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770A -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770A
KR20220041770A KR1020210126942A KR20210126942A KR20220041770A KR 20220041770 A KR20220041770 A KR 20220041770A KR 1020210126942 A KR1020210126942 A KR 1020210126942A KR 20210126942 A KR20210126942 A KR 20210126942A KR 20220041770 A KR20220041770 A KR 20220041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omophore
biomarker
biometric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color develo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근
박시형
김응선
이민아
나오미
Original Assignee
김병근
박시형
김응선
이민아
나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근, 박시형, 김응선, 이민아, 나오미 filed Critical 김병근
Publication of KR2022004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61B5/14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 A61B5/14514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using means for aiding extraction of interstitial fluid, e.g. microneedles or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95Calibrating or testing of in-vivo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977Arrays of piercing elements for simultaneous piercing
    • A61B5/150984Microneedles or micro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inance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Eco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n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은 생체 시료의 바이오마커에 반응하여 바이오마커의 수준에 따라 발색하는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와 항상 일정하게 발색하는 비색 대조 발색부가 구비된 바이오마커 측정기; 카메라 및 조명이 구비되며,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와 비색 대조 발색부를 촬영하여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와 비색 대조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생체정보 분석부에 제공하고, 생체정보 분석부로부터 제공받은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상기 비색 대조 발색부의 색을 기준으로 상기 조명이 조절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되거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별도의 장치에 포함되어,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와 비색 대조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비색 대조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보정하고, 보정된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바이오마커 관련 생체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생체정보 분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Biometrics measurement system based on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가능하고 일반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빠른 결과 확인이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개발되어 사람들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 디바이스는 우리들의 실생활에 아주 밀접하게 관여하고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게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보급되었으며, 웨어러블(wearable) 진단 기기를 개발하고 이를 접목하는 시도들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생체정보 분석을 통한 체외진단 또는 건강상태와 질병 예측 및 진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생체정보 분석은 병원에서 환자의 진료 및 치료를 목적으로 질병에 대한 징후/예측을 확인하고자 검사를 진행하고, 이에 따른 결과의 이상 유무를 통해 이상이 있을 시 추가적인 정밀 검사를 통해 질병을 확인한다. 이 경우 검사 결과를 알기까지 몇 시간에서 며칠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과 병원에 직접 방문해야하는 시간적 낭비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검사를 진행할 경우 사용하는 장비가 매우 고가이고 일반인들이 이 검사 장비를 사용하고 검사결과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합하면서 기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즉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가능하고 일반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빠른 결과 확인이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4593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가능하고 일반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빠른 결과 확인이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생체 시료의 바이오마커에 반응하여 바이오마커의 수준에 따라 발색하는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와 항상 일정하게 발색하는 비색 대조 발색부가 구비된 바이오마커 측정기; 카메라 및 조명이 구비되며,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와 비색 대조 발색부를 촬영하여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와 비색 대조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생체정보 분석부에 제공하고, 생체정보 분석부로부터 제공받은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상기 비색 대조 발색부의 색을 기준으로 상기 조명이 조절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되거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별도의 장치에 포함되어,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와 비색 대조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비색 대조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보정하고, 보정된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바이오마커 관련 생체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생체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일반인들도 전문 인력의 개입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쉽고 빠르게 생체정보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생체정보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한 질병이나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 또한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인들이 생체정보 측정 및 질병이나 건강상태의 조기 예측 또는 진단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건강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되며, 나아가서는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소요되는 사회적인 비용 절감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생체정보 분석부(30)가 스마트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별도의 장치에 포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생체정보 분석부(30)가 스마트 디바이스(20)에 내장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바이오마커 측정기(10)를 나타낸 것으로, 복수의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가 스트립 형태의 매체에 배치되고, 복수의 비색 대조 발색부(12)가 판 형태의 다른 매체에 배치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이 구비된 바이오마커 측정기(10)를 피부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촬영 가이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은 생체 시료의 바이오마커에 반응하여 바이오마커의 수준에 따라 발색하는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와 항상 일정하게 발색하는 비색 대조 발색부(12)가 구비된 바이오마커 측정기(10); 카메라 및 조명이 구비되며,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와 비색 대조 발색부(12)를 촬영하여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와 