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752A -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752A
KR20170109752A KR1020160033714A KR20160033714A KR20170109752A KR 20170109752 A KR20170109752 A KR 20170109752A KR 1020160033714 A KR1020160033714 A KR 1020160033714A KR 20160033714 A KR20160033714 A KR 20160033714A KR 20170109752 A KR20170109752 A KR 20170109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microorganism
beast
sugar
harmf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경
송상민
Original Assignee
박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경 filed Critical 박민경
Priority to KR102016003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9752A/ko
Publication of KR20170109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6Processes using, or culture media containing, hydrocarb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강력 기피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량을 공급할 수 없는 종래의 맹수의 배설물을 대처하여 대량으로 맹수의 오줌냄새를 유발하는 미생물을 대량으로 배양하여 공급할 수 것인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맹수오줌에 미생물이 증식될 수 있도록 한 다음, 그것을 발효조에서 당분을 투여하여 0.1~30브릭스(Brix) 정도로 당도가 조절된 당희석물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20 중량부를 첨가한 후 발효하여 맹수오줌 미생물을 얻고, 또 맹수오줌 미생물은 발효조에서 당분을 투여하여 0.1~30브릭스(Brix) 정도로 당도가 조절된 당희석물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01~2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60℃의 온도로 7~60일간 발효하는 방법에 의해서 대량으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제조한다. 나아가,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은 자외선조사나 고온살균 등의 방법에 의해 살균처리과정을 추가하여 살균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대량으로 제조 및 공급할 수 있음으로써, 종래의 맹수의 배설물을 대처하여 논, 밭, 과수원, 하우스, 골프장, 목장 등에서 농작물이나 가축 등을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로부터 피해를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Using the urine of Beast of prey microbiota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강력 기피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량을 공급할 수 없는 종래의 맹수의 배설물을 대처하여 대량으로 맹수의 오줌냄새를 유발하는 미생물을 대량으로 배양하여 공급할 수 있는 맹수오줌 미생물 배양액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해동물이라 함은 인간이 경작하는 논, 밭, 과수원, 하우스 등의 농작물이나 골프장의 잔디 등을 훼손하여 경제적 피해를 끼치거나, 질병을 옮기거나, 생명의 위협을 가하는 등 인간에게 유해한 동물을 총칭한다. 예를들면, 쥐, 들쥐, 햄스터 등으로 예시되는 설치류나 고라니, 노루 등으로 예시되는 초식동물이나 멧돼지 같은 잡식동물도 여기에 속한다.
특히, 상기 유해동물 중 멧돼지는 농작물 피해뿐만 아니라, 인간이 거주하는 인가까지 내려와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데 최근, 그 개체수가 증가하여 사회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이외에도, 까치, 물까치, 직박구리, 어치, 찌르레기, 갈까마귀, 참새, 꿩, 까마귀. 비둘기 등으로 예시되는 유해조류도 있다. 특히, 까치는 번식기에 전신주에 둥지를 틀 때 철사와 같은 금속소재를 포함함으로써 정전사고를 유발하고 있는데, 국내 총 정전사고의 30%가 까치로 인한 것으로 한국전력은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전력에서는 매년 유해조류둥지철저 및 유해조류포획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 100억 이상을 지출하고 있다.
이러한 유해동물로부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전기 목책기, 철선 울타리 등 피해예방시설 갖추거나, 유해조류인 경우에는 허수아비, 소음기, 빛 반사물, 총 등의 피해예방시설을 활용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물론, 야생동물에게 가장 퇴치효과가 우수한 총포포획인 경우, 야생동물 보호차원에서 수렵을 허가된 극소수에만 포획할 수 있으나, 그마저도 허가된 특정지역 내에서만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야생동물에게 위해를 가하지 않으면서 쫓겨내는 방법으로서 병원소독냄새, 휘발유냄새, 유황냄새, 자극적인 화학제를 사용하거나 개박하향, 계피향 고추향, 후추향 등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가 싫어하는 기피성 천연향료 물질을 활용하고 있다.
천연향을 동물기피제로 활용하는 종래의 기술로서는 예를들면,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등록 제798290호의 증점제, 자외선 흡수제, 메틸 안트라닐레이트(methyl anthranilate), 계피정유, 박하정유, 광유 또는 그리스(grease) 및 유화제로 이루어진 겔상의 조류퇴치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등록 제10-1387111호의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설치류 기피제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공개 제10-2013-0092348호의 액상형 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제10-1495816호의 식물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설치류 기피용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제10-1167068호의 설치류 기피제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제10-1167069호의 천연물질로 이루어진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제10-1347033호의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대형 유해동물 기피제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등록 제1008308호의 폴리부텐, 바셀린, 미네랄오일, 실리콘, 고추 추출물, 후추, 산초 및 식용색소를 포함하는 조류 퇴치용 조성물, 대한민국 미국특허공개 제US2005/69568호의 dihydronepetalactone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 기피제 조성물 등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천연향이나 자극적인 화학물 냄새를 이용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가 천연향이 두려워 경계심에 의해 기피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천연향을 단순히 싫어하기 때문에 기피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지속적으로 천연향이나 자극적인 화학물 냄새에 노출되면 반복학습에 의해 적응되어 기피효과가 미흡하여,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의 퇴치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동물의 대변이나 오줌과 같은 동물의 배설물에는 각기 다른 특유의 체취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 등은 후각기능이 매우 탁월하여 상위 포식자의 배설물의 체취를 맡게 되면 생명의 위협을 느껴 공포심과 경계심에 의해 기피효과가 매우 강하게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가 출몰하는 통로나 지점에 상위 포식자인 맹수의 배변이나 오줌을 갖다놓고 냄새를 풍김으로써,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공포심과 경계심에 의한 기피성으로 농작물 피해를 예방하기도 한다.
