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897A -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897A
KR20100068897A KR1020080127406A KR20080127406A KR20100068897A KR 20100068897 A KR20100068897 A KR 20100068897A KR 1020080127406 A KR1020080127406 A KR 1020080127406A KR 20080127406 A KR20080127406 A KR 20080127406A KR 20100068897 A KR20100068897 A KR 20100068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wave
deodorant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종
김봉환
안국찬
Original Assignee
안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종 filed Critical 안희종
Priority to KR1020080127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8897A/ko
Publication of KR2010006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물 및 탈취제가 혼합 저장되는 저수탱크;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안착되며, 저수탱크의 물을 끌어올리기 위한 구동장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제공되며, 다수의 영구자석들이 연속배치되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자기장에 의해 미세분자화 시키는 파동수기; 상기 파동수기와 구동장치 및 저수탱크를 서로 접속시켜 유체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배관;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며, 탈취제와 혼합된 상태의 물을 분무하는 분사장치; 상기 구동장치 및 전장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배관의 안내에 의해 파동수기를 거쳐 저수탱크로 유입된 후 저수탱크 내부에서 탈취제와 혼합되며, 탈취제와 혼합된 물은 상기 배관의 안내에 의해 다시 파동수기를 통과한 후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탈취 성능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축사, 악취, 제거, 파동수, 탈취

Description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 Offensive ordor removal apparatus }
본 발명은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와 소 등을 키우는 축사에는 배설물 또는 오물 등의 처리를 제대에 하지 않을 경우, 배설물로부터 발생되는 암모니아, 메틸메캅탄, 황화수소 등과 같은 가스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스에 의한 악취는 가축의 호흡기로 장기간 흡입될 경우 가축의 폐사를 유발하게 되며, 특히 기온이 낮은 시기에 가축이 감기가 걸린 경우 이러한 악취에 의한 가스로 인해 가축들의 호흡기 질환에 의한 폐사율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일정 수준 이상의 가스가 발생하기 이전에 악취의 원인이 되는 암모니아, 메틸메캅탄, 황화수소 등과 같은 가스를 탈취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물론, 가축의 배설물이 일정량 이상 쌓이게 되면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처리하여 악취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가축의 배설물이 경사진 통로 등을 따라서 자연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축사 내부 특히 배설물과 오물에 탈취제를 뿌려 암모니아, 메틸메캅탄, 황화수소 등의 가스를 제거하여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축의 배설물 또는 오물의 양이 많을 경우 탈취제의 침투가 어렵게 되고, 가축의 배설물 또는 오물을 따라 흘러내림으로써 손실되는 양이 많게 되어 효과적인 탈취 작용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하절기나 환기가 어려운 동절기에는 하루에도 여러번씩 탈취제를 뿌리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비용 및 인건비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동수기를 통과한 물이 저수탱크내에서 탈취제와 혼합된 후 다시 파동수를 거친 후 분사되어 축사 내의 악취 발생 원인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물 및 탈취제가 혼합 저장되는 저수탱크;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안착되며, 저수탱크의 물을 끌어올리기 위한 구동장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제공되며, 다수의 영구자석들이 연속배치되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자기장에 의해 미세분자화 시키는 파동수기; 상기 파동수기와 구동장치 및 저수탱크를 서로 접속시켜 유체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배관;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며, 탈취제와 혼합된 상태의 물을 분무하는 분사장치; 상기 구동장치 및 전장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배관의 안내에 의해 파동수기를 거쳐 저수탱크로 유입된 후 저수탱크 내부에서 탈취제와 혼합되며, 탈취제와 혼합된 물은 상기 배관의 안내에 의해 다시 파동수기를 통과한 후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동수기는, 양단이 개구되어 상기 배관과 접속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봉과, 상기 영구자석들의 동일 극성이 서로 밀착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봉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에 연동하여 회전되며, 공기의 압축에 의해 탱크 내부의 물을 펌핑하는 펌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관은, 상기 파동수기의 일단과 급수원을 연결하는 급수배관과, 