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499Y1 - 곡물이송적재함 - Google Patents

곡물이송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499Y1
KR200338499Y1 KR20-2003-0031963U KR20030031963U KR200338499Y1 KR 200338499 Y1 KR200338499 Y1 KR 200338499Y1 KR 20030031963 U KR20030031963 U KR 20030031963U KR 200338499 Y1 KR200338499 Y1 KR 200338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loading
opening
right sides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춘화
Original Assignee
유춘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춘화 filed Critical 유춘화
Priority to KR20-2003-0031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4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4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8Tipping body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재함이 적재되는 적재틀(1)과, 상기 적재틀(1)에 적재되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형상의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틀(1)의 정면 일측부에 설치된 유압펌프(2)와, 상기 적재틀(1)과 적재함(10)의 좌우측면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적재함(10)을 상,하강시키는 두 개의 유압실린더(3)와, 상기 두 개의 유압실린더(3)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2)를 제어하여 적재함(10)을 상,하강시키는 리모콘콜트롤러(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함(10)은 좌우 및 정면이 밀폐되어 있으며, 개방된 상부 중간부에 형성되어 좌,우측면을 연결시키는 봉형상의 보강대(11)와, 후면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판(12)과, 상기 지지판(12)의 하부에 경첩(13)의해 연결되어 여닫이 식으로 개폐되며, 좌,우측면의 후면부에 형성된 통상의 도어고정장치(20)에 의해 고정되는 직사각형상의 개폐도어(14)와, 상기 개폐도어(14)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며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된 곡물배출구(15)와, 상기 곡물배출구(15)의 좌,우측에 형성된 롤러레일(16)과, 상기 롤러레일(16)에 결합되어 수동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고물배출구 (15)를 개폐시키는 곡물개폐판(17)로 구성된 곡물이송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이송적재함{The cereals moving box}
본 고안은 곡물이송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화물차량의 후면에 설치되는 탑재형 곡물이송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낱알 형태로 수확되는 각종 곡물을 수확시 적재하여 수확지에서 건조기 또는 원하는 장소까지 도로상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운반하도록 별도의곡물적재함이나 곡물이송탱크에 저장하여 운반하여 왔다.
일반화물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적재함 커버를 씌워 운반하거나, 탱크형태의 적재함을 별도로 장착하여 운반하거나, 이송펌프가 내장된 탱크를 장착한 트레일러형태등으로 운반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곡물을 이송하기에는 너무 장치가 커서 일반 농가에서는 사용하지 못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2000-0021575호에는 적재함의 체적증가를 위해 이송스크류가 설치되고, 운반차량으로의 탑재수단으로서 유압장치를 갖는 받침지주가 형성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탈,부착식 토출기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탑재형 곡물적재함이 공개되어 있고,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07330호에는 캐빈의 후방에 마련되는 적재판의 하부에 절첩탱크를 설치한 화물차에 관한 것으로서, 절첩탱크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절첩탱크에 석유등의 유체나 곡물, 분말등을 적재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동시에 절첩탱크를 수축시켜 적재판 전체를 수평으로 한상태에서는 적재판에 일반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절첩탱크를 갖는 화물차가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164067호에는 트레일러의 측면을 개폐가 가능한 여러개의 문짝으로 연결구성된 화물의 적재가 가능한 곡물 수송용 트레일러가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168999호에는 덤프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화물차량으로 화물차량의 앞바퀴를 상승시키는 장치를 갖는 곡물 이송차량의 곡물배출장치가 지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27079호에는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에 