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8496B1 - 덤프트럭용 적재함 - Google Patents

덤프트럭용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8496B1
KR100218496B1 KR1019970005336A KR19970005336A KR100218496B1 KR 100218496 B1 KR100218496 B1 KR 100218496B1 KR 1019970005336 A KR1019970005336 A KR 1019970005336A KR 19970005336 A KR19970005336 A KR 19970005336A KR 100218496 B1 KR100218496 B1 KR 10021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tail gate
subframe
loading
d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637A (ko
Inventor
현재영
Original Assignee
현유명
주식회사학송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유명, 주식회사학송퍼시픽 filed Critical 현유명
Priority to KR1019970005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8496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Abstract

본 발명은 덤프트럭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상이 단순·미려하면서도 경량·고강도 구조를 가지며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적재물의 하역시 1회의 하역동작으로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의 잔존물 없이 완전하게 배출되는 동시에, 적재함의 승/하강에 따라 테일 게이트가 별도의 동작없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고 저중심 및 좌우 진동방지 구조가 실현되어 차량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덤프트럭용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덤프차량용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덤프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샤시프레임 위에 바닥면이 고정되고 양측날개가 전체적으로 반원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서브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의 종단면 형상과 거의 유사한 반원형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단일판과 전면을 악기 위한 반원형 프론트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상기 서브프레임 위에 탄성적으로 안착되며 후단 하측부를 선회축으로 선단부가 일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적재함 본체와, 상기 적재함 본체의 후면에 하부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테일 게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서브프레임의 양측 날개 단부는 적재함 본체가 하강할 때 다른 부분보다 우선적으로 접촉하도록 내향절곡 되어 적재함 본체와 서브프레임 사이에 에어쿠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덤프트럭용 적재함
본 발명은 덤프트럭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상이 단순·미려하면서도 경량·고강도 구조를 가지며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적재물의 하역시 1회의 하역동작으로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의 잔존물 없이 완전하게 배출되는 동시에 적재함의 승/하강에 따라 테일 게이트가 별도의 동작없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덤프트럭용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은 건설공사장이나 대규모 토지조성 공사장 등의 굴착토출물이나 골재 또는 쓰레기 등과 같이 일정한 규격을 갖고 있지 않는 화물(이하 적재물이라 한다)을 목적지로 운반하여 적재함의 전단 하부에 구비된 유압식 승강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적재물을 하역할 수 있는 건설장비의 일종이다.
이러한 덤프트럭의 적재함은 고중량의 적재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도 1(a)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수직 측면판(1)와, 수평 바닥판(2) 및 테일 게이트(3)로 구성되며, 각각의 부재들은 부재의 형상을 이루는 외각 프레임(4)과, 외각 프레임(4)을 상호 용접연결하여 지지강도를 높이기 위한 다수의 내부 프레임(5)이 외측면에 보강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적재함은 도11(c)와 같이 그의 종단면이 대략
Figure kpo00002
형상의 각형으로 이루어져서 적재함의 적재부피를 최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적재함은 양 수직 측면판(1)과 바닥판(2) 사이의 모서리부가 직각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흙이나 모래와 같이 어느 정도의 점성을 갖는 적재물(6)은 모서리부에 붙어서 하역시에 한번의 적재함 승하강 동작으로 완전하게 배출되지 않아 소위 토기뜀과 같은 불필요한 동작을 거쳐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다소 해소하기 위하여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한국 공개 실용신안 96-3439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덤프트럭의 적재함 결합구조는 도1(b)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로 대칭되며 프레임(11)에 의해 보강된 상태로 그 상단부(12)를 외측으로 접어형성하고, 하단부(17)를 외측으로 꺽어내린 한쌍의 측벽내판부재(13,14)와 또 다른 프레임(15,16)에 의해 보유하는 상태로 상기한 측벽내판부재 (13,14)의 하부 경사단면(17)에 고정형성되는 연장단(18)을 그 양단에 상향으로 꺽어 형성한 바닥내판부재(19)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덤프트럭의 적재함 결합구조는 적재함의 측벽을 외측으로 절곡성형하여 외측면의 외각 프레임으로 사용함에 의해 용접부위를 줄여서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고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바닥판과 