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118Y1 -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 Google Patents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118Y1
KR200316118Y1 KR20-2003-0006479U KR20030006479U KR200316118Y1 KR 200316118 Y1 KR200316118 Y1 KR 200316118Y1 KR 20030006479 U KR20030006479 U KR 20030006479U KR 200316118 Y1 KR200316118 Y1 KR 200316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loading box
transfer screw
grain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한
Original Assignee
김원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한 filed Critical 김원한
Priority to KR20-2003-0006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1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screw conveyors thereon
    • B60P1/4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screw conveyors thereon mounted o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60P1/267Controlling degree of tailboard or sideboard movement in dependence upon degree of tipping movement, e.g. by linkage or c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적재함에 곡물을 저장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 후 저면에 설치된 이송스크류를 회전시켜 곡물을 배출하는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는, 외관을 형성하고 곡물을 저장하는 적재함이 일체로 형성되는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V자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철판 등의 부재를 연속적으로 연결한 경사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경사가이드 사이에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개의 이송스크류를 병렬로 배치하며, 상기 각각의 이송스크류의 전방에는 유압 모터와 감속기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이송스크류에 일대일 대응으로 연결하여 이송스크류의 구동을 개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는, 종래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하역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Loading Box Structure of Trailer}
본 고안은 적재함에 곡물을 저장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 후 저면에 설치된 이송스크류를 회전시켜 곡물을 배출하는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곡물이나 사료 혹은 모래와 같은 대량의 적재물을 운반하기 위한 이송수단으로는 일반 트럭이나 덤프트럭과 같은 특수 차량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일반 트럭이나 덤프트럭에는 적재물을 탑재할 수 있는 적재함을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적재함은 트럭과 같은 운반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어지는 탑재형과, 바퀴가 구성되어 트럭이나 트랙터의 후미에 연결되는 트레일러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종래 일반 트럭의 적재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탑재형 곡물적재함이 트럭에 탑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a는 종래 탑재형 곡물적재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종래의 곡물적재함을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반 트럭(20)에 마련된 통상의 적재함(10)은, 플로어(11)의 양측면에 사이드게이트(12)가 형성되고 후면에 리어게이트(13)가 형성되어 각각 힌지(14) 결합을 통해 적재함 형상으로 만들어져 적재물을 탑재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적재함(10)에 적재물을 운반할 때에는 사이드게이트(12)와 리어게이트(13)를 상방향으로 서로 수직으로 맞닿게 닫아 고정하고, 적재된 화물(적재물)을 하역할 때에는 일측 사이드게이트(12)와 리어게이트(13)를 모두 열거나 사이드게이트(12) 또는 리어게이트(13)를 선택적으로 열고 작업자가 플로어(11)에 올라가서 지상으로 낙하시켜 하역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또한, 플로어(11)에 적재물을 적재할 때에는 상기 하역 시와 같이 사이드게이트(12)와 리어게이트(13)를 모두 열거나 사이드게이트(12) 또는 리어게이트(13)를 선택적으로 열고 작업자가 지상에서 플로어(11)에 직접 적재하거나 동력을 이용한 별도의 적재 수단을 통해 적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덤프트럭과 같은 특수 상용차량의 경우에는, 일반 트럭의 단점을 보완하여 유압작동펌프의 이용으로 적재함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건의 운반과 하역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트럭의 적재함에 낱알 형태로 수확되는 각종 곡물이나 사료 혹은 모래와 같은 적재물을 운반하고 하역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하역하거나 기타 보조 기구를 이용하여 하역 작업을 실시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어려울 뿐 아니라 긴 작업시간을 소요하게 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량의 곡물이나 사료 등을 운반하기 위해 좀더 개량된 운반시설이 제안되었는데, 별도의 곡물적재함(100)을 탑재한 트럭(200)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적재함(100)을 탑재한 트럭(200)은 곡물 혹은 사료와 같이 수 톤 내지 수십 톤에 이르는 대량의 적재물을 이송하기 위해 일반 트럭을 특수하게 개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곡물적재함(10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양으로 제공되고 있다.