상기 파동수기의 타단과 상기 저수탱크 및 상기 펌핑부재를 연결하는 흡입배관; 상기 펌핑부재와 급수배관을 연결하여, 탈취제와 물이 혼합된 상태로 상기 파동수기를 다시 통과하도록 하는 혼합배관; 상기 파동수기의 타단과 상기 저수탱크를 연결하여, 급수되는 물을 저수탱크로 안내하는 저수탱크 유도배관; 상기 펌핑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며, 탈취제와 물이 혼합된 상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배관은, 상기 펌핑부재와 접속되는 분지부와, 상기 분지부의 일단에서 상기 저수탱크로 접속되는 저수탱크측 흡입부와, 상기 분지부의 타단에서 상기 파동수기와 접속되는 파동수기측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측 흡입부와 상기 파동수기측 흡입부, 혼합배관, 호스 및 상기 저수탱크 유도배관에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개폐가 결정되는 밸브가 제공되며, 밸브의 개폐에 따라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상기 탱크, 펌핑부재 또는 파동수기로 선택적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호스릴; 상기 호스릴에 권취되며, 일단이 상기 구동장치와 접속되어,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안내 되는 호스; 상기 호스의 단부에 구비되어,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안개상으로 분무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에는 저수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는 발열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온도가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는, 파동수기를 통과 한 물의 물분자 구조가 미세화 되어 공급된 물은 저수탱크 내에서 탈취제와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으며, 다시 한번 파동수기를 통과 하면서 탈취제와 혼합된 상태에서 미세화된 분자구조 상태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축의 배설물 및 오물 등에 분사시 침투력이 우수하게 되어 암모니아, 메틸메캅탄, 황화수소 등 악취를 발생시키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가축의 배설물 및 오물 등의 내부에 깊숙히 침투하여 악취를 발생시키는 가스의 원인이 되는 세균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악취제거 성능은 물론 지속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악취제거의 성능과 지속성의 향상으로 인해 관리비용 및 인건비가 대폭적으로 절감되며, 효과적인 악취제거로 가축의 폐사율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가축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는 전체적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탈취제가 혼합되는 저수탱크(200), 파동수를 생성하는 파동수기(400), 상기 파동수기(400) 및 저수탱크(200)와 연결되어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강제 유동시키는 구동장치(600), 상기 구동장치(600)에 연결되어 외부로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장치(300),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600) 및 전장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700), 상기 저수탱크(200)와 분사장치(300), 파동수기(400) 및 구동장치(600)을 연결하는 배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파이프 또는 봉재로 형성되며,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저수탱크(2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일측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11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하단에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120)가 장착된다.
상기 저수탱크(2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저장되고, 탈취제가 혼합되는 공간으로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저수탱크(200) 내에 주입되는 탈취제는 물과의 혼합이 가능한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탈취성능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EBT-fresh(위더스사 제품)를 사용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수탱크(200)는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수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철판과 같은 판재가 절곡 또는 용접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탱크(200)의 상면 일부에는 외부에서 탈취제를 투입하여 저장된 물과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2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200)의 상면에는 파동수기(400) 및 구동장치(600)를 구성하는 다수의 구성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220)에는 강도의 보강을 위한 보조프레임(도 2에서, 240) 등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 전반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사장치(3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분사장치 장착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분사장치(300)는 상기 구동장치(600)에서 공급되는 탈취제와 혼합된 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호스(310)와 호스릴(320) 그리고 분사노즐(330)로 구성된다.
