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466B1 -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 Google Patents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466B1
KR101045466B1 KR1020090114270A KR20090114270A KR101045466B1 KR 101045466 B1 KR101045466 B1 KR 101045466B1 KR 1020090114270 A KR1020090114270 A KR 1020090114270A KR 20090114270 A KR20090114270 A KR 20090114270A KR 101045466 B1 KR101045466 B1 KR 101045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loading
truck
box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734A (ko
Inventor
신흥규
Original Assignee
신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규 filed Critical 신흥규
Priority to KR1020090114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4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60P1/2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with cabl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8Tipping body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는, 트럭의 적재함 상측에 적층되어 하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후부에 트럭의 적재함 사이를 힌지체결하여 적재함의 수직회동을 도모하는 힌지부와, 상기 트럭의 적재함 선단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상측으로 형성되며 밸브의 제어로 인해 로드가 상측으로 전, 후진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와 중단에서 적재함의 선단하측으로 단부가 각각 접지되어 연장되는 한쌍의 체인으로 이루어져 유입실린더의 전, 후진에 따라 적재함의 선단을 상, 하 이동시켜 힌지부를 기준으로 적재함을 회동가능하게하는 연장부와, 상기 적재함의 선단하부측으로 형성되어 연장부가 관통되며 유압실린더의 로드앤드가 접지구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축과, 상기 관통축의 중단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연장부가 안내되는 롤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압에 의해 적재함의 회동이 이루어지는 덤프장치가 구비되기 때문에, 별도의 덤프차량이 없이도 일반적인 트럭차량에 덤프기능이 구비되어 트럭의 적재기능 및 덤프기능이 겸비되어 반복적인 운반작용과 덤프작용을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어 일반트럭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적재함, 덤프장치

Description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Cargo box of dump apparatus with attachable and detachable}
본 발명은 트럭에 실린 하물의 하역작업성을 높이기 위한 적재함 덤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물이 적재되는 적재함의 선단이 유압에 의해 상, 하 회동되어 하물을 하역하는 덤프수단이 트럭의 적재함에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일반트럭차량에 접목이 가능하여 별도의 덤프차량없이도 덤프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일반트럭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화물차량은 차체의 후부에 형성된 적재함에 일반박스 형태의 포장상자나 각종 골재 및 모래와 같은 건자재, 낱알 형태의 곡식, 각종 형태의 퇴비 등 다양한 하물(荷物)을 적재하여 운반, 수송하기 위한 차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화물차량의 하물을 하역하기 위해서는 인력 또는 지게차와 같은 특수화물을 이용하여 하역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하물이 적재된 적재함을 기계적인 힘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적재된 하물이 중력에 의해 쏟아지게 하여 신속하게 하역시킬 수 있는 덤프트럭을 운송수단으로 채택하여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적재함의 회동에 의한 하물의 하역작업은 공압력 또는 유압력으로 적재함을 들어올려 하물이 쏟아지도록 적재함을 회동시키는데 더욱 자세히는 덤프트럭의 적재함이 차체의 후방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적재함의 하측에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덤프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덤프장치의 유압실린더의 승강동작에 의하여 적재함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적재함이 경사지게됨으로써 적재하물이 적재함에서 슬라이딩되어 덤프트럭의 후방으로 하차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덤프트럭은 설계된 차체의 형태에 맞게 적재함, 적재함의 힌지부, 힌지부를 중심으로 한 적재함의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구동기구를 설치하여 구성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덤프차량은 대형차량에 한하여 주로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용량에만 국한하여 설계되므로 소형 차량으로는 바로 채택하여 활용하기가 어렵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우며, 일반적인 화물차와 덤프차량을 동시에 필요로 하는 경우엔 어쩔수 없이 각각 용도에 따라 별도의 차량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경제적인 이중부담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어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물이 