하지만, 사자, 호랑이, 곰 등 최상위 포식자인 맹수의 배변이나 오줌을 현실적으로
현실적으로 수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물론, 사육되는 고양이, 개, 늑대, 여우 등과 같은 맹수의 대변이나 오줌은 비교적 수득하기 쉬우나, 그 량은 극소 량에 불과해, 광대하게 분포된 경작지의 농작물을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 등으로부터 피해를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어서, 현실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 등에게 강력 기피성을 갖는 맹수의 배설물을 대처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맹수오줌을 이용하여 오줌냄새를 유발하는 미생물을 추출 및 대량으로 배양하는 방법인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 등에게 강력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맹수의 오줌을 수득하고, 맹수오줌을 공기에 노출하여 미생물이 증식된 맹수오줌은 얻는다. 그리고 미생물이 증식된 맹수오줌은 발효조에서 당분을 투여하여 0.1~30브릭스(Brix)로 당도가 조절된 당희석물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2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60℃의 온도로 호기 또는 혐기 상태에서 7~60일간 발효하여 맹수오줌 미생물을 얻고, 또한 맹수오줌 미생물은 발효조에서 당분을 투여하여 0.1~30브릭스(Brix)로 당도가 조절된 당희석물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01~20 중량부를 첨가 후 10~60℃의 온도로 호기 또는 혐기 상태에서 7~60일간 발효하여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제조하는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부터 얻어진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은 자외선조사, 고온살균 등의 방법으로 미생물을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맹수오줌 미생물 배양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강력 기피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량을 공급할 수 없는 종래의 맹수의 배설물을 대처하여, 맹수의 오줌냄새를 유발하는 미생물을 대량으로 배양하여 공급할 수 것으로서, 맹수의 배설물을 대처하는 맹수오줌 미생물 배양액은 논, 밭, 과수원, 하우스, 골프장, 목장 등에서 농작물이나 가축 등을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로부터 피해를 방지하는 용도로 적용할 수 있어서, 그에 따른 경제적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맹수오줌 미생물 배양액의 제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맹수오줌 미생물 배양액의 제형의 일부를 취하여 용기에 담긴 상태를 촬영한 사진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형에 자갈을 침지하여 도 1의 제형이 자갈에 흡착되도록 한 후 자연건조한 상태의 자갈 제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촬영한 사진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형에 대한 조류 기피효과를 비교실험하기 위하여 참새떼 및 까치 등의 조류가 출몰하는 하우스 주변의 땅바닥에 도 1의 제형시료를 종이컵에 담은 것을 설치한 다음, 그 근처에 조류 유인제로서 쌀 무더기를 설치하였다. 또한 종이컵에 담은 제형시료 지점으로부터 약 1M정도의 거리를 두고 고양이 대변을 둥그런 형태로 배치한 다음, 고양이 대변 배치 안쪽에 조류 유인제로서 쌀 무더기를 설치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 3보다 가깝게 촬영한 사진이고, 도 5는 도 4와 비교하기 위하여 최종 실험일에 도 4의 장소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도 1의 제형에 대한 조류 기피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하우스형 창고 내부의 천정과 벽체 사이 쥐 통로 근처의 벽체에, 쥐 유인제로서 옥수수를 걸어놓은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도 2의 제형에 대한 멧돼지 기피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멧돼지가 출몰하는 산 중 텃밭의 음식물 찌꺼기가 모여있는 구덩이 일부분에 도 2의 제형을 설치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8은 도 7에서 도 2의 제형이 설치된 주변에 멧돼지 발자욱을 포함한 멧돼지 출몰흔적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촬영한 사진이며, 도 9는 도 8의 반대방향에서 촬영한 사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도 2의 제형에 대한 멧돼지 기피효과의 실험 결과를 촬영한 사진으로서 도 7 내지 도 9와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a)맹수의 오줌을 수득하는 단계;
b)상기 a단계로부터 수득된 맹수의 오줌에 미생물이 증식된 맹수의 오줌을 얻는 단계;
c)발효조에서 당분을 투여하여 0.1~30브릭스(Brix)로 당도가 조절된 당희석물에 상기 b단계의 방법으로 얻어진 미생물을 포함하는 맹수의 오줌을 당희석물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2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60℃의 온도로 호기 또는 혐기 상태에서 7~60일간 발효하여 맹수오줌 미생물을 얻는 단계;
d)상기 c단계의 방법으로 얻어진 맹수오줌 미생물을 발효조에서 당분을 투여하여 0.1~30브릭스(Brix)로 당도가 조절된 당희석물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01~2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60℃의 온도로 호기 또는 혐기 상태에서 7~60일간 발효하여 배양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단계의 맹수의 오줌은 쥐, 들쥐, 햄스터 등으로 예시되는 설치류나 고라니, 노루 등으로 예시되는 초식동물이나 까치, 물까치, 직박구리, 어치, 찌르레기, 갈까마귀, 참새, 꿩, 까마귀. 비둘기 등으로 예시되는 조류 등의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가 기피성을 나타낼 수 있는 포식동물로부터 수득된 동물의 오줌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들면, 고양이, 개, 여우, 늑대, 사자, 호랑이, 곰, 살쾡이, 인간 등으로 예시할 수 있는 동물의 오줌이다. 그리고 예시되는 동물의 오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이면 된다. 그리고 이들 포식동물(맹수)의 오줌을 수득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인간일 경우는 특정용기에 배뇨시 소변만을 용기에 모아 수득할 수 있으며, 고양이 경우에는 고양이 대소변용 변기통에 자갈 등을 놓고 그 위에 천연모래로 채운 다음, 그곳에 대소변을 배설하게 지속적으로 유도하면서 고양이의 배변은 확인되는 데로 채우고, 변기통 내부 바닥으로 고양이 오줌이 모여 졌을 때 변기통 밑바닥에 구멍을 뚫어 고양이 소변만을 수득할 수 있다. 개나 여우일 경우에는 부직포나 흡수패드 등의 흡수체를 개 사육장에 깔고 흡수체에 개나 여우가 대소변을 보면, 흡수체 위에 불순물을 털어내고 흡수체를 손으로 짜거나 탈수기로 탈수하여 흡수체로부터 이탈된 개나 여우의 오줌을 용기에 모아서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늑대, 사자, 호랑이, 곰, 살쾡이 등의 오줌은 현실적으로 수득하기가 쉽지 않으나 사육장(예를들면, 동물원 등)에 협조를 얻어 맹수류가 대소변을 배설 및 배뇨한 사육장 바닥에 모여있는 오줌을 부직포나 흡수패드 등의 흡수포에 흡착토록 한 후, 오줌흡착포 그대로 또는 탈수하여 맹수의 오줌을 용기에 수득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들 맹수의 오줌은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직접적으로 포식가능할 정도로 성장한 성인 맹수의 것이 수득되어야 하며, 젓을 먹는 어린 맹수의 새끼는 자제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기피효과가 보다 강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택된 맹수의 오줌보다 종이 다른 1종 이상의 맹수의 오줌을 더 수득하여 혼합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맹수오줌의 최소 수득 량은, 하기 발효단계에서 발효가 이루어질 수 있는 최소의 량으로서, 대략 소주잔으로 한잔(50~70㎖)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로부터 수득된 맹수의 오줌에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도록 하여 미생물이 증식된 맹수의 오줌을 얻는 것이다.
