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805B1 -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 - Google Patents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805B1
KR101915805B1 KR1020160111701A KR20160111701A KR101915805B1 KR 101915805 B1 KR101915805 B1 KR 101915805B1 KR 1020160111701 A KR1020160111701 A KR 1020160111701A KR 20160111701 A KR20160111701 A KR 20160111701A KR 101915805 B1 KR101915805 B1 KR 101915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loading
load
spa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811A (ko
Inventor
이명근
Original Assignee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1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80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charge and discharge with pushe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재물의 잔량 없이 배출이 가능하고, 천장이 낮은 공간에서도 하역이 가능하며, 차량 전복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을 제공한다. 여기서, 이젝터 장치는 푸시부, 동력부, 연결부 그리고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푸시부는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적재부의 공간을 적재물이 적재되지 않은 제1공간 및 적재물이 적재되는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적재물을 밀어내어 하역시킨다. 동력부는 제1공간에 위치되고, 일단부는 적재부의 전방에 고정되며, 푸시부가 적재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연결부는 푸시부의 중앙 하부에 구비되고 제1공간에 위치되며, 동력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동력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푸시부로 전달한다. 그리고, 하우징부는 동력부의 타단부가 푸시부를 관통하여 제2공간에 위치되도록, 푸시부의 중앙 하부에 제2공간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 동력부의 타단부가 삽입된다.

Description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APPARATUS FOR EJECTING LOAD AND DUMP TRUC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물의 잔량 없이 배출이 가능하고, 천장이 낮은 공간에서도 하역이 가능하며, 차량 전복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 트럭은 적재함을 동력으로 60~70° 기울여서 토사, 골재 등의 적재물을 자동으로 내리는 운반용의 특수 화물차량을 말하며, 덤프카(Dump Car)라고도 한다.
덤프 트럭은 다른 운반기계에 비해 기동성이 좋아 원거리 수송에 적합하고, 흙, 모래, 자갈 등을 운반하기에 적당하다. 적재능력은 2~50t 등의 여러 가지가 있다. 적재함의 경사는 보통 유압으로 작동시키지만, 기계나 수동인 것도 있다.
덤프 트럭은 당초 공사용 중기로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나, 자체하역기능의 장점으로 인해서, 공사용 이외에 화물 운반용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덤프 트럭은 적재함의 경사방향에 따라 사이드 덤프 트럭, 리어 덤프 트럭, 3방향 열림 덤프 트럭, 보텀 덤프 트럭의 4종류로 구분된다. 사이드 덤프 트럭은 적재함의 옆쪽이 섀시에 붙어 있어서 적재함을 옆으로 기울일 수 있는 구조이다. 리어 덤프 트럭은 적재함의 뒤쪽이 섀시에 붙어 있어 뒤쪽으로 적재함을 기울일 수 있는 구조의 트럭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3방향 열림 덤프트럭은 적재함을 좌우나 뒤쪽 어느 쪽으로도 기울일 수 있는 구조의 트럭이다. 그리고, 보텀 덤프 트럭은 적재함의 밑부분이 열려 짐을 아래로 부릴 수 있는 구조로서, 트레일러 덤프트럭에 많이 사용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35708호(1998.09.15. 공개)에는 덤프 트럭용 덤프장치가 개시된다. 위 선행문헌의 덤프 트럭용 덤프장치는 덤프 트럭용 덤프장치에 의하여 승강되는 적재함이 양측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여 작업장의 여건에 따라 화물의 하차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위 선행문헌의 덤프 트럭용 덤프장치는 적재함을 일측으로 상승시켜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이 하차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덤프장치는 천장이 낮은 공간에서는 하역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덤프장치는 적재물이 수분을 많이 함유하거나 젖은 경우 적재함에 잔량이 많이 남게 되는 문제점 있다.
