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279Y1 -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279Y1
KR200497279Y1 KR2020230000087U KR20230000087U KR200497279Y1 KR 200497279 Y1 KR200497279 Y1 KR 200497279Y1 KR 2020230000087 U KR2020230000087 U KR 2020230000087U KR 20230000087 U KR20230000087 U KR 20230000087U KR 200497279 Y1 KR200497279 Y1 KR 200497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box
container
waste
defeca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호
Original Assignee
유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호 filed Critical 유철호
Priority to KR2020230000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려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수거함으로써,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이 수용되는 배변용기가 보관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이 투입되는 투입홀(H1)이 형성되는 투입 슬라이드홀(101)이 마련되는 수거함 본체(110) 및 상기 수거함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투입홀(H1)을 통하여 투입된 상기 배변용기가 가이드 되도록 안내하는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은 상기 수거함 본체(110)가 안착되는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변용기가 투입되어 낙하되는 제1 영역(A)과 투입된 상기 배변용기가 낙하되어 상기 수거함 본체의 내부 공간에 보관되는 제2 영역(B)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WASTE DISPOSAL CONTAINER FOR PET WASTE BAGS}
본 고안은 반려동물의 배변을 용이하게 수용하여 보관 및 처리가 가능한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Companion animal)은 사람이 정서적으로 의지하기 위해 집에서 기르는 동물을 말한다. 과거에는 사람 에게 귀여움을 받고 즐거움을 준다는 의미에서 애완동물이라는 명칭이 자주 쓰였다. 그러나 동물이 장난감 같은 존재가 아니라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반려자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반려동물이라고 주로 불리고 있다. 반려동물에는 강아지, 고양이, 햄스터 등의 포유류와 앵무새, 카나리아 등의 조류, 금붕어, 열대어 등의 어류, 이구아나, 카멜레온 등의 파충류 따위가 있다. 반려동물들 중 고양이, 강아지 등의 반려동물들은 적절한 훈련을 통해 일정 장소에서 배변하는 습관을 배울 수 있다. 배변장소 주변을 주기적으로 청소하지 않을 경우 위생적이지 못하여 배변 냄새가 발행하여 원활한 배변을 이루지 못하여 심한 스트레스를 받기도 하며, 애완동물은 물론 사람까지도 피부염, 호흡기 질환, 악취로 인한 스트레스 등의 질병에 노출되기 쉽다.
이러한 반려동물의 배변을 처리함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산책할 때 반려동물 배변을 치우지 않고 그대로 방치된 배변으로 인해 보행의 불편함, 병균 전파 및 수질 오염 등 여러 문제를 초래할 수 있었다 둘째, 반려인이 배변봉투를 휴대하더라도 이를 버릴 곳이 없는 경우 집으로 돌아가기까지 외출이나 산책하는 동안 계속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셋째, 반려동물 배변봉투를 버릴 때 손으로 직접 접촉하여 배변봉투 수거함 덮개를 열 때 세균감염의 위험이 있었다. 넷째, 반려동물 배변 봉투함 및 배변 봉투 전용 수거함에 일회용 커피컵 등의 일반쓰레기를 투입해서 주변이 더러워질 수 있었다. 다섯째, 반려동물 배변 봉투함 및 배변 봉투 전용 수거함에 빗물이 고여서 악취와 벌레가 발생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5387호 (2013년 09월 02일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1921호 (2015년 03월 25일 공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배변봉투 미 소지한 반려인 및 일반 반려인을 위해 반려동물 배변 봉투함과 배변이 담긴 배변봉투를 수거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반려동물 배변 봉투함 및 배변 봉투 전용 수거함의 투입구를 무게 중심 조절 스윙도어로 제작하여 악취, 파리 모기와 같은 벌레들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반려동물 배변 봉투함 및 배변 봉투 전용 수거함에 사용자들이 직접 접촉을 피하도록 비접촉 투입방식으로 세균감염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반려동물 배변 봉투함 및 배변 봉투 전용 수거함 내부에 빗물이 고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빗물 배수로를 설치하여 수거함 내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은, 반려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수거함으로써,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이 수용되는 배변용기가 보관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이 투입되는 투입홀이 형성되는 투입 슬라이드홀이 마련되는 수거함 본체; 및
상기 수거함 본체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투입홀을 통하여 투입된 상기 배변용기가 가이드 되도록 안내하는 배변체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은, 상기 수거함 본체가 안착되는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변용기가 투입되어 낙하되는 제1 영역과 투입된 상기 배변용기가 낙하되어 상기 수거함 본체의 내부 공간에 보관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은,
상기 수거함 본체(110)가 안착되는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마련되고 중앙 부위의 적어도 일부가 통공되어 있는 경사 플레이트부(212);
상기 경사 플레이트부(212)의 통공된 부위를 밀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도어(213);
상기 회전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나사식 고정 노브(217); 및
상기 회전 도어(213)가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 힌지부(218); 및
상기 회전 힌지부(218)의 일측에 형성되어 낙하되는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봉투의 중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 되도록 제어하는 중량 조절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거함 본체에는,