맹수의 체내에서 배출될 당시의 신선한 오줌냄새의 강도는 미약하며, 더욱이 자연상태에서 동물의 체내에서 배출된 오줌이 땅속으로 스며들었을 때는 오줌냄새의 지속시간은 더욱 짧다. 그로 인해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기피효과가 나타나는 기간도 적어지게 된다.
그러나 맹수의 오줌에 미생물이 증식하게 되면서 점차 오줌냄새의 강도가 높아지게 되며, 그에 따라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후각을 더욱더 자극할 확률은 높게 한다.
따라서, 맹수의 오줌 냄새를 강하게 유발하는 미생물을 얻기 위하여 미생물이 떠다니는 공기 중에 상기 a 단계로부터 수득된 맹수의 오줌을 노출하여 미생물이 맹수의 오줌에 달라붙어 증식하도록 함으로서 미생물이 증식된 맹수의 오줌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예를들면, 페트병 같은 용기에 맹수의 오줌을 충전하고 용기 입구를 개방된 상태로 방치하여 공기가 통하는 곳에 방치하게 되면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생물이 공기와 더불어 용기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미생물과 접촉하게 되며, 맹수의 오줌은 산화과정과 더불어 매수오줌에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된다. 나아가, 맹수의 오줌의 온도가 25~60℃정도에서는 미생물이 더욱 증식하기 좋은 적정환경이 된다. 그러므로 맹수의 오줌은 산화과정에서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더욱 좋다.
그리고 맹수의 오줌을 공기 중에 노출하는 기간은 적어도 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25~60℃의 온도에서 3일 내지 1개월 정도이며, 필요에 따라 그 기간을 늘려도 무방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맹수의 오줌에는 오줌냄새를 유발하는 미생물이 증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단계는 미생물이 증식된 맹수오줌으로부터 맹수오줌 미생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발효조에서 당분을 투여하여 0.1~30브릭스(Brix)로 당도가 조절된 당희석물에 상기 b단계의 방법으로 얻어진 미생물이 증식하는 맹수오줌을 당희석물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2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60℃의 온도에서 7~60일간 발효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맹수오줌 미생물을 얻을 수 있다.
먼저, 맹수오줌 미생물 제조에 따른 당희석물은 물에 당분을 희석한 것으로서, 당희석물의 당도는 0.1~30브릭스(Brix), 바람직하게는 3~20브릭스(Brix),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브릭스(Brix)정도이다.
상기 범위보다 당분함량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과도한 당분 사용량에 따른 비용 발생으로 경제적이지 못하거나, 당도가 50브릭스(Brix)이상일 경우 과도하게 높을 당도에 의해 오히려 맹수오줌에 포함된 미생물의 활성이 둔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반대로 상기 범위보다 당분함량이 너무 적을 경우 당분을 먹이원으로 하는 맹수오줌에 포함된 미생물의 먹이의 최소량을 충족하지 못하여 발효가 너무 미약하거나, 미생물 증식이 어려워 발효물이 부패하는 문제가 있다.
당희석물의 당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물에 당분을 투여하며 당희석물의 당도를 임의의 브릭스(Brix)로 조절하거나 당분에 물을 투여하며 당희석물의 당도를 임의의 브릭스(Brix)로 조절할 수 있다. 이룰테면, 당희석물의 당도를 10브릭스(Brix)로 조절하고자 한다면, 정수수에 설탕을 조금씩 수회이상 투여하되 당희석물의 당도가 10브릭스(Brix)가 될 때까지 당도측정계로 측정을 하면서 당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정수수에 설탕을 투여하되 당희석물의 당도가 10브릭스(Brix)이상 투여된 상태에서 정수물을 지속적으로 보충하되 당희석물의 당도가 10브릭스(Brix)가 될 때까지 당도측정계로 측정을 하면서 당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당희석물의 당도를 조절하는 것은 당희석물을 구성하는 당분의 종류가 다양하며, 또한 당분의 종류에 따라 당도도 많은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선택된 당분을 물에 희석하여 당도계로 당도를 측정하여 설계하는 임의의 당도를 갖는 당희석물을 제조하는 것이 미생물의 증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희석물에 사용되는 물은 증류수, 수돗물, 이온수, 해양심층수, 정제수, 지하수, 약수물, 암반수 등 위생상 문제가 없는 것이면 좋다.
