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308A -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 - Google Patents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308A
KR20170090308A KR1020160010992A KR20160010992A KR20170090308A KR 20170090308 A KR20170090308 A KR 20170090308A KR 1020160010992 A KR1020160010992 A KR 1020160010992A KR 20160010992 A KR20160010992 A KR 20160010992A KR 20170090308 A KR20170090308 A KR 20170090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beast
absorber
harmful
paraf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경
송상민
Original Assignee
박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경 filed Critical 박민경
Priority to KR102016001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0308A/ko
Publication of KR2017009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에 취약하거나 지나치게 비위생적인 종래의 맹수의 배설물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맹수의 오줌을 흡수체에 흡수 후, 건조한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하도록 제조되는 것인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맹수의 오줌을 나무분쇄물, 나무분진, 펠럿, 섬유, 종이, 건초, 나뭇잎, 돌멩이, 모래, 자갈, 흙, 펄라이트, 곡물, 톱밥, 나무칩, 동물털, 연탄재, 인조석재, 인조목재 등의 흡수체에 1회 이상 흡수한 후, 함수율 10~25% 정도로 건조한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용액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1~80 중량부를 파라핀용액에 혼합하여 파라핀에 담지되도록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인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는 성형물 내부의 맹수오줌흡수체로부터 방출되는 맹수의 오줌냄새를 파라핀에 의해 서서히 장기간동안 방출되도록 함은 물론, 비, 눈, 습기 등의 수분에도 유실되지 않게 함으로써, 농경지 등에서 날씨에 관계없이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안전하게 담지되어 있어서 곰팡이 등이 생기지 않아 인간이 거주하는 실내의 쥐 통로에 설치하여 설치류 기피제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Beast of prey urine absorbent Coated with paraffinby hazardous animal and hazardous algae repellents P}
본 발명은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분에 취약하거나 지나치게 비위생적인 종래의 맹수의 배설물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맹수의 오줌을 흡수체에 흡수 후, 건조한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하도록 제조되는 것인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해동물이라 함은 인간이 경작하는 논, 밭, 과수원, 하우스 등의 농작물이나 골프장의 잔디 등을 훼손하여 경제적 피해를 끼치거나, 질병을 옮기거나, 생명의 위협을 가하는 등 인간에게 유해한 동물을 총칭한다. 예를들면, 쥐, 들쥐, 햄스터 등으로 예시되는 설치류나 고라니, 노루 등으로 예시되는 초식동물이나 멧돼지 같은 잡식동물도 여기에 속한다.
특히, 상기 유해동물 중 멧돼지는 농작물 피해뿐만 아니라, 인간이 거주하는 인가까지 내려와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데 최근, 그 개체수가 증가하여 사회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이외에도, 까치, 물까치, 직박구리, 어치, 찌르레기, 갈까마귀, 참새, 꿩, 까마귀. 비둘기 등으로 예시되는 유해조류도 있다. 특히, 까치는 번식기에 전신주에 둥지를 틀 때 철사와 같은 금속소재를 포함함으로써 정전사고를 유발하고 있는데, 국내 총 정전사고의 30%가 까치로 인한 것으로 한국전력은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전력에서는 매년 유해조류둥지철저 및 유해조류포획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 100억 이상을 지출하고 있다.