상기 투입 슬라이드홀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거함 본체의 상측 내주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차단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차단부재의 일측 단부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는 형상으로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의 경사 플레이트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2 차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의 경사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수거함 본체의 투입 슬라이드홀로 유입되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유입된 후에 배출이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유체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거함 본체에는,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의 상기 유체 가이드부를 통하여 유동하는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체 배출홀;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거함 본체에는,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용기가 수납되어 제공 가능하도록 배변용기 공급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의 일측에는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용기가 안착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은, 배변봉투 미 소지한 반려인 및 일반 반려인을 위해 반려동물 배변 봉투함과 배변이 담긴 배변봉투를 수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은, 반려동물 배변 봉투함 및 배변 봉투 전용 수거함의 투입구를 무게 중심 조절 스윙도어로 제작하여 악취, 파리 모기와 같은 벌레들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은, 반려동물 배변 봉투함 및 배변 봉투 전용 수거함에 사용자들이 직접 접촉을 피하도록 비접촉 투입방식으로 세균감염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은, 반려동물 배변 봉투함 및 배변 봉투 전용 수거함 내부에 빗물이 고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빗물 배수로를 설치하여 수거함 내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의 사시도들이고,
도 3 내지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의 배변체 가이드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의 배변체 가이드 유닛의 단면도들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을 도안한 사시도들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의 사용 상태도들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의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 3 내지 5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의 배변체 가이드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및 도 9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의 배변체 가이드 유닛의 단면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100)은, 반려동물의 배변이 수용되는 배변용기가 보관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이 투입되는 투입홀(H1)이 형성되는 투입 슬라이드홀(101)이 마련되는 수거함 본체(110) 및 상기 수거함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투입홀(H1)을 통하여 투입된 상기 배변용기가 가이드 되도록 안내하는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거함 본체(110)가 안착되는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변용기가 투입되어 낙하되는 제1 영역(A)과 투입된 상기 배변용기가 낙하되어 상기 수거함 본체의 내부 공간에 보관되는 제2 영역(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A)은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을 중심으로 상측 부위의 챔버(chamber) 공간을 의미하고, 제2 영역(B)은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을 중심으로 하측 부위의 챔버(chamber)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은 상호 독립적으로 구획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뿐, 한정되는 의미로 해석되지는 않음은 물론이다.
수거함 본체(110)는 지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평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가 소정의 곡률 반견으로 만곡되어 있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거함 본체(10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반려동물의 배변용이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수거함 본체(110)는 지면 고정부(102)를 통하여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수거함 본체(110)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수거함 본체(110)의 내부 및 외부 표면에는 야외에 설치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산화방지를 위한 금속 표면에 아노다이징(anodizing) 방식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거함 본체(110)의 내부에도 아노다이징(anodizing) 방식으로 표면 처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거함 본체(110)에 유입되는 빗물이나 눈 등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영역(A)의 내주면 부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수거함 본체(110)의 상측, 즉 상기 만곡된 부위에는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봉투가 용이하게 투입 가능하도록 투입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입홀(H1)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투입 슬라이드홀(10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 슬라이드홀(101)은 수거함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평면상 일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입 슬라이드홀(101)을 기 설정된 길이와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봉투를 투입하는 경우에 상기 투입 슬라이드홀(101)을 따라 밀어서 투입되도록 하는 비접촉 방식에 의하여 위생적으로 안전할 뿐만 아니라, 상기 투입 슬라이드홀(101)의 길이의 단부에서 안정적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수거함 본체(110)의 정확한 위치에 