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644B1 -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644B1
KR101122644B1 KR1020090106056A KR20090106056A KR101122644B1 KR 101122644 B1 KR101122644 B1 KR 101122644B1 KR 1020090106056 A KR1020090106056 A KR 1020090106056A KR 20090106056 A KR20090106056 A KR 20090106056A KR 101122644 B1 KR101122644 B1 KR 101122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temperature distribution
control center
image
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172A (ko
Inventor
정완태
황규석
이상철
류일선
정석기
Original Assignee
(주)농정사이버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농정사이버,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주)농정사이버
Priority to KR1020090106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6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49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에서 길러지는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사에 설치된 열화상 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이용하여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축사에 장착되어 있으며, 축사를 촬영하여 축사 내부의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열화상 수집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열화상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관제 센터를 포함한다.
축사, 가축, 생체변화

Description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ANIMAL HEALTH CARE}
본 발명은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사에서 길러지는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외국과의 무역 협정 체결 추세에 따라, 축산 농가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닭, 오리, 돼지, 개, 소, 말 등 기타의 가축을 기르는 축산 농가에서는 사육 또는 증식되는 가축에 대해 그 생체변화, 예를 들어, 생리변화, 질병발생, 환축발생 및 응급환축발견 등을 적시에 파악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축산 농가에서는 축사에서 집단적으로 사육되는 가축에 대해 인부가 수시로 드나들면서 가축의 상태를 관찰하여, 가축의 생체변화를 사람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파악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인부가 축사에 수시로 드나들면서 가축을 관찰하는 한편, 먹이 또는 물을 주거나 또는 가축 배설물을 치우는 경우에, 잠깐씩 눈으로 대략적으로 가축 상태를 확인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축사에서 집단적으로 사육되는 수많은 가축에 대해 일일이 관찰한다는 것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람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해 가축의 생체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그 정확성 등이 보장되지 못하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축의 관리는 전혀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 중, 가축의 몸에 생체 기기를 부착하여, 가축의 생체변화를 파악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어, 가축의 생체변화 파악의 정확성 등을 일부 보장할 수 있으나, 수많은 가축 개개에 생체 기기를 개별적으로 부착하는 것으로 인해 축산 농가에게 적잖은 경제적 부담을 주고 있는 형편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가축의 숫자가 너무 많다는 점으로 인해, 소정의 기간이 지난 후에야 모든 생체 기기를 일괄적으로 회수한 상태에서 모든 가축의 생체변화 데이터를 획득해 이를 분석해야 됨으로, 즉각적인 생체변화 파악 및 그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축산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감안해 상기한 바와 같은 생체 기기는 특정 센서, 예를 들어, 온도센서, 혈압센서, 호르몬센서 등 및 메모리로만 구현되는데, 이러한 생체기기를 이용해서는, 축사 현장에서 인부가 가축의 생체변화에 관한 어떠한 정보도 얻지 못하고 있으며, 전문기관에 보내져 분석된 후에야만 가축의 생체변화가 파악될 수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파악 및 조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사에 설치된 열화상 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이용하여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은, 축사에 장착되어 있으며, 축사를 촬영하여 축사 내부의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열화상 수집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열화상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관제 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센터는, 상기 열화상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가축의 부위별 온도 색깔 및 크기에 관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로 상기 가축의 부위별 온도 색깔 및 크기에 관한 임계값을 벗어났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전송한 축사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과 함께 전송된 장치식별번호로부터 파악하여 이상 경고와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은 상기 가축의 부위별 온도 분포가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되어 있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축사에 설치된 열화상 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이용하여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에 있는 관리자도 실시간으로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화상 카메라에서 획득된 가축부위별 온도 분포 영상을, 각 가축의 부위별 온도 색깔 및 크기에 관한 임계값을 토대로 분석함으로써, 해당 축사의 가축들의 생체변화 이상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축산 농가에서 사육, 증식되는 가축에 대해 그 생체변화(생리변화, 질병 발생여부, 환축발생 및 응급환축 발견 등)를 적시에 파악 함으로써, 관리자가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사에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하기만 하면 됨으로, 축산 농가에 장치 설치상의 어려움, 가축 관리의 어려움, 빈번한 작업 수행, 경제적인 부담 등을 주지 않으면서도 가축에 대한 감시, 관리를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축의 체온을 열화상과 실화상으로 동시에 측정하여 유방염, 부제병, 소모성 질병 등을 사전에 발견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치료로 항생제의 오남용을 줄여 안전축산물 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사의 노후화된 전선이나 배전반 또는 전열기구 등의 과열정도를 조기 진단하여 화재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 사료빈 내외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신선한 사료를 급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겨울철 축사 내의 샛바람을 잡아주어 어린 가축의 호흡기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기업형 축산경영을 가능하게 한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사의 가축의 발정 여부 및 임신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관리자가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중 열화상 수집장치와 모니터링 서버 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가축의 열화상 이미지를 모니터링하는 