이러한 유해동물로부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전기 목책기, 철선 울타리 등 피해예방시설 갖추거나, 총포포획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유해조류인 경우에는 허수아비, 소음기, 빛 반사물, 총 등의 피해예방시설을 활용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외에도 병원소독냄새, 휘발유냄새, 유황냄새, 자극적인 화학제를 사용하거나 개박하향, 계피향 고추향, 후추향 등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가 싫어하는 기피성 천연향료 물질을 활용하고 있다. 천연향을 동물기피제로 활용하는 종래의 기술로서는 예를들면,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등록 제798290호의 증점제, 자외선 흡수제, 메틸 안트라닐레이트(methyl anthranilate), 계피정유, 박하정유, 광유 또는 그리스(grease) 및 유화제로 이루어진 겔상의 조류퇴치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등록 제10-1387111호의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설치류 기피제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공개 제10-2013-0092348호의 액상형 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제10-1495816호의 식물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설치류 기피용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제10-1167068호의 설치류 기피제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제10-1167069호의 천연물질로 이루어진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제10-1347033호의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대형 유해동물 기피제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등록 제1008308호의 폴리부텐, 바셀린, 미네랄오일, 실리콘, 고추 추출물, 후추, 산초 및 식용색소를 포함하는 조류 퇴치용 조성물, 대한민국 미국특허공개 제US2005/69568호의 dihydronepetalactone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 기피제 조성물 등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천연향이나 자극적인 화학물 냄새를 이용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가 천연향이 두려워 경계심에 의해 기피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천연향을 단순히 싫어하기 때문에 기피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지속적으로 천연향이나 자극적인 화학물 냄새에 노출되면 반복학습에 의해 적응되어 기피효과가 미흡하여,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의 퇴치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 등은 후각기능이 매우 탁월하여 상위 포식자의 대변냄새나 오줌냄새를 비롯한 체취를 맡게 되면 생명의 위협을 느껴 공포심과 경계심에 의해 기피효과가 매우 강하게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가 출몰하는 통로나 지점에 상위 포식자인 맹수의 배설물을 설치하고 냄새를 풍김으로써,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공포심과 경계심에 의한 기피성으로 농작물 피해를 예방하기도 한다.
하지만,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강력기피제로 작용하는 맹수의 배설물 특히, 오줌은 농경지, 과수원 등의 장소에서 비나 습기 등의 수분에 쉽게 유실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의 기피제로서의 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으며, 또한 맹수의 배설물은 변질이 잘되어 곰팡이가 서식하는 환경을 제공하거나, 파리 등의 유해곤충을 유인하는 역할을 하는 지나치게 비위생성의 문제 등으로 인해서, 인간이 거주하는 실내 공간에 침범한 쥐를 퇴치할 용도로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인들은 맹수의 오줌이 수분에 취약하거나 지나치게 비위생적인 종래 기술의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강력기피제로 작용할 수 있는 신규한 기술이 도출된 내용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맹수의 오줌이 비, 눈, 습기 등의 수분에 의해 유실되지 않으면서도 인간이 거주하는 실내에서도 위생적으로 사용가능한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 등에게 강력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맹수의 오줌을 흡착하여 함수율 10~25% 정도로 건조된 맹수오줌흡수체에 파라핀용액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1~80 중량부를 파라핀용액에 혼합하고, 성형하여 맹수오줌흡수체가 파라핀에 담지하여, 맹수오줌흡수체가 야외에서 비, 눈, 습기 등에 유실되지 하게 되는 것인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를 구현하는데 본원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는, 수분에 취약하거나 지나치게 비위생적인 종래의 맹수의 