낙하되어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수거함 본체(110)의 상단 내측 부위에는 소정의 길이로 하향 연장되는 형상으로 한 쌍의 제1 차단부재(1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차단부재(111)는 대략 평면의 판상의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제1 차단부재(111)는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의 제2 차단부재(211)와 함께 상기 수거함 본체(110)의 상기 투입 슬라이드홀(101)을 중심으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투입 슬라이드홀(101)을 통하여 투입되는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봉투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제1 차단부재(111)와 제2 차단부재(211)의 밀폐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거함 본체(110)에는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자석식 개폐도어(130)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석식 개폐도어(130)를 개폐하여 내부에 보관된 반려동물의 배변봉투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석식 개폐도어(130)는 외부로부터 벌레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수거함 본체(110)의 일측에는 내부로 함몰되는 형상의 배변용기 공급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배변용기 공급부(120)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인출하여 반려동물의 배변체를 수용할 수 있는 비닐봉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배변용기 공급부(120)는 무게중심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밀폐되어 있고 사용자가 물리적인 외력으로 당겨서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수거함 본체(110)의 전면 부위, 즉, 수거함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변용기 수거함(100)의 접촉된 경계 부위에는 빗물 또는 눈과 같은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통공되는 유체 배출홀 (H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100)에는 전술한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이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은 독립적으로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을 외부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조로 제공하여 교체 및 보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은 상기 수거함 본체(110)가 안착되는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마련되고 중앙 부위의 적어도 일부가 통공되어 있는 경사 플레이트부(212), 상기 경사 플레이트부(212)의 통공된 부위를 밀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도어(213), 상기 회전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나사식 고정 노브(217), 상기 회전 도어(213)가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 힌지부(218) 및 상기 회전 힌지부(218)의 일측에 형성되어 낙하되는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봉투의 중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 되도록 제어하는 중량 조절부(2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의 경사 플레이트부(2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 본체(110)가 안착되는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중심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경사 플레이트부(212)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수거함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이나 눈 등이 수거함 본체(110)의 후면 부위에 형성되는 상기 유체 배출홀 (H2)을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의 경사 플레이트부(212) 상면 부위에는 상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전술한 제2 차단부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차단부재(211)의 외측 단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차단부재(111)의 외측 단부가 상호 접촉되며 수거함 본체(110)의 상단 내부면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수거함 본체(110)의 내부에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이 결합되는 경우에 수거함 본체(110)의 투입 슬라이드홀(101)을 중심으로 제1 영역(A)의 일부 공간, 즉 상기 한 쌍의 제1 차단부재(111)와 제2 차단부재(211) 및 경사 플레이트(21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이 밀폐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수거함 본체(110)의 내부에 보관되는 반려동물의 배변체로부터 악취 등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상기 수거함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이나 눈 등이 수거함 본체(110)의 제2 영역(B)로 유입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1 차단부재(111), 제2 차단부재(211) 및 경사 플레이트부(212)의 모서리 단부에는 실링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즉, 제1 차단부재(111), 제2 차단부재(211) 및 경사 플레이트부(212)가 상호 밀착되는 부위에 상기 실링부재를 개재시킴으로써, 상기 배변체의 악취 등이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의 경사 플레이트부(212)의 단부 모서리 부위에는 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4개의 고정홀더(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4개의 고정홀더(215)의 단부에는 반려동물의 배변봉투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고정클립(216)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의 경사 플레이트부(212)의 중심, 즉 통공된 개방 부위에는 이러한 개방 부위를 회전방식으로 밀폐가 가능하도록 한 쌍의 회전 도어(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도어(213)는 일방향으로 중심 부위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면서 상기 개방 부위를 밀폐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회전 