상기 호스(310)는 상기 구동장치(600)와 연결되어 탈취제와 혼합된 물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의 편의를 위해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릴(320)은 상기 분사장치 장착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호스(310)가 권취되는 것으로, 회전 손잡이(3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분사노즐(330)은 상기 호스(310)의 단부에 제공되며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안개상으로 분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분사노즐(330)을 대신하여 커플러와 같은 연결기구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호스(310)가 축사의 구조물 또는 벽면, 천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배관에 연결된 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 및 파동수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동수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저수탱크(200) 상면의 장착부(220)에는 상기 파동수기(400)와 구동장치(600)가 장착되며, 상기 저수탱크(200)와 파동수기(400) 및 구동장치(60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급수배관(510)과 혼합배관(520), 흡입배관(540), 저수탱크 유도배관(550), 호스(310) 등 다수의 배관(5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파동수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파동수기(400)는 급수원(10)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자기에너지에 의해 물 분자구조를 1/10,000의 크기로 미세화 하는 것으로, 외형이 길이가 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파동수기(400)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케이스(4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봉(420)이 고정되며, 상기 지지봉(420)에 다수의 영구자석(430)이 배치된다. 상기 영구자석(430)은 서로 같은 극성이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다수의 영구자석(430)은 지지봉(420)에 체결되는 고정부재(422,424)에 의해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 스(410)의 개구된 양단에는 각각 배관과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접속구(442)가 형성되는 캡(4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구(442)을 통해서 유입되는 물은 상기 파동수기(400)를 지나면서 상기 영구자석(430)의 자기장에 의해 미세한 분자구조를 가지도록 분해 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저수탱크(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과 2를 살펴보면, 상기 파동수기(400)의 개구된 일단에는 급수배관(510)이 결합된다. 상기 급수배관(510)은 수도와 같은 외부의 급수원(10)과 상기 파동수기(4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파동수기(400)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급수원(10)과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배관(510)의 일측은 아래에서 설명할 혼합배관(520)과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혼합배관(520)의 일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송출부(622)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급수배관(5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배관(52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구동장치(600)에 의해 펌핑된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상기 급수배관(5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급수배관(510)에는 제1밸브(v1)가 제공된다.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급수배관(510)을 선택적으로 지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파동수기(400) 이전에서 개폐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저수탱크(200)에 물을 저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밸브(v1)를 개방하고, 상기 저수탱크(200)에 물의 저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1밸브(v1)를 닫게 된다.
상기 제1밸브(v1)를 비롯한 이하의 제2밸브(v2) 내지 제6밸브(v6)는 모두 솔 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전자제어 밸브로서, 사용자의 조작 또는 프로그래밍된 순서로 온오프 조작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600)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610)와, 상기 모터(610)에 의해 회전되어 저수탱크(200) 내부의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핑부재(620) 및 상기 펌핑부재(620)에 연결되는 압력탱크(630) 및 릴리프수단(6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모터(610)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모터이다. 상기 모터(610)는 상기 펌핑부재(620)와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수단(61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모터(6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620)는 연동하여 구동된다.
상기 펌핑부재(620)는 상기 모터(610)의 구동에 의해 생성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저수탱크(200) 내부에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펌핑부재(620)에는 다수의 배관이 연결되며,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송출부(622)와 저수탱크(200)로부터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흡입되기 위한 흡입부(62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송출부(622)와 흡입부(624)에는 배관의 연결 상태에 따라서 다수개의 연결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송출부(622)의 일측에는 상기 호스(310)가 연결된다. 상기 송출부(622)와 호스(310)의 연결로 인하여 상기 저수탱크(200) 내부에서 탈취제와 혼합된 물은 상기 분사노즐(330)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310)와 연결되는 상기 송출부(622)의 단부에는 제5밸브(v5)가 구비된다. 상기 제5밸브(v5)는 상기 파동수기(400)를 통과한 첨가제가 혼합된 물을 분사할 때 개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밸브(v1)와 같은 전자제어밸브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장치(7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송출부(622)의 일측에는 상기 혼합배관(520)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펌핑부재(620)에 의해 첨가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혼합배관(520)을 통해 상기 파동수기(400)의 입구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파동수기(400)를 다시 한번 지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혼합배관(520)과 연결되는 상기 송출부(622)의 단부에는 제6밸브(v6)가 구비된다. 상기 제6밸브(v6)는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된 물과 첨가제를 혼합시키고, 상기 첨가제가 혼합된 물을 지속적으로 상기 파동수기(400) 측으로 안내하여 순환 및 희석시키기 위해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6밸브(v6)는 상기 제1밸브(v1)와 동일한 전자제어밸브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장치(7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릴리프수단(640)의 일측에는 귀환배관(530)이 구비된다. 