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075Y1 -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 - Google Patents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075Y1
KR200491075Y1 KR2020180004608U KR20180004608U KR200491075Y1 KR 200491075 Y1 KR200491075 Y1 KR 200491075Y1 KR 2020180004608 U KR2020180004608 U KR 2020180004608U KR 20180004608 U KR20180004608 U KR 20180004608U KR 200491075 Y1 KR200491075 Y1 KR 200491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ar
shaped pipe
integrated structur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성일
Original Assignee
현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성일 filed Critical 현성일
Priority to KR2020180004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0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0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42Details of metal walls
    • B65D7/44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 물품 및 제품을 저장하는 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되는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에 있어서, 편심원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는 메인프레임부 및 메인프레임부의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따라 요철형상을 이루는 요철부를 포함하는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STAR-SHAPED PIPE OF INTEGRAL STRUCTURE}
본 고안은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 물품 및 제품을 저장하는 용기를 제작함에 있어서, 용기의 상부를 별모양 파이프 형상으로 굴곡을 주어 그 굴곡이 뼈대 역할을 하여 용기가 보강구조물을 결합 시키는 것보다 인장력 및 강도가 강한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송 또는 보관용기는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파이프 또는 형강류로 덧붙여 용접 또는 체결방식으로 그에 부합하는 강도와 견고성을 높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보강용 부재를 덧붙여 사용함에 따라 용기의 무게가 무겁고 보강용 부재를 부착하는 작업공정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 보강용 부재 등을 부착 시 틈새에 이물질 및 이송 보관하는 물품에 따라 곰팡이, 물 때 등이 발생하여 비위생적이다. 그리고 용기의 재질에 따라 보강용 부재를 부착한 부분에 녹물 또는 부식이 발생된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38499호(2004.01.05. 등록)인 "곡물이송적재함"을 살펴보면 차량의 후면에 설치되는 적재함의 양측면에 유압실린더를 형성하여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적재함이 덤프형태와 같이 전방부가 상승되어 곡물을 후방으로 하차시키도록 하였으며, 후방에는 절첩식 개폐도어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도어의 중앙하부 일측에는 소량의 곡물을 하차시키는 소형개폐도어로 구성된 곡물이송적재함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적층될 수 없는 구조로 형성되어 곡물 이송이 완료된 후, 창고에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이송적재함의 상부 테두리 측면이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곡물을 운송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시킴에 따라 탈곡하지 않은 벼를 운반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적재함의 테두리에 다양한 구성이 추가됨으로써,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경제적인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38499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곡물, 물품 및 제품을 저장하는 용기를 제작함에 있어서, 용기의 상부를 별모양 파이프 형상으로 굴곡을 주어 그 굴곡이 뼈대 역할을 하여 용기가 보강구조물을 결합 시키는 것보다 인장력 및 강도가 강하게 제조하기 위해, 용기의 상부를 별모양 구조의 파이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별도의 보강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컴팩트한 구조로 제작하는 새로운 구조의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곡물, 물품 및 제품을 저장하는 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되는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에 있어서,
편심원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는 메인프레임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따라 요철형상을 이루는 요철부를 포함하는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용기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용기의 수직한 일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하여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편심원의 테두리를 따라 볼록하게 곡률지는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의 일단으로부터 오목하게 곡률지는 홈부가 하나의 유닛을 이루는 제1 굴곡부, 상기 제1 굴곡부가 편심원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제n 굴곡부 및 상기 제n 굴곡부로부터 상기 용기의 상부 내측으로 편심원을 폐쇄시키도록 연장되는 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굴곡부는 상기 용기의 상부 외측에 모멘트의 인가 시 상기 제n 굴곡부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제n 굴곡부는 상기 용기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굴곡부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는 편심원을 이루는 메인프레임부의 외주면을 별모양의 요철부로 형성하여 디자인적으로 심미감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용기의 플레이트보다 강도도 우수하여 용기의 상부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기간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는 제1 굴곡부 및 제n 굴곡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용기의 상부 내측 및 외측에 모멘트의 작용으로 제1 굴곡부 및 제n 굴곡부가 서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는 식품, 곡물 및 물체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농작물 운송용 용기, 식품 저장용기, 식판의 상부 테두리 등 다양한 용기의 상부에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는 일반적인 보강구조물에 비하여 깔끔하게 처리가능하며 원자재의 비용절감과 작업의 공정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가 농작물이 저장되는 농작물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가 농작물이 저장되는 농작물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10)는 메인프레임부(100) 및 요철부(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10)는 곡물, 물품 및 제품을 저장하는 용기(11)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되는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에 있어서, 편심원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11)의 상부에 형성되는 메인프레임부(100) 및 메인프레임부의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따라 요철형상을 이루는 요철부(2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메인프레임부(100)는 편심원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11)의 상부에 형성된다.
