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336B1 -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336B1
KR101416336B1 KR1020120128205A KR20120128205A KR101416336B1 KR 101416336 B1 KR101416336 B1 KR 101416336B1 KR 1020120128205 A KR1020120128205 A KR 1020120128205A KR 20120128205 A KR20120128205 A KR 20120128205A KR 101416336 B1 KR101416336 B1 KR 10141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inclined surface
guide
guide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1058A (ko
Inventor
김창곤
Original Assignee
김창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곤 filed Critical 김창곤
Priority to KR1020120128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3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10Unlo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적재함의 경사면에 곡물배출공을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되 곡물배출공의 양쪽에서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서 한쪽이 곡물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곡물안내판과, 상기 곡물안내판의 접합부의 끝단에서 접합부와 경사면의 저면의 사이에 끼움 되는 스페이서와, 지지프레임의 한쪽에 밀착하여 결합되되 곡물수용부의 저면에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고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곡물수용부의 저면에 밀착되어 가이드프레임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곡물배출공을 개폐하는 곡물개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GRAIN STACKER LOWER EMISSION DEVICES}
본 발명은 다량의 곡물을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는 곡물적재함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수용부의 경사면에 곡물배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곡물수용부의 경사면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되 곡물배출공의 양쪽에서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서 한쪽이 곡물배출공과 연통 되도록 설치되는 곡물안내판과, 상기 곡물안내판의 접합부의 끝단에서 접합부와 경사면의 저면의 사이에 끼움 되는 스페이서와, 지지프레임의 한쪽에 밀착하여 결합되되, 곡물수용부의 저면에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고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곡물수용부의 저면에 밀착되어 가이드프레임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곡물배출공을 개폐하는 곡물개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이송 적재함은 낱알 형태의 곡물류를 호퍼형태의 적재함에 적재한 후에 높은 곳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건조기 등의 가공기로 곡물을 투입하기 위한 기기로서, 호퍼형태를 취하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끝부분에 적재함과 연통되는 구조로 입설된 배출구로 구성되며, 적재함 내부의 곡물류가 이송스크류에 의해 배출구로 이송되면, 배출구 내부의 이송장치에 의해 배출구 상부로 곡물류를 이송하여 가공기의 투입구로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곡물이송작업을 행하기 위해서 적재함을 가공기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적재함의 배출구의 출구를 가공기의 최상측 입구에 위치시켜 작업하게 되는데, 각각의 가공기의 투입구가 갖는 높이와 위치에 따라 곡물적재함의 위치를 자주 변동하여 설치함으로써 설치비용의 상승과, 작업이 능률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소요 인력도 많아지는 등 물류 수송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곡처리장 납품 등의 동일한 작업 시간 내에 대량의 곡물을 신속하게 배출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6107호에 본 출원인에 의해 다량의 곡물을 용이하게 운송함과 동시에 곡물적재함 내부의 잔여곡물을 완전히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곡물적재함 양측 경사면의 내부에 적재된 곡물을 중력에 의해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한 배출부가 양측으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부가 형성된 곡물운송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곡물개폐판을 들어올리며 원하는 만큼의 량으로 곡물을 하역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빠른 속도로 곡물을 하역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진행방향을 곡물적재함의 배출구와 가공기의 투입구를 양방향으로 일치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송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하역을 위해 필요한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하부배출부가 형성된 곡물적재함을 제시한 바 있으나, 곡물개폐판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절곡부가 많아 제작에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고 경사면에 배출공이 형성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약해지는 결함이 있어왔다.
