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145B1 -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 Google Patents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145B1
KR102314145B1 KR1020210087362A KR20210087362A KR102314145B1 KR 102314145 B1 KR102314145 B1 KR 102314145B1 KR 1020210087362 A KR1020210087362 A KR 1020210087362A KR 20210087362 A KR20210087362 A KR 20210087362A KR 102314145 B1 KR102314145 B1 KR 102314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loading box
shuttle
floor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진
강성훈
로트만
Original Assignee
임풍석
홍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풍석, 홍석민 filed Critical 임풍석
Priority to KR1020210087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145B1/ko
Priority to CN202210767822.7A priority patent/CN115556651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charge and discharge with pushe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6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the chains or belts being fixed to a rigid pusher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forming the main load-transporting element o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는 일정 길이로 차량의 적재함 바닥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 상기 적재함 바닥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체인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양측으로 상기 체인이 링크되고 상기 체인을 따라 상기 바닥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또는 저면에서 상면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셔틀 바닥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CHAIN-BASED VEHICLE LOADER FLOOR SHUTTLE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인을 기반으로 적재함 바닥에서 전,후진으로 이동되어 적재물이 자동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크 화물(bulk cargo)이란 곡류, 목재, 광석 등과 같이 포장하지 않고 입자나 분말상태 그대로 적재함에 싣는 화물(dry bulk cargo) 또는 석유처럼 액체 상태로 용기에 넣지 않은 채 선박이나 차량의 탱크에 싣는 화물(wet bulk cargo)을 뜻한다.
이 중에서 곡물 또는 곡물의 표피, 톱밥 등과 같은 건조 벌크 화물(dey bulk cargo)을 차량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덤프트럭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은 차량 후방에 설치된 적재함을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리프트장치를 이용해 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여 자동으로 개방되는 테일게이트를 통해서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을 쏟아내어 배출하는 운반용 화물 차량으로서 주로 건설 현장용 토사나 자갈이나 바위 등의 운반에 사용된다.
이러한 덤프 트럭의 양하방식은 적재함이 리프트장치에 의하여 소정 각도로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적재된 일부 적재물이 위치에너지의 변화로 조금씩 쏟아지게 되고, 적재물이 쌓여 질 때 점점 전진을 하게 되면서 적재함이 최대치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적재물을 완전히 쏟아내면 배출작업을 완료하게 되는데, 적재함이 최대각도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쏠리게 되는 동시에 쏟아지는 적재물에 의해 가중되어 덤프트럭이 전복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되었다.
특히, 덤프트럭은 매우 고중량의 특수차량으로서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재물의 배출작업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 들어 전자상거래 등의 발달로 택배물건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택배물건을 운반하도록 적재함이 구비된 화물 운송용 탑차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화물 운송용 차량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화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일일이 작업자가 반복해서 수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지며 안전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4337호(2016.01.05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체인을 기반으로 적재함 바닥에서 전,후진으로 이동되어 적재물이 자동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체인에 셔틀 바닥판을 연결하고 체인 회전을 통해 셔틀 바닥판을 끌어당기는 간단한 메커니즘으로 적재물의 양하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재함의 내부에 셔틀 바닥판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격벽판을 구비하여 적재함의 내부에 잔량없이 적재물이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는 일정 길이로 차량의 적재함 바닥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 상기 적재함 바닥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체인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양측으로 상기 체인이 링크되고 상기 체인을 따라 상기 바닥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또는 저면에서 상면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셔틀 바닥판을 포함한다.