연장관을 결합할 수 잇도록 한 결합구를 추가형성된 연장 가능한 곡물 적재이송기의 배출구가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92914호에는 호퍼의 일측면을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분리된 상태에서 덤프기능을 갖는 트레일러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이송하거나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 등에 의한 운반 및 이송이 가능한 곡물이송기가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장치가 복잡하며, 별도의 트레일러 등이 필요하거나 곡물을 이송시키는 곡물이송기등의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후면에 설치되는 적재함의 적재함의 양측면에 유압실린더를 형성하여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적재함이 덤프형태와 같이 전방부가 상승되어 곡물을 후방으로 하차시키도록 하였으며, 후방에는 절첩식 개폐도어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도어의 중앙하부 일측에는 소량의 곡물을 하차시키는 소형개폐도어로 구성된 곡물이송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곡물이송적재함 전체도
도2는 본 고안의 곡물이송적재함 측면상세도
도3,4는 본 고안의 곡물이송적재함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적재틀(1), 적재함(10), 유압펌프(2), 유압실린더(3), 피스톤로드(3-1), 리모콘콜트롤러(4), 상승버튼(4-1), 하강버튼(4-2), 보강대(11), 지지판(12), 경첩(13), 도어고정장치(20), 개폐도어(14), 곡물배출구(15), 롤러레일(16), 곡물개폐판(17), 손잡이(18), 적재함 전면부(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적재함이 적재되는 적재틀(1)과, 상기 적재틀(1)에 적재되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형상의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틀(1)의 정면 일측부에 설치된 유압펌프(2)와, 상기 적재틀(1)과 적재함(10)의 좌우측면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적재함(10)을 상,하강시키는 두 개의 유압실린더(3)와, 상기 두 개의 유압실린더(3)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2)를 제어하여 적재함(10)을 상,하강시키는 리모콘콜트롤러(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함(10)은 좌우 및 정면이 밀폐되어 있으며, 개방된 상부 중간부에 형성되어 좌,우측면을 연결시키는 봉형상의 보강대(11)와, 후면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판(12)과, 상기 지지판(12)의 하부에 경첩(13)의해 연결되어 여닫이 식으로 개폐되며, 좌,우측면의 후면부에 형성된 통상의 도어고정장치(20)에 의해 고정되는 직사각형상의 개폐도어(14)와, 상기 개폐도어(14)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며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된 곡물배출구(15)와, 상기 곡물배출구(15)의 좌,우측에 형성된 롤러레일(16)과, 상기 롤러레일(16)에 결합되며, 수동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곡물배출구(15)를 개폐시키는 곡물개폐판(17)와, 상기 곡물개폐판(17)의 수동조작이 편리하도록 곡물개폐판(17)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18)로 구성된 곡물이송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적재함에서 곡물의 배출은 적재함 후면에 경첩(13)에 의해 설치된 대형도어에 의해 개폐도어(14)의 하부로 배출되며, 또다른 배출은 개폐도어(14)의 하부 중간에 설치된 곡물개폐판(17)의 개폐에 의해 곡물배출구(15)로 배출되는 것이다.
개폐도어(14)의 개폐는 대형도어 하부 양측면부에 설치된 통상의 도어고정장치(20)의 조립 및 해체에 의해 조작되고,
곡물개폐판(17)의 개폐는 곡물배출구(15)의 좌,우측에 형성된 롤러레일(16)에 삽입된 소형개폐도어(20)를 수동으로 손잡이를 이용하여 상,하강시켜 조작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유압펌프의 작동은 차량운전석에서 작동시키거나 별도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유압펌프를 작동시키는 원리는 당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주지관용기술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곡물이송적재함 전체도, 도2는 본 고안의 곡물이송적재함 측면상세도, 도3,4는 본 고안의 곡물이송적재함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적재틀(1), 적재함(10), 유압펌프(2), 유압실린더(3), 피스톤로드(3-1), 리모콘콜트롤러(4), 상승버튼(4-1), 하강버튼(4-2), 보강대(11), 지지판(12), 경첩(13), 도어고정장치(20), 개폐도어(14), 곡물배출구(15), 롤러레일(16), 곡물개폐판(17),손잡이(18), 적재함 전면부(A)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적재함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이 적재되는 적재틀(1)과, 상기 적재틀(1)에 적재되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형상의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틀(1)의 정면 일측부에 설치된 유압펌프(2)와, 상기 적재틀(1)과 적재함(10)의 