상기 귀환배관(530)은 상기 릴리프수단(640)과 상기 저수탱크(2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펌핑부재(620)의 동작 중 과부하 발생시 상기 펌핑부재(620)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624)에는 흡입배관(540)이 연결된다. 상기 흡입배관(540)은 상기 흡입부(624)의 일측과 연결되며, 일측이 분지되어 각각 상기 파동 수기(400) 및 저수탱크(200) 내부와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배관(540)은 분지부(542)와, 저수탱크측 흡입부(544), 파동수기측 흡입부(546)로 각각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분지부(542)는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흡입부(624)와 연결되고, 양측방으로 나뉘어진 타단은 상기 저수탱크측 흡입부(544)와 파동수기 흡입부(624)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저수탱크측 흡입부(544)는, 상기 분지부(542)의 일단에서 상기 저수탱크(200)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펌핑부재(620)와 상기 저수탱크(200)가 연통되어 상기 저수탱크(200) 내부에 저장된 탈취제와 혼합된 물의 흡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저수탱크측 흡입부(544)에는 제4밸브(v4)가 구비된다. 상기 제4밸브(v4)는 상기 저수탱크(200)에서 첨가제와 혼합된 물을 상기 파동수기(400)로 다시 보낼 때와, 상기 저수탱크(200)의 첨가제와 혼합된 물을 상기 분사노즐(330)을 통해 분사하고자 할 때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제1밸브(v1)와 같이 전자제어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파동수기측 흡입부(546)는, 상기 분지부(542)의 다른 일단에서 상기 파동수기(400)의 캡(440)과 연결되며, 상기 파동수기(400)와 펌핑부재(620)가 연결되어 상기 파동수기(400)를 통과하는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상기 펌핑부재(620)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파동수기측 흡입부(546)의 일측에는 제3밸브(v3)가 구비된다. 상기 제3밸브(v3)는 상기 급수원(10)에서 공급되어 상기 파동수기(400)를 거친 물이 상기 저수탱크(200)를 거치지 않고 상기 분사노즐(3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개폐가 조절된다. 물론 상기 제3밸브(v3) 또한 상기 제1밸브(v1)와 마찬가지로 전자제어밸브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파동수기(400)와 연결되는 상기 파동수기측 흡입부(546)에는 저수탱크 유도배관(550)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저수탱크 유도배관(550)은 상기 흡입배관(540)의 파동수기측 흡입부(546)와 상기 저수탱크(200)를 연결하며, 상기 파동수기(400)를 통과한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상기 저수탱크(200)의 내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수탱크 유도배관(550)에는 상기 파동수기측 흡입부(546)와 상기 저수탱크 유도배관(550)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2밸브(v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밸브(v2)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파동수기(400)를 통과한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상기 저수탱크 유도배관(550)으로 안내되거나 상기 파동수기측 흡입배관(540)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제1밸브(v1)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펌핑부재(620)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압력탱크(630)가 제공되고, 상기 펌핑부재(62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펌핑부재(620)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상기 릴리프수단(640)이 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측면 외관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110)은 상기 프레임(100)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상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110)에는 상기 다수의 배관(500)에 연결된 다수의 밸브(v1,v2,v3,v4,v5,v6)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구동장치(600) 및 상기 저수탱크(200) 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부재(800)등의 전장부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700)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장치(700)는 상기 핸들(110)의 사이에 제공되는 마운팅플레이트(71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코드(720)와, 상기 모터(61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온 오프 시키기 위한 스위치(730), 입력되는 전원의 과부하시 동작되는 휴즈(740), 발열부재(80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수단(750) 그리고, 상기 다수의 밸브(v1,v2,v3,v4,v5,v6)들의 개폐를 운전상태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선택스위치(760) 등이 구비된다.
상기 발열부재(800)는 상기 저수탱크(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되는 물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절수단(7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된 물을 원하는 온도로 세팅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배관(500)에 장착되는 밸브(v1,v2,v3,v4,v5,v6)들은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전자제어밸브외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동 조작식 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수동 조작식 밸브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700)에는 상기 운전선택스위치(760)가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측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작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의 사용을 위해서는 우선 상기 급수배관(510)을 수도관 또는 수도 호스와 같은 급수원(10)에 연결하여 물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급수를 위해 상기 제어장치(700)를 조작하게 된다.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운전선택스위치(760)를 조작하여 상기 급수배관(510)의 제1밸브(v1)와 저수탱크 유도배관(550)의 제2밸브(V2)를 개방시키고 나머지 제3 내지 제6밸브(v6)는 모두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급수배관(510)과 파동수기(400) 및 저수탱크 유도배관(550)을 통해서 상기 저수탱크(200)로 공급된다. 상기 저수탱크(200)로 일정량 만큼의 물이 공급되면 사용자는 상기 운전선택스위치(760)을 조작하여 상기 제1밸브(v1)를 닫고 급수를 중단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저수탱크(200)에 수위센서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조작 없이 일정 수위에서 자동으로 급수가 중단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급수과정에서 상기 파동수기(400)를 지나는 물은 상기 파동수기(400) 내부의 영구자석(430)들에 의해 형성되는 강력한 자기장의 작용에 의해서 분자구조가 1/10,000 수준으로 미세화 된다. 이와 같이 미세한 분자구조를 가지도록 분해되는 물은 연속적으로 상기 파동수기(400)를 지나 저수탱크(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저수탱크(200)에 충분한 양의 물이 급수되면, 사용자는 상기 저수탱크(200)의 개구부(210)를 통해서 탈취제를 주입하여 상기 저수탱크(200)의 물과 혼합시키게 된다.