비색 대조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생체정보 분석부(30 또는 21)에 제공하고, 생체정보 분석부(30 또는 21)로부터 제공받은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상기 비색 대조 발색부의 색을 기준으로 상기 조명이 조절되는 스마트 디바이스(20);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에 내장되거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별도의 장치에 포함되어,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와 비색 대조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비색 대조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보정하고, 보정된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바이오마커 관련 생체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생체정보 분석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마커 측정기(10)는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와 비색 대조 발색부(12)를 구비함으로써 생체 시료의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스마트 디바이스의 카메라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하고, 또한 비색법으로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식별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바이오마커 측정기(10)는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이 구비되어 피부에 적용 시 피부 아래의 생체 시료를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별도의 채취 장비(예를 들어, 주사기)없이 혈액 또는 피하 물질을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형태로 피부 접촉면에 마이크로니들이 위치하고 반대면에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 및 비색 대조 발색부(12)가 위치하여 피부에 패치를 붙이는 행동만으로 피부 아래의 혈액 또는 다른 성분이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체 시료는 전혈, 혈장, 혈청, 타액, 소변, 대변, 눈물, 임의의 다른 체액, 세포 및/또는 조직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소변, 눈물, 땀, 타액 및 혈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체 시료는 동물의 시료이며, 바람직하게는 인간 또는 가축의 시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는 단백질, 미세알부민, 백혈구, 아질산염, 잠혈, 빌리루빈, 유로빌리노겐, pH, 케톤체, 포도당, 요비중, 크레아티닌, 비타민C, 활성산소, 염도, 요산, 니코틴 및 N-말단 텔로펩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변 내 바이오마커에 반응하여 발색하는 것이다.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형태인 경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는 암과 관련된 혈액 중의 인자들로부터 선택된 바이오마커에 반응하여 발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마커 측정기(10)는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를 구비할 경우, 각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는 서로 다른 바이오마커에 대한 반응 발색부일 수 있다. 도 1 및 2는 바이오마커 측정기(10)가 12개의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이오마커 측정기(10)는 하나 이상의 비색 대조 발색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종의 바이오마커 당 적어도 하나의 비색 대조 발색부를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종의 바이오마커 당 서로 다른 기준을 제공하는 복수의 비색 대조 발색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바이오마커의 수준이 0 내지 100 사이의 수준인 경우, 25 수준에 대한 색을 나타내는 제1비색 대조 발색부 및 75 수준에 대한 색을 나타내는 제2비색 대조 발색부를 구비할 수 있다. 1종의 바이오마커 당 많은 수의 서로 다른 수준에 대한 비색 대조 발색부를 구비할수록 바이오마커 수준에 대한 보다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도 1 및 2의 바이오마커 측정기(10)는 1종의 바이오마커 당 4가지의 서로 다른 수준에 대한 비색 대조 발색부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바이오마커 측정기(10)는 복수의 서로 다른 매체에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와 비색 대조 발색부(12)가 나뉘에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복수의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가 스트립 형태의 매체에 배치되고, 복수의 비색 대조 발색부(12)가 판 형태의 다른 매체에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바이오마커 측정기(10)는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의 위치 특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 이미지는 촬영 이미지에서 기준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촬영 이미지 내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의 위치 특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마커 측정기(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가이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20)는 카메라가 구비되어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와 비색 대조 발색부(12)를 촬영할 수 있으며, 조명이 구비되어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11)와 비색 대조 발색부(12)에 조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20)는 예를 들어 휴대용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일 수 있다. 이러한 기기 이외에도 주변 환경, 생체 등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거나 이러한 정보를 다른 기기 또는 시스템에 전달하거나 공유하거나 상호 연동하거나 자율 판단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2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와 비색 대조 발색부의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생체정보 분석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체정보 분석부로부터 분석 결과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형태로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2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명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환경이 너무 어두워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비색 대조 발색부(12)의 색이 식별되기 어려운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명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지만 조광 조건이 열악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색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쉽게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2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주기적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여 적절한 시기에 생체정보 측정을 시도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보다 효율적인 질병 또는 건강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2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시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이미지에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촬영자가 보다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이미지 정보를 얻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생체정보 분석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정보 분석부(30)는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와 비색 대조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아 비색 대조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촬영 시의 주변 환경 조건(예를 들어, 빛의 밝기, 그림자 등)에 따라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색이 다르게 촬영되어 분석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이러한 보정을 통해 쉽게 해소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색 대조 발색부의 색상값을 기준으로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색상값을 보정한다.
