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557Y1 -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557Y1
KR200486557Y1 KR2020180001518U KR20180001518U KR200486557Y1 KR 200486557 Y1 KR200486557 Y1 KR 200486557Y1 KR 2020180001518 U KR2020180001518 U KR 2020180001518U KR 20180001518 U KR20180001518 U KR 20180001518U KR 200486557 Y1 KR200486557 Y1 KR 200486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ading box
chain
dump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윤한
Original Assignee
윤윤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윤한 filed Critical 윤윤한
Priority to KR2020180001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5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5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work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어도어를 적재함의 상방으로 회전 구동시켜 적재물이 적재함으로부터 배출되는 경우 리어도어와 적재물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리어도어의 손상을 방지하고, 덤프트럭의 배출작업 안정성을 확보하며, 적재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덤프트럭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이 개방되며, 후단 좌우 양측 상부에 한 쌍의 회전브라켓이 각각 돌출 형성된 적재함과, 한 쌍의 회전힌지가 상기 회전브라켓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힌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개폐하는 리어도어와, 상기 덤프트럭에 설치된 덤프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적재함의 전방을 승강시키는 덤프유압실린더와, 상기 리어도어가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폐쇄하도록 락킹하고, 상기 덤프유압실린더가 상기 적재함의 전방을 승강시키는 경우 상기 리어도어가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개방시키도록 락킹이 해제되는 도어락킹부와, 상기 덤프유압라인으로부터 도어유압라인을 통해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받고, 상기 도어락킹부가 해제된 경우 상기 리어도어가 상기 적재함의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완전 개방시키도록 상기 리어도어를 회전 구동시키는 도어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DOOR APPARATUS FOR DUMP TRUCK}
본 고안은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에 적재된 모래 또는 자갈, 특히 크기가 큰 암석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적재물을 배출하는 경우 리어도어를 적재함의 상방으로 회전시켜 적재함의 후방을 완전 개방함으로써 리어도어가 배출되는 적재물과 접촉하여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하고, 덤프트럭의 배출작업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DT)은 토사 또는 각종 골재를 적재하여 운송하기 위한 차량으로써, 특히 건설현장에서 형성되는 토사 및 건설자재를 운반하기 위한 필수적인 차량 중 하나이다.
상기 덤프트럭(DT)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덤프트럭(DT)의 상부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을 배출하도록 후방이 개방되며, 후단 좌우 양측 상부에 한 쌍의 회전브라켓이 각각 돌출 형성된 적재함(10)과, 판상으로 좌우 상단에 한 쌍의 회전힌지가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브라켓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힌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재함(10)의 후방을 개폐하는 리어도어(20)와, 상기 덤프트럭(DT)에 설치된 덤프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적재함(10)의 후방으로 상기 적재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적재함(10)의 전방을 승강시키는 덤프유압실린더(30)와, 상기 적재함(10)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어도어(20)가 상기 적재함(10)의 후방을 폐쇄하도록 락킹하고, 상기 덤프유압실린더(30)가 상기 적재함(10)의 전방을 승강시키는 경우 상기 리어도어(20)가 상기 적재함(10)의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함(10)의 후방을 개방시키도록 락킹이 해제되는 도어락킹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덤프유압실린더(30)가 적재함(10)을 승강시켜 적재함(10)이 덤프트럭(DT)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위치함으로써, 적재물이 배출되게 된다. 이때, 덤프트럭(DT)의 상세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을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덤프트럭(DT)의 운전석에 구비된 덤프유압실린더(30)를 작동시키게 되면 덤프유압라인으로부터 덤프유압실린더(30)에 유압이 공급되어 적재함(10)의 전방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때, 적재함(10)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덤프유압실린더(30)가 작동하게 된다.
계속하여, 적재함(10)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면 도어락킹부(40)가 해제되어 리어도어(20)가 자중에 의해 회전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적재함(10)은 경사지게 기울어지고, 리어도어(20)는 자중에 의해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적재함(10)의 후방이 리어도어(20)가 회전 구동한 반경과 동일한 크기로 개방되게 된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덤프유압실린더(30)를 계속하여 작동시키게 되면 적재함(10)이 기울어지게 됨과 동시에 적재물이 적재함(10)으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이때, 적재함(10)의 기울어짐에 따라 리어도어(20) 또한 자중에 의해 회전 구동하게 되어 적재함(10)의 후방을 개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적재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덤프트럭(DT)이 전방으로 천천히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적재물의 배출작업이 완료되면 덤프유압실린더(30)가 복귀하여 적재함(10)의 전방이 서서히 하강하게 되고, 리어도어(20) 또한 적재함(10)의 하강에 따라 적재함(10)의 후방을 서서히 폐쇄시키게 된다. 이후, 리어도어(20)가 적재함(10)의 후방을 완전히 폐쇄하게 되면 도어락킹부(40)가 리어도어(20)를 락킹하게 된다.