상기 탈취제를 넣은 후에는 사용자는 다시 상기 제어장치(700)를 조작하여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상기 파동수기(400)를 지속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저수탱크(200)로 순환되면서 탈취제와 물이 희석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사용자에 의해 상기 운전선택스위치(760)가 조작되면, 상기 제2밸브(v2)와, 제4밸브(v4) 그리고 제6밸브(v6)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첨가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펌핑부재(6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저수탱크측 흡입부(544)의 흡입배관(540)을 통해 상기 펌핑부재(620)를 지나 혼합배관(520)으로 안내되고, 상기 혼합배관(520)을 지나 상기 파동수기(400)를 통과한 후 상기 저수탱크 유도배관(550)을 통해 상기 저수탱크(200)로 유입된다.
즉,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된 첨가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흡입배관(540)과 펌핑부재(620), 혼합배관(520), 파동수기(400), 저수탱크 유도배관(550)을 차례로 거쳐 다시 저수탱크(200)로 유입되며, 사용자가 정지를 위한 조작을 하거나 특정 시간 조건 또는 온도 조건을 만족할 때 까지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첨가제가 혼합된 상태의 물을 지속적으로 미세 분자화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저수탱크(200)에 급수되거나, 상기 첨가제가 혼합된 물이 지속적으로 상기 파동수기(400)를 거치면서 수환하는 도중에는 상기 저수탱크(20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발열부재(800)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발열부재(800)는 상기 조절수단(7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저수탱크(200) 내부에 수용된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때, 물의 온도는 축사 내 온도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분사되는 물의 온도에 의해 기온이 낮은 동계에는 축사 내부의 온도가 적어도 15℃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저수탱크(200) 내의 물 온도를 대략 70℃의 온도까지 높일 수 있도록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탱크(200)의 내부의 물 온도가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고, 상기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지속적으로 상기 파동수기(400)를 통과하여 상기 탈취제의 용해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저수탱크(200) 내부의 탈취제가 용해된 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장치(700)를 조작하게 된다.
상세히, 사용자가 첨가제가 혼합된 물을 분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운전선택스위치(760)를 조작하게 되고, 상기 운전선택스위치(76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4밸브(v4)와 제5밸브(v5)는 개방되고 나머지 밸브(v1,v2,v3,v6)들은 모두 닫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탱크(200)에 첨가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펌핑부재(620)의 구동으로 상기 저수탱크(200) 흡입측의 흡입배관(540)을 통해 펌핑부재(620)로 유입되고, 상기 펌핑부재(620)로 유입된 첨가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펌핑부재(620)와 연결된 호스(310)를 통해서 상기 분사노즐(330)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330)의 조작에 따라서 외부로 분사 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파동수기(400)를 통과하여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은 상기 탈취제와 혼합된 후 다시 파동수기(400)를 통과하고 난 후에 외부로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탈취제와의 혼합을 위해 미세 분자화 된 물은 상기 탈취제와 혼합된 후 다시 한번 상기 파동수기(400)를 통과하면서 상기 탈취제와 혼합된 상태에서 다시 한번 더 미세 분자화 된다.
상기 펌핑부재(620)로 공급된 탈취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펌핑부재(620)의 송출부(622)를 통해 상기 호스(310)로 향하게 되고, 상기 호스(310)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330)로 안내되어 외부로 분사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호스(310)가 호스릴(320)에 권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호스릴(320)의 회전 손잡이(322)를 돌려 상기 호스(310)를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한 다음 상기 분사노즐(330)을 조작하여 원하는 위치에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분사하게 된다.