적재되는 적재함의 선단이 유압에 의해 상, 하 회동되어 하물을 하역하는 덤프수단이 트럭의 적재함에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일반트럭차량에 접목이 가능하여 별도의 덤프차량없이도 덤프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일반트럭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트럭의 적재함 상측에 적층되어 하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후부에 트럭의 적재함 사이를 힌지체결하여 적재함의 수직회동을 도모하는 힌지부와, 상기 트럭의 적재함 선단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상측으로 형성되며 밸브의 제어로 인해 로드가 상측으로 전, 후진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와 중단에서 적재함의 선단하측으로 단부가 각각 접지되어 연장되는 한쌍의 체인으로 이루어져 유입실린더의 전, 후진에 따라 적재함의 선단을 상, 하 이동시켜 힌지부를 기준으로 적재함을 회동가능하게하는 연장부와, 상기 적재함의 선단하부측으로 형성되어 연장부가 관통되며 유압실린더의 로드앤드가 접지구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축과, 상기 관통축의 중단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연장부가 안내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적재함 덤프장치는 유압에 의해 적재함의 회동이 이루어지는 덤프장치가 구비되기 때문에, 별도의 덤프차량없이도 일반적인 트럭차량에 덤프기능이 구비되어 트럭의 적재기능 및 덤프기능이 겸비되어 반복적 인 운반작용과 덤프작용을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어 일반트럭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구 및 힌지부는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부재로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간편하여 적재함 덤프장치를 필요시에 트럭의 적재함에 설치하는 경우나 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된 덤프장치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간편하게 활용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덤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덤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a), (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덤프장치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로서, 우선 본 발명의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는 덤프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일반적인 트럭에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를 구비하여 별도의 덤프차량이 없이도 덤프기능이 구비되어 트럭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의 적재함(1) 상측에 적층되는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함(10)의 수직회동을 도모하는 힌지부(20)와, 상기 트럭의 적재함(1) 선단에 구성되는 지지구(30)와, 상기 지지구(30)의 상측에서 전, 후진되어 적재함(10)을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40)와, 상기 유압실린더(40)와 중단에서 적재함(10)의 선단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0)와, 상기 적재함(10)의 선단하부측으로 형성되어 연장부(50)가 관통되는 고정판(60)으로 대분구성된다.
도 2,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은 하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되는 일정형태의 함체 형태로 구성되며 트럭의 적재함(1) 상측에 적층될 수 있도록 트럭의 적재함(1)의 넓이보다 좁게 형성되어 기존의 트럭 적재함(1)에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적재함(10)의 하부로는 격벽으로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보강판(13)을 형성하여 적재함(10)으로 고중량의 하물의 적재 시에 보강판(13)의 보강구조로 하여금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힌지부(20)는 적재함(10)의 후부와 트럭의 적재함(1) 사이를 힌지체결하여 적재함(10)의 수직회동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힌지부(20)의 힌지축은 일반적인 볼트나 핀 등의 손쉽게 해체가능한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구(30)는 후술되는 유압실린더(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트럭의 적재함(1) 선단에서 볼트에 의해 체결구성하여 선택적으로 설치 또는 해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압실린더(40)는 지지구(30)의 상측으로 형성되며 적재함(10)의 선단측을 선택적으로 상, 하 이송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에 의해 로드가 작동되는 통상의 실린더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실린더(40)의 로드앤드는 후술되는 적재함(10)의 선단에 형성된 고 정판(60)에 접지되어 유입실린더(40)의 작동에 따라 고정판(60)을 상, 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압실린더(40)에 형성된 솔레노이드 밸브는 흡입측, 실린더 전진측, 실린더 후진측으로 이루어지는 3Way 형식으로 구성되어 유압실린더(40)의 흡입측으로는 유입실린더(40)의 로드를 구동할 수 있는 유압이 계속적으로 유입되고 유압실린더(40)에 전기적 신호에 따라 실린더 전진측의 압력 포트가 열리면 로드가 실린더 외부의 선단으로 작동되고, 실린더 후진측의 압력 포트가 열리면 실린더의 로드가 실린더 내부로 작동되어 로드가 선단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것이다.