본 발명의 생체정보 분석부(30)는 AI 색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분석의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정보 분석부(30)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되거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되는 경우 본 발명의 생체정보 분석부(30)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정보 분석부(30)는 예를 들어 보정된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색상값을 도출하고 이 색상값으로부터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도출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바이오마커의 수준과 비교하는 분석을 수행한다. 미리 설정된 바이오마커의 수준은 건강한 또는 건강상태가 양호한 대상의 바이오마커 수준 또는 복수의 이러한 대상들의 바이오마커 수준의 평균값일 수 있으며, 질환을 앓는 대상의 바이오마커 수준 또는 복수의 이러한 대상들의 바이오마커 수준의 평균값일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한 상태에서의 바이오마커 수준 또는 사용자의 질환이 있었던 상태에서의 바이오마커 수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정보 분석부(30)에서 도출된 분석 결과는 질병 또는 건강상태를 진단 또는 예측한 결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바이오마커 측정기는 소변을 생체 시료로 하는 바이오마커 측정기이고, 포도당에 대한 반응 발색부, 케톤에 대한 반응 발색부,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크레아티닌에 대한 반응 발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상기 포도당에 대한 반응 발색부, 케톤에 대한 반응 발색부,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크레아티닌에 대한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당뇨병과의 연관성을 도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4종의 바이오마커, 즉 포도당, 케톤, 미세알부민 및 크레아티닌의 수준의 조합을 바탕으로 당뇨병에 대한 보다 효율적이며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포도당은 건강할 경우 세뇨관에서 흡수되어 혈액 속에 있지만 신장 기능 문제 또는 과혈당일 경우 소변에서 검출될 수 있다. 케톤은 혈당이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간에서 지방을 연료로 이용 시 생성되는 산의 한 형태이다. 미세알부민은 신장 손상 시 최초로 소변에서 검출되는 성분으로 신장 기능이 떨어질 경우 단백질을 거르는 능력을 잃게 되어 소변으로 배설된다. 크레아티닌은 근육에서 생산되는 노폐물이며 신장에서 제거되는 물질로 신장 기능을 측정하는 지표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바이오마커 측정기는 소변을 생체 시료로 하는 바이오마커 측정기이고, 활성산소에 대한 반응 발색부, 염도에 대한 반응 발색부, 요산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비타민C에 대한 반응 발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상기 활성산소에 대한 반응 발색부, 염도에 대한 반응 발색부, 요산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비타민C에 대한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면역 질환과의 연관성을 도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4종의 바이오마커, 즉 활성산소, 염도, 요산 및 비타민C의 수준의 조합을 바탕으로 면역 질환에 대한 보다 효율적이며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활성산소를 통해 지방을 산화할 때 생성되는 소변 속 MDA를 확인할 수 있으며, MDA 수준이 과도하면 산화적 스트레스로 건강한 세포를 공격해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 염도를 통해 식습관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요산은 퓨린이라는 물질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최종 대사산물로 과포화상태 시 체내 침착된다. 소변 내 비타민C의 존재 유무를 통해 비타민C의 섭취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바이오마커 측정기는 소변을 생체 시료로 하는 바이오마커 측정기이고, 백혈구에 대한 반응 발색부, 단백질에 대한 반응 발색부,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잠혈에 대한 반응 발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상기 백혈구에 대한 반응 발색부, 단백질에 대한 반응 발색부,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잠혈에 대한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코로나 19 중증도와의 연관성을 도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4종의 바이오마커, 즉 백혈구, 단백질, 미세알부민 및 잠혈의 수준의 조합을 바탕으로 코로나 19 중증도와의 연관성에 대한 보다 효율적이며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신장, 방광 등이 감염되었을 때 백혈구, 단백질, 미세알부민 및/또는 잠혈이 소변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바이오마커 측정기는 소변을 생체 시료로 하는 바이오마커 측정기이고,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크레아티닌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단백질에 대한 반응 발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상기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크레아티닌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단백질에 대한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합병증과의 연관성을 도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3종의 바이오마커, 즉 미세알부민, 크레아티닌 및 단백질의 수준의 조합을 바탕으로 합병증에 대한 보다 효율적이며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바이오마커 측정기는 소변을 생체 시료로 하는 바이오마커 측정기이고, 니코틴에 대한 반응 발색부, 활성산소에 대한 반응 발색부,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잠혈에 대한 반응 발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상기 