또한, 이러한 덤프장치를 가지는 덤프 트럭은 하역이 이루어지는 장소의 지반이 고르지 못하거나 경사진 경우, 전복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35708호(1998.09.15.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재물의 잔량 없이 배출이 가능하고, 천장이 낮은 공간에서도 하역이 가능하며, 차량 전복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부의 공간을 적재물이 적재되지 않은 제1공간 및 적재물이 적재되는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적재물을 밀어내어 하역시키는 푸시 플레이트를 가지는 푸시부; 상기 제1공간에 위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 고정되며, 상기 푸시부가 상기 적재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푸시부의 중앙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동력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푸시부로 전달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상기 푸시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푸시부의 중앙 하부에 상기 제2공간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이젝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하단부에 상기 적재부의 후방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와,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후방 방향으로 확대되는 제2결합부를 가지는 보강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바닥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적재물을 밀어내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양측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적재물을 밀어내는 제2블레이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일측면 중앙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되, 그 사이에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위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개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플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하측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으로 결합되는 고정축에 회전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푸시부의 이동 시 상기 적재부의 바닥면부 상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푸시부를 지지하는 롤러를 가지는 지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양측면부의 하단부에 상기 적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안내홈을 가지고, 상기 롤러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에는 일부분이 상기 안내홈의 길이 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푸시부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안내홈으로 적재물의 유입을 막는 막음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홈부의 테두리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공간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내측에 위치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는 제1커버부와, 상기 제1커버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부를 막는 제2커버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의 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엔진이 탑재된 차량;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그리고 상기 적재부에 구비되는 이젝터 장치를 포함하는 화물 운반용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후방에는 상기 적재부의 후방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밀어내는 적재물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젝터 장치는 푸시부가 적재부의 적재물을 수평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하역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폐기물의 잔량 없이 배출이 가능하며, 천장이 낮은 공간에서도 하역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부가 적재부의 제2공간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동력부의 길이가 최소가 된 상태일 때, 푸시부는 적재부의 전방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재부의 적재 공간이 더욱 크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플레이트에는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가 구비되어 푸시 츨레이트가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적재부의 양측면부 및 바닥면부의 적재물을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롤러는 적재부의 안내홈에 위치되어 푸시 플레이트가 적재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시에, 푸시 플레이트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플레이트의 하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막음부는 안내홈의 길이 방향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안내홈의 내측에 위치되어 푸시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하면서 안내홈으로 적재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의 적재부의 단면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물 운반용 차량은 엔진이 탑재되는 차량(100), 차량(100)에 결합되고 적재물(10)이 적재되는 적재부(200) 그리고 이젝터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물 운반용 차량은 덤프 트럭과 같이 적재부를 가지는 트럭일 수 있다. 그리고, 적재물(10)은 고철 등의 산업 폐기물, 폐목재, 생활 쓰레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석탄, 모래, 거름 등과 같이 폐기물이 아닌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 장치(300)는 적재부(2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적재부(200)에 적재되는 적재물(10)을 적재부(200)의 전방에서 후방(도 1을 참조하면, 좌측에서 우측)으로 밀어내어 하역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적재물이 하역되도록 이동하는 방향을 적재부(200)의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젝터 장치(300)는 푸시부(400)가 적재물(10)을 수평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하역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폐기물의 잔량 없이 배출이 가능하며, 천장이 낮은 공간에서도 하역이 가능할 수 있다.
적재부(200)의 후방에는 개폐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210)는 적재부(200)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제1개폐부(211)와, 적재부(200)의 후방 하부에 구비되는 제2개폐부(212)를 가질 수 있다. 제1개폐부(211) 및 제2개폐부(212)는 모두 적재부(20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개폐부(211) 및 제2개폐부(212)는 푸시부(400)에 의해 밀려나는 적재물(10)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제1개폐부(211)는 적재물(10)에 의한 가압력이 제거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하향 회전하여 적재부(200)의 후방을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개폐부(212)는 적재부(200)의 하측에 구비되는 동력제공부(213)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적재부(200)의 후방을 폐쇄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도 9 참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측면예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의 적재부의 단면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장치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젝터 장치(300)는 푸시부(400), 동력부(500), 연결부(600) 그리고 하우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푸시부(400)는 푸시 플레이트(410), 보강부재(420), 제1블레이드(415) 및 제2블레이드(425)를 가질 수 있다.