여기서, 리어도어(20)가 적재함(10)의 후방을 개방하는 경우 적재함(10)의 회전 움직임에 따라 리어도어(20)가 회전힌지를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자유회전하여 상기 적재함(10)의 후방을 개방함으로 적재함(10)이 완전히 승강되어도 리어도어(20)가 적재함(10)의 후방에 소정의 각도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건설현상에서 형성되는 골재와 같은 덩어리진 적재물을 배출하는 경우 적재함(10)의 경사를 따라 적재물이 적재함(10)의 후방으로 쏟아지게 되는데 이때,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빠른 속도로 적재함(1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적재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적재함(10)의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도어(20)의 전면과 접촉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적재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리어도어(20)의 전면과 접촉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건축 골재와 같은 하중이 큰 적재물이 리어도어(20)와 접촉하게 되면 리어도어(20)가 회전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는 덤프트럭(DT)의 무게중심이 순간적으로 덤프트럭(DT)의 적재함(10)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덤프트럭(DT)이 기울어지거나 또는 전복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적재물이 계속하여 리어도어(20)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회전힌지가 손상되어 리어도어(2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되거나 또는 리어도어(20)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리어도어를 적재함의 상방으로 회전 구동시킴과 동시에 적재함의 후방을 완전 개방하여 적재물이 적재함으로부터 배출되는 경우 리어도어와 적재물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리어도어의 손상을 방지하고, 덤프트럭의 배출작업 안정성을 확보하며, 적재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는, 덤프트럭의 상부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을 배출하도록 후방이 개방되며, 후단 좌우 양측 상부에 한 쌍의 회전브라켓이 각각 돌출 형성된 적재함과, 판상으로 좌우 상단에 한 쌍의 회전힌지가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브라켓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힌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개폐하는 리어도어와, 상기 덤프트럭에 설치된 덤프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상기 적재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적재함의 전방을 승강시키는 덤프유압실린더와, 상기 적재함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어도어가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폐쇄하도록 락킹하고, 상기 덤프유압실린더가 상기 적재함의 전방을 승강시키는 경우 상기 리어도어가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개방시키도록 락킹이 해제되는 도어락킹부와, 상기 덤프유압라인으로부터 도어유압라인을 통해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받고, 상기 도어락킹부가 해제된 경우 상기 리어도어가 상기 적재함의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완전 개방시키도록 상기 리어도어를 회전 구동시키는 도어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적재함은, 후단 하부 좌측면에 좌측체인고정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어도어는, 좌측 후면에 갈고리 형상의 좌측체인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회전부는, 일단이 상기 좌측체인고정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좌측체인걸림부재에 걸림 고정되는 좌측도어체인과, 상기 적재함의 회전브라켓 중 좌측 회전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좌측도어체인을 가이드하는 좌측체인지지부재와, 상기 적재함의 후단 좌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락킹부가 해제된 경우 상기 도어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좌측피스톤로드가 상기 적재함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좌측도어체인을 상기 적재함의 하방으로 푸시하면서 상기 리어도어를 회전 구동시키는 좌측도어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도어유압실린더는, 상기 적재함의 후단 좌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고, 상기 도어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좌측피스톤로드를 작동시키고, 상기 좌측피스톤로드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좌측피스톤로드가 상기 좌측도어유압실린더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좌측도어체인을 압박 누름하여 상기 좌측도어유압실린더의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좌측체인누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도어유압실린더 및 좌측도어체인을 커버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후단 좌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유압라인, 좌측도어체인 및 좌측도어유압실린더 각각을 구획하여 각각을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도어유압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은, 후단 하부 우측면에 우측체인고정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어도어는, 우측 후면에 갈고리 형상의 우측체인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회전부는, 일단이 상기 우측체인고정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우측체인걸림부재에 걸림 고정되는 우측도어체인과, 상기 적재함의 회전브라켓 중 우측 회전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우측도어체인을 가이드하는 우측체인지지부재와, 상기 적재함의 후단 우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락킹부가 해제된 경우 상기 도어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우측피스톤로드가 상기 적재함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우측도어체인을 상기 적재함의 하방으로 푸시하면서 상기 리어도어를 회전 구동시키는 우측도어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측도어유압실린더는, 상기 적재함의 후단 우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고, 상기 도어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우측피스톤로드를 작동시키고, 상기 우측피스톤로드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우측피스톤로드가 상기 우측도어유압실린더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우측도어체인을 압박 누름하여 상기 우측도어유압실린더의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우측체인누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상기 적재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덤프유압실린더 및 도어회전부 각각에 유압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덤프유압라인 및 도어유압라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덤프유압실린더가 상기 적재함의 전방을 승강시키고, 상기 도어락킹부가 해제되어 상기 적재함의 후방이 개방된 경우 상기 덤프유압라인으로부터 유압이 상기 도어회전부에 공급되어 상기 리어도어가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완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어락킹부가 락킹되어 상기 적재함의 후방이 폐쇄된 경우 상기 덤프유압라인으로부터 상기 도어회전부에 유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는, 도어회전부를 통하여 적재물을 배출하는 경우 리어도어를 적재함의 상방으로 회전 구동시켜 적재함의 후방을 완전 개방함으로써 배출되는 적재물과 리어도어가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리어도어의 손상을 줄이고, 리어도어의 자유회전을 방지하여 덤프트럭이 배출작업시 덤프트럭의 무게중심 이동을 방지하여 