또한 곡물배출안내판의 단부가 고정되지 않아 사용 중에 파손이 잦아 유지보수비용이 증가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곡물수용부의 경사면에 곡물배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곡물수용부의 경사면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되 곡물배출공의 양쪽에서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서 한쪽이 곡물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곡물안내판과, 상기 곡물안내판의 접합부의 끝단에서 접합부와 경사면의 저면의 사이에 끼움 되는 스페이서와, 지지프레임의 한쪽에 밀착하여 결합되되 곡물수용부의 저면에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고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곡물수용부의 저면에 밀착되어 가이드프레임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곡물배출공을 개폐하는 곡물개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차량 또는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곡물적재함의 양측 경사면에 곡물을 배출시키는 곡물개폐판과 곡물안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한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곡물적재함의 경사면에 곡물배출공이 형성되더라도 구조적으로 견고한 곡물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쪽이 기울어진 경사면을 구비하도록 호퍼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곡물을 수용하는 곡물적재함의 경사면에 마련되어 빠른 속도로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출장치는 상기 경사면의 일측에는 곡물배출공이 구비되고, 단면이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수평한 접합면과 수직한 돌출면이 구비되고, 상기 접합면이 상기 경사면의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되 상기 돌출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체결되어 상기 곡물배출공의 양쪽에서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부가 개방된 사각홈통의 형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서 한쪽이 곡물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곡물배출공쪽 바닥면의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가 곡물배출공의 하부에서 경사면의 저면에 평행하도록 결합되는 곡물안내판과, 상기 곡물안내판의 접합부가 상기 경사면의 저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장방형의 판형상체로 형성되어 상기 곡물안내판의 접합부의 끝단에서 접합부와 경사면의 저면의 사이에 끼움 되는 스페이서와, 단면이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수직한 결합면과 수평한 안내면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면이 지지프레임의 돌출면의 한쪽에 밀착하여 결합되되 안내면이 경사면의 저면에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고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경사면의 저면에 밀착되어 가이드프레임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곡물배출공을 개폐하는 곡물개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 곡물안내판, 스페이서 및 가이드프레임은 서로 볼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곡물안내판은 한쪽은 곡물배출공이 연통되도록 경사면의 저면에 결합되고 다른 쪽은 곡물적재함을 지지하는 구조프레임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곡물개폐판을 사용자가 개폐함으로써 원하는 수량으로 곡물을 하역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빠른 속도로 곡물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차량의 양쪽방향으로 곡물적재함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손쉽게 가공기의 투입구로 곡물을 배출함으로써 이송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하역을 위해 필요한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곡물적재함의 경사면에 곡물배출공이 형성되더라도 구조적으로 견고한 곡물적재함을 제공하고, 구성요소들이 볼트결합으로 체결되어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곡물적재함의 외형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배출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배출장치의 횡방향 절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곡물안내판과 스페이서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곡물안내판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곡물안내판이 결합된 상태의 종방향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곡물개폐판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1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곡물적재함의 외형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배출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배출장치의 횡방향 절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곡물안내판과 스페이서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곡물안내판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곡물안내판이 결합된 상태의 종방향 부분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곡물개폐판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양쪽이 기울어진 경사면(2)을 구비하도록 호퍼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곡물을 수용하는 곡물적재함(1)의 경사면에 마련되어 빠른 속도로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출장치는 상기 경사면의 일측에는 곡물배출공(5)이 구비되고, 단면이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수평한 접합면(11)과 수직한 돌출면(12)이 구비되고, 상기 접합면(11)이 상기 경사면의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되 상기 돌출면(12)이 서로 마주보도록 체결되어 상기 곡물배출공(5)의 양쪽에서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과, 상부가 개방된 사각홈통의 형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서 한쪽이 곡물배출공(5)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곡물배출공쪽 바닥면의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접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21)가 곡물배출공(5)의 하부에서 경사면의 저면에 평행하도록 결합되는 곡물안내판(20)과, 상기 곡물안내판의 접합부(21)가 상기 경사면(2)의 저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장방형의 판형상체로 형성되어 상기 곡물안내판의 접합부의 끝단에서 접합부(21)와 경사면(2)의 저면의 사이에 끼움 되는 스페이서(30)와, 단면이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수직한 결합면(41)과 수평한 안내면(42)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면(41)이 지지프레임의 돌출면(12)의 한쪽에 밀착하여 결합되되 안내면(42)이 경사면(2)의 저면에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고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40)와, 상기 경사면의 저면에 밀착되어 가이드프레임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곡물배출공(5)을 개폐하는 곡물개폐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곡물적재함(1)은 양쪽이 기울어진 경사면(2)을 구비하도록 호퍼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곡물을 수용하는 곡물수용부(3)와 상기 곡물수용부를 고정하는 구조프레임(2)을 구비하고 상기 곡물수용부의 경사면에 곡물수용부에 수용된 곡물을 배출하기 위한 곡물배출공(5)이 형성된다.