푸시 플레이트(410)는 적재부(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적재부(200)의 길이방향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푸시 플레이트(410)는 적재부(200)의 공간을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공간(S1)은 적재물이 적재되지 않은 공간일 수 있으며, 제2공간(S2)은 적재물이 적재되는 공간일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푸시 플레이트(410)는 적재부(200)의 전방에서 후방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가 눕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푸시 플레이트(410)가 적재부(200)의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이동 시, 푸시 플레이트(410)는 적재물(10)을 더욱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밀어낼 수 있다. 푸시 플레이트(410)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두 장 이상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푸시 플레이트(410)는 편평하게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푸시 플레이트(410)의 하단부에는 적재부(200)의 후방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결합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푸시 플레이트(410)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412)이 결합될 수 있다. 보강프레임(412)은 푸시 플레이트(410)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보강프레임(412)은 푸시 플레이트(410)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푸시 플레이트(41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강부재(420)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양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보강부재(420)는 푸시 플레이트(41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재(420)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구조 보강을 위한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420)는 적재부(200)의 후방 방향으로 확대되는 제2결합부(421)를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적재부(200)의 양측면부(220)는 양측면부(2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수평 프레임(230)의 제1면(231)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재부(200)의 양측면부(220)와 수평 프레임(230)의 제1면(231)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L1)과의 사이에는 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푸시 플레이트(410)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는 적재부(200)의 길이 방향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보았을 때, 푸시 플레이트(410)의 양단부는 연장선(L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420)의 제2결합부(421)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공간(S3) 내에 위치될 수 있다(도 5 참조).
제1블레이드(415)는 제1결합부(411)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415)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413)에 의해 제1결합부(411)에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결합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블레이드(415)는 적재부(200)의 바닥면부(240)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푸시 플레이트(410)가 적재부(2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제1블레이드(415)는 적재부(200)의 바닥면부(240)에 적재물이 남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제1블레이드(415)는 적재부(200)의 바닥면부(240)와의 밀착성이 좋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블레이드(415)는 고무, 우레탄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425)는 제2결합부(421)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425)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426)에 의해 제2결합부(421)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결합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블레이드(425)는 적재부(200)에 형성되는 공간(S3)에 위치되고 적재부(200)의 양측면부(220)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푸시 플레이트(410)가 적재부(2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제2블레이드(425)는 적재부(200)의 양측면부(220)에 뭍은 적재물(10)을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제2블레이드(425)는 적재부(200)의 양측면부(220)와의 밀착성이 좋도록 제1블레이드(415)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동력부(500)는 제1공간(S1)에 위치될 수 있다. 동력부(500)는 힌지부(510), 포트부(520), 실린더부(530) 및 결합부(540)를 가질 수 있다. 힌지부(510)는 동력부(50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결합공(5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포트부(520)로는 작동오일의 유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부(530)는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부(530)는 8단 실린더일 수 있으나, 이러한 실린더의 단수는 적재부(200)의 길이, 적재용량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결합부(540)는 실린더부(530)를 구성하는 실린더 중 가장 외측의 실린더(53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실린더(531)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적재부(200)의 내부 전방에는 설치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설치부(250)는 설치 플레이트(251)와 보조 플레이트(253)를 가질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251)는 적재부(200)의 바닥면부(240)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제2결합공(25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플레이트(253)는 설치 플레이트(251)에 결합되어 설치 플레이트(251)를 지지할 수 있다.
동력부(500)의 힌지부(510)는 설치 플레이트(251)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결합공(511) 및 제2결합공(252)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255)에 의해 설치부(25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력부(500)의 일단부는 적재부(200)의 전방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동력부(500)는 적재부(2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600)는 제1지지플레이트(610) 및 결합플레이트(620)를 가질 수 있다. 제1지지플레이트(610)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일측면(417) 중앙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푸시 플레이트(410)의 일측면(417)은 제1공간(S1)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제1지지플레이트(61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지지플레이트(610)는 서로 이격되어 푸시 플레이트(410)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홈부(43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플레이트(610)는 푸시 플레이트(41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플레이트(610)에는 제1결합홈(6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홈(611)은 동력부(500)의 결합부(540)가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플레이트(610)에는 제1결합홈(611)의 외측에 복수의 제1체결홀(6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620)에는 동력부(500)의 결합부(540)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6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체결홀(612)에 대응되도록 제2체결홀(6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홀(612) 및 제2체결홀(622)로 결합되는 체결부재(625)에 의해 결합플레이트(620)는 제1지지플레이트(610)에 결합될 수 있다. 동력부(500)의 결합부(540)가 제1지지플레이트(610)와 결합됨에 따라, 동력부(500)의 타단부는 푸시부(400)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600)는 제1공간(S1)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600)는 동력부(500)에서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다시 말하면, 동력부(500)의 실린더부(530)의 다수의 실린더가 늘여졌다 줄여졌다 함에 따라, 푸시부(400)가 적재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부(500)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푸시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푸시부(400)의 양단부에는 지지부(65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650)는 제2지지플레이트(651), 보강 플레이트(652) 및 롤러(653)를 가질 수 있다.
