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346B1 -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346B1
KR102502346B1 KR1020220091847A KR20220091847A KR102502346B1 KR 102502346 B1 KR102502346 B1 KR 102502346B1 KR 1020220091847 A KR1020220091847 A KR 1020220091847A KR 20220091847 A KR20220091847 A KR 20220091847A KR 102502346 B1 KR102502346 B1 KR 102502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vehicle loading
plate
bulkhead
part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피드플로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피드플로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피드플로어
Priority to KR1020220091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forming the main load-transporting element o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는 차량 적재함의 양측 내벽의 하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 상기 차량 적재함 내의 적재공간에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적재공간에서 전,후진으로 이동되는 격벽 플레이트, 및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양방향 슬라이딩 되어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BULKHEAD STRUCTURE OF VEHICLE LOADING BOX}
본 발명은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 내의 적재공간을 유동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적재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을 잔량없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크 화물(bulk cargo)이란 곡류, 목재, 광석 등과 같이 포장하지 않고 입자나 분말상태 그대로 적재함에 싣는 화물(dry bulk cargo) 또는 석유처럼 액체 상태로 용기에 넣지 않은 채 선박이나 차량의 탱크에 싣는 화물(wet bulk cargo)을 뜻한다.
이 중에서 곡물 또는 곡물의 표피, 톱밥 등과 같은 건조 벌크 화물(dey bulk cargo)을 차량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덤프트럭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은 차량 후방에 설치된 적재함을 동력으로 60~70°기울여서 토사, 골재 등의 적재물을 자동으로 내리는 운반용의 특수 화물차량을 말하며, 덤프카(Dump Car)라고도 한다.
덤프트럭은 다른 운반기계에 비해 기동성이 좋아 원거리 수송에 적합하고, 흙, 모래, 자갈 등을 운반하기에 적당하다. 적재능력은 2~50t 등의 여러 가지가 있다. 적재함의 경사는 보통 유압으로 작동시키지만, 기계나 수동인 것도 있다. 덤프트럭은 당초 공사용 중기로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나, 자체하역기능의 장점으로 인해서, 공사용 이외에 화물 운반용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덤프트럭은 적재함의 경사방향에 따라 사이드 덤프트럭, 리어 덤프트럭, 3방향 열림 덤프트럭, 보텀 덤프트럭의 4종류로 구분된다. 사이드 덤프트럭은 적재함의 옆쪽이 섀시에 붙어 있어서 적재함을 옆으로 기울일 수 있는 구조이다. 리어 덤프트럭은 적재함의 뒤쪽이 섀시에 붙어 있어 뒤쪽으로 적재함을 기울일 수 있는 구조의 트럭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3방향 열림 덤프트럭은 적재함을 좌우나 뒤쪽 어느쪽으로도 기울일 수 있는 구조의 트럭이다. 그리고, 보텀 덤프트럭은 적재함의 밑부분이 열려 짐을 아래로 부릴 수 있는 구조로서, 트레일러 덤프트럭에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덤프트럭의 양하방식은 적재함이 리프트장치에 의하여 소정 각도로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적재된 일부 적재물이 위치에너지의 변화로 조금씩 쏟아지게 되고, 적재물이 쌓여 질 때 점점 전진을 하게 되면서 적재함이 최대치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적재물을 완전히 쏟아내면 배출작업을 완료하게 되는데, 적재함이 최대각도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쏠리게 되는 동시에 쏟아지는 적재물에 의해 가중되어 덤프트럭이 전복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되었다.