덤핑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적재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유압커버를 통하여 좌측도어체인이 좌측도어유압실린더와 접촉하여 좌측도어유압실린더를 손상시키는 현상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로부터 도어회전부를 보호하여 도어회전부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외부환경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덤프유압라인 및 도어유어유압라인 각각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통하여 도어락킹부재 및 도어회전부 각각의 손상을 방지하고, 도어회전부에 형성되는 부하를 감소시킴으로 도어회전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적재함이 설치된 덤프트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 중 덤프유압실린더가 적재함의 전방을 승강시켜 도어락킹부재가 해제되고, 리어도어가 자중에 의해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 중 덤프유압실린더가 적재함을 완전 승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 중 덤프유압실린더가 적재함의 전방을 승강시켜 도어락킹부재가 해제되고, 리어도어가 자중에 의해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 중 도어락킹부재가 해제된 경우 도어회전부가 작동하여 리어도어를 적재함의 상방으로 회전시키고, 적재함의 후방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 중 리어도어가 적재함의 상방으로 회전한 후 덤프유압실린더가 작동하여 적재함을 완전히 승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실시예 중 적재함의 좌측면에 설치된 도어회전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 중 좌측피스톤로드의 작동에 따른 리어도어의 회전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4의 실시예 중 덤프유압라인, 도어유압라인 및 제어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4의 실시예를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 중 적재함의 우측면에 설치된 도어회전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 중 도어유압커버가 설치된 도어회전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 중 도어유압커버의 내부에 좌측유압실린더, 좌측도어체인 및 도어유압라인 각각이 개별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투상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실시예를 상방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17 및 도 18은 도 13의 실시예에서 도어유압커버가 설치된 도어회전부의 작동에 따른 리어도어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에서 도어락킹부재의 작동상태에 따른 덤프유압라인 및 도어유압라인 각각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00), 리어도어(200), 덤프유압실린더(300), 도어락킹부(400), 도어회전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적재함(100)은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덤프트럭(DT)의 상부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을 배출하도록 후방이 개방되며, 후단 좌우 양측 상부에 한 쌍의 회전브라켓(110)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적재함(100)은 상방이 개구되어 적재물이 적재된다. 즉, 적재함(100)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덤프트럭(DT)에 설치된 적재함(100)과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며, 어떠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더욱이, 적재함(100)의 내측 하면 양단이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적재물을 배출하는 경우 적재물 중 일부가 적재함(100)으로부터 배출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적재함(100)의 내측 하면 양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 적재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리어도어(200)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좌우 상단에 한 쌍의 회전힌지(210)가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브라켓(110)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힌지(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재함(100)의 후방을 개폐하게 된다. 즉, 리어도어(200)는 적재함(100)의 상방에 설치된 회전브라켓(110)을 회전 중심으로 적재함(100)의 상방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도어락킹부재(400)가 락킹되는 락킹고정부재(도면부호 미도시)가 리어도어(200)의 하단 좌우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고,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덤프트럭(DT)에 설치된 리어도어(20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다만 적재함(100)의 후방을 개폐 가능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덤프유압실린더(30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덤프트럭(DT)에 설치된 덤프유압라인(DL)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적재함(100)의 후방으로 상기 적재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적재함(100)의 전방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때, 덤프유압실린더(300)는 덤프트럭(DT)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덤프유압라인(DL)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덤프피스톤로드(도면부호 미도시)가 상기 덤프유압실린더(3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적재함(100)의 하면을 푸시함으로써 상기 적재함(100)을 승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덤프유압실린더(300)는 일단이 덤프트럭(DT)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덤프피스톤로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적재함(100)의 승강에 따라 덤프유압실리던(300)의 타단 즉, 덤프피스톤로드가 적재함(100)의 하면을 푸시 하도록 덤프유압실린더(300)의 일단이 회전함으로써 적재함(100)이 덤프트럭(DT)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게 되어 적재물이 적재함(100)의 경사를 따라 적재함(100)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적재함(100)이 승강하여 적재물이 자중에 의해 배출되는 경우 적재함(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도어(200)와 접촉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리어도어(200)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또는 하중이 큰 적재물이 자중에 의해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리어도어(200)와 접촉하게 되면 회전힌지(210)에 의해 자유회전하는 리어도어(200)가 적재함(100)의 상방으로 순간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덤프트럭(DT)의 무게중심이 순간적으로 덤프트럭(DT)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적재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적재함(100)과 리어도어(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적재물이 개재되어 덤프트럭(DT)의 무게 중심을 덤프트럭(DT)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됨으로 덤프트럭(DT)의 전방이 상승함과 동시에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도어회전부(500)를 통하여 리어도어(200)를 적재함(100)의 상방으로 완전 회전시킨 후 적재물을 배출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어락킹부재(400)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어도어(200)가 상기 적재함(100)의 후방을 폐쇄하도록 락킹하고, 상기 덤프유압실린더(300)가 상기 적재함(100)의 전방을 승강시키는 경우 상기 리어도어(200)가 상기 적재함(100)의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함(100)의 후방을 개방시키도록 락킹이 해제되게 된다.