측벽 사이에 1단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적재물의 하역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적재함 결합구조에도 여전히 한쌍의 측벽내판부재와 바닥판재부재 및 다수의 보강 프레임을 상호 조립결합하는데 많은 용접부위를 요구한다는 점 및 그 결과 차체의 중량이 고중량이라는 점에 대한 해결책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적재함은 바닥판이 도11(a)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고 있어 적재물의 하중에 따라 위에서 작용하는 힘(P)이 적재함 바닥판(2,19)에 그대로 작용하기 때문에 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같이 단위길이당 작용하는 힘은 경사각을 갖는 바닥판 또는 측면판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약하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적재함을 지지하는 구조는 도11(b)와 같이 적재물(6)에 의한 하중(P)이 바닥판(2)을 통하여 샤시 프레임(21)에 그대로 전달되어 적재물의 로딩시에 샤시 프레임(21)에 충격이 분산되지 못하여 샤시 프레임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적재함 지지구조는 도11(c)와 같이 차체의 전체적인 무게 중심이 지상과 멀고 적재함(1)의 좌우진동을 잡아줄 수 있는 특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이 안정되지 못하여 운전자의 피로가 빨리 오게 되며 장거리 운행시 피로가 누적되어 교통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며 또한 불필요한 브레이크의 작동으로 브레이크의 마모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적재함에서는 적재물을 하역할 경우 미리 테일 게이트의 록크 장치를 해제한 후에 하역작업을 개시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그만큼 힘이 들뿐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유압장치에 의해 테일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는 추가적인 설비비용의 발생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형상이 단순·미려하면서도 경량·고강도 구조를 가지며,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적재물의 하역시 1회의 하역동작으로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의 잔존물 없이 완전하게 배출될 수 있는 덤프트럭용 적재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물을 하역시 별도의 동작없이 적재함의 승하강에 따라 테일 게이트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덤프트럭용 적재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보강프레임을 제거함으로써 부품수 절감 및 생산성 증대를 도모하고, 외관이 미려하는 동시에 적재함과 서브 프레임의 이상적인 결합에 의해 저중심 및 좌우 진동방지 구조가 실현되어 차량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덤프트럭용 적재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a도 및 b도는 종래의 덤프트럭용 적재함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및 그의 종방향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을 장착한 덤프트럭의 측면도.
제3도는 2도에서 적재물을 하역하기 위하여 적재함의 전단부가 상승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용 적재함의 후면도.
제5도는 4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테일 게이트의 오토 록킹 시스템에 대한 정면 확대도.
제6a도 및 b도는 각각 5도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오토 록킹 시스템에 동작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 , a도는 적재함이 록킹 상태일때의 측면 확대도이고, b도는 테일 게이트가 개방을 시작할 때의 측면 확대도.
제7a도 및 b도는 테일 게이트 구동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a도는 테일 게이트가 클로즈 상태, b도는 오픈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종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분해도.
제10a도 내지 c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용 적재함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제11a도 내지 c도는 종래 덤프트럭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적재함 32 : 유압승강장치
33 : 캡 34 : 힌지축
35 : 샤시프레임 36 : 서브프레임
37 : 에어쿠션부 38 : 연장날개
40 : 테일 게이트 41A, 41B : 오토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
42 : 후방측면 프레임 43 : 가동록킹부재
44 : 고정록킹부재 45 : 힌지 브라켓
51 : 유압구동장치 52 :지지 브라켓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덤프차량용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덤프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샤시프레임 위에 바닥면이 고정되고 양측날개가 전체적으로 반원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서브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의 종단면 형상과 거의 유사한 반원형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단일판과 전면을 막기 위한 반원형 프론트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상기 서브프레임 위에 탄성적으로 안착되며, 후단 하측부를 선회축으로 선단부가 일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적재함 본체와, 상기 적재함 본체의 후면에 하부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테일 게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차량용 적재함을 제공한다.