배설물이 갖는 문제를 해결할 수 것으로서, 맹수오줌을 흡수체 후 건조된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함으로써, 비, 눈, 습기 등의 수분에도 유실되지 않고 농경지에서 날씨에 관계없이 장기간동안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강력 기피제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안전하게 담지되어 있어서 곰팡이 등이 생기지 않아 인간이 거주하는 실내의 쥐 통로에 설치하여 설치류 기피제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하여 성형된 성형물을 의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촬영한 사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성형물 제형에 대하여 조류 기피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참새떼 및 까치 등의 조류가 출몰하는 하우스 주변의 땅바닥에 도 1의 성형물 제형을 1개 그룹과 5개 그룹으로 나누어 설치하고, 그 1개 그룹 및 5개 그룹 제형 근처에 조류 유인제로서 쌀 무더기를 설치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4는 도 3의 조류 기피효과의 실험 결과를 촬영한 사진으로서 도 3과 비교하기 위하여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성형물 제형에 대하여 설치류 기피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하우스형 창고 내부의 천정과 벽체 사이 쥐가 다니는 통로에, 도 1의 성형물 제형을 약 50cm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또한 제형 주변 벽체에 쥐 유인제로서 옥수수를 걸어 놓은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6은 도 5와 비교하기 위하여 같은 공간에서 쥐가 다니는 다른 통로의 벽체에 쥐 유인제로서 옥수수를 설치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7은 도 6의 쥐 기피효과의 실험 결과를 촬영한 사진으로서 도 6과 비교하기 위하여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a) 맹수의 오줌을 수득하는 단계;
b) 사전에 준비된 흡수체를 상기 a단계로부터 수득한 맹수오줌에 흡착한 후 함수율 10~30% 정도로 건조하여 맹수오줌흡수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방법으로 제조된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용액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1~80 중량부를 혼합하고, 성형틀에서 성형하여 맹수오줌흡수체가 파라핀에 담지된 성형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단계의 맹수의 오줌은 쥐, 들쥐, 햄스터 등으로 예시되는 설치류나 고라니, 노루 등으로 예시되는 초식동물이나 까치, 물까치, 직박구리, 어치, 찌르레기, 갈까마귀, 참새, 꿩, 까마귀. 비둘기 등으로 예시되는 조류 등의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가 기피성을 나타낼 수 있는 포식동물로부터 수득한 오줌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들면, 고양이, 개, 여우, 늑대, 사자, 호랑이, 곰, 살쾡이, 인간 등으로 예시할 수 있는 동물의 오줌이다. 그리고 예시되는 동물의 오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이면 된다. 그리고 이들 포식동물(맹수)의 오줌을 수득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인간일 경우는 특정용기에 배뇨시 소변만을 용기에 모아 수득할 수 있으며, 고양이 경우에는 고양이 대소변용 변기통에 자갈 등을 놓고 그 위에 천연모래로 채운 다음, 그곳에 대소변을 배설하게 지속적으로 유도하면서 고양이의 배변은 확인되는 데로 채우고, 변기통 내부 바닥으로 고양이 오줌이 모여 졌을 때 변기통 밑바닥에 구멍을 뚫어 고양이 소변만을 수득할 수 있다. 개나 여우일 경우에는 부직포나 흡수패드 등의 흡수체를 개 사육장에 깔고 흡수체에 개나 여우가 대소변을 보면, 흡수체 위에 불순물을 털어내고 흡수체를 손으로 짜거나 탈수기로 탈수하여 흡수체로부터 이탈된 개나 여우의 오줌을 용기에 모아서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늑대, 사자, 호랑이, 곰, 살쾡이 등의 오줌은 현실적으로 수득하기가 쉽지 않으나 사육장(예를들면, 동물원 등)에 협조를 얻어 맹수류가 대소변을 배설 및 배뇨한 사육장 바닥에 모여있는 오줌을 부직포나 흡수패드 등의 흡수포에 흡착토록 한 후, 오줌흡착포 그대로 또는 탈수하여 맹수의 오줌을 용기에 수득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들 맹수의 오줌은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직접적으로 포식가능할 정도로 성장한 성인 맹수의 것이 수득되어야 하며, 젓을 먹는 어린 맹수의 새끼는 자제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맹수의 오줌을 공기 중에 노출시켜 산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맹수의 오줌은 체내에서 배출될 당시의 신선한 오줌의 냄새의 강도는 미약하다. 그로 인해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기피효과가 나타나는 기간도 적어지게 된다.
그러나, 맹수의 오줌을 공기 중에 노출시켜 산화되도록 하면, 산화과정에서 공기 중의 세균과 접촉되면서 맹수오줌냄새의 강도가 높아지게 되며, 그에 따라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후각을 더욱더 자극할 확률은 높게 한다.
