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177A -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177A
KR20090116177A KR1020080041951A KR20080041951A KR20090116177A KR 20090116177 A KR20090116177 A KR 20090116177A KR 1020080041951 A KR1020080041951 A KR 1020080041951A KR 20080041951 A KR20080041951 A KR 20080041951A KR 20090116177 A KR20090116177 A KR 20090116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body
inlet
garbag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원
Original Assignee
(주)누리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누리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080041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6177A/ko
Priority to PCT/KR2008/003464 priority patent/WO2008156307A2/en
Publication of KR2009011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07Lids or covers with filling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46Lids or covers provided with means for mounting on receptacles, e.g.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되는 쓰레기 등과 같은 물체의 무게에 의하여 투입구의 뚜껑이 원활하게 개폐되어 물체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는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뚜껑 조립체는 물체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를 갖는 캡과, 일단과 타단을 가지고 캡의 투입구에 일단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투입구를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일단에 연장판부가 절곡되어 있고 연장판부에 복수의 나사구멍들이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뚜껑과, 복수의 나사구멍들 중 어느 하나에 뚜껑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되어 있는 균형추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용기본체에 갭, 뚜껑과 균형추를 갖는 뚜껑 조립체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 위에 놓이는 쓰레기 등과 같은 물체의 무게에 의하여 뚜껑이 자연스럽게 열리기 때문에 물체를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투입할 수 있으며, 뚜껑의 무게중심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물체의 투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내측에 쓰레기봉투를 간편하게 씌울 수 있고, 쓰레기봉투의 개방단부가 용기본체의 내측에 쓰레기봉투의 개방단부가 좁아지지 않게 씌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LID ASSEMBLY AND GARBAGE CA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되는 쓰레기 등과 같은 물체의 무게에 의하여 투입구의 뚜껑이 원활하게 개폐되어 물체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는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는 쓰레기통에 일시적으로 수용하였다가 일정량이 모이면 쓰레기봉투에 담아서 밖으로 배출하게 된다. 일반적인 쓰레기통의 일례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7115호는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단부를 갖는 용기본체(Container Body)와,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투입구를 갖는 캡(Cap)과, 힌지(Hinge)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캡의 투입구를 여닫는 뚜껑(Lid)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으로 뚜껑을 직접 열고, 캡의 투입구를 통하여 쓰레기를 용기본체에 투입해야 한다. 따라서 뚜껑의 외면에 이물질이 오염되어 있는 경우, 이물질이 사용자의 손에 묻는 등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미국특허 6,857,538호와 7,225,943호 등 많은 특허 문헌들의 쓰레기통에는 쓰레기의 위생적인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가 발로 페달(Pedal)을 밟아 쓰레기통의 뚜껑을 여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들의 기술은 사용자가 발로 페달을 밟아야만 뚜껑이 열리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페달(Pedal)과 용기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뚜껑이 링크(Link)에 의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그 구성이 복잡하여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 위에 놓이는 쓰레기 등과 같은 물체의 무게에 의하여 뚜껑이 열리기 때문에 물체를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뚜껑의 무게중심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물체의 투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본체의 내측에 쓰레기봉투를 간편하게 씌울 수 있고, 쓰레기봉투의 개방단부가 좁아지지 않게 씌울 수 있는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내측에 쓰레기를 수용 할 수 있도록 상단에 개방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개방단부에 분리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를 갖는 캡과; 일단과 타단을 가지고, 캡의 투입구에 일단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투입구를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일단에 연장판부가 절곡되어 있고, 연장판부에 복수의 나사구멍들이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뚜껑과; 복수의 나사구멍들 중 어느 하나에 뚜껑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되어 있는 균형추를 포함하는 