상기 적재함 본체는 바닥면과 양극 수직면 사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다단절곡된 다수의 경사면을 포함하거나, 또는 바닥면과 양측 수직면 사이에 각각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함 본체가 다단절곡 구조인 경우 경사면은 6단절곡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프레임의 양측 날개 단부는 적재함 본체가 하강할 때 다른 부분 보다 우선적으로 접촉하도록 내향절곡되어 적재함 본체와 서브프레임 사이에 에어쿠션부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테일 게이트가 적재함 본체의 후면에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상측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적재함 본체의 전단부가 승하강함에 연동하여 테일 게이트의 하단부를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오토 테일 게이트 개폐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오토 테일 게이트 개폐수단은 적재함 본체의 힌지 브라켓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면을 갖는 적어도 2이상의 고정록킹부재와, 상기 고정록킹부재와 대응한 테일 게이트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록킹부재의 하향 경사면과 탄성 접촉되는 경사면을 후단면에 구비한 적어도 2이상의 가동록킹부재로 구성되어 적재물의 하역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테일 게이트는 유압구동방식으로 게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덤프트럭 적재함의 종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을 갖기 때문에 하역시 적재함 내부에 잔존물이 없이 완전하게 배출되고, 테일 게이트는 적재함의 승하강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므로 하역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원가절감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과 서브 프레임의 형상은 경사 또는 라운딩 구조를 갖고 있어 외부충격에 강하고 외관이 단순 미려하며, 다수의 외부 보강 프레임을 별도로 추가하는 것이 불필요하여 제조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경량구조에 의해 적재용량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고, 저중심의 좌우진동 방지구조에 의해 운행의 안정성과 피로도 감소를 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을 장착한 덤프트럭의 측면도, 도3은 도2에서 적재물을 하역하기 위하여 적재함의 전단부가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용 적재함의 후면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테일 게이트의 오토 록킹 시스템에 대한 정면 확대도, 도6(a) 및 (b)는 각각 도5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오토 록킹 시스템에 동작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 (a)도는 적재함이 록킹상태일때의 측면 확대도이고, (b)도는 테일 게이트가 개방을 시작할 때의 측면 확대도, 도7(a) 및 (b)는 테일 게이트 구동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소, (a)도는 테일 게이트가 클로즈 상태, (b)도는 오픈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종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분해도, 도10(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용 적재함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와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도2 내지 도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용 적재함(31)은 다단 절곡되어 종단면이 전체적으로 반구형 또는 U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도8에 도시된 바와같은 서브프레임(36) 위에 전단부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36)은 바닥판(36A)의 양측이 덤프트럭의 후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샤시 프레임(35) 위에 볼트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적재함(31)은 안정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양측 날개부위(36B)를 길이방향으로 다단절곡, 예를 들어 3단절곡시켜 반구형 적재함(31)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게 하였다. 이러한 서브프레임(36)과 적재함(31)의 결합구조는 서브프레임(36)이 적재함(31)의 밑부분을 감싸듯이 지지함으로써 접촉면이 넓어져서 효과적으로 적재물에 의한 충격을 분산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더욱이 상기 서브프레임(36)의 길이방향 양 끝단(36C)은 일정각도 만큼 적재함(31)의 프로필보다 곡률반경이 작게 형성하여, 적재함(31)이 안착될 때 적재함(31)의 양측면이 서브프레임(31)의 양끝단(36C)과 길이방향으로 일차적으로 접촉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도10(c)와 같이 적재함(31)과 서브프레임(36) 사이에 에어쿠션부(37)를 형성하여 완충성능을 높였다.