맹수의 오줌을 산화하게 하는 방법은 예를들면, 페트병 같은 용기에 맹수의 오줌을 충전하고 용기 입구를 개방된 상태로 방치하여 공기가 통하는 곳에 방치하게 되면 공기 중에 떠다니는 세균이 공기와 더불어 용기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맹수의 오줌은 산화과정과 더불어 세균이 번식하면서 오줌냄새가 매우 강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맹수의 오줌을 산화하는 기간은 적어도 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25~60℃의 온도에서 3일 내지 4개월 정도이며, 필요에 따라 그 기간을 늘려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단계는 맹수오줌흡수체를 얻는 공정으로서 a단계로부터 수득한 맹수의 오줌을 흡수기능을 갖는 흡수체에 흡수시킨 후, 건조하여 함수율 10~25% 정도의 맹수오줌흡수체를 얻는 것이다.
상기 흡수체는 맹수의 오줌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들면, 나무조각, 나무분쇄물, 나무분진, 펠럿, 섬유(ex, 부직포, 노끈, 천, 실, 로프, 매트 등), 종이, 건초, 나뭇잎, 돌멩이, 모래, 자갈, 흙, 펄라이트, 곡물, 톱밥, 나무칩, 동물털, 연탄재, 인조석재, 인조목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인조석재란, 톱밥이나 나무조각, 나뭇잎, 섬유 등을 접착제 등과 혼합 후 압축하여 만들어지는 합성목재를 총칭한다. 또한 인조석재는 모래, 자갈, 석고, 시멘트 등을 경화제와 혼합하여 성형되는 합성물을 총칭한다.
이러한 흡수체는 맹수의 오줌이 잘 흡수할 수 있도록 함수율을 10~25%가 되도록 사전에 건조하여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흡수체의 크기는 파라핀에 담지하기 쉬운 크기로서 인간이 한 손으로 취급하기 용이한 정도가 좋다. 특히, 흡수체의 직경이 1cm이하의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파라핀에 담지하기 힘든 크기의 것은 자제되어야 한다.
그리고 선택된 1종 이상의 흡수체에 상기 a단계로부터 수득한 맹수의 오줌을 적어도 1회 이상 흡착한다. 흡착방법은 맹수의 오줌을 분사기로 살포하거나, 붓으로 도포하여 흡수체에 흡착토록 하는 등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맹수의 오줌에 흡수체를 1초 내지 30일 동안 침지하여 맹수의 오줌이 흡수체에 충분히 흡착되도록 한 후 맹수의 오줌이 쉽게 외부로 유출되지 않은 정도로 손으로 짜거나 탈수하는 등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참고로, 흡수체를 맹수오줌에 장기간 침지하게 되면 맹수오줌의 발효로 그 냄새가 더욱 강해지게 된다.
이때, 흡수체에 흡수되는 맹수오줌은 흡수체에 충분히 흡수토록 하여 흡수체로부터 맹수의 오줌냄새가 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함량보다 적으면 흡수체에 흡착된 맹수오줌의 적어 흡수체로부터 맹수오줌냄새가 미약하여 기피효과가 미진할 수 있다.
그러므로 흡수체에 흡수되는 맹수오줌의 함량은 흡수체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적어도 10 중량부 이상으로 흡착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맹수의 오줌을 흡착한 흡착체는 건조 후 적어도 1회이상 맹수오줌을 흡착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록 흡착체에 맹수오줌의 농도가 높아지게 되어 흡수체로부터 보다 많은 맹수의 오줌냄새가 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맹수의 오줌을 흡수체에 흡수시킨 다음, 그것을 함수율 10~25%, 바람직하게는 16~22% 정도로 건조하여 맹수오줌흡수체를 얻는다. 맹수오줌흡수체의 함수율은 상기 범위보다 지나치게 높으면 맹수오줌흡수체에 흡착된 수용성인 수분이 지용성 파라핀용액과 결합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하지 못하거나, 파라핀에 담지된 맹수오줌흡수체에서 지용성인 맹수오줌이 성형물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상기 범위보다 지나치게 적으면 맹수오줌흡수체의 맹수오줌 냄새가 미약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는다.