도어(213)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회전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동을 안내하도록 나사식 고정 노브(2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회전 도어(213)가 일방향, 즉 하측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힌지부(2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힌지부(218)에는 낙하되는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봉투의 중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중량 조절부(219)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중량을 초과하는 물체만 선택적으로 수거함 본체(110)의 제2 영역(B)로 통과하여 낙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담배꽁초나 기타 이물질이 불필요하게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중량 조절부(219)는 소정의 길이의 레일(rail)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나사식 고정 노브(217)는 투입되는 일반 쓰레기를 선별하기 위하여 무게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 회전 힌지부(218)가 레일 형태의 중량 조절부(219) 상에서 좌우로 움직이며 소망하는 위치에 고정이 가능하고, 소망하는 위치가 설정된 후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힌지부(218)가 레일 형태의 중량 조절부(219) 상에서 고정되어서 회전 도어(213)로 투입되는 배변봉투와 일반 쓰레기를 무게를 기준으로 밀폐 조절이 가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100)의 사용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0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을 도안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1 내지 도 9와 함께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수거함 본체(110)의 배변용기 공급부(120)에서 필요한 배변용기를 인출하여 반려동물의 배변체를 채취하여 보관하고 사용된 비닐 형태의 배변용기의 끝단을 파지한 상태로 수거함 본체(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투입홀(H1)에 삽입하여 투입 슬라이드홀(101)의 단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서 낙하시킨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투입 슬라이드홀(101)는 일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낙하되는 반려동물의 배변체가 수용된 배변용기는 기 설정된 중량값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정된 배변체 가이드 유닛(200)의 한 쌍의 회전 도어(213)를 통하여 수거함 본체(110)의 내부 공간, 즉 제2 제2 영역(B)으로 낙하되어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회전 도어(213)은 설치자에 의하여 나사식 고정 노브(217)을 통하여 설정된 위치에 회전 힌지부(218)가 이동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소정의 중량을 갖는 정상적인 반려동물의 배변체가 보관된 상기 배변용기가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배변용기 수거함 101: 투입 슬라이드홀
102: 지면 고정부 110: 수거함 본체
111: 제1 차단부재 120: 배변용기 공급부
130: 자석식 개폐도어 200: 배변체 가이드 유닛
211: 제2 차단부재 212: 경사 플레이트부
213: 회전 도어 214: 유체 가이드부
215: 고정홀더 216: 고정클립
217: 나사식 고정 노브 218: 회전 힌지부
219: 중량 조절부 H1: 투입홀
H2: 유체 토출홀

Claims (4)

  1. 반려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수거함으로써,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이 수용되는 배변용기가 보관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이 투입되는 투입홀이 형성되는 투입 슬라이드홀이 마련되는 수거함 본체; 및
    상기 수거함 본체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투입홀을 통하여 투입된 상기 배변용기가 가이드 되도록 안내하는 배변체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은,상기 수거함 본체가 안착되는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변용기가 투입되어 낙하되는 제1 영역과 투입된 상기 배변용기가 낙하되어 상기 수거함 본체의 내부 공간에 보관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은,
    상기 수거함 본체가 안착되는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마련되고 중앙 부위의 적어도 일부가 통공되어 있으며, 단부 모서리 부위에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홀더와 상기 고정홀더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클립이 형성되는 경사 플레이트부;
    상기 경사 플레이트부의 통공된 부위를 밀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도어;
    상기 회전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나사식 고정 노브;
    상기 회전 도어가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 힌지부; 및
    상기 회전 힌지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낙하되는 상기 반려동물의 배변봉투의 중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 되도록 제어하는 레일 형태의 중량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의 경사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수거함 본체의 투입 슬라이드홀로 유입되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유입된 후에 배출이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유체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거함 본체에는,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의 상기 유체 가이드부를 통하여 유동하는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체 배출홀;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 본체에는,
    상기 투입 슬라이드홀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거함 본체의 상측 내주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차단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차단부재의 일측 단부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는 형상으로 상기 배변체 가이드 유닛의 경사 플레이트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2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