상기 구조프레임(2)은 곡물수용부(3)를 차량에 탑재하거나 지면에 설치할 때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상기 곡물배출공(5)은 곡물수용부의 길이에 따라 한쪽 경사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마주보는 경사면에 대칭되어 형성되어 수용된 곡물을 양쪽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기 곡물수용부의 경사면에 곡물배출공(5)이 구비되고, 단면이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수평한 접합면(11)과 수직한 돌출면(12)이 구비되고, 상기 접합면(11)이 상기 곡물수용부의 경사면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되 상기 돌출면(12)이 서로 마주보도록 체결되어 상기 곡물배출공(5)의 양쪽에서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곡물수용부(3)의 내부로 곡물을 수용하게 되면 바닥의 경사면(2)이 수용된 곡물의 하중을 지탱하게 되는데,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상기 곡물배출공(5)의 양측에 설치되어 곡물배출공(5)이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약해진 경사면(2)을 견고하게 지탱하게 된다.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물안내판(2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홈통의 형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사이에서 한쪽이 곡물배출공(5)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곡물배출공쪽 바닥면의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접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21)가 상기 곡물배출공(5)의 하부에서 곡물수용부의 경사면(2) 저면에 평행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스페이서(30)는 상기 곡물안내판의 접합부(21)가 상기 경사면(2)의 저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장방형의 판형상체로 형성되어 상기 곡물안내판의 접합부(21)의 끝단에서 접합부(21)와 경사면(2)의 저면의 사이에 끼움 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는 경사면(2)의 저면과 상기 접합부(21)의 사이에서 끼움되어 고정되되, 접합부(21)의 끝단에 체결됨으로써 접합부(21)와 경사면(2)의 사이에 곡물개폐판(50)의 하부 단부가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접합부(21)를 경사면(2)에서 스페이서(30)의 폭만큼 이격하여 고정하게 된다.
도3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40)은 단면이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수직한 결합면(41)과 수평한 안내면(42)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면(41)이 지지프레임의 돌출면(12)의 한쪽에 밀착하여 결합되되, 상기 안내면(42)이 경사면(2)의 저면에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고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프레임(40)의 결합면(41)은 지지프레임(10)의 돌출면(12)과 곡물안내판(20)의 측벽 사이에 끼움되어 함께 체결되되, 안내면(42)은 경사면(2)의 저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후술되는 곡물개폐판(50)의 양측 모서리가 끼움 된다.
따라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물개폐판(50)은 상기 곡물수용부(3)의 저면에 밀착되어 양측면이 상기 가이드프레임(40)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곡물배출공(5)을 개폐한다.
즉, 상기 곡물개폐판(50)은 곡물배출공(5)을 개방할 때는 양측 모서리가 경사면(2)의 저면과 가이드프레임(40)의 안내면(42)의 사이에 끼움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곡물배출공(5)을 차폐할 때는 곡물개폐판(50)의 하측 모서리가 경사면(2)의 저면과 곡물안내판(20)의 접합부(21)의 사이에 끼움 되고 단부가 스페이서(30)에 접촉하며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곡물개폐판(50)은 상부 모서리를 절곡하여 손잡이부(51)가 구비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곡물수용부의 저면 일측과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일측에 고정고리(5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고리를 서로 연결하는 이탈방지끈(5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곡물안내판(20)은 한쪽은 곡물배출공(5)이 연통되도록 곡물수용부의 저면에 결합되고 다른 쪽은 구조프레임(4)에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곡물안내판(20)이 구조프레임(4)의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곡물안내판(20)의 구조프레임쪽 측벽 모서리는 차량의 적재 한계선인 구조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측벽 모서리의 상부 일측에 배출된 곡물을 수용하는 포대를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곡물안내판(20)의 측벽 외부로 돌출돌기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지지프레임(10), 곡물안내판(20), 스페이서(30) 및 가이드프레임(40)은 서로 볼트 결합됨으로써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곡물수용부의 경사면에 곡물배출공(5)이 구비되고, 상기 곡물수용부의 경사면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되 곡물배출공(5)의 양쪽에서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서 한쪽이 곡물배출공(5)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곡물안내판(20)과, 상기 곡물안내판의 접합부의 끝단에서 접합부(21)와 경사면(2)의 저면의 사이에 끼움 되는 스페이서(30)와, 지지프레임의 한쪽에 밀착하여 결합되되 곡물수용부의 저면에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고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40)과, 상기 곡물수용부의 저면에 밀착되어 가이드프레임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곡물배출공을 개폐하는 곡물개폐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100: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1: 곡물적재함 2: 경사면
3: 곡물수용부 4: 구조프레임
5: 곡물배출공 10: 지지프레임
11: 접합면 12: 돌출면
20: 곡물안내판 21: 접합부
30: 스페이서 40: 가이드프레임
41: 결합면 42: 안내면
50: 곡물개폐판 51: 손잡이부
52: 고정고리 53: 이탈방지끈