한편, 가축의 체온변화를 분석하여 가축의 생체변화, 예를들어, 생리변화, 질병 감염 여부, 상해 여부, 발육 상태 등을 관리자가 적시에 파악하여, 그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의 가축을 촬영하여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열화상 수집장치(100)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열화상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받은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가축의 생체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관제 센터(400) 및 축사를 관리하며 가축을 기르는 사용자가 관제 센터에 접속하여 자신의 축사의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화상 수집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어서, 모니터링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열화상 수집장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축사 내의 가축들의 열화상(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이라 함)을 수집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열화상 수집장치는 일반적으로 축사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으나, 축사 외에도, 가축시장, 도로변, 들판, 도축장 등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도 있으며(고정형), 차량에 설치되어 이동되면서 이용될 수도 있다(이동형). 한편, 열화상 수집장치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을 불문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관제 센터와 연결되어, 가축 의 온도 분포 영상을 관제 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 열화상 수집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관제 센터(400)는 열화상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국적 또는 지역별로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제 센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축산 농가에 설치되어 있는 열화상 수집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니터링 서버(200) 및 관제 센터의 관리자들이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모니터링 서버(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열화상 수집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축산 농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열화상 수집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열화상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들이 원하는 각종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서버는 현재 인터넷 서버로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서버 또는 컴퓨터가 적용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관제 센터의 관리자들이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집된 정보들을 분석하고, 가공하며, 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서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원격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기는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컴퓨터(PC))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500)는 축사를 관리하는 축산 농가의 사용자들이 모니터링 서 버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자신의 축사에서 관리되는 가축들의 생체변화 정보들을 모니터링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때에 언제든지 모니터링 서버에 접속하여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으나,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별도의 알림 메시지 또는 이상 경고 등이 전송된 경우에 모니터링 서버에 접속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열화상 수집장치의 일실시예 외부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화상 수집장치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열화상 수집장치(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 내부의 가축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111),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또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13), 축사 내의 온도, 습도, 바람의 세기, 햇빛의 양 등의 각종 환경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14), 열화상 수집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16), 축사 내의 천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117), 이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15),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부(118)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화상 카메라(111)는 촬영 대상 피사체인 가축의 부위별 온도 분포 영상을 그 동일한 온도 범위에 따른 크기의 색깔로서 획득한다. 여기서, 가축의 부위란 가축의 머리, 몸통, 날개, 다리 등의 부위와, 각 부위의 세부 부분, 예를 들어, 몸통 의 위/중간/아래 등을 말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열화상 카메라(111)는 적외선 방식의 열화상 카메라로 구현되며, 가축의 부위별로 특정 온도에 따라 해당 파장이 방출되는 적외선을 촬영해 가축의 부위별 온도 분포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은 가축의 생체변화, 예컨대 질병 또는 응급환축 등이 발생된 경우에 해당 가축별 질병의 종류, 상처, 골절, 발육 부진 등에 따라 각 가축의 특정 부위에 특정 크기를 갖는 특정 온도 변화가 생긴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가축의 부위별 온도 분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열화상 카메라(111)를 이용한 것이다. 즉, 열화상 카메라는 촬영된 가축의 영상을 가축의 부위별 온도 분포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는 일반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영상을 수집할 수도 있다. 열화상 카메라가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수집할 것인지 또는 일반 영상을 수집할 것인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축산 농가에서는 각각의 축사, 예를 들어, 제1 돈사, 제2 우사, 계사 등의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화상 카메라(111)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축산 농가(한명의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하나의 축사에 하나의 열화상 카메라(111)가 설치된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는 다양한 통신 주기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열화상 카메라(111)가 실시간으로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 또는 일반 영상을 촬영(획득)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관제 센터(40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관제 센터측의 모니터링 서버(200)가 축사측의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수신받은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 또는 일반 영상에 대한 분석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가축의 생체변화(예; 생리변화, 질병발생여부, 환축발생 및 응급환축발견)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본 발명의 일예로서 설명된다.