상기 체인은 복수개가 상기 적재함 바닥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인은 상기 구동부에서 제공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링크된 상기 셔틀 바닥판을 회전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는 상기 적재함 바닥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의 처짐을 방지하고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적재함의 배출구에 대해 반대측 바닥에 설치되고, 모터와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체인의 회전을 작동시키는 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는 상기 적재함의 배출구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피동축으로, 상기 셔틀 바닥판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는 상기 적재함의 적재공간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체인의 일측에 링크되어 상기 체인의 회전에 의한 당김력이 작용하여 상기 적재공간을 전후진 이동하는 격벽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셔틀 바닥판은 일측이 상기 격벽판의 하단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는 상기 체인의 타측과 상기 셔틀 바닥판의 타측 사이를 링크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용접에 의해 상기 체인이 고정 결합되고 볼트 체결에 의해 상기 셔틀 바닥판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는 체인을 기반으로 적재함 바닥에서 전,후진으로 이동되어 적재물이 자동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는 체인에 셔틀 바닥판을 연결하고 체인 회전을 통해 셔틀 바닥판을 끌어당기는 간단한 메커니즘으로 적재물의 양하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는 적재함의 내부에 셔틀 바닥판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격벽판을 구비하여 적재함의 내부에 잔량없이 적재물이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가 적용된 차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차량 적재함의 배출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가 적용된 차량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차량 적재함의 배출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은 전방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석이 마련되고 후방에 적재물을 적재하도록 내측에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100)으로 이루어진다.
적재함(100)의 배출구에는 상하로 절첩되어 개폐되는 테일 게이트(110)가 형성되고, 적재함(100)의 바닥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기반의 셔틀 구조(200)가 설치될 수 있다.
테일 게이트(110)는 적재함(100)의 적재공간을 밀폐하고 절첩에 의하여 배출구를 개방하여 적재물을 배출하는 도어기능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110)는 적재함(100)의 배출구 상단에 작동축에 의하여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절첩될 수 있으며, 작동축에는 유압장치(120)를 설치하여 유압장치(120)에서 발생하는 유압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작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일 게이트(110)의 구성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다.
셔틀(Suttle)은 두 지점을 오가는 시스템으로, 여기서는 적재함(100) 내측에 체인에 의해 전,후진으로 이동되어 적재된 적재물을 배출구 방향으로 밀어내어 배출시키고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200)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210), 구동부(230), 셔틀 바닥판(250), 격벽판(27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인(210)은 일정 길이로 적재함(100)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바닥면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인(210)은 2개의 체인이 적재함(100)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체인 갯수는 바닥 면적, 적재물의 종류 혹은 적재하중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적재함(100)의 바닥 저면에는 체인(210)의 처짐을 방지하고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20)가 바닥 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230)는 적재함(100) 바닥면의 일측에 위치하고 체인(21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230)는 적재함(100)의 배출구에 대해 반대측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230)는 모터(231)와 모터(231)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의해 체인(210)의 회전을 작동시키는 구동축(2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터(231)는 유압식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축(233)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동 모터이면 된다. 구동축(233)은 모터(231)가 구동되는 동안 모터(231)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축회전하여 체인(210)을 회전 이동시킨다.
셔틀 바닥판(250)은 양측으로 체인(210)에 링크되어 체인(210)을 따라 이동된다. 셔틀 바닥판(250)은 체인(210)의 회전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동하여 적재물을 적재함(100)의 배출구로 밀어줄 수 있다. 셔틀 바닥판(250)은 적재함(100)의 바닥에 대응하는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 판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셔틀 바닥판(25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체인(210)을 따라 회전 이동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셔틀 바닥판(250)의 회전 이동을 위해 적재함(100)의 배출구 하부에는 롤러부재(260)가 설치될 수 있다.