Claims (3)

  1. 양쪽이 기울어진 경사면(2)을 구비하도록 호퍼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곡물을 수용하는 곡물적재함(1)의 경사면에 마련되어 빠른 속도로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출장치는
    상기 경사면의 일측에는 곡물배출공(5)이 구비되고,
    단면이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수평한 접합면(11)과 수직한 돌출면(12)이 구비되고, 상기 접합면(11)이 상기 경사면의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되 상기 돌출면(12)이 서로 마주보도록 체결되어 상기 곡물배출공(5)의 양쪽에서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
    상부가 개방된 사각홈통의 형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서 한쪽이 곡물배출공(5)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곡물배출공쪽 바닥면의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접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21)가 곡물배출공(5)의 하부에서 경사면의 저면에 평행하도록 결합되는 곡물안내판(20);
    상기 곡물안내판의 접합부(21)가 상기 경사면(2)의 저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장방형의 판형상체로 형성되어 상기 곡물안내판의 접합부의 끝단에서 접합부(21)와 경사면(2)의 저면의 사이에 끼움 되는 스페이서(30);
    단면이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수직한 결합면(41)과 수평한 안내면(42)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면(41)이 지지프레임의 돌출면(12)의 한쪽에 밀착하여 결합되되 안내면(42)이 경사면(2)의 저면에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고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40);
    상기 경사면의 저면에 밀착되어 가이드프레임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곡물배출공(5)을 개폐하는 곡물개폐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 곡물안내판(20), 스페이서(30) 및 가이드프레임(40)은 서로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안내판(20)은 한쪽은 곡물배출공(5)이 연통되도록 경사면의 저면에 결합되고 다른 쪽은 곡물적재함(1)을 지지하는 구조프레임(4)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KR1020120128205A 2012-11-13 2012-11-13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KR10141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205A KR101416336B1 (ko) 2012-11-13 2012-11-13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205A KR101416336B1 (ko) 2012-11-13 2012-11-13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058A KR20140061058A (ko) 2014-05-21
KR101416336B1 true KR101416336B1 (ko) 2014-07-09

Family

ID=5089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205A KR101416336B1 (ko) 2012-11-13 2012-11-13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3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739B1 (ko) * 2014-09-25 2016-06-09 문창혁 유수 분리장치
CN108307814B (zh) * 2018-01-31 2023-04-11 于东 一种智能粮箱及扬粮控制系统
CN111850839B (zh) * 2020-07-29 2022-03-29 佛山市顺德区逸海无纺布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化无纺布生产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079Y1 (ko) 2000-12-26 2001-06-15 주식회사아그텍 연장가능한 곡물 적재이송기의 배출구
KR200338499Y1 (ko) 2003-10-11 2004-01-16 유춘화 곡물이송적재함
KR200451630Y1 (ko) 2008-12-31 2010-12-31 김완수 동력 배출장치를 구비한 곡물적재함의 보조 배출장치
KR20110006107U (ko) * 2009-12-11 2011-06-17 김창곤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079Y1 (ko) 2000-12-26 2001-06-15 주식회사아그텍 연장가능한 곡물 적재이송기의 배출구
KR200338499Y1 (ko) 2003-10-11 2004-01-16 유춘화 곡물이송적재함
KR200451630Y1 (ko) 2008-12-31 2010-12-31 김완수 동력 배출장치를 구비한 곡물적재함의 보조 배출장치
KR20110006107U (ko) * 2009-12-11 2011-06-17 김창곤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058A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65699A1 (en) Bulk material dispenser
KR101416336B1 (ko)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WO2007027835A3 (en) Plastic pallet tray for use with octagonal bulk bins
CN201010299Y (zh) 移动式颗粒散装货物接料输送机
CN208577202U (zh) 一种饲料集料输送分输装置
KR200468113Y1 (ko)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CA2573086C (en) A grain and fertiliser conveyer
KR101191366B1 (ko) 회전가능한 유도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PL2125475T3 (pl) Wagon magazynowy
KR101004609B1 (ko) 다목적 곡물적재함
KR200451630Y1 (ko) 동력 배출장치를 구비한 곡물적재함의 보조 배출장치
CN106516338A (zh) 一种运输包装箱
US2557623A (en) Elevator
JP2011168362A (ja) 粉粒体荷卸し装置
CN208631707U (zh) 一种饲料生产用集料装置
CN205634059U (zh) 一种物料给料装置
CN206358949U (zh) 一种运输设备
CN210610954U (zh) 具有输送功能的马铃薯堆储场
US9051134B2 (en) Apparatus for loading particulate matter into a transport container
KR200316118Y1 (ko)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KR20120053271A (ko) 곡물 적재 장치
CN209853379U (zh) 一种物流包装输送线用装卸平台
CN217755266U (zh) 一种可逆移动式皮带机受料溜槽
CN206969768U (zh) 仓栅运输半挂车卸颗粒物料机构
CN210655352U (zh) 一种配合饲料散装原料的卸货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