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945Y1 - 압축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압축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945Y1
KR200434945Y1 KR2020060026408U KR20060026408U KR200434945Y1 KR 200434945 Y1 KR200434945 Y1 KR 200434945Y1 KR 2020060026408 U KR2020060026408 U KR 2020060026408U KR 20060026408 U KR20060026408 U KR 20060026408U KR 200434945 Y1 KR200434945 Y1 KR 200434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lid
present
rail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기
Original Assignee
장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세기 filed Critical 장세기
Priority to KR2020060026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9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9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 쓰레기통을 개시한다.
본 고안의 압축 쓰레기통은 상·하면이 개방되고 내부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된 관형상의 레일부가 구비된 용기 본체와,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스프링과, 상기 용기 본체의 하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움구조로 구비되는 하부캡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양측면이 일부 절단되고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 핀이 힌지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이 용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게 상기 레일부의 외주면으로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를 형성하면서 슬라이드 핀의 상면을 커버하는 형태를 갖는 보조뚜껑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외주면에 양단이 힌지 끼움되고 선택적으로 힌지를 중심으로 탄성 변형되는 밴드 클램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은 뚜껑을 가압하는 간소한 동작만으로 그 내부에 투입된 쓰레기에 대해 압축이 이뤄지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필요시 규격화된 종량제 봉투를 씌워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쓰레기통, 쓰레기통, 압축, 종량제, 봉투

Description

압축 쓰레기통 {Compressible Trash Ca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에서 뚜껑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압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밴드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쓰레기통 10 : 용기 본체
11 : 레일부 11a : 절개홈
15 : 힌지구멍 17 : 돌기
20 : 뚜껑 21 : 슬라이드 핀
23 : 보조뚜껑 23a : 끼움부
30 : 코일 스프링 40 : 밴드 클램프
41 : 힌지축 50 : 하부캡
51 : 후크 100 : 종량제 봉투
본 고안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거된 쓰레기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압축수단을 일체로 구비하고 선택적으로 종량제 봉투 등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 압축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 우리의 생활 주변환경에서는 일상적으로 다량의 쓰레기가 지속적으로 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생활 폐기물은 관련법에 따라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 및 음식물 쓰레기 등으로 분리 수거되고 있다.
예컨대, 일반쓰레기는 주거공간이나 사무공간 등에서 배출되는 폐지나 화장실의 화장지, 직물류, 일회용 생활용품, 기타쓰레기 등 의비교적 가벼우면서도 부피가 큰 종류의 쓰레기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일반 쓰레기는 통상적으로 일정한 규격과 부피를 가지는 용기형태의 쓰레기통에 투척하여 버리게 되는데, 이때 쓰레기들은 대부분 부풀어진 상태로 투입된다.
따라서 쓰레기통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빈번하게 쓰레기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규격화된 유료 종량제 봉투를 사용함에 따라 부풀어진 쓰레기로 인한 종량제 봉투가 과다하게 소요됨에 따라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종량제 봉투에 쓰레기를 조금이라도 더 투입하기 위하여 억지로 밀어넣고 있으나 쓰레기 봉투가 얇은 비닐소재로 제작됨에 따라 쉽게 찢어져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산업용 쓰레기의 경우에는 동력을 이용하여 쓰레기의 부피를 강제적으로 감소시키는 쓰레기 압축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비교적 큰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고 가격이 고가장비이므로 주거공간이나 사무공간 등에서 배출되는 일반쓰레기를 수거 압축하는 용도로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주거공간이나 사무공간 등에서 배출되는 일반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 주로 실내공간에 비치되는 비교적 중소형의 쓰레기통에 부피가 부풀어진 상태로 가득찬 쓰레기에 대한 부피를 간소한 구성에 의해 위생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쓰레기통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탄성 지지력을 받는 뚜껑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에 수거된 쓰레기가 압축되어 부피가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하면서 규격화된 종량제 봉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압축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은 상·하면이 개방되고 내부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된 관형상의 레일부가 