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962Y1 -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962Y1
KR200153962Y1 KR2019970018367U KR19970018367U KR200153962Y1 KR 200153962 Y1 KR200153962 Y1 KR 200153962Y1 KR 2019970018367 U KR2019970018367 U KR 2019970018367U KR 19970018367 U KR19970018367 U KR 19970018367U KR 200153962 Y1 KR200153962 Y1 KR 2001539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oading
box
roller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083U (ko
Inventor
김경식
Original Assignee
김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식 filed Critical 김경식
Priority to KR2019970018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96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0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0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9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9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27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shifted horizontally in a fore and aft direction, combined or not with a vertical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09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적재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차량적재부에 바퀴(16)가 부착되어 차량적재부로 이동되는 고정판(14)과 고정판(14)위에 힌지(12)로 연결된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함(10)에 지지되는 롤러(22)가 형성된 기둥(20)과 상기 적재함(10)을 승ㆍ하강시키는 기어박스(28)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적재함(10)은 고정판(14)에 형성된 고정수단에 의하여 차량적재부에 고정되고 적재함(10)은 기어박스(28)내의 기어회전에 의하여 적재함(10)에 연결된 와이어(26)를 끌어당겨 적재함(10)을 승강시켜 적재함(10)에 적재된 짐을 내릴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본 고안은 덤프형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차량적재부에 장착하여 적재물을 쉽고 편리하게 내릴 수 있게 한 착탈이 용이한 덤프형 적재장치 관한 것이다.
현재 농촌은 경제력 향상과 정부의 기계화 영농정책에 힘입어 많은 농가에서 다양한 농기계들을 보유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농기계를 소개하면 자동으로 모를 심는 이양기, 벼를 베는 콤바인, 밭을 갈고 짐을 나르는 경운기 등이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그 중 짐을 나르는 경운기나 트럭의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적재함이 형성된 차량은 짐을 실어나르는 기능과 더불어 빠른 교통수단으로도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적재함이 형성된 차량은 많은 짐을 실을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빠르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소형트럭의 경우 적재함이 승하강되는 구조가 아니기에 적재함에 적재된 짐을 내리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일일이 손으로 내려야만 하였다.
물론 트럭중에 적재함이 승하강되는 구조를 가진것도 있으나 이러한 것들은 대형트럭에 적용되기 때문에 농가에서 사용하기는 적당하지 않았고 또한 적재되는 화물중에는 가축의 사육장이나 농가등에서 나오는 가축의 분뇨나 퇴비 등이 있는데 이러한 적재물을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하면 적재함을 부식시켜 차량을 훼손시켰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덤프형으로된 적재함을 소형트럭이나 그 밖의 농기계의 차량적재부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시킴과 동시에 적재된 적재물을 손쉽게 하역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가의 착탈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a도는 기어박스 내부의 기어 확대도.
제2b도는 기어박스의 또다른 실시예.
제2c도는 핸들을 제거하고 모터를 장착한 기어박스 내부도.
제3a도는 기둥의 롤러홈에 적재함 롤러가 삽입된 부분 단면도.
제3b도는 기둥내부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적재함이 차량에 장착되는 설치도.
제5도는 적재함이 차량에 체결된 상태도.
제6도는 적재함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적재함 14 : 고정판
20 : 기둥 28 : 기어박스
30 : 래칫 32 : 드럼
34 : 핸들 44 : 모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차량적재부에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고정판과; 전면에 롤러가 구비되고 후측하부는 고정판의 후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전면과 근접된 고정판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면에는 상기 적재함의 롤러가 삽입되게 롤러홈을 갖고 상단에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롤러가 구비되고 하단내부에도 와이어를 안내하는 롤러가 구비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전방 고정판상에 설치되어 기둥의 롤러를 거쳐 적재함에 연결된 와이어를 드럼에 감거나 풀어주는 구동수단에 의해 적재함을 승하강시키는 기어박스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적재장치는 트럭이나 경운기의 적재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그 구성은 적재부에 안착되는 고정판(12)과, 고정판(14)위에 장착되는 적재함(10)과,상기 적재함(10)의 전방에 위치한 기둥(20)과, 상기 기둥(20)의 전방에 위치한 기어박스(28)로 구성되어있다.
고정판(14)은 양측면에 다수개의 고리(15)가 형성되어있고 고정판(14) 위에는 적재함(10)이 장착되는데 적재함(10)의 후측하단은 고정판(14)과 힌지(12)로 연결되어 결합된다. 적재함(10)의 후판은 양측판과 힌지로 연결되어 있고 적재함(10)의 앞판은 전방으로 롤러(11)가 설치되어 있고 롤러(11)의 연결부에는 와이어(26)가 연결되있다.
