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514B1 - 컨베이어트럭 - Google Patents

컨베이어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514B1
KR102260514B1 KR1020200172766A KR20200172766A KR102260514B1 KR 102260514 B1 KR102260514 B1 KR 102260514B1 KR 1020200172766 A KR1020200172766 A KR 1020200172766A KR 20200172766 A KR20200172766 A KR 20200172766A KR 102260514 B1 KR102260514 B1 KR 102260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ischarge
conveyor
pulle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현
이명근
Original Assignee
오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현 filed Critical 오동현
Priority to KR102020017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forming the main load-transporting element o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6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the chains or belts being fixed to a rigid pusher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fluids, e.g. having direct contact between fluid and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트럭에 관한 것으로, 적재트레이에서 대량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된 적재물이 잔류하지 않고 모두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컨베이어수송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트럭{Conveyor trucks}
본 발명은 컨베이어트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트레이에서 대량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된 적재물이 잔류하지 않고 모두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컨베이어수송장치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트럭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Dump Truck)은 차량 후방에 설치된 적재함을 유압승강장치를 이용해 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여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을 쏟아내어 배출하는 운반용 화물 차량으로서 주로 건설 현장용 토사나 골재 등의 운반에 사용된다.
상기 유압승강장치는 주로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는데, 엔진의 동력으로 유압펌프를 돌리고, 고압으로 된 작동유를 유압실린더로 보내, 유압실린더 내부의 피스톤 로드를 신장시켜, 차체 후방에서 회동 가능케 힌지축으로 결합된 적재함의 앞 부분을 소정 높이로 밀어올려 적재함을 틸트 작동시킴으로써 적재함 후방에 설치된 테일게이트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어 적재함 내부의 적재물을 배출하게 된다.
그런데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이 마른 모래나 자갈 등 수분이 적은 경우에는 적재함의 틸트 작동 시 적재물이 쉽게 배출되나, 젖은 흙이나 젖은 모래 등과 같이 수분을 많이 함유한 적재물을 운반할 때에는 적재물의 적재후, 수분에 의해 적재물이 적재함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적재함을 틸트하더라도 적재함 내부의 적재물이 말끔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적재함 구석 특히, 적재함의 앞판과 바닥판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잔재물이 붙어서 쉽게배출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적재함 내 잔재물은 덤프트럭의 적재횟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적재함 내 잔재물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동절기에는 잔재물이 얼어붙으면서 실제 운반적재물의 양이 줄어들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요인이된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적재함 내부에 잔재물이 남은 경우에, 작업자가 적재함의 틸트 작동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틸트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하여 적재함 내부의 잔재물이 배출되게 하였으나, 유압승강장치를 무리하게 반복 작동함에 따라 유압승강장치의 고장이 빈번하여 그에 따른 수리비 지출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뿐만아니라, 유압승강장치의 수리 기간 동안 덤프트럭의 운행이 불가능케 되어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큰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27633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03787호
본 발명은 적재트레이에서 대량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된 적재물이 잔류되지 않고 모두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재트레이에서 대량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된 적재물이 잔류하지 않고 모두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컨베이어수송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베이어수송장치는, 적재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적재트레이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송차량;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수송차량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적재트레이; 적재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 안착되도록 적재트레인 내부 바닥면 측으로 형성되는 컨베이어프레임; 드럼축을 지지하도록 컨베이어프레임 일측방향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 컨베이어롤러를 고정시키기 위해 컨베이어프레임 타측 끝단 양측으로 형성되는 롤러부재; 배출벨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컨베이어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롤러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컨베이어롤러; 일측이 제1풀리부재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풀리부재 하면에 고정되며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형성되며, 적재된 적재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벨트; 이동되는 배출벨트가 적재물의 적재시 처지지 않도록 컨베이어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벨트접촉패널; 벨트접촉패널을 컨베이어프레임 상에서 지지하기 위해 컨베이어프레임 상에서 복수개 형성되는 패널지지대; 제1와이어드럼과 제2와이어드럼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 사이에 결합 형성되는 드럼축; 드럼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와이어모터; 제1구동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1이동풀리를 이동시키기 위해 드럼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와이어드럼; 제1구동와이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 상부로 각각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일측이 제1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이동풀리와 접촉되어 제1와이어드럼에 권취 형성되는 제1구동와이어; 벨트접촉패널과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이동풀리가 고정될 수 있도록 배출패널 후면으로 고정패널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제1풀리부재; 권취되는 제1구동와이어에 의해 회전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1풀리부재 하면으로 외력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이동풀리; 배출패널 후면에 제1풀리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측이 배출패널 후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패널; 적재트레이 내에 적재된 적재물을 배출벨트의 이동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고정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패널; 