구비된 용기 본체와;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스프링과; 상기 용기 본체의 하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움구조로 구비되는 하부캡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양측면이 일부 절단되고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 핀이 힌지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이 용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게 상기 레일부의 외주면으로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를 형성하면서 슬라이드 핀의 상면을 커버하는 형태를 갖는 보조뚜껑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외주면에 양단이 힌지 끼움되고 선택적으로 힌지를 중심으로 탄성 변형되는 밴드 클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는 하부 외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캡은 용기 본체의 하면을 차폐하는 형태로 구비되면서 상기 돌기에 걸림되는 한쌍의 후크가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부 외주면 양측에 힌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밴드 클램프는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면서 그 내주면 양 측에 상기 힌지구멍에 삽입되는 힌지축을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탄성변형되어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뚜껑은 양측면에 결합된 슬라이드 핀을 중심으로 회동시 수평상태로 위치 복귀될 수 있게 한쌍의 슬라이드 핀을 연결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에서 뚜껑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 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압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끝으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밴드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압축 쓰레기통은 크게 상·하면이 개방된 관형상을 갖는 용기 본체(10)와, 수직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30)과,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하면을 차폐하는 뚜껑(20) 및 하부캡(50)과, 상기 뚜껑(20)이 용기 본체(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뚜껑(23)과, 종량제 봉투(100)를 탄성 지지하거나 또는 손잡이로 변형되는 밴드 클램프(40)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10)는 상·하면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부(11)가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때의 상기 레일부(11)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홈(11a)이 형성되어 후술할 슬라이드 핀(21)의 일단이 삽입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0)는 상부 외주면에 힌지구멍(15)이 형성되며, 이 힌지구멍(15)에는 후술할 밴드 클램프(40)가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10)의 하부 외주면에는 한쌍의 돌기(17)가 돌출 형성 되며, 이 돌기(17)에는 후술할 하부캡(50)의 후크(51)가 끼움된다.
코일 스프링(3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탄성체로서 상기 레일부(11)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30)은 후술할 뚜껑(20)에 결합 구비되는 슬라이드 핀(21)을 수직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하부캡(50)은 상기 용기 본체(10)의 하부면을 차폐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그 테두리면이 용기 본체(10)의 하부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소정 높이 돌출되면서 양측에 상기 돌기(17)에 탄성 끼움되는 한쌍의 후크(51)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하부캡(50)은 선택적으로 용기 본체(10)에서 분리되거나 또는 조립 결합된다.
뚜껑(20)은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양측면이 일부 절단되고, 이 절단된 부위에 상기 레일부(11)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 핀(21)이 힌지 결합된다.
이때의 상기 슬라이드 핀(21)은 상기 레일부(11)에 삽입되도록 원판형상을 가지면서 그 일측이 레일부(11)의 절개홈(11a)을 통과하여 뚜껑(20)의 힌지홀(20a)에 삽입되는 축을 일체로 형성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뚜껑(20)은 양측면에 결합된 슬라이드 핀(21)을 중심으로 회동시 수평상태로 위치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슬라이드 핀(21)을 연결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뚜껑(20)은 무게중심이 가운데 위치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쓰레기를 용기 본체(10)의 내부로 투입시키기 위해 두껑의 일측을 밀면 슬라이드 핀(21)을 중심으로 회동되었다가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수평상태로 위치 복귀를 이루게 된다.
보조뚜껑(23)은 상기 뚜껑(20)이 용기 본체(1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재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재형의 부재로서 그 하측에 상기 레일부(11)의 외주면으로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23a)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보조뚜껑(23)은 슬라이드 핀(21)의 상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마련되면서 상기 레일부(11)에 끼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뚜껑(20)이 용기 본체(10)의 상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밴드 클램프(40)는 상술한 용기 본체(10)의 상부 외주면에 양단이 힌지결합되고 선택적으로 힌지를 중심으로 탄성 변형되는 고리 형상을 갖는 띠형 부재이다.