메인프레임부(100)는 용기(11)의 상부를 따라 플랜지 형상으로 접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부(100)는 용기(11)의 상부에 모멘트 및 하중의 인가로 인하여 용기(11)의 상부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편심원을 이루며 플랜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용기(11)는 곡물, 물품 및 제품을 저장할 수 있는 대형 용기이고, 운송 및 이송용 차량에 의해 이송되는 것을 지시한다.
또한, 메인프레임부(100)는 후술하는 요철부(200)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자체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요철부(200)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디자인 적으로 용기(11)의 미감을 주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부(100)는 용기(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되는 절곡부(110)를 포함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방향으로 좁아지는 경사를 이루는 용기(11)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용기(11)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요철부(200)는 메인프레임부(100)의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따라 요철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요철부(200)는 그 단면이 별모양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별모양 파이프로 형상으로 굴곡을 준다. 그리고 그 굴곡이 보강대 역할을 하여 용기가 플레이트면으로 형성되는 것 보다 강도가 향상됨으로써, 일반적으로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강구조물에 비하여 깔끔하게 처리되며, 원자재의 비용 절감과 작업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요철부(200)는 메인프레임부(100)의 변형을 방지하여 용기(11)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요철부(200)는 연장부(210), 제1 굴곡부(220), 제n 굴곡부(230) 및 말단부(240)를 포함한다.
연장부(210)는 용기(11)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되, 용기(11)의 수직한 일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하여 연장된다.
다시 설명하면, 연장부(210)는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해 용기(11)의 상부로부터 수직면에 대해 일방향을 향해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절곡된다. 이는 후술하는 제1 굴곡부(220)를 형성하는 편심원 형상의 메인프레임부(10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10)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을 접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제1 굴곡부(220)는 연장부(210)로부터 편심원의 테두리를 따라 볼록하게 곡률지는 볼록부(221)와 볼록부(221)의 일단으로부터 오목하게 곡률지는 홈부(222)가 하나의 유닛을 이루어 형성된다.
즉, 제1 굴곡부(220)는 메인프레임부(100)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볼록부(221)와 홈부(222)가 형성되되, 복수개로 형성되기 위한 유닛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볼록부(221)는 원호형상으로 메인프레임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아치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부(222)는 볼록부(2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메인프레인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홈부(222)는 홈 형상뿐만 아니라 편심원에 대응하여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1 굴곡부(220)는 용기(11)의 상부 외측에 모멘트의 인가 시 제n 굴곡부(230)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후술하는 제n 굴곡부(230)는 용기(11)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여 제1 굴곡부(220)의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제n 굴곡부(230)는 제1 굴곡부(220)가 편심원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볼록부(221) 및 홈부(222)로 이루어진 제1 굴곡부(220)를 형성하는 하나의 유닛이 메인프레임부(100)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요철 형상을 가지게 한다.
