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137Y1 -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137Y1
KR200494137Y1 KR2020210000531U KR20210000531U KR200494137Y1 KR 200494137 Y1 KR200494137 Y1 KR 200494137Y1 KR 2020210000531 U KR2020210000531 U KR 2020210000531U KR 20210000531 U KR20210000531 U KR 20210000531U KR 200494137 Y1 KR200494137 Y1 KR 200494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 container
extension
panel
shaf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기훈
Original Assignee
현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기훈 filed Critical 현기훈
Priority to KR2020210000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1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1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6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방향 패널이 마주보며 배치되고, 장방향 패널의 양단에 단방향 패널이 결합되어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부의 테두리가 구부러져 원형, 타원형 및 별모양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상부테두리부와 상부테두리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된 샤프트와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되게 결합하여 본체부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이웃하는 각 일단을 연결하여 견고하게 위치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FLEXIBLE BULK CONTAINER}
본 고안은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상부테두리부로부터 회동하는 연장부를 형성하여 본체부의 높이를 연장시켜 적재용량을 확장하고, 연장부를 일체형 패널로 성형하여 가볍고 강도가 높은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란 철판으로 형성된 큰 상자 형태로서 화물 수송에 주로 쓰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화물을 보관하고 운반하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안에 들어 있는 화물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컨테이너는 전용으로 사용되는 큰 화물차량에 의해 낱개로 운송되거나 전용 열차 또는 전용 선박에 의해 다량으로 운송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컨테이너는 대형이어서 소형의 농산물의 운반을 위한 이용에는 적합하지 아니한 문제가 있다. 또한, 소형의 컨테이너의 일종인 바구니는 소량만을 적재할 수 있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컨테이너에 농산물을 운반하는 도중에 산화가 일어나 농산물의 부패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7701호(2018.10.17. 등록)인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를 살펴보면, 바닥 프레임의 전후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과 바닥 프레임의 좌우측에서 상승으로 연장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과 단면이 'ㄷ'자의 형상으로 내측공간이 형성되며, 바닥 프레임의 각 모서리에서 결합되어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연장되고, 도어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이 바닥 프레임의 바닥면을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힌지홀을 구비하는 힌지노출 방지부, 제2 힌지홀, 비드부 및 보강부를 구비하는 힌지 브라켓 및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농산물을 보관하는 것은 용이하나 컨테이너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컨테이너를 보관하기 위해 이동 시, 제1의 컨테이너의 상부에 제n의 컨테이너를 적층하는 면적이 많고, 서로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테이너의 내부에 적은 수량의 농산물을 보관하는 경우, 불필요한 공간이 남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나 보관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7701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부의 상부테두리부로부터 회동하는 연장부를 형성하여 본체부의 높이를 연장시켜 적재용량을 확장하고, 연장부를 연장부를 일체형 패널로 성형하여 가볍고 강도가 높은 새로운 구조의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연장부를 회동하여 연장부의 이웃하는 각 일단을 인접시키고, 장방향 패널에 위치한 샤프트의 내부로 고정고리를 삽입하고 일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장방향 패널과 단방향 패널이 서로 회동하는 힘에 의해 절곡부가 단방향 패널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연장부의 회동된 상태를 견고하게 위치시키는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방향 패널이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장방향 패널의 양단에 단방향 패널이 결합되어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의 테두리가 구부러져 원형, 타원형 및 별모양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상부테두리부;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되게 결합하여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이웃하는 각 일단을 연결하여 견고하게 위치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장방향 및 단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판으로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이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측이 구부러져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동일하게 형성된 바디테두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이격하여 서브바디를 배치하고, 상기 서브바디의 일측이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바디의 