출력부(113)는 사용자가 열화상 수집장치를 설정하거나 또는 현재 수집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각종 메뉴를 출력하거나, 또는 수집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LCD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감지부(114)는 열화상 수집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축사의 온도, 습도, 바람의 세기, 햇빛의 양 등과 같이 가축의 생체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환경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도, 습도 등의 수집을 위해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각종 센서들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감지부에서 수집된 환경정보는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과 함께 관제 센터로 전송될 수 있으며, 관제 센터는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축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동부(117)는 축사 내의 천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서,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열화상 카메라의 위치 등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부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이동부는 모터에 의해 이동하여 열화상 수집장치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동부(115)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16)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열화상 수집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2)는 열화상 수집장치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는 열화상 카메라의 영상 촬영 각도, 열화상 카메라의 초점 등을 변경할 수 있으며, 구동부와 이동부를 제어하여 열화상 카메라의 축사 내에서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변경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부에 기 설정되어 있는 설정정보에 따라 제어부가 직접 실행할 수도 있으며, 송수신부를 통해 관제 센터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실행할 수도 있다. 이처럼 관제 센터로부터 제어신호가 전송된 경우, 제어부는 전송된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제어신호보다 우선적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전송된 제어신호가 기 설정된 관제 센터로부터 전송된 정상적인 제어신호인지의 여부를 우선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송수신부(118)는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송수신부는 특히, 안테나(118a) 및 인터페이스(118b)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은 모뎀 또는 네트워크 연결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118b)가 담당하며, 안테나(118a)는 축사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무선으로 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축사에 설치된 열화상 수집장치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축사 관리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모니터링 결과 화면의 예 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 이용 실측값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해 열화상 수집장치와 관제 센터, 특히, 모니터링 서버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설정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902).
즉, 사용자는 축사의 내외부 시설 등을 고려해, 열화상 수집장치의 프로그램 셋팅 또는 펌웨어 셋팅 등을 통해, 열화상 카메라(111)의 촬영 환경을 설정(카메라의 고정/이동 여부, 회전각, 회전거리, 촛점 조정 등)할 수 있으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보낼 목적지로서 관제 센터(400), 특히, 모니터링 서버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설정 등이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는 카메라의 사양, 모니터링 서버의 리소스(부하, 처리 용량), 네트워크 상태 등을 고려해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 전송 주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축사의 위치정보, 주소, 축사 이름, 자신의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 관제 센터가 자신의 축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하, 간단히 '장치식별번호'라 함)를 입력함으로써, 관제 센터가 자신의 축사에서 전송한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축사에 집단적으로 사육되는 가축의 특성 등을 고려해 모든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는 축사 내부 중, 특히, 음식물통 주변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축이 수시로 음식물통 주변으로 몰려와서 먹이와 물을 먹기 때문에, 축사 내부 중에서도 음식물통 주변이 가축의 영상을 촬영하기에 가장 좋은 위치라 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111)가 가축온도 분포 영상을 보낸 것에 대해, 관제 센 터가 어느 축사 또는 어느 축산 농가의 어떠한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것인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제 센터, 특히, 모니터링 서버에는, 축사에 설치되는 열화상 카메라(111)에 관한 카메라 식별정보, 즉 카메라 장치번호, 카메라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축사정보(축산 농가 명칭, 축산 농가 주소(지역, 위치), 축산 농가 전화번호/이메일주소, 축사번호 등) 등(이하, 간단히 '축사식별정보'라 함)이 등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축사식별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장치식별번호와 매칭될 수 있도록, 관리자와 사용자 간의 협의에 의해 설정 및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설정 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열화상 카메라(111)는 기 설정된 주기, 즉, 실시간으로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획득 또는 촬영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 센터로 전송한다(904).