이때, 도어락킹부재(400)는 종래 덤프트럭(DT)에 설치되는 도어락킹부재(400)와 동일하며, 적재함(100)에 적재물이 적재된 경우 리어도어(200)가 적재물에 의해 적재함(100)의 후방을 개방하지 않도록 리어도러(200)의 하단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어락킹부재(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덤프유압장치(300)가 작동하여 적재함(100)의 전방이 상승하게 되면 리어도어(200)의 락킹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도어락킹부재(400)가 해제되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덤프유압장치(300)가 적재함(100)의 전방을 상승시킨 후 일정한 시간동안 정지하게 되고, 이후 덤프유압장치(300)가 작동하여 적재함(100)의 전방을 완전히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계속하여 적재함(100)이 기울어진 각도만큼 리어도어(200)가 회전힌지(210)를 회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자유회전하여 적재함(100)의 후방을 개방하게 되는 데, 상기 리어도어(200)가 회전 구동하여 정지하는 위치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 즉, 지면과 수직한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적재함(100)이 덤프유압장치(300)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적재함(100)의 하면과 덤프트럭(DT) 사이의 각도가 적재함(100)의 후방과 리어도어(200)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어락킹부재(400)의 락킹을 해제하기 위하여 덤프유압장치(200)가 적재함(100)의 전방을 상승시켜 적재함(100) 10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기울어진 경우 적재함(100)의 후방에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리어도어(200)가 적재함(100)의 후방으로 10도만큼 회전 구동하여 적재함(100)의 후방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덤프트럭(DT)의 구조적 특성상 적재함(100)이 덤프트럭(DT)으로부터 6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게 기울어질 수 없고, 이는 리어도어(200)가 적재함(100)의 후방을 개방하는 경우 60도의 각도만큼 적재함(100)의 후방을 개방하게 됨으로 크기가 큰 적재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리어도어(200)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도어회전부(500)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덤프유압라인(DL)으로부터 도어유압라인(510)을 통해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받고, 상기 도어락킹부(400)가 해제된 경우 상기 리어도어(200)가 상기 적재함(100)의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함(100)의 후방을 완전 개방시키도록 상기 리어도어(200)를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즉, 도어회전부(500)는 적재함(100)을 승강 작동하기 위하여 덤프트럭(DT)에 설치된 덤프유압라인(DL)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됨으로 모터나 또는 별도의 구동력을 형성하는 작동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종래 사용되는 덤프트럭(DT)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도어회전부(500)의 설치 비용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적용성이 넓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덤프트럭(DT)에 설치된 덤프유압라인(DL)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리어도어(20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도어회전부(500)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유압라인(510), 좌측도어체인(520), 좌측체인지지부재(530) 및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도어체인(520), 좌측체인지지부재(530),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적재함(100)의 후단 하부 좌측면에 좌측체인고정부재(120)가 돌출 형성되고, 리어도어(200)의 좌측 후면에 갈고리 형상의 좌측체인걸림부재(220)가 형성된다.
먼저, 좌측도어체인(520)은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좌측체인고정부재(12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좌측체인걸림부재(220)에 걸림 고정된다. 즉, 좌측도어체인(520)을 설치하는 경우 좌측체인고정부재(120)에 좌측도어체인(520)의 끝단을 고정 결합시킨 후 좌측도어체인(520)의 다른 끝단을 리어도어(200)에 형성된 좌측체인걸림부재(220)에 걸리도록 고정시키면 된다.
