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445B1 -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 Google Patents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445B1
KR102133445B1 KR1020200003624A KR20200003624A KR102133445B1 KR 102133445 B1 KR102133445 B1 KR 102133445B1 KR 1020200003624 A KR1020200003624 A KR 1020200003624A KR 20200003624 A KR20200003624 A KR 20200003624A KR 102133445 B1 KR102133445 B1 KR 10213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medium
winch
electric winch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식
Original Assignee
(주)지금강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금강이엔지 filed Critical (주)지금강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00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 B60P1/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with cabl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8Tipping body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중소형 화물트럭의 적재함을 덤프 및 언덤프하기 위한 기계식 덤프장치로서, 상기 중소형 화물트럭의 적재함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덤프 프레임; 상기 덤프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중소형 화물트럭에 마련되는 조작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면서 윈치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동윈치; 상기 덤프 프레임의 선단에 마련되는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하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전동윈치로부터 상기 적재함의 전방 하측으로 이어지는 윈치와이어의 풀림과 감김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윈치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상기 적재함이 상사점 및 하사점에 이르면 전동윈치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전동윈치 단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Mechanical dumping apparatus for small and medium cargo trucks}
본 발명은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 덤프장치 분야에 관련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동윈치 및 와이어에 의해 적재함을 덤핑 및 언덤핑 할 수 있는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량은 차체의 후부에 마련된 적재함에 일반박스 형태의 포장상자나 각종 골재 및 모래와 같은 건자재, 낱알 형태의 곡식, 각종 형태의 퇴비 등 다양한 하물(荷物)을 적재하여 운반, 수송하기 위한 차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화물차량의 하물을 하역하기 위해서는 인력 또는 지게차와 같은 특수화물을 이용하여 하역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하물이 적재된 적재함을 기계적인 힘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적재된 하물이 중력에 의해 쏟아지게 하여 신속하게 하역시킬 수 있는 덤프트럭을 운송수단으로 채택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적재함의 회동에 의한 하물의 하역작업은 도 1에서와 같이, 공압력 또는 유압력으로 적재함을 들어올려 하물이 쏟아지도록 적재함을 회동시키는데, 특히 덤프트럭(1)의 적재함(2)이 차체의 후방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적재함(2)의 하측에 유압실린더(c)를 이용한 덤프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덤프장치의 유압실린더(c)의 승강동작에 의하여 적재함(2)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적재함이 경사지게됨으로써 적재하물이 적재함에서 슬라이딩되어 덤프트럭의 후방으로 하차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덤프트럭은 설계된 차체의 형태에 맞게 적재함, 적재함의 힌지부, 힌지부를 중심으로 한 적재함의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구동기구를 설치하여 구성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덤프차량은 대형차량에 한하여 주로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용량에만 국한하여 설계되므로 중소형 화물차량에는 바로 채택하여 활용하기가 어렵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우며, 일반적인 화물차와 덤프차량을 동시에 필요로 하는 경우엔 어쩔수 없이 각각 용도에 따라 별도의 차량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45466호(이하, 선행특허)를 통해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특허는 하물이 적재되는 적재함의 선단이 유압에 의해 상,하 회동되어 하물을 하역하는 덤프수단을 트럭의 적재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중소형 트럭에도 적재함을 덤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물의 용이한 하역작업이 가능토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는 덤프수단이 유압실린더이므로 중소형 화물트럭에 적용할 경우 유지비용 및 제작비용이 많이드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덤프수단을 항상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동시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0218496호(1999. 06. 10 등록) 문헌 2 : 등록특허공보 제0775358호(2007. 11. 05 등록) 문헌 3 : 등록특허공보 제1045466호(2011. 06. 23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윈치 및 와이어에 의해 적재함을 덤핑 및 언덤핑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유압 또는 공압방식에 비해 유지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에 따라, 중소형 화물트럭의 적재함을 덤프 및 언덤프하기 위한 기계식 덤프장치로서, 상기 중소형 화물트럭의 적재함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덤프 프레임; 상기 덤프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중소형 화물트럭에 마련되는 조작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면서 윈치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동윈치; 상기 덤프 프레임의 선단에 마련되는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하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전동윈치로부터 상기 적재함의 전방 하측으로 이어지는 윈치와이어의 풀림과 감김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윈치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상기 적재함이 상사점 및 하사점에 이르면 전동윈치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전동윈치 단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롤러부재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하부 