또한, 당희석물에 사용되는 당분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나 이룰테면, 설탕, 과당, 맥아당, 유당, 자당, 꿀, 엿, 물엿, 조청, 아밀라아제, 올리고당, 원당, 사탕, 포도당, 당밀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이다.
이러한, 당희석물에 상기 b단계의 방법으로 얻어진 맹수오줌을 당희석물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20 중량부의 함량으로 첨가한다. 상기 범위보다 맹수오줌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맹수오줌을 얻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과도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며, 반대로 상기 함량보다 너무 적을 경우 맹수오줌에 함유된 미생물의 량이 너무 적어 발효가 너무 미약하거나, 미생물 증식이 어려워 발효물이 부패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당희석물과 미생물을 포함하는 맹수오줌이 혼합된 혼합물을 발효하는 발효조는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자동압력조절밸브가 구비된 것으로서, 혐기발효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조에서 당희석물과 미생물이 포함된 맹수오줌이 혼합되어 발효가 진행된 발효물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발효물에서 가스가 발생하면서 점차 발효조의 압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발효조 내부의 과도한 압력은 발효물을 외부로 강제로 유출되게 하거나, 발효조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발효조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자동압력조절밸브가 필요하며, 자동압력조절밸브의 압력조절 범위는 0.1~2 ㎏f/㎠정도면 좋다.
이러한, 자동압력조절밸브는 발효물과 접촉되지 않는 발효조의 상부 또는 발효조 뚜껑에 구비되어 있다.
물론, 상기의 당희석물과 미생물을 포함하는 맹수오줌이 혼합된 혼합물을 발효하는 발효조는 호기발효 가능한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당희석물과 미생물을 포함하는 맹수오줌이 혼합되어 발효가 진행된 발효물이 호기발효일 경우, 발효조에 공기를 유입하게 하여 교반기에 의해 발효물을 교반하여야 하는 추가시설이 있어야하고, 또 외부의 세균이 지나치게 유입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으로 발효조의 뚜껑에 직경 0.01~0.1mm정도의 미세한 공기통로가 있는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환경에서 당희석물에 첨가된 맹수오줌에 포함된 미생물이 당분을 먹이원으로 하여 증식하는 과정인 발효를 진행하면 된다.
이때, 발효온도는 10~60℃, 바람직하게는 2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5~40℃정도이다.
발효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과도하게 높을 경우, 높은 온도에 의해 미생물이 사멸되어 맹수오줌으로부터 미생물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상기 온도보다 지나치게 낮을 경우 미생물 발효가 너무 미약하여 발효기간이 지나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서 권장되지 않는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온도를 조절하는 것은 온돌방, 자동온도 조절이 가능한 실내(특히, 발효실), 토굴 등을 발효실로 선택하거나, 자동온도가 구비된 발열체를 발효조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스트리폼 단열재, p.e폼 단열재, 솜 단열재, 건초 단열재 등을 발효조의 외부를 감싸서 발효조를 단열하는 등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계속하여, 발효조 내에서 발효물은 맹수오줌에 포함된 다양한 종의 미생물이 당분을 먹이원으로 하여 증식에 기여하게 된다. 적정발효시작 후 3~10일 정도부터 발효물에서 기포가 발생하면서 가스가 지속적으로 생성되기 시작하고, 또한 외부의 세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발효물 상층 표면으로 균막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이때, 균막에서는 초산을 생성하며, 균막의 생성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산도 증가하게 된다.
발효물의 발효기간은 7~60일 정도이나, 필요에 따라 상기 범위의 기간보다 발효기간을 더 연장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하여, 발효물이 발효가 완료되면 맹수오줌으로부터 미생물이 증식된 맹수오줌 미생물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때, 맹수오줌 미생물의 산도는 약 4~6ph 정도로 먹이원인 당분의 농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단계는, 맹수오줌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로서, 상기 c단계의 방법으로 얻어진 맹수오줌 미생물을 발효조에서 당분을 투여하여 0.1~30브릭스(Brix)로 당도가 조절된 당희석물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01~2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60℃의 온도에서 7~60일간 정도 발효하여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얻는 공정이다.
우선, 맹수오줌 미생물을 배양을 배양하기 위하여, 상기 c단계의 방법으로 제조된 맹수오줌 미생물은 부직포나 광목 등을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하여 사용함이 마땅하다 할 것이다.
이유는, 상기 c단계의 방법으로 최종 제조된 맹수오줌 미생물에는 미생물이 지속적으로 생성하는 상충부 표면으로 균막이 형성되며, 또한 미생물이 지속적으로 생성하는 부유물은 서서히 발효조 바닥으로 가라앉아서 침전물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맹수오줌 미생물을 배양하는데 따른 당희석물은 상기 c단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조성되며, c단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조성된 당희석물에 맹수오줌 미생물을 당희석물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01~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 중량부로 첨가한다.
맹수오줌 미생물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과도하게 높을 경우, 활성은 좋으나,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도 활성이 충분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그러나 필요할 경우 상기 함량보다 더 혼합하여도 무방하다. 반대로, 상기 함량보다 너무 적을 경우 미생물 증식이 너무 미약하여 배양기간이 너무 소요되어 경제적이지 못하거나,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외에, 맹수오줌 미생물을 배양하는 데 있어서, 발효온도, 발효조건 등은 상기 c단계의 방법과 동일하다 할 것이며, 하기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제조하는 실시예의 제 4공정의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제조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은 필요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기한 배양방법을 반복하여 다량으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d 단계의 방법으로부터 얻어진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은 자외선조사, 고온살균 등의 방법으로 미생물을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에서 제조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자외선조사 또는 고온가열 등의 방법으로 살균처리하면 된다.