분사작업은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이동 중에도 가능하며, 이동시에는 상기 캐스터(120)의 구름 운동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호스(310)의 인출 없이도 사용 가능하며, 축사에 마련된 별도의 배관에 상기 호스(310)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노즐(330)에서 안개상으로 분무되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축사의 바닥에 쌓여 있는 가축의 배설물 또는 오물에 뿌려지게 되며, 내부로 깊숙하 게 침투하여 암모니아와 메틸메캅탄, 황화수소 가스 등을 분해함은 물론 세균을 살균하여 악취의 제거는 물론 악취의 원인 물질들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700)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다수의 밸브(v1,v2,v3,v4,v5,v6)들이 상기와 같은 순서로 순차적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분사노즐(330)의 조작에 의해서 언제든지 첨가제가 혼합된 물을 분사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운전선택스위치(76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저수탱크(200)로의 물저수와 첨가제 혼합 그리고, 첨가제가 혼합된 물의 파동수기(400) 측으로의 지속적인 순환, 상기 저수탱크(200)의 물 가열 등의 작업이 순차적으로 모두 이루어져 일정 시간 후 사용자가 분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청소 또는 그외의 살균작업을 위해 파동수기(400)를 통과하는 물을 상기 저수탱크에 저수하지 않고 직접 외부로 분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상기 운전선택스위치(760)를 조작하여 상기 제1밸브(v1)와 제3밸브(v3) 그리고, 제5밸브(v5)를 개방하고 나머지 밸브(v2,v4,v6)들은 닫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원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파동수기(400)를 통과한 후에 상기 파동수기측 흡입부(544) 흡입배관(540)을 통해 상기 펌핑부재(620)로 유입되고, 상기 펌핑부재(620)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330)에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동수기(400)를 통과한 물은 일반 물에 비해서 산소가 15% 더 함유되어 침투력이 우수하고 살균력이 뛰어나게 되므로, 청소 및 간단한 살균작업에 효과 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축사 내 암모니아 가스 제거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표는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실험 결과값을 나타내는 표와 그래프로서,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에 의해 혼합된 탈취제와 물을 분사하기 전 축사 내부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가스검지관법으로 검출하고, 일정 시간마다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탈취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에 의해 혼합된 탈취제와 물을 분사하기 전 축사 내부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는 25ppm으로 가축의 사육에 필요한 최소 기준인 15~18ppm 보다 높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에 의해 혼합된 탈취제와 물을 분사하고, 각각 14분 후와 19시간 경과 후에 축사 내부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축사 내부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는 각각 4.8ppm 과 7ppm으로 축사내 가스 농도가 매우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에 의해 혼합된 탈취제와 물을 분사하여 내부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축의 사육에 필요한 최소 기준 이상의 가스농도로 돌아오는데는 48시간 이상이 소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축사내 온도 및 습도에 따라 미차는 있겠으나, 악취제거의 효과는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매 2일 마다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 치(1)를 이용하여 축사내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 및 파동수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동수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측면 외관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축사 내 암모니아 가스 제거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표이다.