상기한 적재함(31)은 캐빈(33)의 바로 후방에 설치된 축퇴식 유압승강장치(32)에 의해 전단부가 후단부의 힌지축(34)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후단부에는 덤프트럭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와 한쌍의 연장날개(3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31)은 도9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다단절곡, 예를들어 15°씩 6단 절곡된 한쌍의 적재함 하프(31A,31B)를 제작한후 길이방향 하단부를 용접하여 일체형 판으로 구성하고, 전단부에 반원형 프론트판(31C)을 용접하여 완성된다.
이 경우 도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적재함 하프(31A,31B)로 제작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예를들어 3개의 판으로 제작한후 이를 용접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양 적재함 하프(31A,31B)의 절곡각도와 절곡단수는 상기한 타입 이외에 변형된 구조를 갖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더욱이 한쌍의 적재함 하프(31A,31B)는 다단절곡 구조 이외에 단순하게 바닥부와 양측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선형상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며, 분할 용접방식이 아닌 하나의 패널을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적재함(31)의 측면 형상은 도1 및 도7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행사변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로부터 변형된 다른 형상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적재함(31)의 후단부는 상기한 형상에 기인하여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이 후단 경사면에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은 테일 게이트(40)가 개폐 가능하게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한쌍의 오토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41A,41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오트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41A,41B)는 각각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유압 구동원을 갖지 않는 기계식 구조로서, 적재함(31)의 전단부가 상승되면 적재함(31)에 적재된 적재물(6)의 하중에 의해 테일 게이트(31)가 오픈되고 전단부가 하강하면 테일 게이트(40)의 자중에 의해 클로즈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하여 테일 게이트(40)의 상단부는 양측이 전방으로 경사진 후방 측면프레임(42)의 상측에 힌지고정되어 있고 테일 게이트(40)의 주연부는 상기 측면 프레임(42)과 접촉하게 되어 정상상태일 때 전방으로 경사를 이룬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테일 게이트(40)의 양측 하단부에는 각각 가동록킹부재(43)가 고정되어 있고 이에 대응한 적재함(31)의 힌지 브라켓(45)에는 고정록킹부재(4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록킹부재(44)는 상측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면(44A)을 갖는 직각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에 대응한 가동록킹부재(43)는 후단면의 중간이 돌기되어 돌기의 하측 경사면(43A)이 상기 고정록킹부재(44)의 경사면(44A)과 수평면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상기 경사면(44A)의 경사각(α)은 바람직하게는 40-43°로 설정되어 적재함(31)이 수평면에 대하여 10-15° 상승한 경우에 테일 게이트(40)가 오픈되도록 설정되나, 이는 테일 게이트(40)의 설치 경사각과 적재물(6)의 하중 및 적재함(31)이 수평면에 대하여 몇 도 상승한 경우에 테일 게이트(31)가 오픈되도록 설정하느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가동록킹부재(43)는 고정록킹부재(44)와 결합할 때 가동록킹부재(43)의 자중에 의해 고정록킹부재(44)를 약간 탄성적으로 입박하면서 양측 경사면(43A,44A)이 접촉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4)의 자동 개폐기능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6(a)와 같이 적재함(31)이 서브프레임(36)에 안착된 정상상태에서는 테일 게이트(40)의 하단부가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하려는 회전 모멘트(M1)가 걸려있고 테일 게이트(40)의 가동록킹부재(43)와 고정록킹부재(44) 사이에는 상호압박상태로 탄성결합되어 있어 테일 게이트가 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약하게 저지하는 상태에 있다.
이 경우 테일 게이트(40)가 적재함(31)에 적재된 적재물(6)의 전후방향 유동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하려는 회전 모멘트(M10)는 상기 테일 게이트(40)의 회전 모멘트(M1)와 고정록킹부재(44)의 저지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되어 록킹상태로 설정된다.