맹수오줌을 흡수한 흡수체의 건조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자연건조, 열건조, 열풍건조 등의 방법으로 맹수의 오줌을 흡수한 흡수체의 수분을 증발시켜 함수율 10~25% 정도의 맹수오줌흡수체를 얻는 것이, 하기 과정에서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 하는 과정에서 파라핀용액과 결합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다.
이렇게 얻어진 맹수오줌흡수체는 맹수오줌냄새가 방출하게 되어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에게 기피효과가 매우 강하다.
하지만 수분에 취약하여 맹수오줌흡수체에 곰팡이가 서식하여 변질하게 하거나, 특히 야외에서 비, 눈, 습기 등 수분과 접촉 시 쉽게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여, 건조된 맹수오줌흡수체는 수분에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라핀에 담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단계는 맹수오줌흡수체가 파라핀에 담지된 성형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형파라핀은 20 혹은 40의 탄소분자로 이루어진 탄소분자와 혼합물로 석유나 석탄, 오일셰일 등에서 도출된 하얗고 무색의 부드러운 고체이다. 이러한 고형파라핀을 40~70℃ 정도의 중온에서 용해시켜 파라핀용액을 준비한다.
참고로, 파라핀용액을 40℃ 정도의 저온에서 얻고자 한다면 고형파라핀에 유동파라핀나 소이왁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형파라핀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5~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해 및 혼합 후 경화된 제품을 선택하여 용해하면 된다.
이렇게 준비된 파라핀용액에 상기 b단계의 방법으로 얻어진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용액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1~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7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70 중량부를 혼합하면 된다. 맹수오줌흡수체의 함량이 상기 함량보다 너무 높으면 파라핀에 온전히 담지하지 못하거나, 완성된 성형물인 파라핀과 맹수오줌흡수체와 결합력이 약하여 지극히 적은 외부의 압력에도 쉽게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상기 함량보다 적으면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하기는 용이하나 완성된 담지체로부터 맹수오줌냄새가 미약하여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효과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맹수오줌흡수체와 파라핀용액이 혼합된 혼합물은 성형틀에서 성형함으로써, 맹수오줌흡수체가 파라핀에 담지된 상태의 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성형물의 형상은 파라핀에 맹수오줌흡수체를 담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이렇게 최종 완성된 성형물은, 맹수오줌흡수체로부터 방출되는 맹수오줌냄새가 파라핀에 의해 외부로 서서히 발산함으로써 장기간동안 후각이 발달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로서 적용가능하게 된다.
성형물의 설치방법은, 성형물 그대로 또는 끈으로 묶거나, 공기가 유입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나 주머니나 공기구멍이 형성된 수지용기 등에 충전하여 유해동물 또는 유해조류가 다니는 통로나, 출몰지점, 과실수의 나뭇가지, 하우스지붕 위, 전신주 꼭대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성형물은 성형물에 담지된 맹수오줌흡수체로부터 방출되는 맹수오줌냄새가 파라핀에 의해 외부로 서서히 장기간동안 발산함으로써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 등에게 기피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성형물을 구성하는 파라핀은 수분에 강하여 비, 눈, 습기 등의 수분과 접촉되는 논, 밭, 과수원, 하우스, 골프장, 목장 등의 야외에서도 성형물이 유실되지 않게 함으로써, 가축이나 농작물 피해방지를 위해 날씨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안전하게 담지되어 있어서 곰팡이 등이 생기지 않아 인간이 거주하는 실내의 쥐 통로에 설치하여 기피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을 갖는 장점을 제공을 제공할 수 있어서, 그에 따른 경제적 수익창출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신규한 발명인 것이다.