따라서 흡입측으로 유입되는 유압이 실린더 전진측 및 후진측에 선택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실린더 로드가 작동되어 실린더 로드가 접지된 고정판(60)을 상, 하 이동시켜 적재함(10)을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장부(50)는 유압실린더(40)와 중단에서 후술되는 고정판(60)에 안내된 후 적재함(10)의 선단하측으로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한쌍의 체인으로 이루어져 유압실린더(40)와 중단에서 적재함(10)의 선단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하여 유압실린더(40)에 의해 상, 하 이동되는 고정판(6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판(60)은 적재함(10)의 선단하부측으로 접지되는 판의 형태로 구성되어 유압실린더(40)의 로드앤드가 접지되고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축(6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축(63)의 중단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유입실린더(40)에서 적재함(10)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0)가 관통되는 연장부(50)를 안내하는 롤러부(6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부(65)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연장부(50)와 결착될 수 있는 스프로킷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연장부(50)와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40)의 로드앤드에 접지된 고정판(60)은 유압실린더(40) 로드의 작동에 따라 상, 하로 연동되며 고정판(60)의 연동에 따라 연장부(50)는 롤러부(65)에서 안내되어 고정판(6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고정판(60)과 접지된 적재함(10)이 유압실린더(40)의 작동에 따라 힌지부(20)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적재함(10)에 덤프기능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구(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트럭 적재함(1)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힌지부(20)의 힌지축은 일반적인 볼트나 핀 등의 손쉽게 해체가능한 부재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덤프장치는 트럭의 적재함(1)에서 탈착이 가능하여 트럭의 적재기능 및 덤프기능이 겸비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적재함(10) 선단의 중앙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양측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단부가 경사지는 형태의 안내부(73)가 형성되는 수용홈(70)이 구성된다.
상기 수용홈(70)의 하부로 고정판(60)을 접지구성하여 상기 유압실린더(40)의 구동에 따라 적재함(10)이 상단으로 회동되면 고정판(60)은 수용홈(70) 내에서 관통축(63)이 안내부(73)에 안내된 상태로 상측으로 이동되고, 적재함(10)이 하단으로 회동되어 적재함(10)이 트럭의 적재함(1)으로 안착될 때 유압실린더(40)는 수용홈(70)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판(60)의 돌출된 관통축(63)의 양측단부가 수용 홈(70)의 안내부(73) 상에서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적재함(10)의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유압실린더(40)가 덤프기능을 실시하지 않을 때에는 적재함(10)의 수용홈(70)으로 유압실린더(40) 및 연장부(5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60)에 형성된 관통축(63)의 양측단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수용하여 수용홈(70)의 안내부(73)에 안내되는 안내롤러부(67)가 구성되어 적재함(10)의 회동에 따라 발생되는 안내부(73)와 관통축(63)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덤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덤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덤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덤프장치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덤프장치의 확대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롤러부가 형성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적재함 20 : 힌지부
30 : 지지구 40 : 유압실린더
50 : 연장부 60 : 고정판
63 : 관통축 65 : 롤러부
67 : 안내롤러부 70 : 수용홈
73 : 안내부

Claims (3)

  1. 트럭의 적재함(1) 상측에 적층되어 하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함(10)의 후부에 트럭의 적재함(1) 사이를 힌지체결하여 적재함(10)의 수직회동을 도모하는 힌지부(20)와,
    상기 트럭의 적재함(1) 선단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지지구(30)와,
    상기 지지구(30)의 상측으로 형성되며 밸브의 제어로 인해 로드가 상측으로 전, 후진되는 유압실린더(40)와,
    상기 유압실린더(40)와 중단에서 적재함(10)의 선단하측으로 단부가 각각 접지되어 연장되는 한쌍의 체인으로 이루어져 유입실린더(40)의 전, 후진에 따라 적재함(10)의 선단을 상, 하 이동시켜 힌지부(20)을 기준으로 적재함(10)을 회동가능하게하는 연장부(50)와,
    상기 적재함(10)의 선단하부측으로 형성되어 연장부(50)가 관통되며 유압실린더(40)의 로드앤드가 접지구성되는 고정판(60)과,