이때, 관제 센터, 특히, 모니터링 서버(200)는 각 축사에 장착된 열화상 수집장치의 열화상 카메라(111)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에 대한 분석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가축의 생체변화, 예를 들어, 생리변화, 질병발생, 환축발생 및 응급환축발견 등을 모니터링 한다(906).
한편, 관제 센터의 상기 모니터링 서버(200)는 실시간으로 가축의 생체변화한 결과로, 해당 가축의 생체변화에 이상이 있는 것, 예를 들어, 질병발생 의심, 응급환축 발견 등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를 가축의 생체변화 이상 경고로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그 결과를 통보한다(908). 즉, 모니터링 서버(200)는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에 대한 분석 결과로, 가축의 생체변화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각 가축의 부위별 온도 색깔 및 크기에 관한 임계값 등을 미리 등록 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이러한 각 가축의 부위별 온도색깔 및 크기에 관한 임계값을 토대로 모니터링 서버가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분석하여, 가축의 생체변화 이상 여부를 판단한 후,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경고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가축별 질병의 종류, 상처, 골절, 발육 부진 등에 따라 각 가축의 특정 부위에 특정 크기를 갖는 특정 온도 변화가 생기는데, 이러한 점에 착안해 모니터링 서버(200)는 열화상 수집장치(100)로부터 수신받은 해당 가축의 부위별 온도 분포 영상(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기 저장되어 있는 각 가축의 부위별 온도 색깔 및 크기에 관한 임계값을 토대로 분석하여, 가축의 생체 변화를 모니터링하거나, 가축의 생체변화 이상 여부 판단을 수행하는 것이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모니터링을 수행하다가 기 저장되어 있는 각 가축의 부위별 온도 색깔 및 크기에 관한 임계값을 벗어나는 경우, 즉, 전송된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에 의해 파악된 가축의 부위별 온도가, 기 저장되어 있는 각 가축의 부위별 온도 색깔 및 크기에 관한 임계값과 비교해 볼 때, 소정 크기 미만이거나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 모니터링 서버(200)는 이상이 있다고 판단된 해당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보내 온 열화상 수집장치(100)에 관한 축사식별정보, 즉, 열화상 카메라의 장치번호, 카메라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축사정보(축산 농가 명칭, 축산 농가 주소(지역, 위치), 축산 농가 전화번호/이메일주소, 축사번호 등) 등을 포함한 가축의 생체변화 이상 경고를, 관리자 단말기(300)로 통보한다. 이때, 모니터링 서버는 관리자 단말기로 이상 발생에 따른 경고를 통지하는 한편, 이상이 발생된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의 사용자에게 이상 발생에 따른 경고를 통지해줄 수도 있다. 즉, 모니터링 서버는, 열화상 수집장치에서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과 함께 전송되어온 장치식별번호와, 관제 센터에 저장되어 있는 축사식별정보를 통해 수집된 축산 농가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통해 이상 경고를 통지할 수도 있고, 또는 이메일을 이용하여 이상 경고를 통지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축의 생체변화 이상 경고에 대응해, 해당 축산 농가가 이를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관리자에 의한 요청에 의해, 또는 모니터링 서버와 관리자 단말기가 자동적으로, 음성, 문자 메시지, 이메일 등을 통해 가축의 생체 변화 이상 경고를 통보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때,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이상 경고를 인지한 후,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 서버(200)가 분석한 가축의 생체변화 이상 정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가축의 생체변화 이상 경고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 어느 축사의 어떠한 가축에 어떠한 가축 생체 변화 이상이 발생된 사실을 인지하고서 그에 대응되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910). 한편,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한 바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이 발생된 축사의 사용자에게 이상 경고를 통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상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한,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 이메일 또는 전화를 이용하여 이상 경고를 통지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가축의 생체변화를 확인한 후 즉각적으로 그에 대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예컨대 관제 센터측의 담당직원 또는 축산 농가측의 사용자 등은 가축의 생체변화 이상 경고를 인지한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 등을 이용해 모니터링 서버(200)에 접속한 후, 원격으로 열화상 수집장치의 열화상 카메라를 제어하여,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가축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가축의 생체변화 이상에 대한 보다 정밀한 관찰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니터링 서버는 열화상 카메라(111)에 의해 촬영되어 전송되어온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도 6 참고)을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사의 상황을 촬영한 실제 영상을 전송해 줌으로써,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보다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 자체에 설정되어 있는 설정 정보에 따라, 촬영 위치, 장착 위치 또는 초점 등이 제어될 수 있으나, 관제 센터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아래의 [표 1] 내지 [표 3]은 가축의 온도와 생체변화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 1]은 100개의 사진을 판독하여 도출된 한우의 체표온도 측정값을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한우의 개체별 온도 조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표 3]은 돈사온도와 돼지(자돈)의 상태를 나타낸 도표이다.