제2지지플레이트(651)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하측 양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지지플레이트(651)에는 복수의 제1관통공(65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플레이트(651)는 푸시 플레이트(41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652)는 제2지지플레이트(651)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보강 플레이트(652)에는 제1관통공(654)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655)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652)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지지플레이트(651)에 높은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관통공(654) 및 제2관통공(655)으로는 고정축(656)이 결합될 수 있으며, 롤러(653)는 고정축(656)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롤러(653)는 푸시부(400)가 이동 시, 적재부(200)의 바닥면부(240) 상에서 회전하면서 푸시부(40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재부(200)의 양측면부(220)의 하단부에는 적재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홈(245)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롤러(653)는 안내홈(245)에 삽입되어 안내홈(24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푸시부(400)가 적재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시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의 푸시부(400)의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푸시부(400)에는 막음부(4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막음부(440)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하부의 양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막음부(440)는 적재부(200)의 안내홈(245)의 길이 방향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안내홈(245)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막음부(440)는 푸시부(4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푸시부(400)가 적재부(2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에, 안내홈(245)으로 적재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우징부(700)는 제1커버부(710) 및 제2커버부(720)를 가질 수 있다. 제1커버부(710)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홈부(430)의 테두리에 일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푸시 플레이트(410)에 형성되는 홈부(430)를 통해서는 동력부(500)의 실린더부(530)가 삽입될 수 있다. 제1커버부(710)는 푸시 플레이트(410)의 타측면(418)(적재부(200)의 제2공간(S2)에 대향되는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버부(710)와 푸시 플레이트(410)는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버부(710)는 적재부(200)의 제2공간(S2)으로 연장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에 삽입공간(730)을 가질 수 있다. 제1커버부(710)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공간(730)에는 동력부(500)의 타단부, 즉, 실린더부(53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제2커버부(720)는 제1커버부(71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제1커버부(710)를 막을 수 있다. 제2커버부(720) 및 제1커버부(710)는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부(700)가 적재부(200)의 제2공간(S2)으로 구비될 수 있다. 때문에, 푸시부(40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동력부(500)의 타단부가 제2공간(S2)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부(500)의 길이가 최소가 된 상태일 때, 즉, 실린더부(530)가 모두 줄여진 상태일 때, 푸시부(400)는 적재부(200)의 전방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재부(200)의 적재 공간이 더욱 크게 확보될 수 있다(도 9의 (a) 참조).
제1커버부(710)의 상부 내측에는 보강부(7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711)는 하우징부(7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711)는 제1커버부(710)를 보강하여 하우징부(70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제1커버부(7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량 200: 적재부
245: 안내홈 250: 설치부
300: 이젝터 장치 400: 푸시부
410: 푸시 플레이트 415: 제1블레이드
420: 보강부재 425: 제2블레이드
430: 홈부 440: 막음부
500: 동력부 540: 결합부
600: 연결부 610: 제1지지플레이트
620: 결합플레이트 650: 지지부
651: 제2지지플레이트 653: 롤러
700: 하우징부 710: 제1커버부
711: 보강부 720: 제2커버부
730: 삽입공간 S1: 제1공간
S2: 제2공간 S3: 공간

Claims (10)

  1.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부의 공간을 적재물이 적재되지 않은 제1공간 및 적재물이 적재되는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하단부에 상기 적재부의 후방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적재물을 밀어내어 하역시키는 푸시 플레이트와,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후방 방향으로 확대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보강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바닥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적재물을 밀어내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양측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적재물을 밀어내는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푸시부;
    상기 제1공간에 위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 고정되며, 상기 푸시부가 상기 적재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푸시부의 중앙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동력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푸시부로 전달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홈부의 테두리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공간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내측에 위치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는 제1커버부와, 상기 제1커버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부를 막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에 하나 이상 결합되는 보강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구조 보강을 위한 보강력을 제공하고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적재부의 양측면부 상단에 구비되는 수평 프레임의 제1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적재부의 양측면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도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적재부의 양측면부에 밀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 되고,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반복 이동하면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에서 마모가 발생되어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커버부는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보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적재물이 상기 제1 커버부에 하중을 가해 상기 제1 커버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일측면 중앙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되, 그 사이에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위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개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부의 타단부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플레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하측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으로 결합되는 고정축에 회전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푸시부의 이동 시 상기 적재부의 바닥면부 상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푸시부를 지지하는 롤러를 가지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양측면부의 하단부에 상기 적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안내홈을 가지고,
    상기 롤러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에는 일부분이 상기 안내홈의 길이 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푸시부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안내홈으로 적재물의 유입을 막는 막음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터 장치.