하기, 첨부된 참조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맹수의 오줌을 수득하는 제 1공정
바닥으로 직경 10mm구멍이 1개가 형성된 사각형태의 플라스틱용기를 선택한 다음, 용기 바닥으로 양초조각을 대략, 1cm 정도의 두께로 깔고, 그 위로 세척하여 탈수된 천연모래와 펄라이트(입자크기 0.5 ~ 3mm, 품명; 파라소, 제조사; 한국, 경동 원)를 2:1 비율로 혼합한 것을 대략, 3cm 정도의 두께로 고르게 깐 것을 고양이 변기통으로 이용하였다. 또한 고양이 변기통 바닥의 구멍으로부터 고양이 오줌을 받을 수 있게 형성된 고양이 변기통 받침대 위에 상기 고양이 변기통을 올려놓고, 11개월 된 수고양이 3마리와 4년 된 암고양이 1마리가 화장실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그리고 고양이대변은 1일 1회 이상 육안으로 확인하는 대로 수거하여 버리고, 고양이오줌은 고양이 변기통 바닥의 구멍을 통해 오줌 수거용 변기통 받침대에 모이는 데로 수회에 걸쳐서 페트병에 수집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약 1개월 동안에 1,250ml 정도의 고양이오줌을 수득하였다.
(2) 맹수오줌흡수체를 제조하는 제 2공정
상기 제 1공정으로부터 수득한 고양이오줌 90ml에 흡수체로서 함수율 1~4%정도의 펄라이트(입자크기 0.5 ~ 3mm, 품명; 파라소, 제조사; 한국, 경동 원)300g을 혼합하여 용기팩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여 고양이오줌이 펄라이트에 잘 흡착되도록 한 다음, 통풍이 잘되는 실내에서 자연건조하여 함수율 14%정도의 고양이오줌이 흡수된 건조 펄라이트인 맹수오줌흡수체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맹수오줌흡수체에 대한 함수율 측정방법은 고양이오줌이 흡수된 건조 펄라이트 5g을 비닐봉지에 충전한 다음, 비닐봉투 내부의 공기를 밴 후, 밀봉한 상태에서 곡물 수분측청기 (MS-7011, 제조사; Lutron)의 측정봉을 비닐봉투 내부에 강제 삽입하여 고양이오줌이 흡수된 건조 펄라이트에 대한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3)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를 제조하는 제 3공정
스텐용기에 고형파라핀 1.2kg을 넣고 60℃의 온도로 중탕하여 파라핀용액을 얻은 후, 여기에 상기 제 2공정에서 제조된 고양이오줌흡수펄라이트을 투여하여 잘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틀에 채워 자연냉각함으로서, 제조된 성형물은 도 1 및 도 2에 사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맹수오줌흡수체(고양이오줌흡수펄파이트) (20)가 파라핀(10)에 담지된 상태의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100)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맹수오줌흡수펄파이트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100)는 1개당 약 8g씩 112개로, 성형물 부스러기가 제외되었다
실험예 1. 야외에서의 유해조류 기피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제형(100)에 대하여 조류 기피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참새떼가 출몰하며, 까치, 들비둘기, 찌르레기 및 각종 조류가 출몰하는 하우스가 인접한 장소에서 도시된 도 3과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제형을 1개 그룹과 5개 그룹으로 나누어서 땅위에 설치하되, 1개 그룹의 제형(100)은 그 주변으로 둥그렇게 쌀(200) 무더기를 조류 유인제로서 준비하고, 또한 5개 그룹의 제형(100)에서는 5개 제형을 둥그렇게 둘러서 설치한 후, 5개 제형 안쪽으로 쌀(200) 무더기를 조류 유인제로서 준비하였다. 또한 각 제형 주변으로도 넓게 조류 유인제인 쌀을 흣 뿌려 놓은 상태에서 조류 기피효과를 확인하였다.