타측이 상기 바디테두리부에 결합되게 일체형 패널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디테두리부에 상기 본체부의 내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바디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단방향 패널에 위치한 상기 연장부의 양측을 관통하여 한 쌍으로 형성된 고리삽입홀; 및 상기 장방향 패널에 위치한 상기 바디테두리부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바디테두리부의 내부에서 직선왕복 이동하는 고정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메인핀 및 상기 메인핀의 일측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메인핀을 상기 고리삽입홀을 통해 상기 바디테두리부의 내부로 삽입 후, 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바디부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는, 상기 연장부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삼각형, 반구형, 타원형 및 사다리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홈을 형성한 요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포크삽입홀에 형성된 권상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는 본체부의 상부테두리부로부터 회동하는 연장부를 형성하여 본체부의 높이를 연장시켜 적재용량을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장부를 회동하여 연장부의 이웃하는 각 일단을 인접시키고, 장방향 패널에 위치한 샤프트의 내부로 고정고리를 삽입하고 일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장방향 패널과 단방향 패널이 서로 회동하는 힘에 의해 절곡부가 단방향 패널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연장부의 회동된 상태를 견고하게 위치시키기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는 바디부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판을 형성하여 연장부를 일체형 패널로 성형하고, 바디부의 일면에 요홈부를 형성하여 단면계수를 높임으로써, 가볍고 강도가 높아 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는 포크삽입홀이 위치한 본체부의 외측면에 권상고리를 형성하여 다단으로 적층한 컨테이너를 크레인 권상 시, 최 하단에 위치한 컨테이너의 권상고리에 체결하여 여러개를 한번의 권상작업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의 상부테두리부 및 샤프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의 연장부를 회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의 잠금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연장부를 회동하여 본체부의 높이를 확장시킨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의 상부테두리부 및 샤프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의 연장부를 회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의 잠금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연장부를 회동하여 본체부의 높이를 확장시킨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10)는 본체부(100), 상부테두리부(200), 샤프트(300), 연장부(400) 및 잠금부(5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10)는 장방향 패널(110)이 마주보며 배치되고, 장방향 패널의 양단에 단방향 패널(120)이 결합되어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본체부(100), 본체부의 상부의 테두리가 구부러져 원형, 타원형 및 별모양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상부테두리부(200), 상부테두리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된 샤프트(300),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되게 결합하여 본체부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부(400) 및 연장부의 이웃하는 각 일단을 연결하여 견고하게 위치시키는 잠금부(5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방향 패널(110)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며 배치되고, 장방향 패널(110)의 양단에 단방향 패널(120)을 결합하여 컨테이너로 형성시킨다.
이러한, 본체부(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컨테이너로 형성하여 각종 농산물 및 화물 등을 담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역사다리꼴로 형성하여 다단으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테두리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부의 테두리가 구부러져 원형, 타원형 및 별모양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부테두리부(200)는 장방향 패널(110) 및 단방향 패널(120)의 상부를 둥굴게 구부려 원형으로 형성하거나 타원형 및 별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저항성을 높여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부테두리부(200)는 서로 인접하는 끝단을 용접하여 마감할 수도 있다.
특히, 상부테두리부(2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정간격으로 절단되는 절단면이 형성되어 샤프트(300)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절단면에 후술하는 회전부(420)가 결합되어 샤프트(300)를 축으로 회전부(420)가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샤프트(300)는 상부테두리부(200)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샤프트(300)는 후술하는 연장부(400)를 회동시키는 회전축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부테두리부(200)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부테두리부(200)로 인가되는 휨모멘트를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장부(400)는 샤프트(300)를 축으로 회전되게 결합하여 본체부(100)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연장부(400)는 바디부(410), 회전부(420) 및 바디테두리부(430)를 더 포함한다.
바디부(410)는 상부테두리부(200)의 장방향 및 단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판으로 형성된다.