특히, 덤프트럭은 매우 고중량의 특수차량으로서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재물의 배출작업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바위와 같은 비중이 큰 적재물은 적재함의 기울기에 의해서 쉽게 배출이 이루어지는 데 비하여 입자가 고은 토사나 자갈 등은 적재함이 완전히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 잔량이 남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적재물이 수분을 많이 함유하거나 젖은 상태일 경우에는 응집력이 형성되어 적재함이 완전히 들어올려진 상태에서도 쏟아지지 않고 일부 잔량이 남게 되면서 적재함을 하강시킨 후 내부에 남아있는 적재물 잔량을 작업자가 탑승하여 삽 등으로 퍼내는 별도의 추가작업이 필요하게 되면서 작업의 어려움과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4337호(2016.01.05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재함 내의 적재공간을 유동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적재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을 잔량없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재함 내의 적재공간에서 전,후진으로 이동되는 격벽의 안정적인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적재함의 하단부에 격벽의 가이드를 설치하여 격벽이 적재함 내에서 양방향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는 차량 적재함의 양측 내벽의 하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 상기 차량 적재함 내의 적재공간에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적재공간에서 전,후진으로 이동되는 격벽 플레이트, 및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양방향 슬라이딩 되어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가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내마모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로 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상부 수직면과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배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는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격벽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에 각각 단차지게 결합되고 상기 차량 적재함의 양측 내벽에 가이드되는 보강 프레임, 및 상기 보강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차량 적재함의 양측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격벽 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될 때 적재물을 밀어내는 고무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는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적재물을 상기 배출구로 자동 배출시키는 적재물 배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물 배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에 배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회전시키는 이송 구동부,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에 위치하여 적재물이 적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따라 상기 차량 적재함 바닥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이송 플레이트, 및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배출구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여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상기 체인의 일단에 상기 이송 플레이트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이송 플레이트에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양측 하단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돌출 부분이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 하는 과정에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전후 또는 좌우로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는 적재함 내의 적재공간을 유동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적재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을 잔량없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는 적재함 내의 적재공간에서 전,후진으로 이동되는 격벽의 안정적인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는 차량 적재함의 하단부에 격벽의 가이드를 설치하여 격벽이 적재함 내에서 양방향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 구조가 적용된 차량 적재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차량 적재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3d는 도 1에 있는 적재물 배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격벽 구조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6b는 도 4에 있는 격벽 구조가 차량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 구조가 적용된 차량 적재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적재함(100)은 차량(미도시)의 운전석 후방에 마련되고 내부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공간이 형성된다. 차량 적재함(100)은 배출구에 상하로 절첩되어 개폐되는 테일 게이트(110)가 형성된다. 테일 게이트(110)는 차량 적재함(100)의 적재공간을 밀폐하고 절첩에 의하여 배출구를 개방하여 적재물을 배출하는 도어기능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테일 게이트(110)는 차량 적재함(100)의 배출구 상단에 작동축에 의하여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절첩될 수 있으며, 작동축에는 유압장치(130)를 설치하여 유압장치(130)에서 발생하는 유압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작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일 게이트(110)의 구성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다.
차량 적재함(100)은 바닥에 적재물 배출 장치(200)를 설치하여 적재물을 실고 배출구로 이송되어 적재물을 자동으로 배출시키고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적재물 배출 장치(200)는 이송 구동부(210), 이송 플레이트(230), 회전 가이드부(25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물 배출 장치(200)는 이송 구동부(210)에서 동력을 전달받고 이송 플레이트(230)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격벽 구조(300)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 구조(300)는 이송 플레이트(230)에 연동하여 차량 적재함(100) 내에 슬라이딩 하게 되어 이송 플레이트(230)에 놓여있는 적재물을 잔량 없이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격벽 구조(300)는 차량 적재함(100) 내에 슬라이딩 하는 동안 좌우 및 전후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차량 적재함(100)과의 사이에 가이드 구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차량 적재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적재함(100)은 차량에 결합되고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차량 적재함(100)은 양측 내벽의 하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격벽 구조(300)의 전후 슬라이딩 작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홈(150)은 격벽 구조(300)가 이송 플레이트(230)와 연동하여 차량 적재함(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시에 좌우 및 전후로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홈(150)에는 격벽 구조(300)가 슬라이딩 작동하는 과정에서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하도록 커버부재(15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51)는 내마모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이미드, PEEK, PPS, 나일론, 아세탈 및 PET로 만들어진 내마모성 및 저마찰성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커버부재(151)는 가이드홈(150)의 형상을 따라 표면 상에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d는 도 1에 있는 적재물 배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 내지 3d를 참조하면, 적재물 배출 장치(200)는 이송 구동부(210), 이송 플레이트(230), 회전 가이드부(25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구동부(210)는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일측에 위치하여 이송 플레이트(230)가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송 구동부(210)는 차량 적재함(100)의 배출구에 대해 반대측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송 구동부(210)는 차량 적재함(100)의 바닥 말단에 설치 공간을 형성하고 차량 적재함(100)의 바닥면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송 구동부(210)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체인(211), 모터(213) 및 구동축(215)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인(211)은 일정 길이로 차량 적재함(100)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바닥면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인(211)은 2개의 체인이 차량 적재함(100)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체인 갯수는 바닥 면적, 적재물의 종류 혹은 적재하중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모터(213)는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일측에 위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체인(21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모터(213)는 유압식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축(215)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동 모터이면 된다.