니코틴에 대한 반응 발색부, 활성산소에 대한 반응 발색부,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잠혈에 대한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흡연자 건강과의 연관성을 도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4종의 바이오마커, 즉 니코틴, 활성산소, 미세알부민 및 잠혈의 수준의 조합을 바탕으로 흡연자 건강에 대한 보다 효율적이며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바이오마커 측정기는 생체 시료의 대조 바이오마커에 반응하여 대조 바이오마커의 수준에 따라 발색하는 대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상기 대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이미지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측정 상황이나 시료의 상태에 따른 오류를 보정하여 보다 효율적이며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크레아티닌을 대조 바이오마커로 삼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피부를 함께 촬영하여 촬영된 피부 이미지 정보를 생체정보 분석부에 전달하고,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와 함께 상기 피부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건강상태와의 연관성을 도출할 수 있다. 피부 또한 많은 질병이나 건강 상태와 관련이 있으므로, 이 경우 보다 정확한 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0: 바이오마커 측정기
11: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
12: 비색 대조 발색부
20: 스마트 디바이스
30: 생체정보 분석부

Claims (14)

  1. 생체 시료의 바이오마커에 반응하여 바이오마커의 수준에 따라 발색하는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와 항상 일정하게 발색하는 비색 대조 발색부가 구비된 바이오마커 측정기;
    카메라 및 조명이 구비되며,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와 비색 대조 발색부를 촬영하여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와 비색 대조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생체정보 분석부에 제공하고, 생체정보 분석부로부터 제공받은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상기 비색 대조 발색부의 색을 기준으로 상기 조명이 조절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되거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별도의 장치에 포함되어,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와 비색 대조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비색 대조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보정하고, 보정된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바이오마커 관련 생체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생체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 측정기는 마이크로니들이 구비되어 피부에 적용 시 피부 아래의 생체 시료를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에 전달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시료는 소변, 눈물, 땀, 타액 및 혈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는 단백질, 미세알부민, 백혈구, 아질산염, 잠혈, 빌리루빈, 유로빌리노겐, pH, 케톤체, 포도당, 요비중, 크레아티닌, 비타민C, 활성산소, 염도, 요산, 니코틴 및 N-말단 텔로펩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변 내 바이오마커에 반응하여 발색하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 측정기는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위치 특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AI 색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보정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는 질병 또는 건강상태를 진단 또는 예측한 결과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 측정기는 포도당에 대한 반응 발색부, 케톤에 대한 반응 발색부,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크레아티닌에 대한 반응 발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상기 포도당에 대한 반응 발색부, 케톤에 대한 반응 발색부,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크레아티닌에 대한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당뇨병과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 측정기는 활성산소에 대한 반응 발색부, 염도에 대한 반응 발색부, 요산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비타민C에 대한 반응 발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상기 활성산소에 대한 반응 발색부, 염도에 대한 반응 발색부, 요산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비타민C에 대한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면역 질환과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 측정기는 백혈구에 대한 반응 발색부, 단백질에 대한 반응 발색부,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잠혈에 대한 반응 발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상기 백혈구에 대한 반응 발색부, 단백질에 대한 반응 발색부,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잠혈에 대한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코로나 19 중증도와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 측정기는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크레아티닌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단백질에 대한 반응 