자외선조사 방법은,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자외선 살균실에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에 포함된 미생물이 살균될 때까지 자외선조사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면 된다. 이때, 자외선조사기는 자외선 조사가 강할수록 미생물에 대한 살균력이 높게 나타나며, 살균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고온가열 방법은,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살균실 또는 가열용기에서 80~150℃의 온도로 가열하여 미생물을 살균하면 된다.
이렇게 살균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은,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에 대한 기피효과는 소멸하지 않는다.
이외에도,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살균하는 방법에는 제한을 두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살균처리하는 것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나 농작물 등에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살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므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에 대한 살균과정을 제외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상술한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은 지극히 적은 량의 맹수오줌의 오줌을 이용하여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이에 제조되는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은 맹수오줌의 냄새를 유발하는 미생물로 조성되어 있어서 맹수의 배설물을 대처하여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강력한 기피성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은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쥐, 들쥐, 햄스터 등으로 예시되는 설치류나 까치, 물까치, 직박구리, 어치, 찌르레기, 갈까마귀, 참새, 꿩, 까마귀. 비둘기 등으로 예시되는 조류 등일 경우에는 고양이오줌, 개오줌, 여우오줌, 늑대오줌, 살쾡이오줌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 이상의 것으로부터 제조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적용할 수 있으며, 고라니, 노루 등으로 예시되는 초식동물인 경우에는 개오줌, 여우오줌, 늑대오줌, 살쾡이오줌, 사자오줌, 호랑이오줌, 곰오줌, 살쾡이오줌, 인간오줌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 이상의 것으로부터 제조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적용할 수 있으며, 멧돼지와 같은 잡식동물일 경우에는 개오줌, 늑대오줌, 사자오줌, 호랑이오줌, 곰오줌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 이상의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의 사용방법은,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 그대로를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 등의 출몰지에 살포기로 살포하거나, 미세 구멍이 형성된 비닐용기이나 플라스틱용기 등에 충전하여 충전물의 냄새가 외부로 발산하도록 하거나, 나무토막, 나무분쇄물, 나무분진, 펠럿, 섬유(ex, 부직포, 노끈, 천, 실, 로프, 매트 등), 종이, 건초, 나뭇잎, 돌멩이, 자갈, 모래, 흙, 펄라이트, 곡물, 톱밥, 나무칩, 동물털, 연탄재, 인조석재, 인조목재 등의 흡수체에 적어도 1회 이상 흡착한 다음, 흡착물 그대로 또는 건조하여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가 출몰하는 지점 등에 설치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에 의해서 맹수오줌 미생물 배양액으로부터 발산되는 냄새에 의해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강력 기피효과가 나타내는 용도로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에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가 기피성을 나타내는 계피추출물, 박하추출물, 고추추출물, 고추냉이추출물, 야래향추출물, 겨자추출물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 이상의 천연물질을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01~2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천연물질은 본 발명의 목적을 방해하지 않는 방법으로 첨가되어야함이 마땅하다.
그리고,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가 기피제로 설치하는 장소는,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쥐, 들쥐, 햄스터,고라니, 노루, 멧돼지 등의 유해동물이 다니는 통로나 출몰지점의 사물이나 벽체, 바닥 등에 살포, 도포, 비닐용기이나 플라스틱용기 등에 충전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까치, 물까치, 직박구리, 어치, 찌르레기, 갈까마귀, 참새, 꿩, 까마귀. 비둘기 등으로 예시되는 조류 등은 보호하고자 하는 농작물 주변이나 과수작물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살포하거나, 비닐용기이나 플라스틱용기 등에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이 충전된 것을 바닥에 올려놓거나 또는 과수작물의 나뭇가지 등에 메달아 놓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양, 염소, 사슴 등의 가축을 보호하는 용도로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목장의 울타리 밖으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울타리 주변으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살포하여 살포지점으로부터 가축이 기피하도록 하여 가축을 보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은 종래의 맹수의 배설물을 대처하여 논, 밭, 과수원, 하우스, 골프장, 목장 등에서 농작물이나 가축 등을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로부터 피해를 방지하는 용도로 적용할 수 있어서, 그에 따른 경제적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신규한 발명인 것이다.
하기,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 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맹수의 오줌을 수득하는 제 1공정
바닥으로 직경 10mm구멍이 1개가 형성된 사각형태의 플라스틱용기를 선택한 다음, 용기 바닥으로 양초조각을 대략, 1cm 정도의 두께로 깔고, 그 위로 세척하여 탈수된 천연모래와 펄라이트(입자크기 0.5 ~ 3mm, 품명; 파라소, 제조사; 한국, 경동 원)를 2:1 비율로 혼합한 것을 대략, 3cm 정도의 두께로 고르게 깐 것을 고양이 변기통으로 이용하였다. 또한 고양이 변기통 바닥의 구멍으로부터 고양이 오줌을 받을 수 있게 형성된 고양이 변기통 받침대 위에 상기 고양이 변기통을 올려놓고, 11개월 된 수고양이 3마리와 4년 된 암고양이 1마리가 화장실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그리고 고양이대변은 1일 1회 이상 육안으로 확인하는 대로 수거하여 버리고, 고양이오줌은 고양이 변기통 바닥의 구멍을 통해 오줌 수거용 변기통 받침대에 모이는 데로 수회에 걸쳐서 페트병에 수집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약 1개월 동안에 1,250㎖ 정도의 고양이오줌을 수득하였다.