참고로, 실험장소는 서울 외곽으로서, 근처 주위에 산으로 들러 있고 다양한 조류가 많이 서식하고 있으나, 조류의 먹이가 마땅치 않은 겨울철마다 본 발명인이 약 3년여 동안 도 3의 장소 및 그 인근 땅바닥에 곡물을 뿌려주면 참새떼, 까치, 들비둘기 및 각종 조류가 몰려와서 곡물을 먹는 장소이기도 하다. 또한, 설치장소에는 쥐, 고양이, 개, 족제비 등의 맹수가 간혹 출몰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 결과 > 실험기간은 34일이며, 실험기간 동안에 비와 눈이 온 횟수가 4회 있었으며, 실험시작일부터 12일째에 찌르레기 1마리가 도 3에서 보여주는 실시예 1의 제형(100) 1개 그룹 및 5개 그룹 주변의 쌀(200)을 먹기 위해 수십 회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제형으로부터 약 1M이상의 거리를 두고 접근을 시도할 뿐 쌀(200)까지 접근하지 못하였다. 물론, 조류가 쌀(200)까지 접근하지 못하는 원인은 쌀(200) 근처에 설치된 상기 실시예 1의 제형(1개 그룹 및 5개 그룹)(100)으로부터 방출하는 고양이오줌냄새 때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종 실험일에 도 4에서 확인하는 바와 같이, 도 3에서 보여 줬던 실시예 1의 1개 그룹 제형(100)이 설치되었던 장소에서는 제형을 포함한 조류 유인제인 쌀은 모두 사라져 없어졌으며(1개 그룹 제형(100)이 사라진 원인규명 불가함), 실시예 1의 5개 제형(100)에서는 5개의 제형 중 1개가 위치가 변경되었으나 5개 제형(100) 안쪽에 설치된 쌀(200)은 남아 있는 것으로 미루어 실시예 1의 5개 그룹 제형은 조류기피효과가 지속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평가 >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제형(100)에 대하여 조류 기피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설치된 도 3의 실시예 1의 제형 5개의 그룹(100)은 참새, 찌르레기, 까치 등의 조류에게 기피효과가 우수함은 물론, 비와 눈 등이 오는 날씨에도 수분에 의해 도 4에서 확인하는 바와 같이, 5개의 그룹 제형(100) 모두 유실되지 않고 맹수오줌냄새의 지속력 및 발향력이 우수한 장점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되었다.
실험예 2. 창고 내부에서의 유해동물 기피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제형(100)에 대하여 유해동물 기피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우스형 창고 내부의 천정으로 연결되는 벽체 위로 유해동물인 쥐가 자주 출몰하여 외부에서부터 차광막, 비닐, 5nm두께의 부직포, 50Cm두께의 스트리폼 단열재, 포대용 재질이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하우스형 천정으로 올라가는 쥐 통로에 도시된 도 5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제형(100)을 약 50cm간격으로 창고 일부에 설치하고 설치된 제형의 근처에 옥수수(300a)를 메달아 쥐 유인제를 설치하였으며, 같은 장소 다른 쪽에는 도 5와 비교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쥐 통로 근처에 제형을 설치하지 않고 옥수수(300b)만을 메달아 놓은 쥐 유인제를 설치하여 설치류인 쥐를 대상으로 유해동물 기피효과를 관찰하였다.
참고로, 실험장소 내부에는 11개월 된 숫고양이 2마리가 있어서 창고 바닥으로는 쥐가 다닌 흔적이 없는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천정으로 올라가는 쥐 통로에는 사람이 보는 눈앞에서도 천정으로 가기 위하여 유유히 지나가거나, 또한 하우스 천정에서도 쥐가 번식하여 여러 마리 쥐새끼가 움직이는 것을 간혹 발견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 결과 > 실험기간은 1개월이며, 실험기간 동안에 실시예1 제형(100)이 주입된 하우스 천정이나, 천정과 벽체 사이 쥐가 다니는 통로 및 실시예1 제형(100)에 설치된 근처의 쥐 유인제 옥수수(300a)에도 쥐가 접촉한 흔적이 없었다. 반대로, 도 7에서와 같이 쥐 통로 근처에 제형(100)을 설치하지 않고 옥수수(300b)만을 메달아 놓은 곳에서는, 최종실험일 도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쥐가 옥수수(300b)를 먹은 흔적이 발견되었다.