  7. 삭제
  8. 삭제
  9. 엔진이 탑재된 차량;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그리고
    상기 적재부에 구비되고,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르는 이젝터 장치를 포함하는 화물 운반용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후방에는 상기 적재부의 후방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이젝터 장치의 푸시부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밀어내는 적재물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차량.
KR1020160111701A 2016-08-31 2016-08-31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 KR101915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01A KR101915805B1 (ko) 2016-08-31 2016-08-31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01A KR101915805B1 (ko) 2016-08-31 2016-08-31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811A KR20180024811A (ko) 2018-03-08
KR101915805B1 true KR101915805B1 (ko) 2018-11-06

Family

ID=6172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701A KR101915805B1 (ko) 2016-08-31 2016-08-31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8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132B1 (ko) * 2021-07-02 2021-10-19 임풍석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KR102502346B1 (ko) * 2022-07-25 2023-02-23 주식회사 스피드플로어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KR20240052435A (ko) 2022-10-14 2024-04-23 아이씨피 주식회사 이젝터 타입 화물 트럭의 적재물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젝터 타입 화물 트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514B1 (ko) * 2020-12-10 2021-06-02 오동현 컨베이어트럭
KR102297274B1 (ko) * 2021-01-19 2021-09-01 오동현 이젝터 장치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5993A1 (en) * 2003-02-25 2005-05-19 Hagenbuch Leroy Rear eject body for haulage units
US20160159262A1 (en) * 2014-12-09 2016-06-09 J&J Truck Bodies and Trailers Horizontal Ejector Truck Bod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152A (ja) * 2003-10-07 2005-04-28 Seki Shoten:Kk 軽量チップの運搬車
CN202225771U (zh) * 2010-11-16 2012-05-23 湖北海龙专用汽车有限公司 自卸车平推后卸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5993A1 (en) * 2003-02-25 2005-05-19 Hagenbuch Leroy Rear eject body for haulage units
US20160159262A1 (en) * 2014-12-09 2016-06-09 J&J Truck Bodies and Trailers Horizontal Ejector Truck Bod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132B1 (ko) * 2021-07-02 2021-10-19 임풍석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KR102502346B1 (ko) * 2022-07-25 2023-02-23 주식회사 스피드플로어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KR20240052435A (ko) 2022-10-14 2024-04-23 아이씨피 주식회사 이젝터 타입 화물 트럭의 적재물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젝터 타입 화물 트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811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805B1 (ko) 이젝터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물 운반용 차량
KR101803787B1 (ko) 덤프트럭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AU2007316284B2 (en) Variable-geometry vessel for transport vehicle
AU2005201056A1 (en) Reinforced payload container
US6375250B1 (en) Tapered trailer with horizontal seams and support rails
US20090297305A1 (en) Material handling device
US6955520B2 (en) Refuse collection vehicle and method with stackable refuse storage container
KR102314132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US20150117994A1 (en) Front-end Carrier for a Prime Mover
US8857080B1 (en) Transfer bucket and ejector assembly for a front end loader vehicle
CN208498347U (zh) 一种铰接式自卸车货箱后挡板及铰接式自卸车
CN106696805B (zh) 一种防砸抗变形自卸车货箱尾板及具有该尾板的自卸车
US7278546B2 (en) Removable cover assembly with pivoting covers and hoisting pins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CN211918727U (zh) 一种建筑施工用手推翻斗车
KR102195801B1 (ko) 탑재형 농산물 덤프 운반대
JP2015116920A (ja) トラックに積載可能なダンプ装置
JP5898760B1 (ja) オープントップコンテナ
AU2005220210B2 (en) Tipper Body and Chassis Construction
KR20110057734A (ko)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KR100424976B1 (ko) 적재함의 화물 이동장치
CN214396529U (zh) 自卸车车厢及自卸车
JP4100605B2 (ja) 荷下ろし装置及びトラック
KR200316118Y1 (ko)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CN214647840U (zh) 一种稳定性高的自卸半挂车车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