    상기 고정판(6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축(63)과,
    상기 관통축(63)의 중단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유압실린더(4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연장부(50)가 안내되는 롤러부(65)를 포함하는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의 선단의 중앙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양측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단부가 경사지는 형태의 안내부(73)가 형성되는 수용홈(7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60)에 형성된 관통축(63)의 양측단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수용하여 수용홈(70)의 안내부(73)에 안내되는 안내롤러부(67)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KR1020090114270A 2009-11-25 2009-11-25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KR101045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270A KR101045466B1 (ko) 2009-11-25 2009-11-25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270A KR101045466B1 (ko) 2009-11-25 2009-11-25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734A KR20110057734A (ko) 2011-06-01
KR101045466B1 true KR101045466B1 (ko) 2011-06-30

Family

ID=4439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270A KR101045466B1 (ko) 2009-11-25 2009-11-25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445B1 (ko) 2020-01-10 2020-07-13 (주)지금강이엔지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KR102195801B1 (ko) 2020-06-26 2020-12-28 김도연 탑재형 농산물 덤프 운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4222A (zh) * 2016-05-26 2017-12-05 长春工业大学 一种防喷修井设备专用运输车液压举升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432U (ko) * 1996-07-08 1998-04-30 라병렬 화물차량의 덤핑장치
KR19980058101U (ko) * 1997-02-18 1998-10-26 이해규 덤프트럭의 적재함구조
KR20020060416A (ko) * 2001-01-11 2002-07-18 라병렬 화물차, 덤프차의 덤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432U (ko) * 1996-07-08 1998-04-30 라병렬 화물차량의 덤핑장치
KR19980058101U (ko) * 1997-02-18 1998-10-26 이해규 덤프트럭의 적재함구조
KR20020060416A (ko) * 2001-01-11 2002-07-18 라병렬 화물차, 덤프차의 덤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445B1 (ko) 2020-01-10 2020-07-13 (주)지금강이엔지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KR102195801B1 (ko) 2020-06-26 2020-12-28 김도연 탑재형 농산물 덤프 운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734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3292B2 (en) Steep conveying installation for open-cast mining
KR101532958B1 (ko) 컨테이너 적재물 하역장치
KR101045466B1 (ko)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KR101915805B1 (ko)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
KR102314132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US20080217985A1 (en) Load Transport Bin
WO2015011685A2 (en) Container discharge system, container and method of discharging such container
US9371201B2 (en) Container loader
KR20130110678A (ko)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KR102005630B1 (ko) 트럭용 적재함 덤프 장치
KR101883501B1 (ko) 삼방향 덤프 운반차
KR102195801B1 (ko) 탑재형 농산물 덤프 운반대
JP2015116920A (ja) トラックに積載可能なダンプ装置
KR100429030B1 (ko) 화물차, 덤프차의 덤핑장치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KR102502346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KR0139700Y1 (ko) 화물차량의 덤핑장치
KR102314141B1 (ko) 차량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 장치
KR20150062765A (ko) 자가적재 및 덤프 기능의 지게차
KR20190071853A (ko) 화물 트럭용 덤프장치
KR102314145B1 (ko)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WO1996021579A1 (en) Improved bulk material carrying truck
CN211995703U (zh) 道路桥梁施工用物料运输装置
KR100836320B1 (ko) 트럭의 테일 게이트 승하강 장치
JP4476242B2 (ja) ダンプカーの積み荷排出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