 후술하는 이동 모터(3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바퀴(36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서포트 빔(312)은 가이드 턱(311)과 접하여 가이드 턱(311)을 지지하는 부재일 수 있다. 서포트 빔(312)은 외부 고정 부재(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고정 부재(30)의 개수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트 빔(312)은 축사(10)의 두 개의 기둥에 고정될 수 있다.
전력 공급 라인(313)은 서포트 빔(312)의 일면에 형성되고, 이동 모터(320) 및/또는 회전 모터(3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 라인(313)은 전선과 같이 플렉시블(flexible)한 부재일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빔(312)의 일면에 몰딩(molding) 되어 고정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모터(320)는 촬영 장치(200)를 레일(310)에 따라 직접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모터(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바퀴(360)를 회전하여 촬영 장치(200)를 레일(310)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회전 모터(330)는 촬영 장치(2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모터(330)는 촬영 장치(200)가 촬영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동 모터(320)는 고정 링크(340) 및 고정 패널(350)을 통하여 회전 모터(330)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모터(320)와 회전 모터(330)는 효율적인 촬영 각도 확보를 위하여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축사의 형태 및 가축의 밀집도 등에 따라 30도, 60도 등 다양한 각도와 연결 부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동 모터(320) 및 회전 모터(330)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이동 모터(320)의 일 측면에는 접촉 팁(370)이 형성될 수 있다. 접촉 팁(370)은 이동 레일(310)의 전력 공급 라인(313)과 접촉하여 이동 모터(320) 및 회전 모터(33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도 3에서는, 이동 모터(320)와 회전 모터(330)를 별개의 장치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이동과 회전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신호 수신부(400)는 신호 송신부(100)에서 발생한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수신부(400)는 식별 신호를 판별하여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수신부(400)는 신호 송신부(1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독자적인 통신 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400)는 신호 송신부(100)가 상기 가축의 체온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상기 체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신호 수신부(400)에서 수신한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촬영 장치(200)가 상기 가축을 화면에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가축의 위치에 따라 이동 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가축마다 고유한 식별 신호를 판독하여 촬영 대상 가축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부터 Z 까지의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에서 A 가축에 대하여는 a 식별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송신부(100)를 부착하고, B 가축에 대하여는 b 식별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송신부(100)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Z 가축에 대하여 까지 각각의 고유한 식별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송신부(100)를 부착한 경우, 신호 수신부(400)에서는 a 식별 신호부터 z 식별 신호까지 모두 수신한다. A 가축이 임신 상태이거나 질병에 걸려 있어 집중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500)는 a 식별 신호가 송신되는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 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복수의 가축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식별 신호의 위치를 추적하여 촬영 장치(200)가 주기적으로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가축을 촬영하도록 주기적으로 이동 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500)는 상기 식별 신호가 가축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가축마다 고유한 식별 신호에 대응되는 가축 정보를 로딩하거나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은, 가축마다 고유한 식별 신호에 대응되는 가축 정보를 저장하고,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식별 신호와 매칭되는 가축 정보를 제어부(500)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600)은, 촬영 장치(200)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600)은, 3G(3rd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와 같은 통신 방식을 구현하는 기기, 장치, 칩 또는 회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가축이 내는 소리를 인식하는 음향 인식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600)은, 음향 인식부(700)가 인식한 가축의 소리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사(20)에서 나는 소리를 음향 인식부(700)가 인식하여 통신 모듈(600)을 통해 후술하는 이동 단말기(미도시)에 송신하여, 사용자가 현재 가축의 상태를 청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신한 가축이 출산을 앞두고 울음소리를 내는 경우, 사용자는 이러한 울음소리를 이동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실시간으로 청취하여 가축의 출산 시점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은, 축사(2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축사(20) 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풍 장치(800)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상기 가축의 위치에 대응되는 환풍 장치(8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가축의 체온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온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가축의 위치에 대응되는 환충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축의 열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모든 환풍 장치(800)의 동작을 온(on) 시킴으로써 응급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은, 통신 모듈(600)로부터 상기 가축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정보를 통신 모듈(600)로 송신하는 이동 단말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정보에 의해, 촬영 장치(200), 이동 모듈(300) 및 환풍 장치(8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미도시)는 노트북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스마트 왓치, 스마트 밴드, 테블릿 등 일체의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왓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축사 내 특정 가축에 대한 영상 및 체온 정보, 축사 내 음향 정보를 획득하여 정확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돌발 상황이나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스마트 왓치를 통해 촬영 장치(200), 이동 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집중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거나, 환풍 장치(8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1차적인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신한 가축의 체온이 급격히 올라 고열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환풍 장치(800)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이 가축을 촬영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식별 송신부에서 식별 신호를 발생하면(S100), 신호 수신부(400)에서 상기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S200), 제어부(500)에서 상기 식별신호에 근거하여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가축의 위치를 파악하여(S300), 이동 모듈(300), 촬영 장치(200), 환풍 장치(800)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400).
통신 모듈(600)이 영상 정보, 체온 데이터 및 음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동 단말기에 송신하면(S500), 사용자는 상기 정보를 인지한 후 설정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입력하여(S600), 이동 모듈(300), 촬영 장치(200), 환풍 장치(800)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추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S400).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 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 : 가축
20 : 축사
30 : 고정 부재
100 : 신호 송신부
200 : 촬영 장치
300 : 이동 모듈
310 : 레일
311 : 가이드 턱
312 ; 서포트 빔
313 : 전력 공급 라인
320 : 이동 모터
330 : 회전 모터
340 : 고정 링크
350 : 고정 패널
360 : 이동 바퀴
370 : 접촉 팁
400 : 신호 수신부
500 : 제어부
600 : 통신 모듈
700 : 음향 인식부
800 : 환풍 장치
1000 :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Claims (10)