쓰레기통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물체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를 갖는 캡과; 일단과 타단을 가지고, 캡의 투입구에 일단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투입구를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일단에 연장판부가 절곡되어 있고, 연장판부에 복수의 나사구멍들이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뚜껑과; 복수의 나사구멍들 중 어느 하나에 뚜껑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되어 있는 균형추를 포함하는 뚜껑 조립체에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각종 쓰레기(2)를 수 용하는 용기본체(10), 캡(20)과 뚜껑(5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뚜껑 조립체는 캡(20), 뚜껑(50)과 균형추(Balance Weight: 60)로 구성되어 있으며, 쓰레기통 이외에도 다양한 물체를 투입하기 위한 각종 투입구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쓰레기(2)의 수용을 위한 개방단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면 상부에는 걸림턱(14)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용기본체(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용기본체(10)는 쓰레기(2)의 수용에 적합한 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캡(20)이 용기본체(10)의 개방단부(12)에 분리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캡(20)은 원통형 외측관(Outer Tube: 30)과 내측관(Inner Tube: 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관(30)과 내측관(40)은 그 단면적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호퍼형(Hopper Type)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관(30)은 용기본체(10)의 개방단부(12)와 연통하는 구멍(32)을 갖는다. 외측관(30)의 하부에 스커트(Skirt: 34)가 연장되어 있다. 스커트(34)는 용기본체(10)의 개방단부(12)에 맞춤된다. 내측관(40)은 외측관(30)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쓰레기(2)의 투입을 위하여 용기본체(10)의 개방단부(12)와 연통되는 투입구(42)를 갖는다. 내측관(40)의 투입구(42)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외측관(30)과 내측관(40)은 플라스틱을 소재로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외측 관(30)과 내측관(40)은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외측관(30)과 내측관(40)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뚜껑(50)은 힌지(Hinge: 52)를 중심으로 내측관(40)의 투입구(42)를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뚜껑(50)의 상면은 무하중의 평형 상태에서 투입구(42)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투입구(42)를 긴밀하게 닫도록 구성되어 있다. 뚜껑(50)은 일단(54a)과 타단(54b)을 갖는다. 뚜껑(50)의 일단(54a)은 힌지(52)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단으로 되고, 타단(54b)은 자유단으로 된다. 힌지(52)는 투입구(42)와 근접하는 내측관(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축(52a)과, 뚜껑(50)의 일단(54a)에 근접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축(52a)이 끼워지는 힌지구멍(52b)으로 구성되어 있다. 힌지축(52a)과 힌지구멍(52b) 사이에 힌지축(52a)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베어링(52c)이 개재되어 있다.
뚜껑(50)의 일단(54a)에 연장판부(56)가 절곡되어 있다. 복수의 나사구멍(58a~58c)들이 연장판부(56)에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58a~58c)들은 연장판부(56)에 세 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나사구멍(58a~58c)들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투입구(42)의 가장자리에 냄새의 누출의 방지되도록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Packing)이 장착될 수 있다.
균형추(60)의 일단에 나사(62)가 형성되어 있다. 균형추(60)의 나사(62)는 뚜껑(50)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연장판부(56)의 나사구멍(58a~58c)들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어 있다. 뚜껑(50)은 균형추(60)의 무게에 의하여 무하중의 평 형 상태에서 힌지(5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투입구(42)의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사용자는 나사(62)의 체결을 풀고, 균형추(60)의 위치를 조절하여 뚜껑(50)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쓰레기(2)를 담아서 버릴 수 있는 쓰레기봉투(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쓰레기봉투(4)는 용기본체(10)의 개방단부(12)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개방단부(6)를 가지며, 비닐(Vinyl)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용기본체(10)의 걸림턱(14)에 쓰레기봉투(4)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링(Ring: 70)이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쓰레기(2)의 수거와 폐기를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쓰레기(2)를 담아서 버릴 수 있는 쓰레기봉투(4)를 씌워둘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본체(10)와 외측관(30)을 분리하고, 용기본체(10)의 걸림턱(14)에 지지되어 있는 링(70)을 분리한다. 사용자는 쓰레기봉투(4)의 개방단부(6)를 벌린 상태에서 쓰레기봉투(4)의 가장자리에 의하여 링(70)을 감싼 후, 링(70)을 걸림턱(14)에 지지하면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쓰레기봉투(4)가 씌워진다. 이와 같이 쓰레기봉투(4)의 개방단부(6)가 링(70)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개방단부(6)는 원형을 유지한다.