따라서, 좌측체인고정부재(120)에 고정 결합된 좌측도어체인(520)을 적재함(100)의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리어도어(200)가 좌측도어체인(520)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구동하게 되어 적재함(100)의 후방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즉, 리어도어(200)의 좌측체인걸림부재(220)는 리어도어(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게 되면 후술하는 좌측체인지지부재(530)에 가해지는 힘이 작아지게 되고, 리어도어(200)의 좌측체인걸림부재(220)는 리어도어(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게 되면 리어도어(200)에 작용하는 힘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좌측체인걸림부재(220)의 위치는 도어회전부(500)가 설치되는 덤프트럭(DT)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측도어체인(520)은 리어도어(2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되고, 덤프유압실린더(300)가 상승 작동하여 도어락킹부재(400)가 해제되는 경우 리어도어(200)가 자중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여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좌측체인지지부재(530)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의 회전브라켓(110) 중 좌측 회전브라켓(111)에 결합되어 상기 좌측도어체인(520)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때, 좌측도어체인(520)이 적재함(100)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좌측체인지지부재(53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롤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좌측체인지지부재(530)는 리어도어(200)의 회전힌지(210) 상부에 설치되어 좌측도어체인(520)의 회전 반경을 길게 형성하여 좌측도어체인(520)이 리어도어(200)에 작용하는 힘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도어회전부(500)가 설치되는 덤프트럭(DT)의 종류에 따라 적재함(100)의 회전브라켓(110) 또는 리어도어(200)의 회전힌지(210) 상방에 선택적으로 설치하면 된다.
계속하여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의 후단 좌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락킹부(400)가 해제된 경우 상기 도어유압라인(510)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좌측피스톤로드(541)가 상기 적재함(100)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좌측도어체인(520)을 상기 적재함(100)의 하방으로 푸시하면서 상기 리어도어(200)를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즉, 좌측피스톤로드(541)가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좌측도어체인(520)의 일단이 적재함(100)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좌측도어체인(520)의 타단에 걸림 고정된 좌측체인걸림부재(220)를 적재함(100)의 전방으로 당기게 되어 리어도어(200)가 회전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의 후단 좌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고, 상기 도어유압라인(510)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좌측피스톤로드(541)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덤프트럭(DT)에 구비된 유압라인을 통하여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를 구동시킴으로 별도의 구동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좌측도어체인(520)의 누름을 용이하게 하고, 좌측피스톤로드(54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좌측피스톤로드(541)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좌측피스톤로드(541)가 상기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좌측도어체인(520)을 압박 누름하여 상기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의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좌측체인누름부재(54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좌측체인누름부재(54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 형상의 롤러일 수도 있고, 좌측도어체인(520)이 삽입되도록 측단면상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좌측피스톤로드(541)가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좌측도어체인(520)을 누르는 경우 좌측체인누름부재(542)가 좌측도어체인(520)과 접촉한 상태로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 좌측도어체인(520)의 손상을 방지하고, 좌측피스톤로드(54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롤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도어회전부(500)의 좌측도어체인(510), 좌측체인지지부재(520) 및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 각각을 통하여 덤프유압라인(DL)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리어도어(200)를 적재함(100)의 상방으로 회전 구동시켜 적재함(100)의 후방을 완전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덤프트럭(DT)의 구조에 따라 도어회전부(500)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00)의 우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어회전부(500)는 우측도어체인(550), 우측체인지지부재(560) 및 우측도어유압실린더(570)를 포하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성들은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우측도어체인(550), 우측체인지지부재(560), 우측도어유압실린더(57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적재함(100)의 후단 하부 우측면에 우측체인고정부재(130)가 돌출 형성되고, 리어도어(200)의 우측 후면에 갈고리 형상의 우측체인걸림부재(230)가 형성된다.
먼저, 우측도어체인(55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우측체인고정부재(13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우측체인걸림부재(230)에 걸림 고정된다. 즉, 우측도어체인(550)을 설치하는 경우 우측체인고정부재(130)에 우측도어체인(550)의 끝단을 고정 결합시킨 후 우측도어체인(550)의 다른 끝단을 리어도어(200)에 형성된 우측체인걸림부재(230)에 걸리도록 고정시키면 된다.
따라서, 우측체인고정부재(130)에 고정 결합된 우측도어체인(550)을 적재함(100)의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리어도어(200)가 우측도어체인(550)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구동하게 되어 적재함(100)의 후방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리어도어(200)의 우측체인걸림부재(230)는 리어도어(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게 되면 후술하는 우측체인지지부재(560)에 가해지는 힘이 작아지게 되고, 리어도어(200)의 우측체인걸림부재(230)가 리어도어(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게 되면 리어도어(200)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우측체인걸림부재(230)에 가해지는 힘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측체인걸림부재(230)의 위치는 도어회전부(500)가 설치되는 덤프트럭(DT)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우측도어체인(550)은 리어도어(2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되고, 덤프유압실린더(300)가 상승 작동하여 도어락킹부재(400)가 해제되는 경우 리어도어(200)가 자중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여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우측체인지지부재(56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의 회전브라켓(110) 중 우측 회전브라켓(112)에 결합되어 상기 우측도어체인(550)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때, 우측체인지지부재(560)는 우측도어체인(550)이 적재함(100)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우측체인지지부재(56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롤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우측체인지지부재(560)는 리어도어(200)의 회전힌지(210) 상부에 설치되어 우측도어체인(550)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이는, 도어회전부(500)가 설치되는 덤프트럭(DT)의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하면 된다.