구동축(215)은 모터(213)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의해 체인(211)의 회전을 작동시킨다. 구동축(215)은 모터(213)의 출력단에 축 연결되어 모터(213)의 회전방향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된다. 구동축(215)은 축상에 체인(211)이 연결되어 회전될 때 체인(213)이 감기면서 이송 플레이트(230)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구동축(215)은 모터(213)가 구동되는 동안 모터(213)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축회전하여 체인(211)을 회전 이동시킨다.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하부에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211)의 처짐을 방지하고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부(220)가 바닥면 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이동 가이드부(220)는 체인(211)을 따라 끌려오는 이송 플레이트(230)에 대해 처짐을 방지하고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송 플레이트(230)는 양측으로 체인(211)에 링크되어 체인(211)을 따라 전,후진으로 이동되어 적재된 적재물을 차량 적재함(100)의 배출구 방향으로 이송하여 배출시키고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송 플레이트(230)는 체인(211)의 회전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동하여 적재물을 차량 적재함(100)의 배출구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230)는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상부에 바닥면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송 플레이트(230)는 상부에 적재물이 적재될 수 있고 이송 구동부(210)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하부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송 플레이트(230)는 고무, 우레탄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적재함(100)의 바닥면과 밀착되면서 체인(211)을 따라 회전 이동될 수 있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230)는 일측 단부에 연결 플레이트(240)가 설치되어 체인(211)의 일측에 링크되게 되고, 타측 단부에 본 발명에 따른 격벽 구조(300)가 설치되어 체인(211)의 타측에 링크되게 된다.
연결 플레이트(240)는 체인(211)과 이송 플레이트(230) 사이를 링크한 상태에서 조립요소나 용접 등으로 고정시켜 일체로 형성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플레이트(240)는 체인(211)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이송 플레이트(230)가 볼팅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240)는 체인(211)과 이송 플레이트(230) 사이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240)는 모터(213)의 동력이 구동축(215)과 체인(211)을 통해 이송 플레이트(230)로 전달되게 하여 체인(211)의 회전을 따라 이송 플레이트(230)가 회전하여 이동되게 한다.