제3a도와 같이 기둥(20)은 적재함(10)의 롤러(11)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게 내부에 롤러홈(24)을 구성하여 적재함(10)의 롤러(11)를 삽입시켰고 고정판(14)에 고정된 브래킷(21)과 힌지로 연결하여 회동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기둥(20)의 상부에는 롤러(22)를 구성하였고 제3b도와 같이 기둥내부의 하부에도 브래킷(21)에 연결된 힌지와 결합하여 롤러(23)가 설치되어있다.
기어박스(28)는 기둥(20) 전방에 고정되어 있는데 제2a도와 같이 기어(281,282,283)는 기어박스(28)내부에 축받이에 의해 벽면에 장착되어 있고 기어(281)는 외부로 축이 연결되어 있어 그 축에 핸들(34)을 장착하였다. 또한 각각의 기어는 감속의 효과를 얻기위해 제1기어(281)를 크게 하였고 제3기어(283)를 작게 하였다. 제3기어(283)의 동일축에는 드럼(32)을 장착하여 와이어(26)를 수용할 수 있게 하였고 제1기어(281)의 측면에는 힌지로 고정한 래칫(30)을 구비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기어박스(28)는 내부의 제3기어(283)에 구비된 핸들(34)을 돌려 제1,2 기어를 회전시키는데 제3기어(283)는 감속기어로서 작용을 하게 된다. 드럼(32)은 제3기어(283)와 동일축으로 연결되어 있어 제3기어(283)가 회전할때 같이 회전을 하게 되어 드럼(32)에 와이어(26)를 감게 된다.
이때 래칫(30)은 와이어(26)가 드럼(32)에 감길 때 기어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사용자가 실수로 핸들(34)을 놓칠 경우 기어가 역회전되어 와이어(26)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적재함(10)은 제4도와 같이 받침대(36)위에 올려져 있는데 차량적재부에 장착시 적재함(10)을 앞으로 밀면 고정판(14)에 형성된 바퀴(16)에 의해 쉽게 차량 적재부로 이동되고 바퀴(16)에 장착된 브레이크(18)를 작동시키면 바퀴(16)는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이동된 적재함(10)은 제5도와 같이 고정판(14)에 형성된 고리(15)에 와이어를 묶고 차량에 형성된 차량고리(38)에 와이어를 묶어 고정시킨다.
이렇게 설치된 적재함(10)에 적재된 짐을 내릴 때 상기 서술한 것과 같이 기어(281,282,283)를 회전시키면 와이어(26)는 적재함(10)과 연결되어 있기에 기둥(20) 상부의 롤러(22)를 타고 기둥(20) 내부로 이동되어 기둥(20)하부의 롤러(23)로 안내되어 기어박스(28)로 이동되어 드럼(32)에 감기게 되고 적재함(10)의 롤러(11)는 기둥(20)내부의 롤러홈(24)을 타고 승강된다. 이때 제6도와 같이 적재함(10)은 힌지(12)를 축으로 회동하고 기둥(20)도 브래킷(21)에 설치된 힌지를 축으로 하여 적재함(10)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적재함(10)의 후판은 점차 개방되어 짐이 자동으로 적재함(10)에서 슬라이딩되어 내려오게 된다.
승강된 적재함(10)을 원위치 시키기 위해 래칫(30)을 제1기어(281)에서 제거하면 적재함(10)은 하중에 의하여 하강되는데 이때 감속기어에 의하여 적재함(10)은 적절한 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기어를 제2b도와 같이 드럼(32) 일측에 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베벨기어(42)와 웜기어(40)를 구성하였고 웜기어(40)의 축은 외부로 연결되어 그 축에 핸들(34)을 장착하였다.
핸들(34)로 웜기어(40)를 회전시켜 드럼(320에 와이어(26)를 감게 되면 상기 서술한 것과 같이 적재함(10)이 승강되어 짐을 내릴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2c도와 같이 핸들(34)이 설치된 기어의 축에서 핸들(34)을 제거하고 그 축에 모터(44)를 장착하면 상기 서술한 것과 같이 모터(44)가 기어를 회전시켜 적재함(10)을 승하강 시킬 수 있게 하였다.