좌우측면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적재함(10)을 상,하강시키는 두 개의 유압실린더(3)와, 상기 두 개의 유압실린더(3)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2)를 제어하여 적재함(10)을 상,하강시키는 리모콘콜트롤러(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함(10)은 좌우 및 정면이 밀폐되어 있으며, 개방된 상부 중간부에 형성되어 좌,우측면을 연결시키는 봉형상의 보강대(11)와, 후면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판(12)과, 상기 지지판(12)의 하부에 경첩(13)의해 연결되어 여닫이 식으로 개폐되며, 좌,우측면의 후면부에 형성된 통상의 도어고정장치(20)에 의해 고정되는 직사각형상의 개폐도어(14)와, 상기 개폐도어(14)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며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된 곡물배출구(15)와, 상기 곡물배출구(15)의 좌,우측에 형성된 롤러레일(16)과, 상기 롤러레일(16)에 결합되며, 수동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곡물배출구(15)를 개폐시키는 곡물개폐판(17)와, 상기 곡물개폐판(17)의 수동조작이 편리하도록 곡물개폐판(17)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18)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통상의 곡물이송기를 이용해 상부가 개방된 적재함(10)에 곡물을 투입한 후, 차량을 이동시켜 이송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한 후에,
첫 번째 방법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도어(14)의 하부 양측단에 설치된 통상의 도어고정장치(20)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개폐도어(14)를 적재함의 좌,우측면과 탈리시킨 후, 리모콘콜트롤러(4)의 상승버튼(4-1)을 누르면, 유압실린더 (3)에 유압이 공급되어(유압펌프(2)로부터 공급됨.) 유압실린더(3)의 피스톤로드 (3-1)가 밀려나게 되어 적재함(10)의 전면부(A)가 상승하게 되어 기울어지게 되며, 후면을 밀폐시키고 있는 개폐도어(14)가 외부로 밀려나면서 하부가 개방되어 적재함(10)에 적재된 곡물이 배출된다.
곡물 배출이 완료되면 리모콘콜트롤러(4)의 하강버튼(4-2)을 눌러 유압실런더(3)의 피스톤로드가 수축되어 적재함(10)을 하강시킨 다음, 개폐도어(14)의 하부 양측단에 설치된 통상의 도어고정장치(20)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적재함의 좌,우측면에 고정시킨다.
두 번째 방법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펌프(2)에 연결된 리모콘콜트롤러(4)의 상승버튼(4-1)을 눌러 적재함(10)의 전면부를 상승시켜 적재함(10)을 기울인 다음, 개폐도어(14)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롤러레일(16)에 삽입된 곡물개폐판(17)에 형성된 손잡이(18)를 파지하여 상부로 들어 올려 곡물배출구(15)를 개방시켜 적재된 곡물을 배출시킨다. 배출량은 곡물개폐판(17)를 상부로 들어올리는 정도에 따라 조절된다.
곡물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첫 번째 방법과 같이 리모콘콜트롤러(4)의 하강버튼(4-2)을 눌러 유압실런더(3)의 피스톤로드(3-1)가 수축되어 적재함(10)을 하강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적재함을 기울인 상태에서 차량을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곡물개폐판을 들어올리며 원하는 만큼의 량으로 곡물을 하역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빠른 속도로 곡물을 하역시킬 수 있으며, 하역을 위하기 위해 필요한 많은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곡물이송적재함에 있어서, 적재함이 적재되는 적재틀(1)과, 상기 적재틀(1)에 적재되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형상의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틀(1)의 정면 일측부에 설치된 유압펌프(2)와, 상기 적재틀(1)과 적재함(10)의 좌우측면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적재함(10)을 상,하강시키는 두 개의 유압실린더(3)와, 상기 두 개의 유압실린더(3)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2)를 제어하여 적재함(10)을 상,하강시키는 리모콘콜트롤러(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함(10)은 좌우 및 정면이 밀폐되어 있으며, 개방된 상부 중간부에 형성되어 좌,우측면을 연결시키는 봉형상의 보강대(11)와, 후면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판(12)과, 상기 지지판(12)의 하부에 경첩(13)의해 연결되어 여닫이 식으로 개폐되며, 좌,우측면의 후면부에 형성된 통상의 도어고정장치(20)에 의해 고정되는 직사각형상의 개폐도어(14)와, 상기 개폐도어(14)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며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된 곡물배출구(15)와, 상기 곡물배출구(15)의 좌,우측에 형성된 롤러레일(16)과, 상기 롤러레일(16)에 결합되며, 수동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곡물배출구(15)를 개폐시키는 곡물개폐판(17)와, 상기 곡물개폐판(17)의 수동조작이 편리하도록 곡물개폐판(17)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18)로 구성된 곡물이송적재함.