또한, 마당에서 사육되고 있는 3년생 암컷 진돗개의 개집 앞에 비닐장판을 넣게 그리고 비스듬히 깔아놓고 상기 진돗개가 오줌을 누면 한쪽 모퉁이로 모이도록 하였으며, 암컷 진돗개가 오줌을 누고 장판 모퉁이에 개 오줌이 소량 모이면 실험 인이 직접 고무장갑을 착용한 손으로 흡수패드를 이용하여 개 오줌을 흡착한 후, 개 오줌이 흡착된 흡수패드를 손으로 싸서 용기에 모아놓는 방법으로, 약 10일 동안 8회에 거쳐 개 오줌 800㎖ 정도 수득하였다.
또한, 맹수범주에 속하는 인간의 몸체로부터 배출될 시 오줌을 페트병에 직접 모여지도록 3일간 수집하여 성인오줌 500㎖ 정도를 수득하였다.
(2) 미생물이 증식하는 맹수의 오줌을 얻는 제 2공정
1.5㎖의 패트병에 상기 제 1공정으로부터 수득한 고양이 오줌 및 개오줌 및 인간오줌을 각 500㎖씩을 혼합한 후, 병 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대략 30~32℃ 정도의 온도로 8일간 방치하여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 중의 미생물이 오줌과 접촉하고 증식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 1공정에서 고양이 오줌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고양이 오줌은 이미 공기에 노출되어 고양이 오줌 속에 미생물이 증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미, 미생물이 증식하는 맹수의 오줌을 얻어진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공정을 생략할 수도 있으나 더욱 많은 미생물이 공기를 통해 고양이 오줌과 접촉이 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3) 맹수오줌 미생물을 제조하는 제 3공정
내부 압이 0.3㎏f/㎠정도에서 작동하는 압력조절밸브가 구비된 20L의 발효조에서 정수물에 원당을 투여 및 희석하여 7브릭스(Brix)로 당도가 조절된 당희석물 18.5L에, 상기 제 2공정으로부터 얻어진 미생물이 증식하는 고양이 오줌과 개오줌과 인간오줌이 혼합된 맹수의 오줌 1,500㎖를 혼합하여 25~37℃의 온도에서 23일간 혐기발효하여 제조된 맹수오줌 미생물을 약 20L를 얻었다.
(4)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제조하는 제 4공정
내부 압이 0.3㎏f/㎠정도에서 작동하는 압력조절밸브가 구비된 600L의 발효조에서 지하수 580L, 설탕 15㎏, 상기 제 3공정으로부터 얻어진 맹수오줌 미생물을 20L를 혼합하여 14브릭스(Brix) 정도의 당분혼합물을 20~32℃의 온도에서 27일간 혐기발효하여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약액(100)을 약 600L를 제조하였다.
참고사항; 상기 제 3공정 및 4공정에서 사용된 발효조는 발명인이 직접 제작한 것이 사용되었으며, 또한 상기 제 3공정 및 4공정에서 당희석물에 대한 당도측정에 사용된 당도측정계는 굴정당도측정계(RHB-55ATC, 판매사; 스탠다드솔루션)로서 먼저, 증류수로 영점조정 후 당도측정하였다. 당도측정시 사용된 시료의 량은 각각 0.1㎖정도이며, 측정시 시료의 온도는 상기 제 3공정의 당희석물 시료는 21℃이고, 상기 제 4공정의 당희석물 시료는 20℃정도이다.
실시예 2. 살균된 맹수오줌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
15L의 스텐용기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 10L를 붓은 후, 이를 가스버너로 가열하여 스텐용기 내부의 내용물의 온도를 약 90~103℃정도에서 약 5분간 살균한 후, 자연냉각하여 살균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맹수오줌 미생물 배양액을 흡수한 자갈형태의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 기피제의 제조 40L용기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 제형 20L 및 200~500g 정도의 무게를 갖는 인조자갈과 천연자갈이 혼합된 자갈 26㎏을 투여하여 6일 동안 자갈에 맹수오줌 미생물 배양액이 충분히 흡수되도록 한 후, 자갈을 용기에서 꺼내어 물기를 뺀 후 통풍이 잘되는 실내에서 수분이 흐르지 않을 정도로 자연건조하여 맹수오줌 미생물 배양액을 흡수한 자갈(200)형태의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 기피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유해조류 기피효과 비교실험
상기 실시예 1의 제형(100)에 대하여 조류 기피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참새떼가 출몰하며, 까치, 들비둘기, 찌르레기 및 이외의 각종 조류가 출몰하는 하우스가 인접한 장소에서, 도시된 도 3 및 4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제형시료(100) 약 100m㎖ 정도를 종이컵에 담은 후 그것을 땅바닥에 설치한 다음, 그 근처에 조류 유인제로서 쌀 무더기를 설치하였다. 또한 종이컵에 담은 제형시료 지점으로부터 약 1M정도의 거리를 두고 고양이 대변을 둥그런 형태로 배치한 다음, 고양이 대변 배치 안쪽에 조류 유인제로서 쌀 무더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실시예 1의 제형시료(100)와 고양이 대변(300)에 대한 조류 기피효과를 비교실험하였다.