배출패널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재트레임 상부 양측으로 배출패널 상부로 형성되는 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배출가이드; 제2구동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2이동풀리를 이동시키기 위해 드럼축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와이어드럼; 제2구동와이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 하부로 각각 형성되는 제2고정부재; 일측이 제2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이동풀리와 접촉되어 제2와이어드럼에 권취 형성되는 제2구동와이어; 벨트접촉패널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풀리부재; 권취되는 제2구동와이어에 의해 회전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풀리부재 상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이동풀리; 적재물 배출시 적재물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적재트레이 일측 상부로 형성되는 수동개폐문; 적재물 배출을 위해 개폐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도록 적재트레이 일측 하부로 형성되는 자동개폐문; 개폐실린더의 실린더 축이 연결 형성되도록 자동개폐문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실린더부재; 자동개폐문을 개폐시키기 위해 일측이 적재트레이 외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실린더 축이 자동개폐문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실린더부재에 연결 형성되는 개폐실린더를 포함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적재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이 잔류되지 않고 후문 측으로 모두 배출되도록 하여 적재트레이의 잔재물을 줄여주고, 작업자가 직접 적재트레이에서 잔재물을 제거하지 않도록 하여 작업의 능률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컨베이어트럭 및 컨베이어트럭에 포함된 탱크제조장치에 대한 컨베이어수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컨베이어수송장치에 더 포함되는 또다른 실시예인 잔류물분사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컨베이어수송장치에 더 포함되는 또다른 실시예인 컨베이어승하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컨베이어수송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비산물집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 컨베이어트럭 및 컨베이어트럭에 포함된 탱크제조장치에 대한 컨베이어수송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수송장치(100)는 적재트레이(120)에서 대량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된 적재물이 잔류하지 않고 모두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수송장치(100)는 수송차량(110), 적재트레이(120), 컨베이어프레임(121), 지지패널(122), 롤러부재(123), 컨베이어롤러(124), 배출벨트(125), 벨트접촉패널(126), 패널지지대(127), 드럼축(128), 와이어모터(129), 제1와이어드럼(130), 제1고정부재(131), 제1구동와이어(132), 제1풀리부재(133), 제1이동풀리(134), 고정패널(135), 배출패널(136), 배출가이드(137), 제2와이어드럼(138), 제2고정부재(139), 제2구동와이어(140), 제2풀리부재(141), 제2이동풀리(142), 수동개폐문(143), 자동개폐문(144), 실린더부재(145), 개폐실리더(146)를 포함한다.
상기 수송차량(110)은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적재트레이(120)에 적제되는 적재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트레이(120)는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적재트레이(120)는 수송차량(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1)은 적재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1)은 적재트레이(120) 내부 바닥면 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패널(122)은 드럼축(128)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패널(122)은 컨베이어프레임(121) 일측방향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부재(123)는 컨베이어롤러(124)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부재(123)는 컨베이어프레임(121) 타측 끝단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롤러(124)는 배출벨트(125)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롤러(124)는 컨베이어프레임(121) 양측으로 형성되는 롤러부재(123)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벨트(125)는 일측이 제1풀리부재(133)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풀리부재(141) 하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벨트(125)는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벨트(125)는 적재된 적재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트접촉패널(126)은 이동되는 배출벨트(125)가 적재물의 적재시 배출벨트(125)가 처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벨트접촉패널(126)은 컨베이어프레임(121)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지지대(127)는 벨트접촉패널(126)을 컨베이어프레임(121) 상에서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지지대(127)는 컨베이어프레임(121) 상에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축(128)은 제1와이어드럼(130)과 제2와이어드럼(138)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드럼축(128)은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122) 사이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모터(129)는 드럼축(128)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모터(129)는 지지패널(12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와이어드럼(130)은 제1구동와이어(132)를 통해 연결된 제1이동풀리(134)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와이어드럼(130)은 드럼축(128)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131)는 제1구동와이어(132)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131)는 지지패널(122)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구동와이어(132)는 일측이 제1고정부재(131)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이동풀리(134)와 접촉되어 제1와이어드럼(130)에 권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풀리부재(133)는 벨트접촉패널(126)과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이동풀리(134)가 고정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풀리부재(133)는 배출패널(136) 후면으로 고정패널(135)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이동풀리(134)는 권취되는 제1구동와이어(132)에 의해 회전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이동풀리(134)는 제1풀리부재(133) 하면으로 외력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패널(135)은 배출패널(136) 후면에 제1풀리부재(133)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패널(135)은 일측이 배출패널(136) 후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패널(136)은 적재트레이(120) 내에 적재된 적재물을 배출벨트(125)의 이동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패널(136)은 고정패널(13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가이드(137)는 배출패널(136)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가이드(137)는 적재트레이(120) 상부 양측으로 배출패널(136) 상부로 형성되는 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와이어드럼(138)은 제2구동와이어(140)를 통해 연결된 