회전 가이드부(250)는 차량 적재함(100)의 배출구 하부에 위치하여 이송 플레이트(230)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여 이송 플레이트(230)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킨다. 회전 가이드부(250)는 한쌍의 롤러로 구성되고 롤러 회전에 따라 한쌍의 롤러 사이를 이송 플레이트(230)가 통과하면서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바닥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위치 이동되게 된다. 회전 가이드부(250)는 이송 구동부(210)의 모터(213)에 의해 축회전하는 구동축(215)의 피동축으로, 구동축(215)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또한,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하부에는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부재(260)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260)는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 플레이트(230)가 바닥면 하부로 회전하여 이동할 때 정지 위치를 결정한다. 스토퍼부재(260)는 차량 적재함(100) 내측의 가장 안쪽 바닥에 설치된 이송 구동부(210)에 인접한 바닥면 하부에 형성되어 체인(211)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이송 플레이트(230)가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하부로 이동되어 연결 플레이트(240)가 스토퍼부재(260)에 접촉되면 모터(213)의 구동이 정지되어 체인(211)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전기적 연결을 통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차량 적재함(100)의 테일 게이트(110)를 절첩시켜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고, 이송 구동부(210)의 모터(213)를 구동시켜 체인(211)의 회전에 의한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에 설치된 이송 플레이트(230)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적재물의 배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 구조(300)는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적재함(100)에 구비되고 이송 플레이트(230)에 연동하여 차량 적재함(100) 내에 슬라이딩(sliding) 하게 된다. 격벽 구조(300)는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이송 플레이트(230)에 놓여있는 적재물을 수평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잔량 없이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있는 격벽 구조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및 6b는 도 4에 있는 격벽 구조가 차량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격벽 구조(300)는 차량 적재함(100)의 적재공간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격벽을 형성하는 격벽 플레이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31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310)는 차량 적재함(100)의 공간을 적재물이 적재되지 않은 공간과 적재물이 적재되는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때, 이송 구동부(210)는 적재물이 적재되지 않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310)는 상부 수직면(311)과 하부 경사면(3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경사면(313)은 차량 적재함(100)의 배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차량 적재함(100) 내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이동시 적재물을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밀어낼 수 있고 하부 경사면(313)을 통해 이송 구동부(210)의 설치를 위한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 경사면(313)은 상부 수직면(311)에 대해 25도 내지 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310)는 편평하게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격벽 플레이트(31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20)은 격벽 플레이트(310)와 동일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격벽 플레이트(310)의 후면에 결합되어 격벽 플레이트(310)를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310)의 좌우 양측에는 보강 프레임(330)이 결합될 수 있다. 보강 프레임(330)은 격벽 플레이트(310)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격벽 플레이트(310)의 구조 보강을 위한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강 프레임(330)은 격벽 플레이트(310)에 단차지게 결합되어 차량 적재함(100)의 적재공간 양측 내벽면에 수용되어 격벽 플레이트(310)가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보강 프레임(330)에는 고무패드(331)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고무패드(331)는 격벽 플레이트(310)가 슬라이딩될 때 차량 적재함(100)의 양측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양측면에 뭍는 적재물을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차량 적재함(100)과 격벽 플레이트(310) 사이의 틈새로 적재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310)는 체인(211)과 연결하여 체인(211)의 회전을 따라 차량 적재함(100)의 적재공간을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게 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310)는 차량 적재함(100)의 배출구를 향하는 전면에 대해 후면에 체인(211)의 일단이 브라켓 등의 연결부재(340)을 통해 고정되게 결합되어 체인(211)의 회전에 의한 당김력이 격벽 플레이트(310)에 작용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310)의 하부 경사면(31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상에 연결부재(340)를 통해 체인(211)을 격벽 플레이트(310)에 연결한다. 이때, 연결부재(340)는 체인(211)이 흐트러지지 않고 적재함(100)의 바닥을 따라 이동되도록 격벽 플레이트(310)의 바닥에 체인(211)을 고정시킨다.