그후 하역 목적지에 도달하여 유압승강장치(32)의 작동에 의해 도2 및 도6(b)와 같이 힌지축(34)을 중심으로 적재함(31)의 전단부가 상승하게 되면, 적재물(6)의 하중에 따라 달라지나 적재함(31)이 약 10-15° 정도 상승한 경우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테일 게이트(4)가 오픈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적재함(31)에서는 형상이 반원형으로 되어 있어 양측면의 적재물(6)이 중간부분으로 몰리는 힘이 작용하게 되며, 또한 용접부위가 현격하게 감소되어 적재물(6)과 적재함(31) 사이의 불필요한 마찰력이 감소하므로 잔존물 없이 신속하게 하역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적재함(31)의 선단부가 다시 하강하게 되면 테일 게이트(40)는 자중에 의한 전방으로의 회전 모멘트(M1)에 의해 하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가동록킹부재(43)가 고정록킹부재(44)와 탄성결합이 이루어지면서 록킹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7(a) 및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압구동장치(51)를 사용하여 유압구동장치(51)의 작동에 따라 테일 게이트(40)의 상단과 적재함(31)의 상단 사이에 연결된 지지브라켓(52)을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 테일 게이트(40)를 오픈시키고 상기와 반대로 유압구동장치(51)를 구동하여 테일 게이트(4)를 클로즈 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31)의 바닥면과 양측면 사이가 지면에 수평인 바닥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적재물(6)의 수직하중에 따라 적재함(31)의 경사면에 작용하는 단위길이당 힘(P)은 도11(a)에 도시된 평면 구조의 바닥면을 갖는 종래구조에 비하여 크게 작아진다.
즉, 적재함(31)의 측면에 대한 수직선과 각(θ)의 각도로 힘(P)이 가해지는 경우 적재함(31)의 경사면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P1)과 경사면을 따라 전달되는 힘(P2)으로 나누어지며, 수직방향의 힘(P1)은 Pcosθ로 구해지고 경사방향의 힘(P2)은 Psinθ로 구하여진다.
따라서 경사면에 수직으로 미치는 힘은 Pcosθ로 줄어들어 그만큼 외부의 충격에 강한 구조를 이룬다.
즉, 종래구조 및 본 발명 구조에서 단위길이당 작용하는 힘은 각각 P/L과 Pcosθ/(L/Pcosθ) = Pcos2θ/L로 나타나므로, 그 결과 본 발명의 경사면 구조가 L/cos2배의 힘을 더 견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10(c)와 같이 서브프레임(30)이 한쌍의 샤시 프레임(35)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도11(c)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가 샤시 프레임(21) 위에 적재함(1)의 강도 보강용 프레임(23)이 접촉하는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는 구조이고, 서브프레임(30)의 양측날개(36B)가 적재함(31)의 양측면을 감싸고 있으므로 좌우진동을 잡아주게 되어 종래에 비하여 주행 안정성 또한 크게 안정된다. 그 결과 종래에 비하여 불필요한 브레이크 작동을 줄여 브레이크 마모율을 30-40% 가까이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적재함 좌우 및 하측의 가로 및 세로로 용접되는 보강프레임을 제거하여 하나의 플레이트로 대체함에 의해 미려하고 세련된 외관과 이에 대한 페인팅 처리로 일반인들의 덤프트럭에 대한 혐오감을 상당히 줄일 수 있게 되었고, 또한 적재함 제작에 소요되는 부품의 수도 종래에 비하여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게 되어 생산성 향상과 제조원가의 절감을 도모함과 동시에 적재함의 중량이 경량구조로 되어 연료비의 절감과 경량화된 적재함의 중량만큼 적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덤프트럭 적재함의 종단면이 대략 반구형상을 갖기 때문에 하역시 적재함 내부에 잔존물이 없이 완전하게 배출되고, 테일 게이트는 적재함의 승하강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므로 하역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원가절감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과 서브 프레임의 형상은 경사 또는 라운딩 구조를 갖고 있어 외부충격에 강하고 외관이 단순 미려하며, 다수의 외부 보강 프레임을 별도로 추가하는 것이 불필요하여 제조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경량구조에 의해 적재용량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고, 저중심의 좌우진동 방지구조에 의해 운행의 안정성과 피로도를 감수를 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예는 덤프트럭에 본 발명이 적용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동일한 방식으로 덤프 트레일러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Claims (4)