회전부(420)는 바디부의 일측이 상부테두리부(20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샤프트(300)에 회전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회전부(420)는 상부테두리부(200)에 형성된 절단면에 결합되도록 바디부(420)의 일측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테두리부(430)는 바디부(410)의 타측이 구부러져 상부테두리부(200)의 형상에 대응하여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바디테두리부(430)는 원형, 타원형 및 별모양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빈 파이프형상의 바디샤프트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바디샤프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테두리부(4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잠금부(500)를 형성하는 고정고리(520)를 구성하는 메인핀(521)이 억지끼움 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10)의 연장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410)의 일면에 이격하여 서브바디(411)를 배치하고, 서브바디(411)의 일측이 회전부(420)에 결합되고, 서브바디(411)의 타측이 바디테두리부(430)에 결합되게 일체형 패널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연장부(43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내부로 담아지는 농산물의 하중에도 휘어지지 않고 높은 강도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10)에 있어서, 연장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손잡이(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손잡이(440)는 바디테두리부(430)에 본체부(100)의 내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를 위해, 바디테두리부(430)의 양측에 절단된 홈을 형성하여 바디샤프트를 노출되게 하고, 노출된 바디샤프트에 바디손잡이(440)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디손잡이(440)는 바디샤프트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고,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ㄷ'자형 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디부(410)를 편리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잠금부(500)는 연장부(400)의 이웃하는 각 일단을 연결하여 견고하게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잠금부(500)는 고리삽입홀(510) 및 고정고리(520)를 더 포함한다.
고리삽입홀(510)은 단방향 패널(120)에 위치한 연장부(400)의 양측을 관통하여 한 쌍으로 형성된다.
즉, 고리삽입홀(510)은 상하방향으로 긴 홀을 형성하되, 바디부(410)와 서브바디(411)의 동일한 일면을 서로 일직선상에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여 고정고리(520)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고리삽입홀(510)은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서 바디부(410)의 양측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바디부(410) 및 서브바디(411)의 일면을 서로 연통하도록 관통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고정고리(520)는 장방향 패널(110)에 위치한 바디테두리부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바디테두리부의 내부에서 직선왕복 이동하는 고리이다.
즉, 고정고리(5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메인핀(521) 및 메인핀(521)의 일측이 절곡된 절곡부(522)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메인핀(521)을 고리삽입홀(510)을 통해바디테두리부(430)의 내부로 삽입 후, 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바디부(410)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연장부(400)를 회동시키는 경우, 장방향 패널(110) 또는 단방향 패널(120)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회동하되, 장방향 패널(110)을 회동시킨다.
그리고 장방향 패널(110)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단방향 패널(120)을 회동하여 고리삽입홀(510)이 바디테두리부(430)의 내부의 중심과 일직선상으로 위치하게 한다.
이때, 메인핀(521)이 고리삽입홀(510)을 통과하여 바디테두리부(430)의 내부에 억지끼움되고, 절곡부(522)를 메인핀(521)을 축으로 회동하여 절곡부(522)의 일단이 고리삽입홀(510)의 외측면에 위치하게 한다.
특히, 장방향 패널(110)에 위치한 바디부(410)와 단방향 패널(120)에 위치한 바디부(41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거나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고리(520) 메인핀(521)은 장방향 패널(110)에 위치한 바디테두리부(430)에 위치하고, 절곡부(522)는 단방향 패널(120)에 위치한 바디부(410)에 위치하여 서로 잡아당기는 힘으로 바디부(410)가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요홈부(600)는 연장부(400)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삼각형, 반구형, 타원형 및 사다리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홈을 형성한다.
즉, 요홈부(600)는 본체부(100)의 내측을 향하는 바디부(41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단면계수를 높임으로써, 중량을 가볍게 하면서 강도가 높아 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상고리(70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상고리(700)는 본체부(1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홀이 형성되고, 포크삽입홀에 형성된다.