격벽 플레이트(310)의 하단에는 전후로 작동하는 격벽 플레이트(3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350)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50)는 차량 적재함(100)의 양측 내벽의 하단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50)에 끼움 결합되고 가이드 홈(150)을 따라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350)는 격벽 플레이트(310)의 양측 하단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돌출 부분이 가이드 홈(150)에 끼움 결합되어 가이드 홈(150)을 따라 격벽 플레이트(3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격벽 플레이트(310)은 가이드 부재(330)와 가이드 홈(150) 간의 결합에 의해 슬라이딩 하는 과정에서 지지되어 전후 또는 좌우로의 비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50)는 가이드 홈(150)에 장착된 커버부재(151)에 의해 마찰이 감소되어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310)는 바닥에 이송 플레이트(230)가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60)은 하부 경사면(313)의 하단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이송 플레이트(230)의 일측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인(211)의 일단은 이송 플레이트(230) 및 격벽 플레이트(31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체인(211)의 일단은 이송 플레이트(230)의 일측 또는 격벽 플레이트(310)와 일체로 결합되고 이송 플레이트(230)와 격벽 플레이트(310)를 고정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이송 플레이트(230)와 격벽 플레이트(310)는 체인(211)의 회전에 의해 당김력이 작용하여 차량 적재함(100)의 적재공간을 전후진 이동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310)는 이송 플레이트(230)에 연동하여 이동되게 된다. 격벽 플레이트(310)는 이송 플레이트(230)를 따라 이동하여 차량 적재함(100)에 적재되는 적재물을 차량 적재함(100)의 배출구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밀어내어 적재물의 잔량 없이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차량 적재함(100)은 상단이 개구되어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로 적재물을 적재공간에 상차할 수 있고 차량 재함(100)의 개구된 상단을 덮개 등으로 덮어 운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상부에는 체인(211)에 링크된 이송 플레이트(230)가 위치하고 이송 플레이트(230)의 상부에는 적재물이 적재될 수 있다. 차량 적재함(100)은 이송 플레이트(230)의 일측에 결합된 격벽 플레이트(310)에 의해 적재물이 적재되지 않은 공간과 적재되는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차량 적재함(100)의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적재물은 격벽 플레이트(3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차량 적재함(100)에 적재된 적재물을 배출하기 위한 양하 작업시에는, 이송 구동부(210)를 구동시켜 체인(211)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체인(211)의 양측에는 이송 플레이트(230)가 링크되어 체인(211)을 따라 이송 플레이트(230)가 이동된다. 체인(211)은 차량 적재함(100) 바닥에서 이송 플레이트(230)에 적재된 적재물이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송되도록 이송 플레이트(230)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이송 구동부(210)는 모터(213)의 동력을 구동축(215)을 통해 체인(211)에 전달하여 체인(211)을 회전시켜 체인(211)에 링크된 이송 플레이트(230)를 직선 및 회전 구동시켜 상부에 놓여있는 적재물을 배출구를 향해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모터(213)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축(215)에 의해 체인(211)이 회전하고 체인(211)에 링크된 이송 플레이트(230)가 차량 적재함(100)의 배출구 하부에 위치한 회전 가이드부(250)를 따라 회전하면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하부로 이동된다. 즉, 이송 플레이트(230)는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상부에 위치하여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체인(211)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연결 플레이트(240)를 통해 체인(211)에 링크된 이송 플레이트(230)에 당김력이 작용하여 이송 플레이트(230)가 배출구를 향해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송 플레이트(230)가 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격벽 플레이트(310)가 함께 이동하여 이송 플레이트(230)의 상부에 적재된 적재물이 후방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격벽 플레이트(31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부재(350)가 가이드 홈(150)에 의해 지지 상태로 슬라이딩 되어 격벽 플레이트(310)의 안정적인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격벽 플레이트(310)의 양측벽에 결합된 고무 패드(331)에 의해 차량 적재함(100)의 양측 내벽면을 긁어내어 차량 적재함(100)에 적재물이 잔량없이 배출되게 된다. 이송 플레이트(230)는 배출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 가이드부(250)에 의해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하부로 이동이 가이드되고 적재물을 배출구로 자유 낙하시킨다. 연결 플레이트(240)는 체인(211)에 의해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하부를 따라 배출구의 반대측으로 끌려가게 되고 스토퍼부재(260)가 설치된 위치에 도달하면 모터(213)가 정지하여 멈추게 된다. 이때, 격벽 플레이트(310)는 차량 적재함(100)의 배출구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멈추게 되어 적재물이 완전히 배출되게 된다.