사용자가 용기본체(10)의 개방단부(12)에 외측관(30)의 스커트(34)를 끼우면, 용기본체(10)와 캡(20)의 조립이 완료되어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쓰레기봉 투(4)를 간편하게 씌워둘 수 있다. 용기본체(10)의 개방단부(12)에 근접하는 쓰레기봉투(4)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변형되어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투입구(42)의 하방이 가려지거나 개방단부(12)가 좁아져 쓰레기(2)의 투입과 뚜껑(50)의 여닫음 동작에 지장을 줄 우려가 없다. 쓰레기(2)가 쓰레기봉투(4)에 가득차면, 사용자는 용기본체(10)와 외측관(30)을 분리한다. 사용자는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부터 링(70)과 함께 쓰레기봉투(4)를 빼낸 후, 쓰레기봉투(4)와 링(70)을 분리하여 쓰레기봉투(4)를 폐기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쓰레기(2), 예를 들어 티슈페이퍼(Tissue Paper), 종이를 구겨서 내측관(40)의 투입구(42)에 버리면, 호퍼형 투입구(42)에 투입되는 쓰레기(2)는 뚜껑(50) 위에 자연스럽게 유도된다. 뚜껑(50) 위에 놓이는 쓰레기(2)의 무게에 의하여 뚜껑(50)은 힌지(5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린다. 뚜껑(50)은 힌지(52)에 근접되어 있는 일단(54a)이 타단(54b)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경사져 있다. 뚜껑(50) 위에 놓인 쓰레기(2)는 뚜껑(50)의 상면을 따라 미끄러져 타단(54b)을 향한다. 쓰레기(2)가 뚜껑(50)의 타단(54b)과 근접되면, 쓰레기(2)의 무게에 의하여 뚜껑(50)은 원활하게 회전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뚜껑(50)이 열리면, 쓰레기(2)는 내측관(40)의 투입구(42)를 통과하여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있는 쓰레기봉투(4)에 수용된다. 쓰레기(2)가 투입된 후, 열려져 있던 뚜껑(50)은 그 무게중심의 평형을 이루기 위하여 힌지(5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뚜껑(50)의 상면은 투입구(42)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따라서 용기본체(10)의 내 측에 수용되어 있는 쓰레기(2)로부터 발생되는 냄새의 배출이 방지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사용 중에 사용자가 가벼운 쓰레기(2)에 의해서도 뚜껑(50)이 원활하게 열리도록 뚜껑(50)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측관(30)으로부터 내측관(40)을 분리하고, 내측관(40)을 뒤집은 상태에서 연장판부(56)의 나사구멍(58a~58c)들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어 있는 균형추(60)의 나사(62)를 풀거나 조여 준다. 균형추(60)가 뚜껑(50)의 일단(54a)에 가까워질수록 뚜껑(50)의 무게중심은 뚜껑(50)의 타단(54b)을 향한다. 균형추(60)가 뚜껑(50)의 일단(54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뚜껑(50)의 무게중심은 뚜껑(50)의 일단(54a)을 향한다. 이와 같이 균형추(60)의 위치에 따라 뚜껑(50)의 무게중심이 조절되므로, 가벼운 쓰레기(2)의 무게에 의해서도 뚜껑(50)을 열 수 있다.
도 4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균형추(60)의 나사(62)가 나사구멍(58a~58c)들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첫 번째 나사구멍(58a)에 체결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최하부에 위치하는 세 번째 나사구멍(58c)에 체결될 때, 균형추(60)의 무게에 의하여 뚜껑(50)에 작용되는 모멘트(Moment)는 증가된다. 즉, 균형추(60)가 첫 번째 나사구멍(58a)에 체결되어 있으면, 뚜껑(50)에 가장 작은 모멘트가 작용된다. 균형추(60)가 세 번째 나사구멍(58c)에 체결되어 있으면, 뚜껑(50)에 가장 큰 모멘트가 작용된다. 균형추(60)가 첫 번째 나사구멍(58a)과 세 번째 나사구멍(58c) 사이의 두 번째 나사구멍(58b)에 체결되어 있으면, 뚜껑(50)에 중간 크기의 모멘트가 작용된다. 이와 같이 균형추(60)가 첫 번째 나사구멍(58a)으로부터 두 번째 나사구 멍(58b)과 세 번째 나사구멍(58c)으로 위치가 조절되는 것에 따라 쓰레기(2)의 무게에 의한 뚜껑(50)의 열림 동작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에 의하면, 뚜껑 위에 놓이는 쓰레기 등과 같은 물체의 무게에 의하여 뚜껑이 자연스럽게 열리기 때문에 물체를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투입할 수 있으며, 뚜껑의 무게중심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물체의 투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내측에 쓰레기봉투를 간편하게 씌울 수 있고, 쓰레기봉투의 개방단부가 용기본체의 내측에 쓰레기봉투의 개방단부가 좁아지지 않게 씌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조립체가 쓰레기통에 적용되어 있는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과 균형추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뚜껑이 쓰레기의 무게에 의하여 열리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쓰레기 4: 쓰레기봉투
10: 용기본체 12: 개방단부
20: 캡 30: 외측관
40: 내측관 42: 투입구
50: 뚜껑 52: 힌지
54a: 일단 54b: 타단
56: 연장판부 58a~58c: 나사구멍
60: 균형추 62: 나사
70: 링

Claims (4)

  1. 내측에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단에 개방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단부에 분리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를 갖는 캡과;