즉, 도 3a 및 도 3b에는 상기 곡물적재함(100)과는 다른 형태의 곡물적재함 (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적재함(100)은, 용기체 형상의 본체(110) 내부로 동력수단(120)을 갖는 이송스크류(130)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130)에 대응하여 하나의 토출구(140)가 본체(110)의 하부에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탑재형 곡물적재함(100)은 트럭(200)에 탑재되어 이동되는데, 이러한 종래 곡물적재함(100) 자체에는 탑재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운반차량에 탑재 또는 하역작업 시 별도의 탑재보조기구(지게차등)를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곡물적재함 자체에는 이동용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반드시 트럭에 탑재해야만 사용할 수 있어 곡물적재함의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 상기한 곡물적재함(100)의 경우, 상기 이송스크류(130)가 곡물적재함(100)의 바닥 쪽에 하나 혹은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하나의 토출구(140)를 통해 곡물이 토출되도록 설치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곡물적재함(100) 속에 적재된 곡물이나 사료와 같은 적재물(150)을 토출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트럭의 경우에는 대량의 적재물을 하역할 때 수작업으로 비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종래 곡물적재함의 경우에는 반드시 탑재하여 사용해야하므로 작업과정이 복잡하고 이송스크류의 수가 적어 곡물 배출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곡물적재함에 이동용 수단을 구비하여 트럭이나 트랙터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다수개의 이송스크류를 형성하여 곡물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적인 트레일러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이송스크류를 형성하고, 전방 일측에 동력전달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 트럭의 적재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탑재형 곡물적재함이 트럭에 탑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는 종래 탑재형 곡물적재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종래의 곡물적재함을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에 다수개의 이송스크류가 병렬 배치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에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스크류의 배치 상태를 보이는 트레일러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재함 1a : 리어게이트
1b : 상부게이트 2 : 이송스크류
2a : 이송날개 2b : 축
2c : 고정브라켓트 3 : 경사가이드
3a : 골 4 : 동력전달수단
4a : 유압모터 4b : 감속기
5 : 보조지지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는,
적재함의 바닥면에 경사가이드를 사이에 두고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개의 이송스크류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이송스크류의 전방에는 이송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마련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경사가이드는 V자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철판 등의 부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적재함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경사가이드의 V자형 골에 각각 대응하여 이송스크류가 배치되면서 이 이송스크류의 일단(트레일러의 전방 쪽)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고정브라켓트를 매개로 경사가이드에 지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모터와, 이 유압모터의 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이송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감속기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고, 이러한 동력전달수단이 상기 이송스크류에 일대일 대응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이송스크류의 구동을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재함의 후방 하부에서 개폐되어 곡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리어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서 개폐되는 상부게이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적재물에 의해 매우 큰 하중이 작용할 때, 상기 적재함의 양측면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면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재함 내부에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를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에 다수개의 이송스크류가 병렬 배치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에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스크류의 배치 상태를 보이는 트레일러의 배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형 적재함은 탑재형이 아니고 일반적인 운송수단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인데, 그 구조를 살펴보면,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곡물을 보관하는 적재함(1)과, 상기 적재함(1)의 바닥면에 설치된 경사가이드(3)와, 상기 경사가이드(3) 사이에 배치되고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개의는 이송스크류(2)와, 상기 이송스크류(2)의 전방에 이송스크류(2)를 구동하기 위해 마련된 동력전달수단(4)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도 4에서는 이송스크류(2)가 적재함(1)에 설치된 경사가이드(3)의 사이에 4열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상기 이송스크류(2)를 4열로 배치한 이유는 적재함(1)의 폭을 고려한 것으로, 4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가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2)는 하나의 축(2b) 상에 다수개의 이송날개(2a)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통상적인 