본 고안은 서술한 것과 같이 적재함에 적재된 짐을 일일이 손으로 내릴 필요가 없이 기계적인 조작에 의하여 작동되므로 작업을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적재함을 착탈할 수 있어 농가나 과수원 등에서도 필요에 따라 차량적재부에 적재함을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적재함이 장착된 차량을 구입할 필요가 없게 되고 특히 가축 사육장에서 가축의 분뇨를 운반시 일반차량에 싣게 되어 차량의 훼손을 발생하였는데 본 고안의 적재함을 이용하면 차량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차량적재부에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고정판(14)과; 전면에 롤러(11)가 구비되고 후측하부는 고정판(14)의 후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12) 결합된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함(10)의 전면과 근접된 고정판(14) 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면에는 상기 적재함(10)의 롤러(11)가 삽입지지되는 롤러홈(24)을 갖고 상단에 롤러(22)가 구비되고 기둥내부의 하부에도 롤러(23)가 구비된 기둥(20)과; 상기 기둥(20)의 전방 고정판(14) 상에 기둥(20)의 롤러(22)를 거쳐 적재함(10)에 연결된 와이어(26)를 드럼(32)에 감거나 풀어주어 적재함(10)을 승하강시키는 기어박스(2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4)의 이동수단은 고정판(14)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바퀴(16)와, 상기 고정판(14)의 고정수단은 고정판(14)의 둘레에 다수개의 고리(15)가 설치되고 이 고리(15)와 차량적재부에 형성된 차량고리(38)와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28) 내부는 상기 와이어(26)가 권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32)을 회전시키는 감속기능을 갖는 기어열과, 상기 동력을 최초로 전달받는 기어(281)의 축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기어축을 회전시키는 핸들(34)과, 상기 기어열중 어느 일측기어에 기어의 회전을 제어하는 래칫(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열은 베벨기어(42)와 웜기어(40)로 구성되어 드럼(32)일측에 형성된 기어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28)의 구동수단으로 외부로 돌출된 기어의 축에 모터(44)를 장착하여 기어를 회전시켜 적재함(10)을 승하강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KR2019970018367U 1997-07-11 1997-07-11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KR2001539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367U KR200153962Y1 (ko) 1997-07-11 1997-07-11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367U KR200153962Y1 (ko) 1997-07-11 1997-07-11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083U KR19990005083U (ko) 1999-02-05
KR200153962Y1 true KR200153962Y1 (ko) 1999-08-02

Family

ID=1950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367U KR200153962Y1 (ko) 1997-07-11 1997-07-11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9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869A (ko) * 2017-09-20 2019-03-28 이광수 트럭용 적재함 덤프 장치
KR102133445B1 (ko) * 2020-01-10 2020-07-13 (주)지금강이엔지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869A (ko) * 2017-09-20 2019-03-28 이광수 트럭용 적재함 덤프 장치
KR102005630B1 (ko) * 2017-09-20 2019-07-30 이광수 트럭용 적재함 덤프 장치
KR102133445B1 (ko) * 2020-01-10 2020-07-13 (주)지금강이엔지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083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39429A (en) Tarp handler
AU687007B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goods storage
US4421188A (en) Self-propelled multiple-purpose agricultural machine with displaceable driver's cabin
US5573365A (en) Tarp loader and related method
US5607274A (en) Bale handling apparatus and process
KR200153962Y1 (ko) 착탈이 가능한 덤프형 적재장치
US6623232B2 (en) Equipment for moving cages used for holding and transporting chickens, hens, and similar
US4820110A (en) Container transport system
CN210526366U (zh) 一种集装箱运输车
US2411183A (en) Powered loading truck
KR200396854Y1 (ko)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KR100839897B1 (ko) 적재가 용이한 트레일러
NL8105629A (nl) Voertuig voor vrachtvervoer.
WO2006051228A1 (fr) Dispositif pour la pose et la depose d’element souple de couverture
KR950002220Y1 (ko) 농업용트레일러
KR100314567B1 (ko) 물건 운송차량용 적재함 승강장치
CN212709546U (zh) 一种便于卸料的转运车
CN209023041U (zh) 一种电动三轮车上使用的车厢
JP3026038B2 (ja) 生茶葉運搬用コンテナ並びにその使用方法
NL2015713B1 (en) Strap-based load securing system for bale transport.
JPH0348896Y2 (ko)
CA2275171A1 (en) Side loading transport apparatus for swathers and the like
JPH05155283A (ja) トラック等の荷台構造
KR900005761Y1 (ko) 운반차량의 적재장치
KR100320129B1 (ko)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