롤러부재(260)는 한쌍의 롤러로 구성되고 롤러 회전에 따라 한쌍의 롤러 사이를 셔틀 바닥판(250)이 통과하게 된다. 롤러부재(260)는 구동부(230)의 모터(231)에 의해 축회전하는 구동축(233)의 피동축으로, 구동축(233)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셔틀 바닥판(250)의 일측에는 체인(210)의 일측과 함께 격벽판(270)이 고정 결합되고 타측에는 링크부재(280)를 통해 체인(210)의 타측이 결합된다. 셔틀 바닥판(250)의 일측 단부가 격벽판(270)의 하단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격벽판(270)은 적재함(100)의 적재공간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격벽을 형성한다. 격벽판(270)은 체인(210)과 연결되어 체인(210)의 회전을 따라 적재함(100)의 적재공간을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한다. 격벽판(270)은 적재함(100)의 배출구를 향하는 전면에 대해 후면에 체인(210)의 일단이 브라켓(271)을 통해 고정되게 결합되어 체인(210)의 회전에 의한 당김력이 격벽판(270)에 작용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인(210)의 일단은 셔틀 바닥판(250) 및 격벽판(27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체인(210)의 일단은 셔틀 바닥판(250)의 일측 또는 격벽판(270)과 일체로 결합되고 셔틀 바닥판(250)과 격벽판(270)을 고정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셔틀 바닥판(250)과 격벽판(270)은 체인(210)의 회전에 의해 당김력이 작용하여 적재함(100)의 적재공간을 전후진 이동할 수 있다. 격벽판(270)은 상부 수직면과 하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적재공간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하부 경사면을 통해 구동부(230)의 설치를 위한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링크부재(280)는 금속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체인(210)의 타단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고 셔틀 바닥판(250)의 타측이 볼트 등의 체결부재(281)를 통해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적재함(100)의 바닥 저면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부재(290)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290)는 적재함(100)의 바닥 상면에 위치하는 셔플 바닥판(250)이 바닥 저면으로 회전하여 이동할 때 정지 위치를 결정한다. 스토퍼부재(290)는 적재함(100) 내측의 가장 안쪽 바닥에 설치된 구동부(230)에 인접한 바닥 저면에 형성되어 체인(210)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셔플 바닥판(250)이 적재함(100)의 바닥 저면으로 이동되어 스토퍼부재(290)에 접촉되면 모터(213)의 구동이 정지되어 체인(210)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전기적 연결을 통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적재함(100)의 테일 게이트(110)를 절첩시켜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고, 구동부(230)의 모터(231)를 구동시켜 체인(210)의 회전에 의한 적재함(100)의 바닥이 셔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적재물의 배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적재함(100)은 상단이 개구되어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로 적재물을 적재공간에 상차할 수 있고 적재함(100)의 개구된 상단을 덮개 등으로 덮어 운송할 수 있다.
적재함(100)에 적재된 적재물을 배출하기 위한 양하 작업시에는, 구동부(230)를 통해 체인(21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체인(210)의 양측에는 셔틀 바닥판(250)이 링크되어 체인(210)을 따라 셔틀 바닥판(250)이 이동된다. 체인(210)은 적재함(100) 바닥에서 셔틀 바닥판(250)에 적재된 적재물이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송되도록 셔틀 바닥판(250)을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구동부(230)는 모터(231)의 동력을 구동축(233)을 통해 체인(210)에 전달하여 체인(210)을 회전시켜 체인(210)에 링크된 셔틀 바닥판(250)을 직선 및 회전 구동시켜 상부에 놓여있는 적재물을 배출구를 향해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모터(23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축(233)에 의해 체인(210)이 회전하고 체인(210)에 링크된 셔틀 바닥판(250)이 적재함(100)의 배출구 하부에 위치한 롤러부재(260)를 따라 회전하면 적재함(100)의 바닥 저면으로 이동된다. 즉, 셔틀 바닥판(250)은 적재함(100)의 바닥 상면에 위치하여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체인(210)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링크부재(280)를 통해 체인(210)에 링크된 셔틀 바닥판(250)에 당김력이 작용하여 셔틀 바닥판(250)이 배출구를 향해 전진 이동하게 된다. 셔틀 바닥판(250)이 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격벽판(270)이 함께 이동하여 셔틀 바닥판(250)의 상부에 적재된 적재물이 후방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셔틀 바닥판(250)은 배출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롤러부재(260)를 의해 적재함(100)의 바닥 저면으로 이동이 가이드되고 적재물을 배출구로 자유 낙하시킨다. 링크부재(280)는 체인(210)에 의해 적재함(100)의 바닥 저면을 따라 배출구의 반대측으로 끌려가게 되고 스토퍼(290)에 설치된 위치에 도달하면 모터(231)가 정지하여 멈추게 된다.