스크류 장치를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이송스크류(2)의 일단(트레일러의 전방 쪽)은 상기 동력전달수단(4)에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트레일러의 후방, 즉 적재물이 하역되는 쪽)은 고정브라켓트(2c)에 의해 지지 고정되어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이송스크류(2)로 하나의 이송라인을 구성한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이송스크류(2)를 상호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적재함(1)의 전후방 길이가 매우 길 경우, 하나의 이송스크류(2)만으로 전체 이송라인을 구성하게 되면, 축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이송스크류(2)를 설치할 때는 축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적재함(1)의 길이에 따라 하나 혹은 몇 개의 이송스크류(2)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이송라인을 구성할 것인가 하는 것은 설계 시 선택 사항에 해당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도 4 및 도 6에서는 상기 경사가이드(3)가 4개의 골(3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대략 V자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철판 등의 부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적재함(1)의 바닥면에 배치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즉,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경사가이드(3)의 각 골(3a)에 하나씩 이송스크류(2)가 대응 배치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이송스크류(2) 작동시 경사가이드(3)의 각 V자형 골(3a)을 따라 낱알 형태의 곡물이나 사료와 같은 적재물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가이드(3)는 상기 적재물 하역 작업 시 적재물이 이동하는 이동 통로로써, 원활한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적재물이 경사가이드(3)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와 이송스크류(2)가 위치한 골 쪽으로 지속적으로 모아지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송스크류(2)에 의해 적재물이 이동하게 됨에 따라 원활한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것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4)은 트레일러(T)의 적재함(1) 내에 전방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이송스크류(2)에 일대일 대응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처럼 일대일 대응 방식으로 연결된 상기 동력전달수단(4)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모터(4a)와, 이 유압모터(4a)의 동력을 공급받아 이송스크류(2)의 축(2b)을 구동시키는 감속기(4b)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적용하고 있는 유압을 이용한 동력전달수단(4)은 공지 공용된 관용적 기술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송스크류(2)와의 연결 구조 및 동력 전달을 위한 작동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리어게이트(1a)는 트레일러(T) 후방에서 적재함(1)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적재함(1)에 적재물을 적재할 때에는 리어게이트(1a)를 닫아 트레일러(T)의 후방에 위치한 이송스크류(2)의 토출 부위를 막아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1)에서 적재물을 하역하고자 할 때에는 리어게이트(1a)를 개방하여 트레일러(T)의 후방으로 이송스크류(2)에 의한 하역 작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트레일러(T)의 적재함(1) 상측에는 상부게이트(1b)가 형성되어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수 톤에서 수십 톤 가량의 낱알 형태의 곡물이나 사료와 같은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상기 상부게이트(1b)는 공지된 기술을사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데, 셔터식으로 구성하여 양쪽으로 접히면서 열리게 하거나 유압식으로 구성하여 상방향으로 열리도록 하며, 곡물을 운반할 때 커버 역할을 해주어 곡물이 눈이나 비에 젖거나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재함(1)의 양측면 사이에 보조지지대(5)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배치하고 있다.
이는 수십 톤의 적재물을 상기 적재함(1)에 적재할 경우, 적재물에 의해 양측면으로 매우 큰 하중이 작용하여 트레일러(T)의 형태가 옆으로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적재함(1)의 내부에 매우 큰 하중이 작용할 때, 보조지지대(5)를 통해 하중을 지탱하여 양측면으로 적재함(1)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적재함 구조에 따르면, 적재함(1)이 탑재형이 아닌 트레일러(T)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 탑재형 곡물적재함(100)처럼 트럭에 별도의 탑재보조도구(지게차등)를 사용하여 탑재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또한, 상기 적재함(1)에서 적재물 하역 작업 시 적재함(1)을 덤프방식으로 들어올려서 하역하지 않더라도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다수개의 이송스크류(2)를 통해 한꺼번에 트레일러(T)의 후방으로 하역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수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스크류의 개수가 많으므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물론, 상기 다수개 배치된 각각의 이송스크류(2)에 대한 작동은 개별적인 제어가 가능함으로 하역 작업 조건에 따라 사용자(하역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트레일러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이송스크류를 경사가이드 사이에 병렬로 배치하고, 트레일러 전방 일측에 상기 각 이송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동력에 의해 트레일러의 후방으로 적재물을 보다 용이하게 하역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하역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적재함은 탑재형이 아닌 트레일러 자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종래와 같이 트럭에 별도의 탑재보조도구를 사용하여 곡물적재함을 탑재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가진다.