KR20-2003-0031963U 2003-10-11 2003-10-11 곡물이송적재함 KR200338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963U KR200338499Y1 (ko) 2003-10-11 2003-10-11 곡물이송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963U KR200338499Y1 (ko) 2003-10-11 2003-10-11 곡물이송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499Y1 true KR200338499Y1 (ko) 2004-01-16

Family

ID=4942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963U KR200338499Y1 (ko) 2003-10-11 2003-10-11 곡물이송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499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5079A (ko) * 2005-10-26 2007-05-02 주식회사 오토런 곡물운송용 컨테이너 차량
KR101004609B1 (ko) * 2008-09-09 2010-12-28 김완수 다목적 곡물적재함
KR200451630Y1 (ko) 2008-12-31 2010-12-31 김완수 동력 배출장치를 구비한 곡물적재함의 보조 배출장치
KR200473473Y1 (ko) * 2011-11-07 2014-07-04 이홍선 곡물적재용 덤프적재함
KR101416336B1 (ko) 2012-11-13 2014-07-09 김창곤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KR200473544Y1 (ko) 2012-09-18 2014-07-11 이홍선 곡물적재용 덤프적재함
KR200491075Y1 (ko) 2018-10-10 2020-02-14 현성일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
KR20200001748U (ko) 2019-08-30 2020-08-05 김성옥 지게차 포크홀이 형성된 수매용기
KR102286949B1 (ko) 2021-01-27 2021-08-09 (주)헬파티엘에스 곡물 수매용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5079A (ko) * 2005-10-26 2007-05-02 주식회사 오토런 곡물운송용 컨테이너 차량
KR101004609B1 (ko) * 2008-09-09 2010-12-28 김완수 다목적 곡물적재함
KR200451630Y1 (ko) 2008-12-31 2010-12-31 김완수 동력 배출장치를 구비한 곡물적재함의 보조 배출장치
KR200473473Y1 (ko) * 2011-11-07 2014-07-04 이홍선 곡물적재용 덤프적재함
KR200473544Y1 (ko) 2012-09-18 2014-07-11 이홍선 곡물적재용 덤프적재함
KR101416336B1 (ko) 2012-11-13 2014-07-09 김창곤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KR200491075Y1 (ko) 2018-10-10 2020-02-14 현성일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
KR20200001748U (ko) 2019-08-30 2020-08-05 김성옥 지게차 포크홀이 형성된 수매용기
KR102286949B1 (ko) 2021-01-27 2021-08-09 (주)헬파티엘에스 곡물 수매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2025A (en) Multiple compartment body for waste products and the like
US8186739B2 (en) Topper lift system and method
US4951999A (en) High lift dump truck
KR200338499Y1 (ko) 곡물이송적재함
US11383942B1 (en) Container packer system and method
US6485079B1 (en) Tailgate for multiple compartment material container
US4723817A (en) Controllable tailgate for dump truck
US6539631B1 (en) Tapered trailer with horizontal seams and support rails
US7111907B2 (en) Side dump trailer for particulate material
US3378302A (en) Vehicle for the transport of bulk material
US4067470A (en) Self loading refuse vehicle with a discharge gate in the loading means
KR102286949B1 (ko) 곡물 수매용기
US20110305549A1 (en) Self-unloading vehicle with hydraulic system
CN101108596A (zh) 侧翻式底板自卸货箱
US20050058528A1 (en) Elevator delivery system for use in truck body or trailer
US10717380B2 (en) Convertible trailer for packaged goods and dry bulk material
CN217374283U (zh) 一种带固定底架和边梁的活动底板式车厢结构
KR102195801B1 (ko) 탑재형 농산물 덤프 운반대
KR101934576B1 (ko) 화물운송 차량용 무빙 윙바디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US8033774B2 (en) Secure rear-loading material handling apparatus system
US6012891A (en) Parts handling apparatus
KR200316118Y1 (ko)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US20080246307A1 (en) Curb-side debris loader-un-loader
KR0160756B1 (ko) 덤프트럭의 화물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