적재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구동부(230)를 통해 체인(210)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셔틀 바닥판(250)의 제2측에 당김력을 작용하여 셔틀 바닥팍(250)이 적재함(100)의 내측을 향해 후진 이동하게 된다. 셔틀 바닥판(250)이 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격벽판(270)이 함께 이동하여 적재함(100)의 바닥 상면으로 이동시켜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배출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적재함(100)의 적재공간에 토사가 적재된 경우 구동부(230)에 의해 체인(210)을 회전시켜 적재함(100)의 바닥에 설치된 셔틀 바닥판(250)을 배출구까지 끌어당겨 토사가 배출구를 통해 자유 낙하되도록 한다. 이때, 셔틀 바닥판(250)의 일측에 수직으로 장착된 격벽판(270)에 의해 토사가 적재함(100)의 안쪽으로 넘어가지 않게 되고 잔량없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차량 적재함
110: 테일 게이트 120: 유압장치
200: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210: 적어도 하나의 체인 220: 가이드부재
230: 구동부
231: 모터 233: 구동축
250: 셔틀 바닥판 260: 롤러부재
270: 격벽판 271: 브라켓부재
280: 링크부재 281: 체결부재
290: 스토퍼부재

Claims (8)

  1. 일정 길이로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면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
    상기 적재함 바닥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의 처짐을 방지하고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적재함 바닥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체인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양측으로 상기 체인이 링크되고 상기 체인을 따라 상기 바닥면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또는 저면에서 상면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셔틀 바닥판;
    상기 적재함의 적재공간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체인의 일측에 링크되어 상기 체인의 회전에 의한 당김력이 작용하여 상기 적재공간을 전후진 이동하는 격벽판; 및
    상기 바닥면의 저면에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셔틀 바닥판이 상기 바닥면의 저면으로 회전하여 이동할 때 정지 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적재함의 배출구에 대해 반대측 바닥에 설치되고 모터와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체인의 회전을 작동시키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셔틀 바닥판이 상기 스토퍼부재에 접촉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어 상기 체인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셔틀 바닥판은
    상기 바닥면에 대응하는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 판부재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격벽판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링크부재를 통해 상기 체인의 타측과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복수개가 상기 적재함 바닥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상기 구동부에서 제공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링크된 상기 셔틀 바닥판을 회전방향으로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배출구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피동축으로, 상기 셔틀 바닥판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용접에 의해 상기 체인이 고정 결합되고 볼트 체결에 의해 상기 셔틀 바닥판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KR1020210087362A 2021-07-02 2021-07-02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KR102314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362A KR102314145B1 (ko) 2021-07-02 2021-07-02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CN202210767822.7A CN115556651A (zh) 2021-07-02 2022-07-01 基于链条的车辆装载机底板梭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362A KR102314145B1 (ko) 2021-07-02 2021-07-02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145B1 true KR102314145B1 (ko) 2021-10-19

Family

ID=7822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362A KR102314145B1 (ko) 2021-07-02 2021-07-02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4145B1 (ko)
CN (1) CN11555665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602Y1 (ko) * 1999-12-14 2000-05-01 주식회사한빛특장 이동식 적재함 바닥
KR101584337B1 (ko) 2014-07-16 2016-01-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602Y1 (ko) * 1999-12-14 2000-05-01 주식회사한빛특장 이동식 적재함 바닥
KR101584337B1 (ko) 2014-07-16 2016-01-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56651A (zh)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9349A (en) Roll-off hoist
KR102314132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CN104081151B (zh) 用于处理和运输爆炸危险物品的防爆室
US3212657A (en) Bulk transporting vehicles
US6761414B1 (en) Top hinged gravity, floating and power self-opening gate for dump body
KR102314145B1 (ko)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KR200486557Y1 (ko)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CN207697595U (zh) 一种车载伸缩传送带自动卸料设备
KR102314141B1 (ko) 차량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 장치
CN107650761A (zh) 一种车载伸缩传送带自动卸料设备
KR102502346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US3240370A (en) Vehicle haulage body and load ejector mechanism
US5431481A (en) Side dumping trailer
WO2012112058A2 (en) Container loader
US2019451A (en)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truck
KR102195801B1 (ko) 탑재형 농산물 덤프 운반대
KR101045466B1 (ko)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KR102502348B1 (ko) 차량 적재함의 적재물 이송 바닥 구조
CN105269684A (zh) 前进后出上料控制仓
KR102077338B1 (ko) 적재물의 배출 작업에 의한 전복사고를 방지한 덤프트럭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KR101977766B1 (ko) 진개덤프 및 덤프트럭용 적재함 자동잠금장치
CN205086185U (zh) 前进后出上料控制仓
US3338623A (en) Power operated cover means for trash hauling vehicle
CN217804494U (zh) 货箱尾板装置、自卸车货箱和自卸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