Claims (5)

  1.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곡물을 저장하는 적재함(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의 바닥면에 경사가이드(3)를 사이에 두고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개의 이송스크류(2)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이송스크류(2)의 전방에는 이송스크류(2)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4)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이드(3)는 V자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철판 등의 부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적재함(1)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경사가이드(3)의 V자형 골(3a)에 각각 대응하여 이송스크류(2)가 배치되면서 이 이송스크류(2)의 일단(트레일러의 전방 쪽)은 상기 동력전달수단(4)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고정브라켓트(2c)를 매개로 경사가이드(3)에 지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4)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모터(4a)와, 이 유압모터(4a)의 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이송스크류(2)를 구동시키는 감속기(4b)가 하나의세트로 구성되고, 이러한 동력전달수단(4)이 상기 이송스크류(2)에 일대일 대응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이송스크류(2)의 구동을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의 후방 하부에서 개폐되어 곡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리어게이트(1a)를 형성하고, 상기 적재함(1)의 상부에서 개폐되도록 상부게이트(1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적재물에 의해 매우 큰 하중이 작용할 때, 상기 적재함(1)의 양측면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면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5)를 고정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KR20-2003-0006479U 2003-03-05 2003-03-05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KR200316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479U KR200316118Y1 (ko) 2003-03-05 2003-03-05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479U KR200316118Y1 (ko) 2003-03-05 2003-03-05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118Y1 true KR200316118Y1 (ko) 2003-06-12

Family

ID=4940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479U KR200316118Y1 (ko) 2003-03-05 2003-03-05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11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518B1 (ko) 2006-05-25 2007-02-22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대용량 쌀통
KR100829178B1 (ko) 2006-09-16 2008-05-13 서태길 공기혼입 배출장치를 구비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CN109109715A (zh) * 2018-08-29 2019-01-01 王万有 一种具有快速下料机构的散装水泥罐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518B1 (ko) 2006-05-25 2007-02-22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대용량 쌀통
KR100829178B1 (ko) 2006-09-16 2008-05-13 서태길 공기혼입 배출장치를 구비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CN109109715A (zh) * 2018-08-29 2019-01-01 王万有 一种具有快速下料机构的散装水泥罐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3094A (en) Grain cart equipped with independently driven drag auger
US5980189A (en) Portable grain cart
US7134830B2 (en) Grain wagon with improved grain container
CA2088711C (en) Dump truck with conveyor dispensing system
EP3174756B1 (en) Apparatus for discharge of bulk materials
CN115556836A (zh) 车辆装载箱的舱壁结构
CN213619506U (zh) 一种推送式自卸散装粮食运输半挂车
KR200316118Y1 (ko)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KR200338499Y1 (ko) 곡물이송적재함
KR200309672Y1 (ko) 트럭의 적재함 구조
US8562278B2 (en) Side-discharge chipper body
US20110305549A1 (en) Self-unloading vehicle with hydraulic system
KR200468113Y1 (ko)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US6095743A (en) Leveling apparatus for loading and leveling flowable metal chip scrap in shipping container
CN211567767U (zh) 发酵物料自卸转运车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US6345949B1 (en) Mobile container for goods transport by road
KR200357024Y1 (ko) 자주식 수레의 적재장치
EP2394506A1 (en) Self-unloading vehicle with hydraulic system
KR0160756B1 (ko) 덤프트럭의 화물적재장치
CN217558129U (zh) 一种新型机械化平仓仓门
US1811055A (en) Grain tank for harvesters
GB2509809A (en) Vehicle having material discharging device and transfer device
CA1144102A (en) Hydraulic drill fill
KR200292914Y1 (ko) 곡물 이송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1104

Effective date: 200610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