롤러브라켓; 상기 하부 롤러브라켓에 롤링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전동위치로부터 풀림 또는 감김되는 상기 윈치와이어를 가이드 하는 하부 가이드롤러; 상기 하부 롤러브라켓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롤러브라켓; 상기 상부 롤러브라켓에 롤링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하부 가이드롤러로부터 상기 적재함으로 이어지는 윈치와이어를 가이드 하는 상부 가이드롤러; 및 상기 하부 롤러브라켓과 상부 롤러브라켓을 일체로 연결하며, 그 내부로 상기 윈치와이어가 관통하는 파이프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전동윈치 단속수단은, 상기 전동윈치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수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회전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적재함이 상사점 또는 하사점에 도달했는지를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따라 상기 전동윈치의 온/오프를 단속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덤프 프레임의 측면과 상기 적재함의 측면을 상호 연결하여, 적재함이 최대 상사점 이상으로 오버 회전되는 것을 기구적으로 제한하는 상승제한 안전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기존의 유압 및 공압방식을 배제하고 전동윈치 및 가이드롤러부재에 의해 기계적으로 덤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덤핑동작에 따른 유지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레버에 의해 적재함이 최대 상사점 이상으로 오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기계적 덤핑동작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유압식 덤핑장치가 채용된 종래 덤프트럭의 구성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의 결합상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의 덤프동작 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의 덤프동작 후 상태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전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의 결합상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의 덤프동작 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의 덤프동작 후 상태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100)는 중소형 화물트럭(1)의 적재함(2)을 덤프(dump) 및 언덤프(undump)하기 위한 기계식 덤프장치로서, 덤프 프레임(110), 전동윈치(120), 가이드 브라켓(130) 및 롤러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덤프 프레임(110)은 상기 중소형 화물트럭(1)의 적재함 베이스(1a)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동윈치(120), 가이드 브라켓(130) 및 가이드 롤러부재(140) 등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덤프 프레임(110)은 예컨대,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사각틀에는 상기 전동윈치(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윈치고정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전동윈치(120)는 윈치모터(121)에 의해 보빈이 회전하면서 윈치와이어(w)를 감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윈치모터(121)는 중소형 화물트럭(1)에 마련되는 조작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되, 상기 조작스위치는 중소형 화물트럭(1)의 운전실 내에 고정 설치된 채 상기 윈치모터(121)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조작스위치를 소지한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내에서는 윈치모터(121)의 조작이 가능토록 할 수도 있다.
가이드 브라켓(130)은 상기 덤프 프레임(110)의 선단에 일체로 설치된 채, 상기 가이드 롤러부재(140)의 하단을 중소형 화물트럭(1)의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롤러부재(140)는 상기 전동윈치(120)로부터 시작되어 그 말단이 적재함(2)의 전방 하측에 연결되는 윈치와이어(w)를 풀림과 감김이 용이하도록 가이드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부재(140)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130)에 힌지 결합되는 하부 롤러브라켓(141)과, 상기 하부 롤러브라켓에 롤링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전동윈치로부터 풀림 또는 감김되는 상기 윈치와이어(w)를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롤러(142)와, 상기 하부 롤러브라켓(141)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롤러브라켓(143)과, 상기 상부 롤러브라켓에 롤링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하부 가이드롤러(142)로부터 상기 적재함(2)으로 이어지는 원치와이어(w)를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롤러(144)와, 상기 하부 롤러브라켓(141)과 상부 롤러브라켓(143)을 일체로 연결하며, 그 내부로 상기 윈치와이어(w)가 관통하는 파이프링크(145)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윈치와이어(w)의 하부 가이드롤러(142)와 상부 가이드롤러(144) 사이 구간은 파이프링크(145)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어서 외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100)는 상기 적재함(2)이 설정된 상사점 이상으로 오버 회전되는 것을 기구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상승제한 안전레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승제한 안전레버(150)는 상기 덤프 프레임(110)의 측면과 상기 적재함(2)의 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그 하단은 상기 덤프 프레임(110)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 회동이 가능하며, 상측에는 상기 적재함(2)의 측면에 마련된 핀(P)이 끼워지는 장공(1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5에서와 같이, 적재함(2)이 내려와 있을 때는 수평상태로 접혀져 있다가 적재함(2)이 도 6에서와 같이 덤프되는 과정에서 적재함(2)의 핀(P)이 장공(151)의 최상단에 위치하게 되면 핀이 장공에 걸리게 되므로 적재함(2)이 더 이상 상승되는 것을 강제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윈치와이어(w)의 결선 길이로 보았을 때 적재함(2)이 상사점 이상으로 오버 회전되는 일을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것이나, 항상 오동작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 놓아야 함을 감안할 때 상기 상승제한 안전레버(150)는 안전성 차원에서 필요한 기구적 구성이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100)는 적재함(2)의 덤프 및 언덤프가 전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재함(2)이 상사점 및 하사점에 이루면 전동윈치(1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전동윈치 단속수단(미도시)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동윈치 단속수단은 상기 전동윈치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센서와, 상기 회전수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회전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적재함이 상사점 또는 하사점에 도달했는지를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따라 상기 전동윈치의 온/오프를 단속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중소형 화물트럭 2 : 적재함