  1. 가축의 몸에 부착되어 식별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송신부;
    상기 가축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
    상기 촬영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촬영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
    상기 신호 송신부에서 발생한 특정 주파수를 갖는 주기 신호인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 신호에 대응되는 가축 정보를 로딩하거나 매칭하고, 상기 촬영 장치가 상기 가축을 화면에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가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촬영 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축사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축사 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하나 이상의 환풍 장치; 및
    상기 가축이 내는 소리를 인식하는 음향 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가축의 체온을 감지하여 생성한 체온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음향 인식부가 인식한 가축의 소리를 외부로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임신 상태인 가축의 식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임신 상태인 가축의 위치를 추적하여 집중 모니터링하고, 상기 임신 상태인 가축의 소리를 기반으로 상기 임신 상태인 가축의 출산 시점을 판단하며, 상기 체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신한 상기 가축의 위치에 대응되는 환풍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촬영 장치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
    상기 촬영 장치를 상기 레일에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 및
    상기 촬영 장치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이동 모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턱;
    상기 가이드 턱과 접하여 외부 고정 부재에 고정되는 서포트 빔; 및
    상기 서포트 빔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모터 또는 상기 회전 모터 중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는,
    가축의 귀에 부착하는 귀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가축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는 열 화상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가축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촬영 장치, 상기 이동 모듈 및 상기 환풍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60074522A 2016-06-15 2016-06-15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2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522A KR101729443B1 (ko) 2016-06-15 2016-06-15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522A KR101729443B1 (ko) 2016-06-15 2016-06-15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443B1 true KR101729443B1 (ko) 2017-04-24

Family

ID=5870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522A KR101729443B1 (ko) 2016-06-15 2016-06-15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4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762B1 (ko) * 2017-06-22 2018-11-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보금 축사용 질병 확산방지 시스템
CN110612921A (zh) * 2019-09-25 2019-12-27 农芯科技(广州)有限责任公司 一种定位栏母猪的监测系统及方法
CN110782905A (zh) * 2019-11-05 2020-02-11 秒针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装置及系统
CN111916096A (zh) * 2019-05-09 2020-11-10 南京农业大学 一种基于树莓派的藏羊牧食行为监测方法
JP2021174372A (ja) * 2020-04-28 2021-11-01 アルセンス株式会社 センサデバイス及び家畜管理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593B1 (ko) * 2013-03-27 2015-12-0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593B1 (ko) * 2013-03-27 2015-12-0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762B1 (ko) * 2017-06-22 2018-11-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보금 축사용 질병 확산방지 시스템
CN111916096A (zh) * 2019-05-09 2020-11-10 南京农业大学 一种基于树莓派的藏羊牧食行为监测方法
CN110612921A (zh) * 2019-09-25 2019-12-27 农芯科技(广州)有限责任公司 一种定位栏母猪的监测系统及方法
CN110782905A (zh) * 2019-11-05 2020-02-11 秒针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装置及系统
JP2021174372A (ja) * 2020-04-28 2021-11-01 アルセンス株式会社 センサデバイス及び家畜管理システム
JP7449510B2 (ja) 2020-04-28 2024-03-14 アルセンス株式会社 センサデバイ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443B1 (ko)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US11963515B2 (en) Livestock location system
KR20160092538A (ko) 센서와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방목 가축 질병 예측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US20120204811A1 (en) Cell collar system and method
WO20081394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calving
EP2731546A1 (en) Pet animal collar for health&vital signs monitoring, alert and diagnosis
JP2007124966A (ja) 動物の発情情報、出産情報及び/又は生体情報検知装置。
KR20180051785A (ko) 대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WO2017183328A1 (ja) 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A2950949C (en) Data network for monitoring animals
EP3335549A1 (en) Anim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0802768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enceless animal control
CA307755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1260895A (zh) 报警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KR20150098024A (ko) 영상정보 및 생체신호정보를 이용한 동물의 사육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70245472A1 (en) Environmental control for enclosures based on touch-less monitoring of animals
KR20150146184A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 축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955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애완동물관리시스템
CN112690784A (zh) 动物血氧饱和度实时监测系统
KR20170138260A (ko) 대동물(소,말등)의 움직임과 목넘김소리등을 센싱하여, 생체 신호를 빅데이터로 저장 및 변환하고, 저장된 빅데이터에 근거한 대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알고리즘
JP2023019303A (ja) 位置特定支援装置、位置特定支援システム、位置特定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102231599B1 (ko) 가축 관리에 이용되는 드론을 위한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시스템
US20240023522A1 (en) Data Collection Device
KR20190062779A (ko) 반려동물 케어를 위한 멀티모달 센서 장치
KR20230078092A (ko) 지능형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