제2이동풀리(142)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와이어드럼(138)은 드럼축(128)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고정부재(139)는 제2구동와이어(140)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139)는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122) 하부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구동와이어(140)는 일측이 제2고정부재(139)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이동풀리(142)와 접촉되어 제2와이어드럼(138)에 권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풀리부재(141)는 벨트접촉패널(126)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이동풀리(142)는 권취되는 제2구동와이어(140)에 의해 회전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이동풀리(142)는 제2풀리부재(141) 상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동개페문은 적재물 배출시 적재물에 의해 일정 각도록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동개폐문(143)은 적재트레이(120) 일측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개폐문(144)은 적재물 배출을 위해 개폐실리더(146)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자동개폐문(144)은 적재트레이(120) 일측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부재(145)는 개폐실리더(146)의 실린더 축이 연결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부재(145)는 자동개폐문(144)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실리더(146)는 자동개폐문(144)을 개폐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실리더(146)는 일측이 적재트레이(120) 외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실린더 축이 자동개폐문(144)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실린더부재(145)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컨베이어롤러 작동시 이물질이 자동개폐문 측을 통해 배출되며, 자동개폐문을 닫음에 따라 배출벨트의 적재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벨트는 하부를 패널지지대가 받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서 배출패널과 고정패널은 분리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컨베이어수송장치
110 : 수송차량 120 : 적재트레이
121 : 컨베이어프레임 122 : 지지패널
123 : 롤러부재 124 : 컨베이어롤러
125 : 배출벨트 126 : 벨트접촉패널
127 : 패널지지대 128 : 드럼축
129 : 와이어모터 130 : 제1와이어드럼
131 : 제1고정부재 132 : 제1구동와이어
133 : 제1풀리부재 134 : 제1이동풀리
135 : 고정패널 136 : 배출패널
137 : 배출가이드 138 : 제2와이어드럼
139 : 제2고정부재 140 : 제2구동와이어
141 : 제2풀리부재 142 : 제2이동풀리
144 : 자동개폐문
145 : 실린더부재 146 : 개폐실린더

Claims (3)

  1. 적재트레이에서 대량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된 적재물이 잔류하지 않고 모두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컨베이어수송장치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트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수송장치는,
    적재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적재트레이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송차량;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수송차량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적재트레이;
    적재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 안착되도록 적재트레인 내부 바닥면 측으로 형성되는 컨베이어프레임;
    드럼축을 지지하도록 컨베이어프레임 일측방향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
    컨베이어롤러를 고정시키기 위해 컨베이어프레임 타측 끝단 양측으로 형성되는 롤러부재;
    배출벨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컨베이어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롤러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컨베이어롤러;
    일측이 제1풀리부재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풀리부재 하면에 고정되며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형성되며, 적재된 적재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벨트;
    이동되는 배출벨트가 적재물의 적재시 처지지 않도록 컨베이어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벨트접촉패널;
    벨트접촉패널을 컨베이어프레임 상에서 지지하기 위해 컨베이어프레임 상에서 복수개 형성되는 패널지지대;
    제1와이어드럼과 제2와이어드럼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 사이에 결합 형성되는 드럼축;
    드럼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와이어모터;
    제1구동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1이동풀리를 이동시키기 위해 드럼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와이어드럼;
    제1구동와이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 상부로 각각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일측이 제1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이동풀리와 접촉되어 제1와이어드럼에 권취 형성되는 제1구동와이어;
    벨트접촉패널과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이동풀리가 고정될 수 있도록 배출패널 후면으로 고정패널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제1풀리부재;
    권취되는 제1구동와이어에 의해 회전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1풀리부재 하면으로 외력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이동풀리;
    배출패널 후면에 제1풀리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측이 배출패널 후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패널;
    적재트레이 내에 적재된 적재물을 배출벨트의 이동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고정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패널;
    배출패널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재트레임 상부 양측으로 배출패널 상부로 형성되는 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배출가이드;
    제2구동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2이동풀리를 이동시키기 위해 드럼축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와이어드럼;
    제2구동와이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 하부로 각각 형성되는 제2고정부재;
    일측이 제2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이동풀리와 접촉되어 제2와이어드럼에 권취 형성되는 제2구동와이어;
    벨트접촉패널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풀리부재;
    권취되는 제2구동와이어에 의해 회전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풀리부재 상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이동풀리;
    적재물 배출시 적재물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적재트레이 일측 상부로 형성되는 수동개폐문;
    적재물 배출을 위해 개폐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도록 적재트레이 일측 하부로 형성되는 자동개폐문;
    개폐실린더의 실린더 축이 연결 형성되도록 자동개폐문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실린더부재;
    자동개폐문을 개폐시키기 위해 일측이 적재트레이 외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실린더 축이 자동개폐문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실린더부재에 연결 형성되는 개폐실린더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트럭.