계속하여 우측도어유압실린더(57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의 후단 좌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락킹부(400)가 해제된 경우 상기 도어유압라인(510)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우측피스톤로드(571)가 상기 적재함(100)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우측도어체인(550)을 상기 적재함(100)의 하방으로 푸시하면서 상기 리어도어(200)를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즉, 우측피스톤로드(571)가 우측도어유압실린더(570)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우측도어체인(550)을 적재함(100)의 하방으로 푸시하게 되어 우측도어체인(550)이 걸림 고정된 리어도어(200)가 회전힌지(210)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우측도어유압실린더(57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의 후단 좌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고, 상기 도어유압라인(510)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우측피스톤로드(571)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덤프트럭(DT)에 구비된 유압을 사용하여 우측도어유압실린더(570)를 구동시킴으로 별도의 구동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설치 비용이 절감되게 된다.
또한, 우측도어체인(550)의 누름을 용이하게 하고, 우측피스톤로드(57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우측피스톤로드(571)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우측피스톤로드(571)가 상기 우측도어유압실린더(570)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우측도어체인(550)을 압박 누름하여 상기 우측도어유압실린더(570)의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우측체인누름부재(57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우측체인누름부재(572)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 형상의 롤러일 수도 있고, 우측도어체인(550)이 삽입되도록 측단면상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우측피스톤로드(571)가 우측도어유압실린더(570)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우측도어체인(550)을 누르는 경우 우측체인누름부재(572)가 우측도어체인(550)과 접촉한 상태로 우측도어유압실린더(570)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 우측도어체인(550)의 손상을 방지하고, 우측피스톤로드(57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롤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회전부(500)는 덤프트럭(DT)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재함(100)의 좌측 또는 우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덤프트럭(DT)의 크기 즉, 적재물이 적재될 수 있는 적재함(100)의 용량에 따라 적재함(100)의 양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어회전부(500)는 덤프트럭(DT)의 적재함(100)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측 및 우측 각각에 함께 설치되어 리어도어(20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는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 및 우측도어유압실린더(570)에 의해 리어도어(200)가 충분히 회전 구동할 수 있는 힘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덤프트럭(DT)의 경우 토사 및 먼지가 많이 형성되는 건설현장이나 우천과 같은 기상에 무관하게 적재물을 적재하여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회전부(500)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 및 좌측도어체인(520)을 커버하도록 상기 적재함(100)의 후단 좌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유압라인(510), 좌측도어체인(520) 및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 각각을 구획하여 각각을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도어유압커버(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도어유압커버(6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체인지지부재(530)의 상방을 커버하고, 적재함(100)의 좌측면을 커버하여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 및 좌측도어체인(520)가 외부로부터 커버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측피스톤로드(541)가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좌측도어체인(520)이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를 손상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도어유압커버(600)의 내측면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 좌측도어체인(520) 및 도어유압라인(510) 각각을 구획하여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유압커버(600)를 통하여 좌측도어유압실린더(530)에 유압을 공급하는 도어유압라인(510)의 손상을 방지하여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시키고, 좌측도어유압실린더(530)를 외부환경 및 좌측도어체인(520)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고장율을 낮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좌측도어유압실린더(540), 좌측도어체인(520) 및 도어유압라인(510) 각각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어유압커버(600)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유압커버(600)는 도어회전부(500)가 적재함(100)의 좌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적재함(100)의 좌측면에 설치되고, 도어회전부(500)가 적재함의 우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적재함(100)의 우측면에 설치되게 된다. 더욱이, 도어회전부(500) 각각이 적재함(10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 도어유압커버(600) 또한 적재함(10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게 된다.