  1. 덤프차량용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덤프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샤시프레임 위에 바닥면이 고정되고 양측날개가 전체적으로 반원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서브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의 종단면 형상과 거의 유사한 반원형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단일판과 전면을 막기 위한 반원형 프론트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상기 서브프레임위에 탄성적으로 안착되며, 후단 하측부를 선회축으로 선단부가 일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적재함 본체와, 상기 적재함 본체의 후면에 하부가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테일 게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서브프레임의 양측 날개 단부는 적재함 본체가 하강할 때 다른 부분보다 우선적으로 접촉하도록 내향절곡되어 적재함 본체와 서브프레임 사이에 에어쿠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차량용 적재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본체는 바닥면과 양측 수직면 사이에 각각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차량용 적재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 게이트는 정상상태일 때 적재함 본체의 후면에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상측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고, 하측단이 자중에 의해 탄성적으로 고정되어, 적재함 본체의 전단부가 승하강함에 연동하여 테일 게이트의 하단부를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오토 테일 게이트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차량용 적재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테일 게이트 개폐수단은 적재함 본체의 힌지 브라켓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면을 갖는 적어도 2이상의 고정록킹부재와, 상기 고정록킹부재와 대응한 테일 게이트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록킹부재의 하향 경사면과 탄성 접촉되는 경사면을 후단면에 구비한 적어도 2이상의 가동록킹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차량용 적재함.
KR1019970005336A 1997-02-21 1997-02-21 덤프트럭용 적재함 KR100218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336A KR100218496B1 (ko) 1997-02-21 1997-02-21 덤프트럭용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336A KR100218496B1 (ko) 1997-02-21 1997-02-21 덤프트럭용 적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637A KR19980068637A (ko) 1998-10-26
KR100218496B1 true KR100218496B1 (ko) 1999-09-01

Family

ID=1949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336A KR100218496B1 (ko) 1997-02-21 1997-02-21 덤프트럭용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8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445B1 (ko) 2020-01-10 2020-07-13 (주)지금강이엔지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44B1 (ko) * 2007-01-24 2008-07-01 김정식 폐사 가축 위생운반용 적재함
KR101326485B1 (ko) * 2012-08-07 2013-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445B1 (ko) 2020-01-10 2020-07-13 (주)지금강이엔지 중소형 화물트럭용 적재함의 기계식 덤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637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59749A1 (zh) 一种铁路货车及其车体总成
US20210101645A1 (en) Asymmetrical tailgate
KR100218496B1 (ko) 덤프트럭용 적재함
KR102570847B1 (ko)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
US2250262A (en) Side discharge hopper body
CN108705964A (zh) 一种平移式侧翻自卸货车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JP6781088B2 (ja) 荷箱及びそれを備えたダンプトラック
CN110606127B (zh) 车辆机舱盖及车辆
CN209112020U (zh) 一种平移式侧翻自卸货车
CN206766879U (zh) 一种设有进料口开盖装置的吊装式垃圾压缩车
CN212098588U (zh) 侧翻式自卸车
CN101612909B (zh) 自卸车厢
JP5329885B2 (ja) テールゲートのロック装置及びテールゲート構造
CN210616942U (zh) 一种颚式自卸料铲斗
CN214450534U (zh) 一种自卸车用箱体结构及自卸车
CN114655262B (zh) 车厢组成及含该车厢组成的铁路自翻车
CN215154181U (zh) 自卸车箱体
CN217625282U (zh) 散货集装箱
CN219905497U (zh) 边开门可升降底板式集装箱
CN207551077U (zh) 一种设有弧形后门的吊装式垃圾压缩车
CN217672327U (zh) 一种侧翻式自卸货运箱
CN209177347U (zh) 车厢可卸载式垃圾车及其车架连接支座
JP7477233B1 (ja) ダンプ車両の荷箱の後部扉開閉装置
CN216833662U (zh) 一种开闭机构支撑连接装置及有盖漏斗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