참고로, 실험장소는 서울 외곽으로서, 근처 주위에 산으로 들러 있고 다양한 조류가 많이 서식하고 있으나, 조류의 먹이가 마땅치 않은 겨울철마다 본 발명인이 약 3년여 동안 도 3의 장소 및 그 인근 땅바닥에 곡물을 뿌려주면 참새떼, 까치, 들비둘기 및 각종 조류가 몰려와서 곡물을 먹는 장소이기도 하다. 또한, 설치장소에는 쥐, 고양이, 개, 족제비 등의 맹수가 간혹 출몰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 결과 > 실험기간은 13일이며, 결과는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험기간 동안에 대부분의 날씨는 영하로서 종이컵에 담지된 상기 실시예 1의 제형시료(100)는 얼었다가 녹기를 박복하여 수분이 거의 증발되어 소량이 얼음형태로 남아있는 상태였고, 또한 주위의 흙이나 나뭇잎조각 등이 바람에 의해서 제형시료(100)에 유입된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의 제형시료(100) 근처에 조류 유인제인 쌀(400)은 특정되지 않는 동물이 손으로 1~2회 정도 흩트려 놓은 것으로 추정될 뿐, 비교대상인 고양이 대변(300) 무더기 내의 쌀(400)의 량과 거의 비슷한 상태로서 최종실험일까지 조류가 유인제를 먹기 위해 접근한 흔적은 관찰되지 않았다.
< 평과 >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제형시료(100)와 고양이 대변(300)에 대하여 유해조류의 기피성에 대한 비교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 실험기간 동안 상기 실시예 1의 제형시료(100)는 고양이 대변(300)에서와 비슷하게 조류 기피효과가 유지됨으로써, 먹이에 대하여 집착이 강한 겨울철 야생조류에게도 상기 실시예 1의 제형시료(100)는 기피효과가 매우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봄부터 가을까지 경작되는 농작물 피해방지를 위해 농경지에서 기존의 맹수의 배설물을 대처하여 유해조류 기피제로서 적용하는데 매우 유리하다고 평가되었다.
실험예 2. 창고 내부에서의 유해동물 기피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2의 제형에 대하여 유해동물 기피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외부에서부터 차광막, 비닐, 5nm두께의 부직포, 50Cm두께의 스트리폼 단열재, 포대용 재질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하우스형 창고천정의 부직포와 단열재 사이 쥐가 번식하는 지점 여러 곳에, 상기 실시예 2의 제형시료을 100m㎖용량의 주사기로 한 지점에 약 20~50m㎖정도를 1회이상 주입하고, 또 상기 실시예 2의 제형시료을 휴대용 소형분무기에 약 500m㎖정도를 충전한 후, 쥐가 다니는 통로인 하우스 천정이 시작 부분과 연결되는 전체의 벽체에 분사한 다음에, 상기 실시예 2의 제형시료가 분사된 쥐가 다니는 통로 근처의 벽체 일부에, 도 6과 같이 옥수수(500)를 걸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실시예 2의 제형에 대한 설치류 기피효과를 실험하였다.
참고로, 실험장소 내부에는 11개월 된 수고양이 2마리가 있어서 창고 바닥으로는 쥐가 다닌 흔적이 없는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천정으로 올라가는 쥐 통로에는 사람이 보는 눈앞에서도 천정으로 가기 위하여 유유히 지나가거나, 또한 하우스 천정에서도 쥐가 번식하여 큰 쥐를 비롯하여 여러 마리의 쥐새끼가 움직이는 것을 간혹 관찰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 결과 > 실험기간은 1개월이며, 실험기간 동안에 실시예1 제형(100)이 주입된 하우스 천정에서는 쥐가 사라졌으며, 천정과 벽체 사이 쥐가 다니는 통로 및 실시예1 제형(100)이 설치된 근처의 도 6의 옥수수(500)에도 쥐가 접촉한 흔적이 없었다.
< 평과 >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의 제형이 주입되거나 살포된 지점으로부터 쥐가 기피하는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의 냄새의 지속력 및 발향력에 의해, 실험기간 동안에 창고 실내에서 쥐와 같은 설치류의 접근성이나 흔적들이 발견되지 않는 것이라 유추할 수 있는 바, 기존의 맹수의 배설물을 대처하여 설치류 기피제로서 매우 우수하다고 평가됐다.
실험예 3. 야외에서의 유해동물 멧돼지 기피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3의 제형(200)에 대하여 멧돼지 기피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 7 내지 9와 같이 멧돼지가 출몰하는 산중의 텃밭 내에 음식물 찌꺼기를 농사용 퇴비로 만들기 위해 구덩이를 파서 모아 놓으는 장소에 일부에 상기 실시예 2의 제형인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이 흡착된 자갈(200)이 담긴 용기(201)를 설치하고 또한 구덩이 근처의 일부 땅위에 상기 실시예 2의 제형인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이 흡착된 자갈(200) 수개를 설치하여 상기 실시예 2의 제형(200)에 대한 멧돼지 기피효과를 실험하였다.
참고로, 상기 실시예 2의 제형(200)의 실험장소는, 경기도의 북한산 자락에 위치한 한 사찰의 입구의 텃밭(약 200평)이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텃밭 옆으로 멧돼지 퇴치를 위해서 전기울타리를 포함하는 전기 목책기(A)가 설치되어 작동되고 있으나, 거의 매일 멧돼지떼가 출몰하여 땅을 파헤치고, 농작물 경작시기에는 작물손상 정도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미루어 전기 목책기(A)는 멧돼지 퇴치효과가 전혀 없는 것으로 단정된다. 그리고 텃밭 근처의 오솔길에는 일년내내 멧돼지떼가 다닐 흔적이 있으며, 여름이나 가을철에는 돼지감자 등 멧돼지가 먹이로 삼을 만한 식물이 있는 장소에는 땅을 파헤쳐 놓은 것을 쉽게 발견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더구나, 텃밭의 한쪽 경계지점으로는 많은 사람이 왕래하는 등산로이기도 하여, 저녁이면 멧돼지 출몰에 대한 공포심이 가중되는 장소이다.