100 :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110 : 덤프프레임 120 : 전동윈치
130 : 가이드 브라켓 140 : 가이드 롤러부재
150 : 상승제한 안전레버

Claims (5)

  1. 중소형 화물트럭의 적재함을 덤프 및 언덤프하기 위한 기계식 덤프장치로서,
    상기 중소형 화물트럭의 적재함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덤프 프레임;
    상기 덤프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중소형 화물트럭에 마련되는 조작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면서 윈치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동윈치;
    상기 덤프 프레임의 선단에 마련되는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하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전동윈치로부터 상기 적재함의 전방 하측으로 이어지는 윈치와이어의 풀림과 감김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윈치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상기 적재함이 상사점 및 하사점에 이르면 전동윈치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전동윈치 단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부재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하부 롤러브라켓;
    상기 하부 롤러브라켓에 롤링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전동윈치로부터 풀림 또는 감김되는 상기 윈치와이어를 가이드 하는 하부 가이드롤러;
    상기 하부 롤러브라켓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롤러브라켓;
    상기 상부 롤러브라켓에 롤링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하부 가이드롤러로부터 상기 적재함으로 이어지는 윈치와이어를 가이드 하는 상부 가이드롤러; 및
    상기 하부 롤러브라켓과 상부 롤러브라켓을 일체로 연결하며, 그 내부로 상기 윈치와이어가 관통하는 파이프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윈치 단속수단은,
    상기 전동윈치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수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회전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적재함이 상사점 또는 하사점에 도달했는지를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따라 상기 전동윈치의 온/오프를 단속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덤프 프레임의 측면과 상기 적재함의 측면을 상호 연결하여, 적재함이 최대 상사점 이상으로 오버 회전되는 것을 기구적으로 제한하는 상승제한 안전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KR1020200003624A 2020-01-10 2020-01-10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KR10213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624A KR102133445B1 (ko) 2020-01-10 2020-01-10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624A KR102133445B1 (ko) 2020-01-10 2020-01-10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445B1 true KR102133445B1 (ko) 2020-07-13

Family

ID=7157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624A KR102133445B1 (ko) 2020-01-10 2020-01-10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4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1114A (en) * 1977-09-29 1979-04-21 Shin Meiwa Ind Co Ltd Device for limiting maximum tilt of bed on dump truck
KR200153962Y1 (ko) * 1997-07-11 1999-08-02 김경식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KR100218496B1 (ko) 1997-02-21 1999-09-01 현유명 덤프트럭용 적재함
KR100775358B1 (ko) 2006-10-19 2007-11-09 수성특장 주식회사 적재함이 슬라이딩 가능한 덤프트럭
KR101045466B1 (ko) 2009-11-25 2011-06-30 신흥규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1114A (en) * 1977-09-29 1979-04-21 Shin Meiwa Ind Co Ltd Device for limiting maximum tilt of bed on dump truck
KR100218496B1 (ko) 1997-02-21 1999-09-01 현유명 덤프트럭용 적재함
KR200153962Y1 (ko) * 1997-07-11 1999-08-02 김경식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KR100775358B1 (ko) 2006-10-19 2007-11-09 수성특장 주식회사 적재함이 슬라이딩 가능한 덤프트럭
KR101045466B1 (ko) 2009-11-25 2011-06-30 신흥규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8053B1 (en) Container tilting apparatus
US4489975A (en) Support apparatus for a raised side panel of a truck or trailer
US20150132091A1 (en) Vehicle hook hoist
JP5421744B2 (ja) 充電機能付き駐車装置のパレット
KR102133445B1 (ko)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CN212195227U (zh) 一种绳索联动提升装置及拉索式升降尾板
JP4951311B2 (ja) 車載式クレーンの転倒防止装置
KR20190000753U (ko) 차량 크레인
CN210191281U (zh) 一种垂直升降的汽车尾板
KR101451388B1 (ko) 화물차용 상·하차 리프트 장치
US4639182A (en) Crane device installed in cargo transporting vehicle
US11878898B2 (en) Vehicle elevator for lifting a vehicle and method for lifting
CN212195225U (zh) 一种拉索式升降尾板
US1941767A (en) Industrial truck
JPH08231185A (ja) 自走クレーン
KR100839897B1 (ko) 적재가 용이한 트레일러
KR102526988B1 (ko) 지게차용 클램핑 장치, 및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는 지게차
KR200485091Y1 (ko) 트럭 적재함의 도어 개폐구조
CN107601251B (zh) 一种自动倾倒集装箱吊具
KR200322579Y1 (ko) 크레인 리프트 트럭
CN217708548U (zh) 起重运输车的起重装置、起重运输车
WO2022123122A1 (en) Load unit arrangement with a driving device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load units
KR102314141B1 (ko) 차량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 장치
KR20190121005A (ko)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CN213923522U (zh) 一种用于拖撬滚筒的调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