<평가> 이와 같은 상황으로 미루어, 상기 실시예 1의 제형(100)에서는 쥐와 같은 설치류에게 기피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또한 맹수오줌냄새의 지속력 및 발향력이 우수한 장점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은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에 관한 것이나, 본 발명은 맹수의 배설물을 대처하여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의 기피효과가 나타나는 특정한 물질이나 성분을 흡수체에 흡수하고 건조한 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하여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의 기피제를 당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을 가지 자에 의해서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며, 이에 따라 이러한 기술도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여 야외에서 수분에 강한 유해동물이나 유해조류의 기피제로서의 동물퇴치 용품산업 분야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데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경제적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10 : 맹수오줌흡수체
20 ; 파라핀
100 :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
200 : 조류 유인제 쌀
300(300a, 300b) : 쥐 유인제 옥수수

Claims (3)

  1. a) 맹수의 오줌을 수득하는 단계; b) 사전에 준비된 흡수체를 상기 a단계로부터 수득한 맹수오줌에 흡착한 후 함수율 10~25% 정도로 건조하여 맹수오줌흡수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방법으로 제조된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용액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1~80 중량부를 혼합하고, 성형틀에서 성형하여 맹수오줌흡수체가 파라핀에 담지된 성형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
  2. 제 1항에 있어서, 맹수의 오줌은
    고양이오줌, 개오줌, 여우오줌, 늑대오줌, 사자오줌, 호랑이오줌, 곰오줌, 살쾡이오줌, 인간오줌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
  3. 제 1항에 있어서, 흡수체는
    나무분쇄물, 나무분진, 펠럿, 섬유, 종이, 건초, 나뭇잎, 돌멩이, 모래, 자갈, 흙, 펄라이트, 곡물, 톱밥, 나무칩, 동물털, 연탄재, 인조석재, 인조목재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
KR1020160010992A 2016-01-28 2016-01-28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 KR20170090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992A KR20170090308A (ko) 2016-01-28 2016-01-28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992A KR20170090308A (ko) 2016-01-28 2016-01-28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308A true KR20170090308A (ko) 2017-08-07

Family

ID=5965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992A KR20170090308A (ko) 2016-01-28 2016-01-28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03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een et al. Feral dogs
Salmon et al. Wildlife pest control around gardens and homes
Mapston Feral hogs in Texas
Fitzwater Nonlethal methods in rodent control
KR20170090308A (ko)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에 담지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
Howard et al. House flies
KR20170090306A (ko) 맹수오줌흡수체를 파라핀으로 코팅한 유해동물 및 유해조류의 기피제
Knight Skunks
KR20170109752A (ko)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
Sharma et al. Rodents’ as Public Health Pests: Identification, Surveillance and its Management
Byford Nonpoisonous Snakes
Merrill Control of opossums, bats, raccoons, and skunks
Littlewood et al. 3. Threat: Agriculture and Aquaculture
Melrose et al. The Prairie Gardener’s Go-To for Pests and Diseases
Tischaefer Coyotes
Smallidge New Mexico Skunks: Identification, Ecology, and Damage Management
Brock et al. Control methods for snakes
Cubas Pests and Nuisance Animals in Zoological Parks
Adams Vector Abatement Plan-Darkling Beetles
Marsh et al. Vertebrate pest management
Dustin et al. Skunks
Bezzant Pest Control for the Smallholder
Marsh et al. Vertebrate pest control chemicals and their use in urban and rural environments
RAT et al. In de rats?
Swanson et al. Urban water-quality management: wildlife in the home pond ga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