Figure 112009067867816-pat00001
Figure 112009067867816-pat00002
Figure 112009067867816-pat00003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중 열화상 수집장치와 모니터링 서버 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열화상 수집장치의 일실시예 외부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화상 수집장치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모니터링 결과 화면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 이용 실측값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열화상 수집장치 200 : 모니터링 서버
300 : 관리자 단말기 400 : 관제 센터
5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14)

  1. 축사에 장착되어 있으며, 축사를 촬영하여 축사 내부의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열화상 수집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열화상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관제 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센터는,
    상기 열화상 수집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가축의 부위별 온도 색깔 및 크기에 관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가축의 생체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로 상기 가축의 부위별 온도 색깔 및 크기에 관한 임계값을 벗어났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전송한 축사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과 함께 전송된 장치식별번호로부터 파악하여 이상 경고와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은 상기 가축의 부위별 온도 분포가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되어 있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수집장치는,
    상기 축사 내부의 가축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
    상기 열화상 카메라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축사 내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제 센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 상기 구동부, 상기 송수신부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 내의 온도, 습도, 바람의 세기, 햇빛의 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된 환경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환경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관제 센터로 전송하며,
    상기 관제 센터는 상기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축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는,
    촬영 환경 설정 사항,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전송할 목적지 설정 사항,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 전송 주기 설정 사항이 등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제어부가, 기 설정되어 있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관제 센터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 또는 상기 축사의 영상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영상 촬영 방향 또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초점은,
    상기 관제 센터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센터는,
    상기 열화상 수집장치를 통해 전송된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의 분석 결과,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가 기 설정된 적정치를 벗어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상기 영상 촬영 방향 또는 상기 초점을 변경하도록, 상기 열화상 수집장치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센터에는, 상기 열화상 수집장치에 관한 장치번호, 상기 열화상 수집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도메인), 상기 열화상 수집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축사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축사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고,
    상기 열화상 수집장치는 상기 축사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장치식별번호를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과 함께 상기 관제 센터 내 기구성된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제 센터는,
    상기 장치식별번호와 상기 축사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축의 온도 분포 영상을 각 축사별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센터는,
    상기 장치식별번호로부터 파악된 상기 축사의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 이메일,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경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센터는,
    상기 관제 센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열화상 수집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90106056A 2009-11-04 2009-11-04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22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056A KR101122644B1 (ko) 2009-11-04 2009-11-04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056A KR101122644B1 (ko) 2009-11-04 2009-11-04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172A KR20110049172A (ko) 2011-05-12