Claims (8)

  1.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물 및 탈취제가 혼합 저장되는 저수탱크;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안착되며, 저수탱크의 물을 끌어올리기 위한 구동장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제공되며, 다수의 영구자석들이 연속배치되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자기장에 의해 미세분자화 시키는 파동수기;
    상기 파동수기와 구동장치 및 저수탱크를 서로 접속시켜 유체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배관;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며, 탈취제와 혼합된 상태의 물을 분무하는 분사장치;
    상기 구동장치 및 전장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배관의 안내에 의해 파동수기를 거쳐 저수탱크로 유입된 후 저수탱크 내부에서 탈취제와 혼합되며, 탈취제와 혼합된 물은 상기 배관의 안내에 의해 다시 파동수기를 통과한 후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수기는,
    양단이 개구되어 상기 배관과 접속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봉과,
    상기 영구자석들의 동일 극성이 서로 밀착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봉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에 연동하여 회전되며, 공기의 압축에 의해 탱크 내부의 물을 펌핑하는 펌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상기 파동수기의 일단과 급수원을 연결하는 급수배관과,
    상기 파동수기의 타단과 상기 저수탱크 및 상기 펌핑부재를 연결하는 흡입배관;
    상기 펌핑부재와 급수배관을 연결하여, 탈취제와 물이 혼합된 상태로 상기 파동수기를 다시 통과하도록 하는 혼합배관;
    상기 파동수기의 타단과 상기 저수탱크를 연결하여, 급수되는 물을 저수탱크로 안내하는 저수탱크 유도배관;
    상기 펌핑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며, 탈취제와 물이 혼합된 상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사용 악취 제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은,
    상기 펌핑부재와 접속되는 분지부와,
    상기 분지부의 일단에서 상기 저수탱크로 접속되는 저수탱크측 흡입부와,
    상기 분지부의 타단에서 상기 파동수기와 접속되는 파동수기측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측 흡입부와 상기 파동수기측 흡입부, 혼합배관, 호스 및 상기 저수탱크 유도배관에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개폐가 결정되는 밸브가 제공되며,
    밸브의 개폐에 따라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상기 탱크, 펌핑부재 또는 파동수기로 선택적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호스릴;
    상기 호스릴에 권취되며, 일단이 상기 구동장치와 접속되어, 탈취제가 혼합 된 물이 안내되는 호스;
    상기 호스의 단부에 구비되어,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안개상으로 분무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에는 저수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는 발열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온도가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KR1020080127406A 2008-12-15 2008-12-15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KR20100068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406A KR20100068897A (ko) 2008-12-15 2008-12-15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406A KR20100068897A (ko) 2008-12-15 2008-12-15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897A true KR20100068897A (ko) 2010-06-24

Family

ID=4236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406A KR20100068897A (ko) 2008-12-15 2008-12-15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88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355B1 (ko) * 2013-07-03 2013-11-15 이건원 전해수를 이용한 세척 및 소독장치
KR101879245B1 (ko) * 2016-12-21 2018-07-18 (주)센코 악취저감 장치
KR20190120666A (ko) 2018-04-16 2019-10-24 (주)누리에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KR20220116995A (ko) * 2021-02-16 2022-08-23 강신덕 건식 과산화수소 기화 플라즈마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355B1 (ko) * 2013-07-03 2013-11-15 이건원 전해수를 이용한 세척 및 소독장치
KR101879245B1 (ko) * 2016-12-21 2018-07-18 (주)센코 악취저감 장치
KR20190120666A (ko) 2018-04-16 2019-10-24 (주)누리에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KR20220116995A (ko) * 2021-02-16 2022-08-23 강신덕 건식 과산화수소 기화 플라즈마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784B1 (ko)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KR20100068897A (ko)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KR102162543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축사 소독방법
CN211096326U (zh) 一种规模化猪养殖场消毒装置
WO2009046561A2 (de) Verfahren zur desinfektion von geflügel- und viehställen mit ozon, elektrolytisch oxidativen radikalen, uv-c bestrahlung, elektrostatischer spraytechnologie, überdruck-ventilation und luft-befeuchtungs-technik
CN203815919U (zh) 臭氧水清洗机
KR101631370B1 (ko) 외기의 소독 및 이물질 제거가능한 외기공급장치
CN208967961U (zh) 一种自动清洁湿帘装置
KR100782163B1 (ko) 광합성균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133925B1 (ko) 공기공급 시스템이 구비된 유기성폐기물 처리장치
CN108464248B (zh) 一种便捷消毒的猪舍
CN107683773A (zh) 一种带有自动杀菌消毒功能的猪舍
JP2019213932A (ja) 殺菌システム
KR102310090B1 (ko) 실내 악취 제거 및 살균 처리 장치
CN112544541B (zh) 一种新型水产养殖系统
KR19980020908U (ko)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CH698806B1 (de) Trocknungs- und Entkeimungsgerät für Kleider und Sportausrüstungsgegenstände in Beghältern.
KR200423012Y1 (ko) 농축산용 공기정화장치
CN106693013A (zh) 一种鸡笼消毒系统
CN108575766B (zh) 一种幼猪猪舍
CN112655567A (zh) 一种具有驱虫除臭功能的仔猪养殖猪舍
CN219538974U (zh) 犬猫舍的无害化消毒设备
CN109105308A (zh) 一种稻田养鱼田间鱼苗消毒设备
CN205672269U (zh) 一种畜禽圈舍消毒车
CN219001287U (zh) 一种可多角度旋转的养殖舍用消毒杀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