즉, 도어유압커버(600)는 도어회전부(500)의 설치에 따라 도어회전부(500)를 커버하도록 선택적으로 설치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회전부(500)의 우측도어체인(550), 우측체인지지부재(560) 및 우측도어유압실린더(570) 각각을 통하여 덤프유압라인(DL)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리어도어(200)를 적재함(100)의 상방으로 회전 구동시켜 적재함(100)의 후방을 완전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덤프유압라인(DL)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좌측피스톤로드(541) 또는 우측피스톤로드(571)를 작동하여 리어도어(200)를 회전 구동하게 되는데, 도어락킹부재(400)의 락킹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회전부(500)가 작동하게 되면 도어락킹부재(400)가 손상되거나 또는 도어회전부(500)가 손상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100)의 후방으로 상기 적재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덤프유압실린더(300) 및 도어회전부(500) 각각에 유압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덤프유압라인(DL) 및 도어유압라인(510)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덤프유압라인(DL)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덤프트럭(DT)의 운전석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직접 조작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7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덤프유압실린더(300)가 승강 작동하여 적재함(100)의 전방을 승강시킨 후 도어락킹부재(400)가 해제된 경우 도어유압라인(510)에 유압을 공급하여 도어회전부(500)를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도어회전부(500)가 작동하여 적재함(100)의 후방을 완전 개방한 경우 덤프유압라인(DL)에 유압을 계속하여 공급함으로써 적재함(100)의 전방이 완전 승강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7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덤프유압실린더(300)가 상기 적재함(100)의 전방을 승강시키고, 상기 도어락킹부(400)가 해제되어 상기 적재함(100)의 후방이 개방된 경우 상기 덤프유압라인(DL)으로부터 유압이 상기 도어회전부(500)에 공급되어 상기 리어도어(200)가 상기 적재함(100)의 후방을 완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반대로 상기 도어락킹부(400)가 락킹되어 상기 적재함(100)의 후방이 폐쇄된 경우 상기 덤프유압라인(DL)으로부터 상기 도어회전부(500)에 유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적재물을 배출하기 위해 덤프유압실린더(300)를 작동하여 적재함(100)을 승강시키는 경우 도어락킹부재(400)의 락킹이 해제되는 높이만큼 적재함(100)이 승강되지 않아 락킹이 해제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도어유압라인(510)으로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하여 도어회전부(50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덤프유압라인(DL)에 유압을 공급하여 덤프유압실린더(300)가 작동하게 되고, 적재함(100)이 충분히 상승하게 되어 도어락킹부재(400)가 해제되게 되면 도어유압라인(510)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700)를 통하여 도어락킹부재(400) 및 도어회전부(50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됨으로써 도어락킹부재(400) 및 도어회전부(500) 각각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고, 도어회전부(500)의 과부하를 방지함으로써 도어회전부(500)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DT : 덤프트럭
DL : 덤프유압라인
100 : 적재함 110 : 회전브라켓
111 : 좌측 회전브라켓 112 : 우측 회전브라켓
120 : 좌측체인고정부재 130 : 우측체인고정부재
200 : 리어도어 210 : 회전힌지
220 : 좌측체인걸림부재 230 : 우측체인걸림부재
300 : 덤프유압실린더
400 : 도어락킹부
500 : 도어회전부 510 : 도어유압라인
520 : 좌측도어체인 530 : 좌측체인지지부재
540 : 좌측도어유압실린더 541 : 좌측피스톤로드
542 : 좌측체인누름부재
550 : 우측도어체인 560 : 우측체인지지부재
570 : 우측도어실유압실린더 571 : 우측피스톤로드
572 : 우측체인누름부재
600 : 도어유압커버
700 : 제어부

Claims (8)

  1. 덤프트럭의 상부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을 배출하도록 후방이 개방되며, 후단 좌우 양측 상부에 한 쌍의 회전브라켓이 각각 돌출 형성된 적재함과,
    판상으로 좌우 상단에 한 쌍의 회전힌지가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브라켓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힌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개폐하는 리어도어와,
    상기 덤프트럭에 설치된 덤프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상기 적재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적재함의 전방을 승강시키는 덤프유압실린더와,
    상기 적재함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어도어가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폐쇄하도록 락킹하고, 상기 덤프유압실린더가 상기 적재함의 전방을 승강시키는 경우 상기 리어도어가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개방시키도록 락킹이 해제되는 도어락킹부와,
    상기 덤프유압라인으로부터 도어유압라인을 통해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받고, 상기 도어락킹부가 해제된 경우 상기 리어도어가 상기 적재함의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완전 개방시키도록 상기 리어도어를 회전 구동시키는 도어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상기 적재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덤프유압실린더 및 도어회전부 각각에 유압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덤프유압라인 및 도어유압라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은,
    후단 하부 좌측면에 좌측체인고정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어도어는,
    좌측 후면에 갈고리 형상의 좌측체인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회전부는,
    일단이 상기 좌측체인고정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좌측체인걸림부재에 걸림 고정되는 좌측도어체인과,
    상기 적재함의 회전브라켓 중 좌측 회전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좌측도어체인을 가이드하는 좌측체인지지부재와,
    상기 적재함의 후단 좌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락킹부가 해제된 경우 상기 도어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좌측피스톤로드가 상기 적재함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좌측도어체인을 상기 적재함의 하방으로 푸시하면서 상기 리어도어를 회전 구동시키는 좌측도어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도어유압실린더는,
    상기 적재함의 후단 좌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고, 상기 도어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좌측피스톤로드를 작동시키고,