< 결과 > 실험기간은 23일로, 실험기간은 멧돼지 번식기인 겨울철로서 12월과 1월 사이에 이루어 졌으며, 최종시험일에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찌꺼기가 있는 구덩이에 상기 실시예 3의 제형(200)이 설치된 용기(201) 주위에 멧돼지 발자욱을 포함한 멧돼지 출몰흔적(C1)이 선명하며 구덩이 내에 음식물 찌꺼기는 멧돼지가 먹은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에 음식물 찌꺼기가 있는 구덩이로부터 약 20M 정도 위치한 주목나무(B) 아래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멧돼지가 출몰하여 땅을 파헤친 흔적(C2)이 선명하게 관찰되었다. 물론, 그 근처에 전기울타리를 포함한 전기 목책기(A)가 설치되어 있으나 멧돼지 퇴치효과가 전혀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전기울타리를 포함한 전기 목책기(A)에도 멧돼지 퇴치효과가 없었으나 상기 실시예 2의 제형(200)이 설치된 장소에서는 멧돼지가 접근하다가 상기 실시예 2의 제형(200)에 의해 멧돼지가 기피한 것이라 유추할 수 있는 바, 상기 실시예 2의 제형(200)이은 기존의 맹수의 배설물을 대처하여 멧돼지 기피제로서 매우 우수하다고 평가됐다.
이상, 본 명세서를 통해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속하는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의 특정한 양태가 예시되고 기술되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한 사실이며, 이에 따라 이러한 기술도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 생산이 가능하여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 용품산업 분야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데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경제적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100 : 맹수오줌 미생물 배양액의 제형
200 : 맹수오줌 미생물 배양액이 흡수된 건조자갈
201 : 맹수오줌 미생물 배양액이 흡수된 건조자갈이 담긴 용기
300 : 고양이 대변
400 : 조류 유인제 쌀
500 : 쥐 유인제 옥수수
A : 전기 목책기
B : 주목나무
C(C1, C2) : 멧돼지 발자욱을 포함한 멧돼지 출몰흔적

Claims (7)

  1. a) 맹수의 오줌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수득된 맹수의 오줌을 공기에 노출시켜 공기 중의 미생물이 맹수의 오줌에 증식하도록 하여 미생물이 증식하는 맹수의 오줌을 얻는 단계; c) 발효조에서 당분을 투여하여 0.1~30브릭스(Brix)로 당도가 조절된 당희석물에 상기 b단계의 방법으로 얻어진 미생물을 포함하는 맹수의 오줌을 당희석물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2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60℃의 온도로 호기 또는 혐기 상태에서 7~60일간 발효하여 맹수오줌 미생물을 얻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방법으로 얻어진 맹수오줌 미생물을 발효조에서 당분을 투여하여 0.1~30브릭스(Brix)로 당도가 조절된 당희석물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01~2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60℃의 온도로 호기 또는 혐기 상태에서 7~60일간 발효하여 배양된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맹수의 오줌은
    고양이오줌, 개오줌, 여우오줌, 늑대오줌, 사자오줌, 호랑이오줌, 곰오줌, 살쾡이오줌, 인간오줌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당분은
    설탕, 맥아당, 유당, 자당, 꿀, 엿, 물엿, 조청, 아밀라아제, 올리고당, 과당, 원당, 사탕, 포도당, 당밀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
  4.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3항의 맹수오줌 미생물 배양액은 자외선조사, 고온살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살균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
  5.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4항의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
  6. 청구항 제 5항의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의 기피제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의 용도.
  7. 청구항 제 5항의 맹수오줌 미생물의 배양액을 나무토막, 나무분쇄물, 나무분진, 펠럿, 섬유, 종이, 건초, 나뭇잎, 돌멩이, 모래, 자갈, 흙, 펄라이트, 곡물, 톱밥, 나무칩, 동물털, 연탄재, 인조석재, 인조목재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 이상의 흡수체에 흡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
KR1020160033714A 2016-03-22 2016-03-22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 KR20170109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714A KR20170109752A (ko) 2016-03-22 2016-03-22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714A KR20170109752A (ko) 2016-03-22 2016-03-22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752A true KR20170109752A (ko) 2017-10-10

Family

ID=6018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714A KR20170109752A (ko) 2016-03-22 2016-03-22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97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678B1 (ko) * 2022-12-15 2024-03-15 정두희 고구마 부산물을 이용한 가축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678B1 (ko) * 2022-12-15 2024-03-15 정두희 고구마 부산물을 이용한 가축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therland et al. What works in conservation 2020
Witmer The ecology of vertebrate pests and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Adoyo et al. Using Tithonia concoctions for termite control in Busia District, Kenya
CN101803545A (zh) 农林生态园区病虫草无害综合防治方法
JP2013017449A (ja) 混合菌体及び水質改良用資材
Schlageter Preventing wild boar" Sus scrofa" damage-considerations for wild boar management in highly fragmented agroecosystems
JP2013017450A (ja) 混合菌体及び中性化消臭・防虫剤
KR20170109752A (ko)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
Lawler Managing mosquitoes on the farm
Howard et al. House flies
World Health Organization Vector control series: the housefly: training and information guide
Wyenandt 2016 Mid-Atlantic Commercial Vegetable Production Recommendations
Xuan et al. Understanding Farmer and Government Measure in Rat Pests Control in Rice Fields
Howard The house fly and how to suppress it
Lantz The relation of coyotes to stock raising in the west
Richardson Flies as household pests in Iowa
Haaksma Surviving urbanisation and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A review of the threats for farmland and urban birds in human-modified landscapes in the Netherlands
Malik et al. Rodent Repellents: A Plant Based Alternative Approach in Rodent Pest Management
Pavlik et al. Transmission of mycobacteria from the environment to susceptible hosts
TWI587787B (zh) Small black mosquito, mosquito control bait
KR20170090308A (ko)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
Drees et al. Fire ant control: the two-step method and other approaches
Howard The house fly
CN116019056A (zh) 一种林地养鸡天敌防御方法
Alliance Con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