발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상기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크레아티닌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단백질에 대한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합병증과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 측정기는 니코틴에 대한 반응 발색부, 활성산소에 대한 반응 발색부,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잠혈에 대한 반응 발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상기 니코틴에 대한 반응 발색부, 활성산소에 대한 반응 발색부, 미세알부민에 대한 반응 발색부 및 잠혈에 대한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흡연자 건강과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 측정기는 생체 시료의 대조 바이오마커에 반응하여 대조 바이오마커의 수준에 따라 발색하는 대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상기 대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이미지 정보를 보정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피부를 함께 촬영하여 촬영된 피부 이미지 정보를 생체정보 분석부에 전달하고,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는 상기 바이오마커 반응 발색부의 이미지 정보와 함께 상기 피부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건강상태와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KR1020210126942A 2020-09-25 2021-09-27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KR20220041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24859 2020-09-25
KR1020200124859 2020-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770A true KR20220041770A (ko) 2022-04-01

Family

ID=8118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942A KR20220041770A (ko) 2020-09-25 2021-09-27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17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23530A (zh) * 2023-11-24 2024-03-19 中国石油大学(华东) 可穿戴比色生物传感器及深度学习智能感知微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593B1 (ko) 2013-03-27 2015-12-0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593B1 (ko) 2013-03-27 2015-12-0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23530A (zh) * 2023-11-24 2024-03-19 中国石油大学(华东) 可穿戴比色生物传感器及深度学习智能感知微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mauro et al. A new method and a non-invasive device to estimate anemia based on digital images of the conjunctiva
EP1866637B1 (en) Body fluid testing component for analyte detection
US10251602B2 (en) Health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US20160139156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home monitoring of physiological states and conditions
US11933779B2 (en) Body fluid testing device having improved illumination
CN104040321A (zh) 测试系统设备以及用于测试的方法
JP2005137756A (ja) 健康度測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95280B1 (ko) 휴대형 소변분석기
JP2018108327A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KR20180057220A (ko) 이미지 센서 기반 휴대용 의료진단장치와 그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EP3483606A1 (en) Health monitoring system, health monitoring method, and health monitoring program
KR20220041770A (ko)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JP2003235829A (ja) 健康検査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健康検査装置と健康検査システム
WO2018207711A1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US20220270720A1 (en) Adjustment method for an analytical determination of an analyte in a body fluid
CN110753970A (zh) 分布式用户监测系统
Srinivasan et al. Non-invasive estimation of hemoglobin in blood using color analysis
Farmer Monitoring diabetes
Adams et al. Smartphone-based analysis of urine reagent strips is inaccurate for assessing underhydration
US11119100B2 (en) Reagent strips reader for analytes measurement in body fluids connected to a smartphone with emergency function
Ferreira et al. Design of a prototype remote medical monitoring system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and glucose measurement
KR102484594B1 (ko)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진단 키트 판독 단말 및 그 방법, 그리고 진단 시스템
WO2024023770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nalyzing urine
US20220099654A1 (en) Interstitial fluid capture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electrolyte levels using same
Wang Towards Real-Time Predictive Health Monitoring from Sweat Wear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