  4. 삭제
KR2020230000087U 2023-01-12 2023-01-12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 KR200497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087U KR200497279Y1 (ko) 2023-01-12 2023-01-12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087U KR200497279Y1 (ko) 2023-01-12 2023-01-12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279Y1 true KR200497279Y1 (ko) 2023-09-19

Family

ID=8819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087U KR200497279Y1 (ko) 2023-01-12 2023-01-12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79Y1 (ko)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569A (en) * 1994-12-06 1996-09-03 Garvin-Mazzarisi; Joni M. Bag dispenser and temporary pet waste receptacle
JPH09103207A (ja) * 1995-08-07 1997-04-22 Reniasu Techno:Kk ペットの糞用ゴミ箱
KR20000030270A (ko) * 2000-02-17 2000-06-05 장학진 옥외용 쓰레기통
US20030101943A1 (en) * 1999-12-30 2003-06-05 Nicoud Heidi Beatrice Device for collecting animal faeces
EP1457438A1 (en) * 2003-03-11 2004-09-15 Contenur Espana, S.L. Waste bin for collecting dog excrement
KR20090003671U (ko) * 2007-10-16 2009-04-21 주식회사 성중 폐건전지 수거함
KR20090116177A (ko) * 2008-05-06 2009-11-11 (주)누리인터내셔날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
KR20110125836A (ko) * 2010-05-14 2011-11-22 윤희원 애완동물의 분뇨 수집장치
KR20130004590U (ko) * 2012-01-17 2013-07-25 구진순 반려동물 배설물 처리용 봉투 공급 및 수거 장치
KR101305387B1 (ko) 2012-10-09 2013-09-06 이원용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20130101703A (ko) * 2012-03-06 2013-09-16 천승모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20150031921A (ko) 2013-09-17 2015-03-25 이재춘 애완동물 배변 케어 시스템
KR20200015193A (ko) * 2018-08-03 2020-02-12 이미화 반려동물용 배변 처리장치
KR102155964B1 (ko) * 2019-08-08 2020-09-15 송광섭 재활용을 위한 커피믹스 포장비닐 압축 수거함
JP2021088449A (ja) * 2019-12-05 2021-06-10 ジェックス株式会社 廃棄物収容容器
KR20220122415A (ko) * 2021-02-26 2022-09-02 유명호 모바일 운용 기반 반려동물 배설물 야외 수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569A (en) * 1994-12-06 1996-09-03 Garvin-Mazzarisi; Joni M. Bag dispenser and temporary pet waste receptacle
JPH09103207A (ja) * 1995-08-07 1997-04-22 Reniasu Techno:Kk ペットの糞用ゴミ箱
US20030101943A1 (en) * 1999-12-30 2003-06-05 Nicoud Heidi Beatrice Device for collecting animal faeces
KR20000030270A (ko) * 2000-02-17 2000-06-05 장학진 옥외용 쓰레기통
EP1457438A1 (en) * 2003-03-11 2004-09-15 Contenur Espana, S.L. Waste bin for collecting dog excrement
KR20090003671U (ko) * 2007-10-16 2009-04-21 주식회사 성중 폐건전지 수거함
KR20090116177A (ko) * 2008-05-06 2009-11-11 (주)누리인터내셔날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
KR20110125836A (ko) * 2010-05-14 2011-11-22 윤희원 애완동물의 분뇨 수집장치
KR20130004590U (ko) * 2012-01-17 2013-07-25 구진순 반려동물 배설물 처리용 봉투 공급 및 수거 장치
KR20130101703A (ko) * 2012-03-06 2013-09-16 천승모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101305387B1 (ko) 2012-10-09 2013-09-06 이원용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20150031921A (ko) 2013-09-17 2015-03-25 이재춘 애완동물 배변 케어 시스템
KR20200015193A (ko) * 2018-08-03 2020-02-12 이미화 반려동물용 배변 처리장치
KR102155964B1 (ko) * 2019-08-08 2020-09-15 송광섭 재활용을 위한 커피믹스 포장비닐 압축 수거함
JP2021088449A (ja) * 2019-12-05 2021-06-10 ジェックス株式会社 廃棄物収容容器
KR20220122415A (ko) * 2021-02-26 2022-09-02 유명호 모바일 운용 기반 반려동물 배설물 야외 수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6461A (en) Catwalk litter box
US6945193B1 (en) Cat litter holding assembly
US5361725A (en) Litter containment apparatus for kittens and cats
US8316801B1 (en) Waste disposal system for canines
KR101903674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US20060037548A1 (en) Litter-free pet waste collection system
US20120312242A1 (en) Portable pet urine reservoir
KR101861670B1 (ko) 고양이 화장실
KR20060086648A (ko) 포유모돈과 자돈이 분리기거 가능한 친환경 돈사
KR101903677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US20170231190A1 (en) Easy Clean Animal Litter Box
JP2006204230A (ja) ペット用トイレ
US20070234966A1 (en) Cat litter box cabinet system
KR200493055Y1 (ko) 반려동물의 배설물 냄새제거용 공기청정기
KR200484639Y1 (ko) 반려동물용 화장실
KR200497279Y1 (ko)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
WO2013078353A1 (en) Litter box guard
CN112470951B (zh) 全自动宠物猫厕所
KR101175052B1 (ko) 애완동물 배변기
US20180325074A1 (en) Portable Toilet Litter Bowl for Cats
US8601982B2 (en) Pet environment
CA1319823C (en) Animal trap
CN214015435U (zh) 一种全自动宠物猫厕所
KR20170039920A (ko) 애완 동물 수세식 배변기
JP5138084B1 (ja) 愛玩動物用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