    일단과 타단을 가지고, 상기 캡의 투입구에 상기 일단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투입구를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에 연장판부가 절곡되어 있고, 상기 연장판부에 복수의 나사구멍들이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뚜껑과;
    상기 복수의 나사구멍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뚜껑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되어 있는 균형추를 포함하는 쓰레기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단부에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 원통형 외측관과;
    상기 외측관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내측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쓰레기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에 상기 쓰레기를 수 용하는 개방단부를 갖는 쓰레기봉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에 상기 쓰레기봉투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링이 착탈할 수 있도록 더 장착되어 있는 쓰레기통.
  4. 물체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를 갖는 캡과;
    일단과 타단을 가지고, 상기 캡의 투입구에 상기 일단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투입구를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에 연장판부가 절곡되어 있고, 상기 연장판부에 복수의 나사구멍들이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뚜껑과;
    상기 복수의 나사구멍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뚜껑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되어 있는 균형추를 포함하는 뚜껑 조립체.
KR1020080041951A 2007-06-18 2008-05-06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 KR20090116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951A KR20090116177A (ko) 2008-05-06 2008-05-06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
PCT/KR2008/003464 WO2008156307A2 (en) 2007-06-18 2008-06-18 Lid assembly and garbage ca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951A KR20090116177A (ko) 2008-05-06 2008-05-06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177A true KR20090116177A (ko) 2009-11-11

Family

ID=4160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951A KR20090116177A (ko) 2007-06-18 2008-05-06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61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964B1 (ko) * 2013-04-05 2014-04-22 안태철 쓰레받기 겸용 휴지통
CN110451133A (zh) * 2019-09-04 2019-11-15 黄绍飞 一种垃圾桶桶盖
KR200497279Y1 (ko) * 2023-01-12 2023-09-19 유철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964B1 (ko) * 2013-04-05 2014-04-22 안태철 쓰레받기 겸용 휴지통
CN110451133A (zh) * 2019-09-04 2019-11-15 黄绍飞 一种垃圾桶桶盖
KR200497279Y1 (ko) * 2023-01-12 2023-09-19 유철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331B2 (en) Waste container
US20090236345A1 (en) Trash Receptacle With Dispensable Bags
KR20090116177A (ko)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
US20050224496A1 (en) Trash can receptacle
KR20090114739A (ko) 쓰레기통
CN209275377U (zh) 内置垃圾袋的双层垃圾桶
KR20130019692A (ko) 쓰레기봉투 거치대
WO2008156307A2 (en) Lid assembly and garbage can using the same
KR20210016743A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34945Y1 (ko) 압축 쓰레기통
KR200292396Y1 (ko) 압축쓰레기통
KR101999223B1 (ko) 음식물 쓰레기통 커버
EP3878771A1 (en) Bin comprising sealing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odor
KR20140101555A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37120Y1 (ko) 종량제봉투용 쓰레기통
KR200267115Y1 (ko) 휴지통의 보조뚜껑 축 구조
KR200322290Y1 (ko) 보조덮개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통
KR20080003533A (ko) 쓰레기통
KR200476130Y1 (ko) 음식물 쓰레기 통의 덮개 개폐장치
KR20130081258A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CN209209592U (zh) 一种智能压缩垃圾箱
KR20110002191A (ko) 기능성 쓰레기통
KR200470805Y1 (ko) 쓰레기통
KR200425994Y1 (ko) 바닥이 뚫려있는 쓰레기통
KR20110003297U (ko) 쓰레기 봉투용 압착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