    상기 좌측피스톤로드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좌측피스톤로드가 상기 좌측도어유압실린더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좌측도어체인을 압박 누름하여 상기 좌측도어유압실린더의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좌측체인누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도어유압실린더 및 좌측도어체인을 커버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후단 좌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유압라인, 좌측도어체인 및 좌측도어유압실린더 각각을 구획하여 각각을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도어유압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은,
    후단 하부 우측면에 우측체인고정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어도어는,
    우측 후면에 갈고리 형상의 우측체인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회전부는,
    일단이 상기 우측체인고정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우측체인걸림부재에 걸림 고정되는 우측도어체인과,
    상기 적재함의 회전브라켓 중 우측 회전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우측도어체인을 가이드하는 우측체인지지부재와,
    상기 적재함의 후단 우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락킹부가 해제된 경우 상기 도어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우측피스톤로드가 상기 적재함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우측도어체인을 상기 적재함의 하방으로 푸시하면서 상기 리어도어를 회전 구동시키는 우측도어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도어유압실린더는,
    상기 적재함의 후단 우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고, 상기 도어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우측피스톤로드를 작동시키고,
    상기 우측피스톤로드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우측피스톤로드가 상기 우측도어유압실린더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우측도어체인을 압박 누름하여 상기 우측도어유압실린더의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우측체인누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덤프유압실린더가 상기 적재함의 전방을 승강시키고, 상기 도어락킹부가 해제되어 상기 적재함의 후방이 개방된 경우 상기 덤프유압라인으로부터 유압이 상기 도어회전부에 공급되어 상기 리어도어가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완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어락킹부가 락킹되어 상기 적재함의 후방이 폐쇄된 경우 상기 덤프유압라인으로부터 상기 도어회전부에 유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KR2020180001518U 2018-04-05 2018-04-05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KR200486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518U KR200486557Y1 (ko) 2018-04-05 2018-04-05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518U KR200486557Y1 (ko) 2018-04-05 2018-04-05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557Y1 true KR200486557Y1 (ko) 2018-06-04

Family

ID=6259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518U KR200486557Y1 (ko) 2018-04-05 2018-04-05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55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9431A1 (en) * 2019-04-22 2020-10-29 Tms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nsportation container
KR102553500B1 (ko) 2023-03-08 2023-07-07 김영재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
KR102606548B1 (ko) 2023-07-24 2023-11-29 이상곤 소형 덤프트럭의 적재물 배출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547Y1 (ko) * 2004-01-30 2004-04-29 신재성 탱크로리형 리어덤프트럭
KR200375551Y1 (ko) * 2004-11-10 2005-03-11 안동섭 덤프트럭 적재함의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547Y1 (ko) * 2004-01-30 2004-04-29 신재성 탱크로리형 리어덤프트럭
KR200375551Y1 (ko) * 2004-11-10 2005-03-11 안동섭 덤프트럭 적재함의 도어 개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9431A1 (en) * 2019-04-22 2020-10-29 Tms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nsportation container
US11358539B2 (en) 2019-04-22 2022-06-14 Tms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nsportation container
KR102553500B1 (ko) 2023-03-08 2023-07-07 김영재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
KR102606548B1 (ko) 2023-07-24 2023-11-29 이상곤 소형 덤프트럭의 적재물 배출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557Y1 (ko)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US7731297B1 (en) Tailgate-securing dump apron for dump trucks
CN1044696C (zh) 电池供电车辆用的电池更换系统
US5887914A (en) Vehicle in-service/out-of-service rotatable tailgate mechanism
US6234739B1 (en) Compaction mechanism for refuse and recyclables collection vehicles
US5474363A (en) Vehicle in-service/out-of-service rotatable tailgate mechanism
US6761414B1 (en) Top hinged gravity, floating and power self-opening gate for dump body
WO2004048704A1 (en) Attachment for small loader
KR102314132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US5823734A (en) Rotatable feedgate
US20080129057A1 (en) Locking system for roll-off containers
US4049137A (en) Hauling vehicle with side dump body
US3543960A (en) Loader bucket with push plate ejector
KR102195801B1 (ko) 탑재형 농산물 덤프 운반대
US6491349B2 (en) In-service/out-of-service rotatable tailgate assembly
US2019451A (en)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truck
US5431481A (en) Side dumping trailer
KR20190105972A (ko) 적재물의 배출 작업에 의한 전복사고를 방지한 덤프트럭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JP3646008B2 (ja) 荷役車両
JP3712862B2 (ja) 荷役車両
JP7117740B2 (ja) 天蓋開閉装置付コンテナ
JP3408726B2 (ja) トンネル内の土砂搬出用機器および土砂搬出方法
KR102260514B1 (ko) 컨베이어트럭
CN216331663U (zh) 一种自卸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