여기서, 포크삽입홀은 본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은, 권상고리(700)는 제1의 본체부(100)의 내부에 제2의 본체부(100)를 수용하고, 제3 내지 제n의 본체부(100)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크레인으로 권상 시, 제1의 본체부(100)에 형성된 권상고리에 체결하여 다단으로 적층된 본체부(100)를 한번의 권상작업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100 : 본체부
110 : 장방향 패널
120 : 단방향 패널
130 : 포크삽입홀
200 : 상부테두리부
300 : 샤프트
400 : 연장부
410 : 바디부
411 : 서브바디
420 : 회전부
430 : 바디테두리부
440 : 바디손잡이
500 : 잠금부
510 : 고리삽입홀
520 : 고정고리
521 : 메인핀
522 : 절곡부
600 : 요홈부
700 : 권상고리

Claims (8)

  1. 장방향 패널이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장방향 패널의 양단에 단방향 패널이 결합되어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의 테두리가 구부러져 원형, 타원형 및 별모양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상부테두리부;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되게 결합하여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이웃하는 각 일단을 연결하여 견고하게 위치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장방향 및 단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판으로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이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측이 구부러져 상기 상부테두리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동일하게 형성된 바디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이격하여 서브바디를 배치하고, 상기 서브바디의 일측이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바디의 타측이 상기 바디테두리부에 결합되게 일체형 패널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디테두리부에 상기 본체부의 내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바디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단방향 패널에 위치한 상기 연장부의 양측을 관통하여 한 쌍으로 형성된 고리삽입홀; 및
    상기 장방향 패널에 위치한 상기 바디테두리부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바디테두리부의 내부에서 직선왕복 이동하는 고정고리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메인핀 및 상기 메인핀의 일측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메인핀을 상기 고리삽입홀을 통해 상기 바디테두리부의 내부로 삽입 후, 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바디부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삼각형, 반구형, 타원형 및 사다리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홈을 형성한 요홈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포크삽입홀에 형성된 권상고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KR2020210000531U 2021-02-18 2021-02-18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KR200494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531U KR200494137Y1 (ko) 2021-02-18 2021-02-18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531U KR200494137Y1 (ko) 2021-02-18 2021-02-18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137Y1 true KR200494137Y1 (ko) 2021-08-09

Family

ID=7731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531U KR200494137Y1 (ko) 2021-02-18 2021-02-18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13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367A (ja) * 1996-08-21 1998-03-0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運搬箱
KR200339392Y1 (ko) * 2003-10-10 2004-01-24 주식회사 칼스로지스틱 접철식 운반 상자
KR200487701Y1 (ko) 2018-03-15 2018-10-24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KR102160901B1 (ko) * 2020-07-09 2020-09-29 농업회사법인 (주)보람 곡물 운반용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367A (ja) * 1996-08-21 1998-03-0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運搬箱
KR200339392Y1 (ko) * 2003-10-10 2004-01-24 주식회사 칼스로지스틱 접철식 운반 상자
KR200487701Y1 (ko) 2018-03-15 2018-10-24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KR102160901B1 (ko) * 2020-07-09 2020-09-29 농업회사법인 (주)보람 곡물 운반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6263B2 (en) Collapsible containers
JP6567093B2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US11548684B2 (en) Lockset and pallet loading bin having same
US4546896A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CN106376235A (zh) 货运集装箱的拐角配件、后拐角柱及其后壁、前拐角柱及其前壁
US20050220559A1 (en) Container used to ship semi-trailer chassis
JP2001524430A (ja) 折り畳み可能な容器
KR200494137Y1 (ko)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CN113329956A (zh) 具有角部锁定结构的折叠式集装箱
JP5243591B2 (ja) 組立式コンテナ及び組立式コンテナの輸送方法
JP2002264993A (ja) 輸送用コンテナ
CA1302916C (en) Flexible container comprising several lifting means
CN105800039A (zh) 可折叠容器及其侧板
KR101247749B1 (ko) 조립식 포장박스를 갖는 팔레트
KR20050122089A (ko) 겸용 컨테이너
JP6689110B2 (ja) コンテナ用扉
EP3730419A1 (en) Container
CN210883542U (zh) 一种海陆通用的集装箱
KR200490368Y1 (ko) 화물운반용 안전 파레트
KR101577570B1 (ko)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US7207455B2 (en) Template for carrying bulk cargo in an active container
JP3140959B2 (ja) パレット容器
CN214058238U (zh) 包装箱
JPH10114334A (ja) 折り畳み式ロールボックスパレット
JP2002068182A (ja) 液体用組立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