KR101122644B1 true KR101122644B1 (ko) 2012-03-09

Family

ID=4436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056A KR101122644B1 (ko) 2009-11-04 2009-11-04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6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317A (ko) * 2019-03-26 2020-10-07 (주)씽크포비엘 모돈 이상징후 포착 및 관리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210004458A (ko)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제이씨레이다 가축 질병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53038A (ko) 2021-10-13 2023-04-21 주식회사 라온헬스랩 멸균 용기에 의한 반려동물 및 가축의 질병검사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측정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446B1 (ko) * 2013-07-24 2014-02-14 주식회사 이케아아이씨티 교도소용 수감자 감시시스템
WO2016099008A1 (ko) * 2014-12-17 2016-06-2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상정보 분석을 이용한 피사체 상황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N110574708A (zh) * 2018-06-08 2019-12-17 刘丹 养殖场疾控管理系统及其应用的管理装置与巡查机器人
CN109008991A (zh) * 2018-06-21 2018-12-18 赵宏杰 儿童体温红外热成像检测分析系统及方法
KR102176081B1 (ko) * 2018-11-23 2020-11-09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설 모니터링 시스템
WO2022044084A1 (ja) * 2020-08-24 2022-03-03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機制御システム
KR102516271B1 (ko) * 2020-10-30 2023-03-30 주식회사 아이트 홍채인식 및 복합인식을 통한 동물 관리시스템
KR102563218B1 (ko) * 2021-02-01 2023-08-03 주식회사 이오씨 적외선 ip카메라를 이용한 돼지 질병 예찰 시스템
KR102625182B1 (ko) * 2021-03-10 2024-01-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뽕을품은누에 유휴하우스를 이용한 스마트 커넥티드 잠실 시스템
WO2022231404A1 (ko) * 2021-04-30 2022-11-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객체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317A (ko) * 2019-03-26 2020-10-07 (주)씽크포비엘 모돈 이상징후 포착 및 관리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WO2021194008A1 (ko) * 2019-03-26 2021-09-30 (주)씽크포비엘 모돈 이상징후 포착 및 관리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425523B1 (ko) * 2019-03-26 2022-07-27 (주)씽크포비엘 모돈 이상징후 포착 및 관리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210004458A (ko)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제이씨레이다 가축 질병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53038A (ko) 2021-10-13 2023-04-21 주식회사 라온헬스랩 멸균 용기에 의한 반려동물 및 가축의 질병검사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측정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172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644B1 (ko)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61311B1 (ko) 가축용 질병 예측 및 알림 시스템
US867794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health monitoring of anonymous animals in livestock groups
KR101574593B1 (ko)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KR102108829B1 (ko)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
KR20130042771A (ko) 원격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445698B1 (ko) 실시간 자동 검진 방법 및 이를 위한 자동 검진 시스템
US20200045929A1 (en) Hog health monitor
CN105748046A (zh) 基于红外热像图的温度信息监测方法及其系统
KR20210031091A (ko) 가축 활동량 모니터링 및 건강 예찰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0888A (ko) 가축용 체온 감지시스템
KR20140013425A (ko) 가축질병 모니터링 시스템, 가축질병 모니터링 서버 및 그 모니터링 방법
CN104750043A (zh) 集约化猪场生物安全感知系统
KR20200088599A (ko) 로라망을 이용한 스마트 축사 관리 시스템
KR102160551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동물의 질병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30088667A (ko) 가축생산성 향상을 위한 u―IT기반 원격 화상 진료 장치
KR20200052458A (ko)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6868B1 (ko) 웨어러블 스마트 바이오센서 및 지능형 cctv를 기반으로 하는 구제역 관제서비스 방법과 그 시스템
KR102245210B1 (ko) 가축 질병 모니터링 시스템
KR20110137096A (ko) 가축방역 예방시스템 및 그 예방방법
KR20230017517A (ko) IoT 기반의 스마트 축사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축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03497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축사 관리 시스템
KR20090090488A (ko)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가축의 질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06270A (ko) 가축 전염병 관리시스템
KR200497533Y1 (ko) 가축 질병 모니터링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