  2. 삭제
  3. 삭제
KR1020200172766A 2020-12-10 2020-12-10 컨베이어트럭 KR102260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766A KR102260514B1 (ko) 2020-12-10 2020-12-10 컨베이어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766A KR102260514B1 (ko) 2020-12-10 2020-12-10 컨베이어트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514B1 true KR102260514B1 (ko) 2021-06-02

Family

ID=7637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766A KR102260514B1 (ko) 2020-12-10 2020-12-10 컨베이어트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5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379U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트럭의 컨베이어형 적재장치
KR20120103893A (ko) * 2011-03-11 2012-09-20 동우특장차 주식회사 수평배출 덤프 트레일러
KR101727633B1 (ko) 2015-06-30 2017-04-18 (주)두성특장차 탱크로리용 저장탱크의 지그장치
KR101803787B1 (ko) 2017-07-26 2017-12-04 신상형 덤프트럭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KR20180024811A (ko) * 2016-08-31 2018-03-08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
KR20200101588A (ko) * 2019-02-20 2020-08-28 주식회사대동이엔지 벌크 화물용 적재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379U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트럭의 컨베이어형 적재장치
KR20120103893A (ko) * 2011-03-11 2012-09-20 동우특장차 주식회사 수평배출 덤프 트레일러
KR101727633B1 (ko) 2015-06-30 2017-04-18 (주)두성특장차 탱크로리용 저장탱크의 지그장치
KR20180024811A (ko) * 2016-08-31 2018-03-08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
KR101803787B1 (ko) 2017-07-26 2017-12-04 신상형 덤프트럭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KR20200101588A (ko) * 2019-02-20 2020-08-28 주식회사대동이엔지 벌크 화물용 적재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297B1 (en) Tailgate-securing dump apron for dump trucks
KR101803787B1 (ko) 덤프트럭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US7111907B2 (en) Side dump trailer for particulate material
KR102314132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KR200486557Y1 (ko)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US20040135420A1 (en) Top hinged gravity, floating and power self-opening gate for dump body
KR102260514B1 (ko) 컨베이어트럭
US5267779A (en) Pick up truck conversion dumping body
CA2661076C (en) Mechanical tailgate
KR102005630B1 (ko) 트럭용 적재함 덤프 장치
KR102195801B1 (ko) 탑재형 농산물 덤프 운반대
JP2015116920A (ja) トラックに積載可能なダンプ装置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KR102191914B1 (ko) 덤프트럭 적재함 내부의 잔량물 제거 장치
CN105539245B (zh) 自卸车厢
KR102314141B1 (ko) 차량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 장치
CN219905497U (zh) 边开门可升降底板式集装箱
KR101582884B1 (ko) 적재함 덮개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적재함
KR102502346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JP7117740B2 (ja) 天蓋開閉装置付コンテナ
JP4659598B2 (ja) ダンプ式コンテナ装置
CN115556651A (zh) 基于链条的车辆装载机底板梭结构
KR100836320B1 (ko) 트럭의 테일 게이트 승하강 장치
CN1978242A (zh) 一种自卸车卸料门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