말단부(240)는 제n 굴곡부(230)로부터 용기(11)의 상부 내측으로 편심원을 폐쇄시키도록 연장된다. 즉, 말단부(240)는 요철부(200)의 말단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메인프레임부(100)를 이루도록 제n 굴곡부(230)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10)는 용기(11)의 상부로부터 편심원 형상으로 접혀지게 하여 플랜지 형태를 이루되, 요철부(200)가 형성되는 메인프레임부(100)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10)는 내부에 농작물이 투입되어 저장된 상태로 지게차 또는 이송용 차량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일반적인 농작물 이송용 용기는 철판의 힘이 약하여 장시간 사용 시 농작물의 무게에 의해 용기 전체가 뒤틀리거나 용기의 상부가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10)는 전술한 제1 굴곡부(220) 및 제n 굴곡부(230)로 형성된 요철부(200)를 메인프레임부(100)에 형성시킴으로써, 제1 굴곡부(220) 및 제n 굴곡부(230)가 성호 보완하여 용기(11)의 뒤틀림 및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
11 : 용기
100 : 메인프레임부
110 : 절곡부
200 : 요철부
210 : 연장부
220 : 제1 굴곡부
221 : 볼록부
222 : 홈부
230 : 제n 굴곡부
240 : 말단부

Claims (2)

  1. 곡물, 물품 및 제품을 저장하는 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되는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에 있어서,
    편심원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는 메인프레임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따라 요철형상을 이루는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용기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용기의 수직한 일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하여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편심원의 테두리를 따라 볼록하게 곡률지는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의 일단으로부터 오목하게 곡률지는 홈부가 하나의 유닛을 이루는 제1 굴곡부;
    상기 제1 굴곡부가 편심원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제n 굴곡부; 및
    상기 제n 굴곡부로부터 상기 용기의 상부 내측으로 편심원을 폐쇄시키도록 연장되는 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굴곡부는 상기 용기의 상부 외측에 모멘트의 인가 시 상기 제n 굴곡부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제n 굴곡부는 상기 용기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굴곡부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
  2. 삭제
KR2020180004608U 2018-10-10 2018-10-10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 KR200491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08U KR200491075Y1 (ko) 2018-10-10 2018-10-10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08U KR200491075Y1 (ko) 2018-10-10 2018-10-10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075Y1 true KR200491075Y1 (ko) 2020-02-14

Family

ID=6949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608U KR200491075Y1 (ko) 2018-10-10 2018-10-10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0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047B1 (ko) * 2020-03-09 2020-08-06 이주만 벼톤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6920A (ja) * 2000-11-29 2002-06-11 Lining Container Kk 蓋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38499Y1 (ko) 2003-10-11 2004-01-16 유춘화 곡물이송적재함
JP2006513108A (ja) * 2002-10-08 2006-04-20 グラフィック パッケー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射出成形材料により封入されるかまたは射出成形材料から成形されるリムまたは他の特徴部を有する容器
JP2012162296A (ja) * 2011-02-07 2012-08-30 Toppan Printing Co Ltd カップ紙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6920A (ja) * 2000-11-29 2002-06-11 Lining Container Kk 蓋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513108A (ja) * 2002-10-08 2006-04-20 グラフィック パッケー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射出成形材料により封入されるかまたは射出成形材料から成形されるリムまたは他の特徴部を有する容器
KR200338499Y1 (ko) 2003-10-11 2004-01-16 유춘화 곡물이송적재함
JP2012162296A (ja) * 2011-02-07 2012-08-30 Toppan Printing Co Ltd カップ紙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047B1 (ko) * 2020-03-09 2020-08-06 이주만 벼톤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6693A (en) Molded container assembly for transporting bulk materials
KR200491075Y1 (ko) 별모양 파이프 일체형 구조
AU757513B2 (en) Pallet with a base plate and legs of metal
US20090025615A1 (en) pallet
KR101370582B1 (ko) 저탄소형 물품 적재용 금속 파렛트
WO2004094251A1 (en) Expanded polystyrene pallet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US744405A (en) Packing or shipping box.
US3259217A (en) Carrying case
CN205470849U (zh) 安全型集装箱
CN101548144A (zh) 具有整体结构式冷凝器盘管支承件的制冷装置
RU168441U1 (ru) Полка стеллажа
US744991A (en) Can.
JP5554044B2 (ja) 冷蔵庫の庫内棚
KR200494137Y1 (ko)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USD996815S1 (en) Transport container
RU222764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KR101567033B1 (ko) 경량 철재 파렛트
US1294093A (en) Basket.
US573782A (en) Charles m
US1139458A (en) End door for delivery-wagons.
WO2019160455A1 (en) A box casing and a method for creating a box casing
US279726A (en) Lewis d
KR20170118528A (ko) 물품 적재용 받침패널
KR20090010533A (ko) 부품 저장용 팔레트
KR101992677B1 (ko) 물품 적재랙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