적재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이송 구동부(210)를 통해 체인(211)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송 플레이트(230)의 제2측에 당김력을 작용하여 이송 플레이트(230)가 차량 적재함(100)의 내측을 향해 후진 이동하게 된다. 이송 플레이트(230)가 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격벽 플레이트(310)가 함께 이동하여 차량 적재함(100) 바닥면의 상부로 이동시켜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도 가이드 부재(350)가 가이드 홈(150)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격벽 플레이트(310)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차량 적재함
110: 테일 게이트 130: 유압장치
150: 가이드홈 151: 커버부재
200: 적재물 배출 장치
210: 이송 구동부
211: 적어도 하나의 체인 213: 모터
215: 구동축
220: 이동 가이드부 230: 이송 플레이트
240: 연결 플레이트 250: 회전 가이드부
260: 스토퍼부재
300: 격벽 구조
310: 격벽 플레이트
311: 상부 수직면 313: 하부 경사면
320: 지지 프레임
330: 보강 프레임 331: 고무 패드
340: 연결부재 350: 가이드부재
360: 결합홈

Claims (8)

  1. 차량 적재함의 양측 내벽의 하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
    상부 수직면과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배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량 적재함 내의 적재공간에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적재공간에서 전,후진으로 이동되는 격벽 플레이트; 및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양방향 슬라이딩 되어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가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의 형상에 따라 표면 상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내마모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로 된 커버부재; 및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적재물을 상기 배출구로 자동 배출시키는 적재물 배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양측 하단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돌출 부분이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고 슬라이딩 하는 과정에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전후 또는 좌우로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마찰이 감소되어 마모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격벽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에 각각 단차지게 결합되고 상기 차량 적재함의 양측 내벽에 가이드되는 보강 프레임; 및
    상기 보강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차량 적재함의 양측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격벽 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될 때 적재물을 밀어내는 고무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물 배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에 배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회전시키는 이송 구동부;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에 위치하여 적재물이 적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따라 상기 차량 적재함 바닥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이송 플레이트; 및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배출구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여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상기 체인의 일단에 상기 이송 플레이트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이송 플레이트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8. 삭제
KR1020220091847A 2022-07-25 2022-07-25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KR102502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847A KR102502346B1 (ko) 2022-07-25 2022-07-25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847A KR102502346B1 (ko) 2022-07-25 2022-07-25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346B1 true KR102502346B1 (ko) 2023-02-23

Family

ID=8532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847A KR102502346B1 (ko) 2022-07-25 2022-07-25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3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482Y2 (ja) * 1993-10-19 2000-03-13 小平産業株式会社 輸送用コンテナ
KR101584337B1 (ko) 2014-07-16 2016-01-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KR101915805B1 (ko) * 2016-08-31 2018-11-06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
KR102314132B1 (ko) * 2021-07-02 2021-10-19 임풍석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482Y2 (ja) * 1993-10-19 2000-03-13 小平産業株式会社 輸送用コンテナ
KR101584337B1 (ko) 2014-07-16 2016-01-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KR101915805B1 (ko) * 2016-08-31 2018-11-06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
KR102314132B1 (ko) * 2021-07-02 2021-10-19 임풍석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9349A (en) Roll-off hoist
KR102314132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US6398478B2 (en) Compaction mechanism for refuse and recyclables collection vehicles
US5549359A (en) Dual use materials transport vehicle with end-dumping and improved belly-dumping capabilities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6761414B1 (en) Top hinged gravity, floating and power self-opening gate for dump body
AU756429B2 (en) Vehicle side tipper system
KR102502346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US6382731B1 (en) Load hauling vehicle with sidewall raising and lowering mechanism
US6217122B1 (en) Dual use vehicle with rolling hopper and method
US9371201B2 (en) Container loader
KR102502348B1 (ko) 차량 적재함의 적재물 이송 바닥 구조
CN219544590U (zh) 一种框架内侧翻的自卸车厢
KR102314145B1 (ko)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KR102314141B1 (ko) 차량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 장치
KR101045466B1 (ko)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US20030161709A1 (en) Pivoting, sloped side panels for a truck body
US5660446A (en) Dump trailer with multi-stage hopper
KR102195801B1 (ko) 탑재형 농산물 덤프 운반대
US5431481A (en) Side dumping trailer
US6491349B2 (en) In-service/out-of-service rotatable tailgate assembly
KR102005630B1 (ko) 트럭용 적재함 덤프 장치
CN105269684A (zh) 前进后出上料控制仓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US6027297A (en) Material handling trailer system
CN205086185U (zh) 前进后出上料控制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