이러한 밴드 클램프(40)는 그 내주면 양측에 상기 힌지구멍(15)에 삽입되는 한쌍의 힌지축(41)을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며, 상기 힌지축(41)을 중심으로 그 양측의 일부를 절개하여 탄성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의 밴드 클램프(40)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성형되어 탄성변형이 용이하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량제 봉투(100)를 끼움 고정시키는 클램프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축(41)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변형되는 것에 의해 손잡이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압축 쓰레기통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뚜껑(20)의 일측을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뚜껑(20)은 슬라이드 핀(2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상면 일부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쓰레기의 투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상기 뚜껑(20)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뚜껑(20)은 무게중심이 하측에 위치되어 있어 자중에 의해 수평 상태로 위치 복귀를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10)에 투입된 쓰레기를 가압하기 위해서는 상기 뚜껑(20)을 하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뚜껑(20)은 레일부(11)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저면이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쓰레기를 압착하여 부피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뚜껑(2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레일부(11)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30)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뚜껑(20)이 용기 본체(10)의 상면으로 위치 복귀된다. 이때, 상기 뚜껑(20)은 보조뚜껑(23)에 의해 용기 본체(10)에서 이 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10)는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캡(50)을 분리하고 그 외면으로 종량제 봉투(100)를 씌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량제 봉투(100)는 그 상단부가 용기 본체(10)에 힌지 결합된 밴드 클램프(40)에 의해 끼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밴드 클램프(40)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성형되는 것에 의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형되어 손잡이의 역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은 뚜껑을 가압하는 간소한 동작만으로 그 내부에 투입된 쓰레기에 대해 압축이 이뤄지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필요시 규격화된 종량제 봉투를 씌워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하면이 개방되고 내부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된 관형상의 레일부가 구비된 용기 본체와;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용기 본체의 하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움구조로 구비되는 하부캡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양측면이 일부 절단되고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 핀이 힌지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이 용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게 상기 레일부의 외주면으로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를 형성하면서 슬라이드 핀의 상면을 커버하는 형태를 갖는 보조뚜껑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외주면에 양단이 힌지 끼움되고 선택적으로 힌지를 중심으로 탄성 변형되는 밴드 클램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쓰레기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하부 외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캡은 용기 본체의 하면을 차폐하는 형태로 구비되면서 상기 돌기에 걸림되는 한쌍의 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쓰레기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부 외주면 양측에 힌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밴드 클램프는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면서 그 내주면 양측에 상기 힌지구멍에 삽입되는 힌지축을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탄성변형되어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쓰레기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양측면에 결합된 슬라이드 핀을 중심으로 회동시 수평상태로 위치 복귀될 수 있게 한쌍의 슬라이드 핀을 연결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쓰레기통.
KR2020060026408U 2006-09-28 2006-09-28 압축 쓰레기통 KR200434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408U KR200434945Y1 (ko) 2006-09-28 2006-09-28 압축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408U KR200434945Y1 (ko) 2006-09-28 2006-09-28 압축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945Y1 true KR200434945Y1 (ko) 2006-12-28

Family

ID=4178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408U KR200434945Y1 (ko) 2006-09-28 2006-09-28 압축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9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755B1 (ko) 2010-09-20 2013-02-06 홍창환 압축식 쓰레기통
KR101610309B1 (ko) * 2015-07-15 2016-04-20 남동문 압축 쓰레기통
CN106742967A (zh) * 2017-04-05 2017-05-31 刘平优 一种医药包装盒专用收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755B1 (ko) 2010-09-20 2013-02-06 홍창환 압축식 쓰레기통
KR101610309B1 (ko) * 2015-07-15 2016-04-20 남동문 압축 쓰레기통
CN106742967A (zh) * 2017-04-05 2017-05-31 刘平优 一种医药包装盒专用收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446B2 (en) Trash container with compacting lid
KR100989172B1 (ko) 압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통
KR200434945Y1 (ko) 압축 쓰레기통
KR101041961B1 (ko) 압축 휴지통
KR101230755B1 (ko) 압축식 쓰레기통
CN104891072A (zh) 一种压缩垃圾的垃圾桶
US20080257176A1 (en) Compressible Trash Container
CN201647509U (zh) 便于垃圾集中收集的压缩式垃圾筒
KR20010002070A (ko) 쓰레기 통
KR200212889Y1 (ko) 종량제 쓰레기봉투 거치 압착 쓰레기통
KR200252443Y1 (ko) 쓰레기 봉투용 압착장치
KR200333690Y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 압축식 쓰레기통
CN201990143U (zh) 压袋式家用垃圾桶
KR200299191Y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용 쓰레기통
JP3061601U (ja) ゴミ容器
JP2001240206A (ja) 減容装置を備えたごみ容器
KR200427742Y1 (ko) 쓰레기통
JP3216676U (ja) 圧縮機能付きごみ箱
KR200163765Y1 (ko) 회전덮개형쓰레기통
KR200200419Y1 (ko) 쓰레기통
KR200454578Y1 (ko) 쓰레기 봉투용 압착 쓰레기통
KR20230136246A (ko) 덮개형 휴지통 누름 뚜껑
CN201592871U (zh) 大容量垃圾桶
JP3039509U (ja) プレスごみ箱
KR200434952Y1 (ko) 압축식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